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이해부진아동의 다의어 의미 처리 특성

        고선희(Sunhee Ko),최경순(Kyung-Soon Choi),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서 문맥을 고려하여 적절한 단어의 의미는 활성화 수준을 강화하고 불필요한 단어의 의미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의어를 포함하는 의미 관련성 판단 과제를 사용하여 읽기이해부진 아동들이 불필요한 단어의 의미를 일반아동들 만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읽기이해부진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4명이었다. 아동들에게 관형절의 마지막 어절에 위치한 다의어 또는 비다의어의 의미가 표적단어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였고 그 수행에 대한 오반응수와 정반응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모두 비다의어 조건에서보다 다의어 조건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읽기이해부진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두 조건 모두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정반응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한 결과 일반아동 집단은 다의어 조건과 비다의어 조건 간에 반응시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읽기이해부진 집단의 경우 비다의어 조건에서는 일반아동 집단과 유사한 반응시간을 보인데 비해 다의어 조건에서는 비다의어 조건에서보다 더욱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문맥과 관련이 없는 다의어의 불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 348-356. Background & Objectives: Frequently, a word has more than one meaning. During reading, readers should determine a word’s meaning relevant to a given context, while suppressing other contextually irrelevant meaning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ere able to suppress contextually irrelevant meanings of ambiguous words as effectively as coul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Fourtee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14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hildren were upper elementary school aged. The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meaning of the final word of a clause was related to the following target word. For all of the 64 experimental items, the meanings of the target words were not related to the meanings of the final words of the preceding clauses. Half of the final words of the experimental clauses were ambiguous words and the other half were unambiguous words. Sixty-four foil items were also generated so that the target words were related to the final meanings of the clauses. The reaction times as well as the response accuracies were measured in all children. Result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were the normal children in judging the relatedness between the clause final word and the following target word. Both groups of children made more errors in the ambiguous word condition than they did in the unambiguous word condition. No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word type was observed. In terms of reaction time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ambiguous word condition compared to the unambiguous word condition, whereas the normal children’s react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conditions. Discussion &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were less effective at suppressing contextually irrelevant meanings of ambiguous word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48-356)

      • KCI등재

        읽기 폭 과제로 측정한 정상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고선희(Sunhee Ko),최경순(Kyung-Soon Choi),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3

        Background & Objectives: A vast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erformance on various psycholinguistic tasks in individuals with language or reading disabilities, as well as in normal populations. However, only a few reports are available on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working memory capacities among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reading span task to measure working memory capacity for school-aged children and to investigate its developmental changes. Methods: A total of 12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ading span task for children that modified the task of Daneman & Carpenter (1980). The reading span task was composed of 20 sets of sentences. The number of sentences contained in each set varied from two to five. The children were asked to read the sentences in a set aloud and then to recall the final words of all of the sentences in the set. The number of sets in which a child correctly recalled all of the final words was counted. The children also performed a forward digit span task,which primarily taps the storage aspect of working memory. Results: For both the reading span task and the forward digit span task,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ade were noted. In a post-hoc test, the reading spa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kindergarteners and the second graders and the second graders and the fourth graders, but not between the fourth graders and the sixth grader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also noted between the kindergarteners and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and between the second graders and the sixth graders. In contrast, the children’s digit span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adjacent grades. The digit span scores of the kindergarteners significantly differed only from those of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but not from those of the second graders. The second graders’ scores differed only from those of the sixth graders but not from those of the fourth graders. The digit span scores of the fourth grader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the sixth graders. Discussion &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ading span task was more sensitive than the forward digit span task in showing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working memory in school-aged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ading span task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resources in “processing,” i.e., reading and comprehending sentences, and that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ecome more proficient during elementary school ages 배경 및 목적: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정상인들 뿐 아니라 다양한 언어장애 아동들의 작업기억능력이 언어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기억이 언어능력과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정상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아동에게 적합한 읽기 폭 과제를 제작하여 취학 직전의 유치원에서부터 초등학교 고학년의아동을 대상으로 읽기 폭으로 측정한 작업기억의 발달 양상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6세 유치원 아동 30명, 초등학교 2학년 29명, 4학년 32명, 6학년 33명의 아동으로 총 124명이었다. Daneman & Carpenter (1980)의 과제를 기초로 하여 제작한 아동용 읽기 폭 과제와 숫자바로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읽기 폭 과제와 숫자 바로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결과 모두에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읽기 폭 과제에서는 4학년과 6학년 집단 간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집단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숫자 바로 따라말하기 과제 결과에서는 유치원과 4학년, 유치원과 6학년, 2학년과 6학년에서만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에 있어 작업기억의 발달적 변화는 숫자바로 따라말하기 과제보다 읽기폭 과제 수행에서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처리와 동시에 저장을 요구하는 읽기 폭 과제와 저장을 강조하는 숫자 바로 따라말하기 과제간의 특성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 KCI등재

