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돈사 덕트 환기시스템의 효율 분석

        송준익,유용희,이덕수,최희철,강희,김태일,전병수,박치호,김형호,Song, J.I.,Yoo, Y.H.,Lee, D.S.,Choi, H.C.,Kang, H.S.,Kim, T.I.,Jeon, B.S.,Park, C.H.,Kim, H.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8 No.2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air velocity for improving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duct ventilation system used in Korean swine building. The results are followed ; In 2.2 m height of duct, the air velocity of hole was 5.0 m/s as the over level of recommendation. In different hole interval, the air velocity was various of 4.6${\sim}$11.6 m/s in narrow hole interval, 5.4${\sim}$10.9 m/s in broad hole interval. But the air velocity was 6.6${\sim}$7.7 m/s in duct system pierced hole with equal interval, and it was equal velocity in different parts of duct in this hole interval.

      • Effects of Concentration and Size of Porous Calcium Silicate (PCS) in Broiler Feeds on Performances, Fly Generation and Malodorous Gas Emission

        전병수,송준익,전중환,곽정훈,강희,최희철,김태일,이은솔,남기홍,Jeon, B.S.,Song, J.I.,Jeon, J.H.,Kwag, J.H.,Kang, H.S.,Choi, H.C.,Kim, T.I.,Lee, E.S.,Nahm, K.H.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2

        PCS와 zeolite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 유해가스 및 파리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조구, PCS구, zeolite구를 두었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브로일러 12수씩 총 144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PCS 급여구는 증체, 사료섭취량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으나, 사료효율은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P<0.05) zeolite와 증체 및 사료요구율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사료섭취량은 감소하였다.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는 PCS 급여구와 대조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CS 처리구는 zeolite 급여구에 비해 2, 3주령에 현저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지만(P<0.05) 5주령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CS 첨가수준이 육계의 성장능력, 유해가스 감소 및 파리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조구, PCS 1.5%구, PCS 3.0%구, PCS 4.5%구를 두었으며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브로일러 12수씩 총 192수를 완전임의배치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PCS 1.5% 급여구는 증체량,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요구 율은 PCS 3.0%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영양소 소화율과 에너지 이용율은 PCS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3.0% 처리구에서 제일 높았다. 계분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농도는 5주령에 PCS 1.5와 3.0%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며 (P<0.05), 황화수소는 PCS 처리구간에 일관성은 없었지만 1.5% 급여 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P<0.05). PCS 입자도별 급여가 브로일러의 능력, 유해가스 발생 농도 및 파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조구, PCS 20, 50, 90 mesh구를 두었으며 증체 및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PCS 입자도(20, 50, 및 90 mesh)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와 처리구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PCS 20 mesh를 급여한 구에서 다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PCS 육계의 영양소 소화율은 대조구보다 개선되었고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농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ree experiments on the addition of Porous Calcium Silicate (PCS) to broiler feed were conducted at different time periods in the same house.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with 12 chicks in each treatment.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higher ($P{\le}0.05$) in the control groups. Feed conversions' were better ($P{\le}0.05$) in the PCS group, 3.0% PCS and 20 mesh size of PCS than the control group from 21 to 49 days, and for the overall period. $NH_3$ and $H_2S$. gas production were decreased ($P{\le}0.05$) when zeolite was added in broiler feeds. 1.5% or 3.0% PCS in broiler feed was better ($P{\le}0.05$) than the 4% PCS. More than 90 mesh size PCS was better ($P{\le}0.05$) in controlling $CO_2$ production in the 5th period than the 20 or 50 mesh size or control groups. The control and PCS groups produced more flies ($P{\le}0.05$) than zeolite group during the 2nd and 3rd weeks. The 3.0% or 4.5% PCS or 50 or 90 mesh size of PCS in broiler feed produced more flies than the 20 mesh size or control groups although 50 or 90 mesh size of PCS during 5th week tended to have lower fly production than the 20 mesh size of PCS and control group.