        A Comparison of Writing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According to Length of Story

        고선희(Sunhee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학령기 아동들에게 글쓰기는 의사소통 및 과업 성취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임에도 ADHD 아동들이 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이야기의 길이가 ADHD 아동들의 글쓰기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3-4학년의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각각 16명씩,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긴 이야기와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글을 쓰도록 하여 ADHD 아동들과 일반 아동들 간의 글쓰기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긴 이야기 조건에서 일반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양의 글을 산출하였으며, ADHD 아동들은 들려준 이야기의 길이와 상관없이 일반 아동들보다 이야기 구성력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구문 복잡성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긴 이야기 조건에서 보다 복잡한 구문을 산출하였다. 또한 비문율을 보면 두 집단 모두 긴 이야기 조건에서 더 많은 비문을 산출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DHD 아동들이 두 조건 모두에서 일반 아동들보다 높은 빈도의 비문을 산출하였다. 철자 오류율에 있어서는 이야기 조건과 상관없이 ADHD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빈도의 오류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글로 써야 하는 내용이 많을 때는 ADHD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적은 양의 글을 산출하는 것이 전반적인 글의 질이 떨어지는 요인일 수 있겠으나, 짧은 이야기를 쓸 때 ADHD 아동들이 산출한 글의 양이 적지 않음에도 그 내용을 조직하고 구성하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보였다. 이같은 결과를 ADHD 아동들의 인지 처리 특성과 연결지어 논의하였다. Objectives: For school-aged children, writing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and scholastic achievement; nevertheless,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ve difficulty writing. Thus, this research studied how the length of story, which is one factor influencing writing, affected writing of children with ADHD. Methods: Sixteen children with ADHD and 16 normally-developing children in 3rd to 4th grade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listening to short and long stories they were asked to rewrite those stories and their writings were analyzed. Results: Children with ADHD wrote less in terms of quantity than the normally-developing children in the long story condition, but not in the short story condition. When analyzing the writing composition of both groups, the children with ADHD performed worse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tory. Syntactic complexity cre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both groups produced more complex syntax after the long story condition. In addition, both groups produced more sentences with syntactic errors after the long story condition and the children with ADHD made more sentences with syntactic errors in both conditions. Lastly, the children with ADHD produced more spelling errors in both conditions. Conclusion: When children with ADHD write a long story, they write less in terms of quantity than normally-developing children, which could explain why they write poorly. However, even when they can write equal quantity with normally-developing children, children with ADHD demonstrate poorer writing composition and produce more error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process.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추론에 대한 담화 길이의 영향