      • KCI등재

        약용 식물 가공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김지혁,나재천,김상호,장병귀,강희,이덕수,이상진,좌승협,Kim J.H.,Na J.C.,Kim S.H.,Jang B.G.,Kang H.S.,Lee D.S.,Lee S.J.,Jwa S.H. 한국가금학회 2006 韓國家禽學會誌 Vol.33 No.2

        본 실험은 약용 식물 가공 부산물의 산란계에 대한 급여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95주령의 산란계 560수를 7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20수씩 배치하여 12주간 사육하면서 동충하초, 인진쑥, 울금 가공 부산물을 각각 1.5%, 3.0% 를 사료에 혼합 급여하였다. 산란율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료 섭취량과 평균 난중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난각 색, 난황색에 있어서도 역시 처리구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Haugh unit 에 있어서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약용식 물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실험 결과를 종합할 때, 동충하초, 인진쑥, 울금 가공 부산물을 산란계 사료 내 $1.5{\sim}3.0%$ 첨가 급여시 사료 섭취량, 산란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Haugh unit 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어 고품질 계란 생산 및 약용식물 가공 부산물의 사료 자원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cinal plant by-products on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A total of five hundred sixty laying hens was randomly distributed into 7 treatments with 4 replicates of 20 birds per replicate and fed com-soy bas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5% and 3.0% by-products of Cordyceps militaris, Artemisia capillaris and Curcuma aromatica S., respectively for 12 weeks. Egg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augh un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p<0.05).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in egg shell breaking strength, shell thickness, and yolk color. In conclusion, three medicinal by-products used in this experiment did not affect feed intake, egg production and showed positive effect on Haugh unit when they used $1.5{\sim}3.0%$ of feed.

      • 공기공급량에 따른 산란계분의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곽정훈,조승희,정광화,김재환,최동윤,정의수,정만순,강희,라창식,Kwag, J.H.,Cho, S.H.,Jeong, K.H.,Kim, J.H.,Choi, D.Y.,Jeong, Y.S.,Jeong, M.S.,Kang, H.S.,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2

        산란계분을 퇴비화 하는데 있어서 공기공급량을 다르게 하여 퇴비화기간동안의 퇴비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를 조사한 결과 T-1 처리구에서 발효온도가 다른처리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T-1 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호기성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에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최고온도 도달시간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짧다는 것은 계분의 신속한 퇴비화 빛 높은 수분증발량이 조사되었다. 2. 공기공급량에 따른 퇴비화 과정에서의 처리구별 수분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발효 초기의 경우에 공기 공급량을 T-1 처리구에서 1주일이 경과한 후 8.9%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T-2,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각각 15.4%, 18.0% 및 18.6%로 높은 수분감소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처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3. 계분의 퇴비화 과정에서의 공기공급량에 따른 산소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T-3 및 T-4구에서 퇴비화시험 2일째 9 ppm으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으나 T-1 및 T-2 처리구에서는 12 ppm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로 조사되었다. 4. 처리구별 퇴비더미내의 중량변화는 시험 1주일 후의 중량감소율은 T-1 처리구에서 5.5%로 가장 낮았으며, T-3 및 T-4구에서는 12.0% 및 12.3%로 비슷한 경향을 조사되었으며 이러현 경향은 퇴비화 2주일이 경과한 후에도 같은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5 퇴비화기간의 경과에 따른 비료성분 및 유기물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 차 발효후 비료성분 함량은 처리구별로는 T-4 처리구에서 질소성분이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퇴비화 과정에서의 수분함량 변화에 따라 비료성분의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반면에 OM/N도 투입시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지지 않았으나 1차 퇴비화 후에는 42.0, T-2 44.2, T-3 47.1 및 T-4 55.8로 공기 공급량이 높아짐에 따라 OM/N의 비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7. 따라서 산란계분의 퇴비화시 공기공급량을 최소 퇴비화물질 $1m^3$당 $150\;{\ell}/min$ 이상 공급하는 것이 계분이 정상적으로 호기성 퇴비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다. The composting of layer manure is economical and efficiently process.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composting characteristics in layer manure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air supply capacity.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layer manure and mixed with sawdust inside composting reactors. The level of air supply capacity was varied in the range of $50{\sim}200\;{\ell}/m^3/min$. During composting the temperature variations of composting piles was different the temperatures of composting piles for T-1 ($50\;{\ell}/m^3/min$) and T-2 ($100\;{\ell}/m^3/min$) were reached at $40^{\circ}C$ and $50^{\circ}C$ within 2 days, respectively. For T-3 ($150\;{\ell}/m^3/min$) and T-4 ($200\;{\ell}/m^3/min$), their temperatures was $60^{\circ}C$ within same days and maintained during 8 days. Water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capacity; 8.9%, 15.4%, 18.0% and 18.6% for T-1, T-2, T-3 and T-4. The weight ratios of T-1, T-2, T-3 and T-4 were reduced to 12.8%, 15.6%, 18.1% and 17.9%, respectively. The decreasing volumetric ratios of T-1, T-2, T-3 and T-4 were 18.0%, 21.0%, 22.3% and 22.0%. The oxygen discharge concentrations during composting were 12 ppm for T-1, T-2 and 9 ppm for T-3 and T-4. After composting, fertilizer components such as total nitrogen (TN) and phosphorous pentoxide ($P_2O_5$) were examined at each air supply capacity. Nitrogen contents of the T-1, T-2, T-3 and T-4 were 0.75%, 0.74%, 0.72% and 0.64%. Also, The contents of $P_2O_5$ were 0.35%, 0.40%, 0.38% and 0.42% for T-1, T-2, T-3 and T-4.