        고선희(Sunhee Ko),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1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experience difficulties in language processing when the processing load of a language task exceeds their limited capacit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erence abilities of children with SLI when the processing load was increased by changing the lengths of disco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 with SLI between the ages 6;5 and 9;6, 10 norm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s (CA), and 10 norm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s (LA). They listened to 10 short discourses and 10 long discourses and answered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for each discourse; a literal question and an inference question. Results: When answering the literal questions, regardless of the length of discourse, the children with SLI exhibit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CA matched children, but not to the LA matched children. In answering the inference questions, the SLI children performed significantly poorer than the CA matched children in both conditions of discourse length. However, the SLI children made more inference errors compared to the LA matched children only when the discourses were long. Discussion & Conclusion: In making inferenc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SLI children and the LA matched younger children when the discourses were short. Such results are in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where children made inferences based on short discourses or a series of words. When the SLI children in this study had to make inferences after given long discourses, they showed significant difficulties relative not only to the CA matched children but also to the LA matched children. The results imply that children with SLI experience difficulties in making inferences only when the processing load of the inference task exceeds their limited capacity 배경 및 목적: 제한된 용량 모델에 따르면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작업기억의 용량이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 부담이 증가할 경우 언어 수행의 결함을 보인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처리 부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담화의 길이를 달리하였을 때 담화에 실제 제시된 정보에 대한 회상과제와 제시되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는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수행을 일반아동과 비교하였다.방법: 언어연령이 5~6세(생활연령 6~9세)인 혼합형 단순언어장애아동 10명, 동일언어연령의 일반 아동 10명, 동일생활연령의 일반아동 10명, 총 3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아동들에게 짧은 담화와 긴담화를 들려 준 후 각각에 대하여 사실회상 질문과 추론 질문에 답하게 하였다. 결과: 사실회상 질문에 대해서는 긴 담화와 짧은 담화 모두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이 동일생활연령 아동보다는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동일언어연령 아동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론 질문에 대해서, 짧은담화에서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이 동일생활연령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동일언어연령 아동과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긴 담화에서는 동일생활연령 아동 뿐 아니라 동일언어연령 아동보다도 의미 있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아동은 담화가 길어져 처리해야 할 언어 정보의 양이 많아진 경우에만 비슷한 언어능력을 가진 아동보다 추론에 어려움을 보였다. 짧은 담화에서의 추론 수행이 동일언어연령 아동과 다르지 않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주어진 추론과제의 특성이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처리를 요구하는 것인지 아닌지에 따라 추론 수행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이야기 듣고 다시 쓰기를 통해 나타난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글쓰기 특성 비교

        고선희(Sunhee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글쓰기는 일상생활에서도 중요하게 사용되는 기능일 뿐만 아니라 모든 학습 영역에서의 성취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기에 ADHD 아동들의 쓰기 능력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방법: 초등학교 3-4학년의 ADHD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6명으로 총 32명이었다. 친숙한 이야기와 비친숙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글을 쓰도록 하여 ADHD 아동들과 일반 아동들 간의 글쓰기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비친숙한 조건에서 일반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이야기 단위를 회상하였으며, 완전한 에피소드를 회상하는데도 어려움을 보였다. 이야기 구성력을 분석하였을 때 ADHD 아동들은 들려준 이야기의 친숙도와 상관없이 모든 조건에서 일반 아동들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두 조건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이는 하위 요소들에는 차이가 있었다. C-unit 당 평균 절의 수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비친숙한 조건에서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였다. 또한 ADHD 아동들은 들려준 이야기의 친숙도 조건과 상관없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은 비문과 철자 오류를 산출하였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산출한 글의 양과 내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이며 ADHD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보다 들려준 이야기의 친숙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반면에 ADHD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구문 오류와 철자 더 많이 보였다. Objectives: Writing is an important function used in daily activities and it is critical for the achievement in all learning areas. Thus, this study on the wri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s its importance. Methods: 16 children with ADHD and 16 normal children without from 3 to 4 grades at the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 was to listen to familiar and non-familiar stories, and then to write stories about what children have perceived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children with ADHD to that of the normal children. Results: Children with ADHD recalled the story units less than normal children and showed difficulties in writing complete episode of non-familiar conditions. When analyzing the ability of story composition, children with ADHD made poorer performance, a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regardless of the familiarity of the stor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b-elements which showed poor performances under each condition. Th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C-unit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both groups used the complex syntax in a non-familiar condition. And children with ADHD made sentences with syntactic errors and spelling errors more significantly than normal children under both conditions. Conclusion: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performances than normal children in both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writing and the former group was more affected by the familiarity of the story than the latter. Regardless of the story's familiarity, children with ADHD proved to have more syntactic errors and spelling errors than the normal children.