      • 수직 종형퇴비화시설에서의 산란계분 퇴비화 특성 조사 연구

        곽정훈,김재환,조승희,정광화,최동윤,정의수,정만순,강희,라창식,Kwag, J.H.,Kim, J.H.,Cho, S.H.,Jeong, K.H.,Choi, D.Y.,Jeong, Y.S.,Jeong, M.S.,Kang, H.S.,Ra, C.S.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3

        산란계농가에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수직종형 퇴비화시설에 대한 수분증발량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직종형 퇴비화 시설 설치농가 2호를 선정하여 사육규모 등 일반현황과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농가의 평균 산란계 사육수수 각각 39,971수 및 116,650수 였으며, 조사계절별로 사육수수의 변동은 2% 이내로 일정한 사육수수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조사농가의 계절별 평균 발효조내 온도는 조사농가 모두 발효조내 온도가 발효초기에는 각각 $60^{\circ}C$, $54^{\circ}C$로 농가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퇴비화과정중에는 평균 발효온도가 $60^{\circ}C$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계절별로는 동절기에 발효조내 발효온도가 조사 농가 모두 타계절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농가별로 계분의 수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A농장의 경우 전반기 평균 74.9%, 후반기 73.8%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조사농가 B의 경우에는 전 후반기 평균 수분함량은 각각 66.8%, 64.3%로 A 농장에 비해서 수분함량이 10.8%~12.8%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농가별 수분 감소량은 A농장의 경우 평균 수분 감소량이 20.6%로 조사되었으며, B농장은 34.0%로 B농장이 A 농장에 비하여 약 13.4% 정도 수분증발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비료성분 함량중 질소성분의 경우 A농가에서는 질소성분이 0.8%로 높은 반면에 B농가에서는 0.52%로 약 35% 정도 질소성분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따른 OM/N비도 조사 A, B농가 각각 36.8, 84.4의 농가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Using a vertical composting system in layer farms, the composting process was characterized in terms of temperature variation, change of moisture contents, fertilizer ingredient and so on. In this study, two types of layer farms were examined. The layer manure was produced as 3,300 and 116,650 kg/day for Farm A and Farm B, respectively. Also, their average moisture contents were 74.4% (Farm A) and 65.6 % (Farm B). The inside temperature of composting in Farm A was varied in the range of 50 to $70^{\circ}C$, and moisture content of it decreased from 59.5% to 20.6% at the edge of vertical composting system. While in Farm B, composting temperature was fluctuated between 50 and $65^{\circ}C$ and moisture content declined from 34.0% to 13.4% at the end of vertical composting system. The fertilizer ingredients such as T-N, $P_2O_5$ and $K_2O$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asonal effect. Their values were changed in the range of 0.90% to 0.47% for T-N, 0.16% to 0.42% for $P_2O_5$, and 0.22% to 0.28 for $K_2O$, respectively. Also, OM/N ratio was varied from 36.8 to 84.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