      • KCI등재

        사회보호시설 아동의 예측추론 특성

        신선희(Sunhee Shin),고선희(Sunhee Ko)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를 발달시켜 간다. 그러나 어린 나이에 사회보호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들의 경우 일반가정 아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경적인 제약 속에서 생활하게 되고, 이는 이들의 언어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보호시설 아동의 추론 능력이 일반가정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시설에서 생활하는 정상발달 아동 15명, 시설에서 생활하는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 일반가정에서 생활하는 아동 15명,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상황 그림으로 구성된 예측추론 과제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세 집단 간 수행을 비교하고자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 집단 간수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시설 일반 아동들은 일반가정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인 반면 시설 단순언어장애 아동들보다는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결론: 사회보호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들 중 언어 능력에서 두드러진 손상이 없는 아동들도 상황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는데 이 같은 결과를 사회보호시설의 환경적인 특성과 연결지어 설명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Humans accumulate various experiences by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is the basis of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may experience environmental deprivation from a young age compared to children raised at home, which may affect their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we explor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dictive inference between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and children reared at home. Method: 15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15 children reared at home participate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predictive inference task consisting of situational pictures. A one-way variance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hree groups’ performanc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performances.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showed a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than those reared at home, but the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with SLI. Conclusion: Even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without significant problems in their language skills, had difficulty using inference to solve problems.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in connection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care, and alternative polic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Inference of Word Meaning in School-Aged Children with Poor Reading

        임연순(Youn Soon Yim),고선희(Sunhee Ko),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일반적으로 아동들은 다양한 읽기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어휘 지식을 확장해 나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맥락을 활용하여 단어의 의미를 추론하는 데 일반아동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4학년의 읽기이해부진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단어조건과 비단어조건으로 나뉘는 문장장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문장판단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목표단어가 적절하게 사용된 선행문장을 읽은 후 후행문장의 목표단어가 적절한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단어조건에서보다 비단어조건에서 단어의 의미가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으며, 읽기이해부진 아동들은 단어조건과 비단어조건 모두에서 일반 아동들에 비해 목표단어의 의미가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아동들은 모르는 단어를 접했을 때 문맥을 고려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나 그 의미를 다른 문맥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완전히 학습된 단계가 아닐 수 있다.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단어의 의미 추론에 어려움을 보인 것은 어휘 지식 부족, 의미 접속 및 인출의 비효율성 및 상위언어인지능력의 결함으로 설명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context in which a particular word is used includes clues to the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emantic knowledge of the word. When an unknown word appears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text, the ability to infer its meaning by using context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text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poor comprehenders and typical children when inferring the meaning of words. Methods: Fifteen poor comprehenders and 15 typical children in the 3rd and 4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entence judgment task was divided into word condition and non-word condition, and each item consisted of a proceeding sentence and a following sentence. In order to perform the sentence judgment task, after reading the proceeding sentence in which the target word was appropriately used,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target word in the following sentence was used appropriately. Results: Both poor comprehenders and typical children had difficulty in judging whether the meaning of the target word was appropriately used in the non-word condition when compared to the word condition. Poor comprehenders showed poorer performance than typical children in both the word and non-word conditions. Conclusion: Although poor comprehenders showed similar patterns as the typical children, they had difficulty inferring the meaning of the words. This may b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ineffectiveness of semantic connection and retrieval, and a deficit of metalinguistic ability.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Word Categoriza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엄세미(Semi Um),고선희(Sunhee Ko),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범주화는 여러 대상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분류하는 것으로 의미적인 정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범주화는 단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산출할 수 있게 하며, 새로운 대상에 대한 추론에도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에게 범주화 과제를 실시함으로써 고기능 자폐아동의 의미적 정보 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고기능 자폐아동 12명과 생활연령, 지능수준 및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에게 지각적-주제적 범주 조건 및 지각적-분류적 범주 조건으로 구성된 범주화 선호도 과제와 범주화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아동은 범주화 선호도 과제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주제적 또는 분류적 범주화보다 지각적 범주화를 유의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범주화 이해 과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같은 결과는 고기능 자폐아동들이 높은 수준의 범주화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각적인 처리를 의미적인 처리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이들의 정보처리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들의 정보처리 특성이 언어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Categorization is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e common features of different objects, which is required to integrate and to process semantic features. It can also help to store and to retrieve words efficiently, and to infer new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emantic information process in high-functioning autism by using categorization preference task and categorization understanding task.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from the 1st grade to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IQ, and language level. Children performed categorization preference task and understanding task which composed of perceptual-thematic category conditions and perceptual- taxonomic category condi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conditions were being compared. Results: In the categorization preference task,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howed significantly strong preference for perceptual categorization over thematic and taxonomic categorizations as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categorization understanding task, both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revealed high performanc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relied on perceptu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ey have high-levels of knowledge on categorizat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proces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could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language tasks.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단어재인에서 간섭자극 억제능력

        황민아(Mina Hwang),임종아(JongAh Lim),최경순(Kyungsoon Choi),고선희(Sunhee Ko),최소영(Soyoung Choi),김주형(Joohyoung Kim),전미영(MiYoung J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여러 연구에서 ADHD 아동들의 반응 억제 결함이 충동성과 과잉행동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결함이라고 주장하였다(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본 연구에서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졌을 때 ADHD 아동의 억제능력을 일반 아동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3-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1명과 일반 아동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어휘, 문장따라말하기, 단어재인, 읽기이해에서 정상적인 발달 수준에 있었다. 아동들은 교차-양상 단어재인 간섭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아동들은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간섭단어를 무시하고 동시에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목표단어를 가능한 빠르게 읽도록 지시받았다. 간섭자극의 유형에 따라 세가지 간섭조건이 구성되었는데, 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같았고, 비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달랐고, 무간섭조건에서는 청각적 간섭단어가 제시되지 않았다. 결과: 목표단어의 읽기 반응 시간에 대해서 집단×간섭유형의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 주효과, 간섭유형의 주효과 및 집단과 간섭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무간섭조건에서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았지만, 두 간섭조건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느렸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단어재인 능력을 갖고 있더라도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 간섭자극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서 결과적으로 목표단어의 단어재인이 방해를 받았다. ADHD 아동의 억제 결함이 언어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bjective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imary defici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is in response inhibition, resulting in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and causing various behavioral problems (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hibi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during word recognition while interfering words were presented. Methods: Eleven children with ADHD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l in grade 3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developmentally within normal range in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y performed a cross-modal Stroop-like task of word recognition, where two different word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visually and auditori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target word on a computer screen as fast as they could, while ignoring the auditorily presented inter-fering word. Three condi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interference type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the same set of word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different sets, and no interfering words. Results: Without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 were not different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eaction time of tar¬get word reading. However, in the two conditions with auditory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s reading time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ADHD were les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terfering words while reading. The influence of inhibition deficit of ADHD children on language processing was discussed.

      • KCI등재

        어린이 글 읽기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의 특징

        고성룡(Koh Sungryong),윤소정(Yoon Sojeong),민철홍(Min Chulhong),최경순(Choi kyung-soon),고선희(Ko Sunhee),황민아(Hwang mina)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이 나이에 알맞은 동화와 설명글을 읽을 때 보이는 안구 운동의 전반 특징과 낱말/어절 수준에 따른 특징을 우리글에서 처음으로 알아보았다. 아동들은 동화를 읽을 때 어절을 대략 213㎳ 동안 보다가 글 방향으로 3.6자 눈을 움직였고, 설명문을 읽을 때는 214㎳ 동안 보다가 글 방향으로 3.3자 정도 눈을 움직였다. 동화와 설명글 모두에서 앞으로 가서 다시 읽는 눈 움직임은 전체의 약 31%정도를 차지했다. 이런 전반 양상과 더불어, 어절 수준에서 어절 길이, 낱말빈도, 착지점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아이들은 동화와 설명글 모두에서 긴 어절을 짧은 어절보다 오래 주시하였고, 성인 독자와 마찬가지로 눈을 어절 가운데 근처에 착지하려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반복되지 않은 어절들을 분석했을 때 설명글에서 빈도가 낮은 어절들은 길이에 따른 주시시간이 차이를 크게 보였고 빈도가 높은 어절들은 길이에 따른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global and local characteristics of eye movements while 17 Korean third-graders read a Korean story and an expository text. In story reading, children fixated for about 213㎳ at an eojeol(word cluster), made a forward saccade of about 3.6 characters to the next eojeol, and regressed backward at 30.8% on average. In expository text reading, children fixated for about 214㎳ at an eojeol, made a forward saccade of about 3.3 characters to the next eojeol, and regressed backward at 31% on average. In addition, the effects of eojeol length, word frequency and landing position were examined. The gaze duration in the long ejoels was longer than in the short eojeols. In a further analysis where the repeatedly used eojeols were excluded, the eojeol length effect appeared in the low-frequency words, but seemed to disappear in the high-frequency words. In terms of landing position, the eyes seemed to land near the center of an eojeol more frequently than on the boundaries. When the eyes landed at the boundary of an eojeol, the eyes tended to fixate the eojeol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