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보문 : 토양환경 ; 황입자를 이용한 독립영양탈질에서의 아질산성질소 탈질 조건 탐색

        강우창 ( Woo Chang Kang ),오상은 ( Sang Eun Oh ) 한국환경농학회 201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9 No.3

        축산폐수는 고농도의 유기물 및 질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처리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황을 이용한 독립영양 탈질 방법으로 질산성 질소에서 질소가스로의 탈질이 아닌 아질산성질소에서의 황산화 탈질을 연구하였으며 탈질미생물의 최적 성장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초기 알칼리도가 충분한 조건에서는 아질산성질소 탈질 저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험온도가 20℃인 경우에도 30℃와 비교할 때 큰 저해 없이 탈질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초기 아질산성질소의 농도 300 mg/L 이상에서 lag phase가 늘어나 기질저해가 나타났다. 알칼리도가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 질산성질소의 탈질효율은 10%인 반면 아질산성질소의 탈질의 95% 이상이었다. 산소가 존재할 경우 산소를 이용하여 탈질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황산화 미생물이 산소를 이용하여 황산염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아질산성질소 탈질 시 알칼리도의 소모가 관찰되었으나 질산염 탈질시 보다 알칼리도의 소모가 적었으며 황산염 생성 또한 적었다. 황이용 아질산성 질소 탈질은 외부탄소원의 추가적인 주입 없이 저렴한 황입자를 이용하며 질산성질소 황산화 탈질의 단점인 알칼리도 파괴, 황산염이온 생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탈질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wine wastewater contains high amounts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nitrogen and phosphorus). The biological nitrogen removal can be achieved by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es.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can be performed via nitrite which is called as the short-cut process. This Short-cut process saves up to 25% of oxygen and 40% of external carbon during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this study, the batch tes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different parameters for the nitrite sulfur utilizing denitrification, such as alkalinity, temperature, initial nitrite concentration, and dissolved oxyge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nitrite removal efficiency of the reactor was found to be over 95% under the optimum condition (30℃ and sufficient alkalinity). Autotrophic nitrate denitrification was inhibited at low alkalinity condition showing only 10% removal efficiency, while nitrite denitrification was achieved over 95%. The nitrite removal rates were found similar at both 20℃ and 30℃. In addition, nitrite removal efficiencies were inhibited by increasing oxygen concentration, but sulfate concentration increased due to sulfur oxidation under an aerobic condition. Sulfate production and alkalinity consumption were decreased with nitrite compared those with nitrate.

      • KCI등재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과 여성 정치참여: 제2~7회 지방선거 여성 투표율 분석

        강우창(Woo Chang Kang),이지영(Jeeyoung Lee) 한국정당학회 2022 한국정당학회보 Vol.21 No.1

        여성의 과소대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이 여성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 연구는 전무하다. 본 논문은 제2~7회 지방선거 당시 단체장 선거,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 지역구 선거에 출마한 여성 후보자와 여성 당선자의 수를 합하여 시군구 수준에서 여성의 기술적 대표성을 측정한 후 여성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거에 출마한 여성 후보자의 수와 이전 선거 여성 당선자의 수가 많을수록 여성의 투표율은 증가했다. 둘째,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기술적 대표성으로 인한 투표율의 증가는 20대 후반부터 40대까지 두드러졌으며, 20대 초반과 50대 이상 여성에서는 그 영향력이 제한적이었다. 셋째, 선거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기술적 대표성의 효과는 여성의무공천 강제규정이 적용되기 시작했던 2010년 제5회 선거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또한 최근 선거의 경우 여성 후보자의 수보다 여성 당선자의 수가 투표율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politics is a widely recognized problem in Korea, yet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women’s descriptive representation on female political participation are nonexistent.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the number of female candidates and electees during the 2<SUP>nd</SUP>~7<SUP>th</SUP> Korean local elections on female turnout, revealing that female turnout increased when more female candidates ran for office and more female candidates were elected in the previous elec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based on age, the effect of increased female representation on female turnout is most profound amongst female voters in their late 20s to 40s but not as substantial for women in their early 20s or 50s and beyond. Based on results by elections, increased female turnout due to greater representation appeared initially in the 5<SUP>th</SUP> election, when mandatory gender quota laws were implemented. Moreover, the effect of the number of elected females on female turnout is larger than that of the number of female candidates. These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female candidates and electees can lead to an increase in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선거 당일 날씨와 정당 투표

        강우창(Woo Chang Kang) 한국정당학회 2016 한국정당학회보 Vol.15 No.1

        날씨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중과 언론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인 분석은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읍면동 수준에서 추정된 예측 강수량과 2004년 이후 세 차례 치러진 정당투표 결과를 분석한다. 날씨가 투표의 직접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는 외국의 연구들과 달리, 이 글은 한국과 같이 선거일이 공휴일로 지정되는 경우, 날씨가 투표의 기회비용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거일에 여가활동을 계획하고 있는 유권자의 경우, 날씨가 맑을 때보다는 흐릴 때 투표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여가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젊은 층에서 더욱 높게 나타나는 점에서, 궂은 날씨로 인한 투표율의 증가는 보수성향 정당보다는 진보성향 정당에 더 유리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회귀분석과 SUR을 통한 분석 결과, 강수량이 10mm 증가할 때, 진보성향 정당에 대한 지지율은 총 유권자수를 기준으로 약 0.9% 증가하는 반면, 보수성향 정당에 대한 지지율은 0.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인 투표율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the election-day weather effects on turnout and electoral outcomes in South Korea. Existing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election-day weather from developed western democracies generally consider poor weather an additional cost in the voting calculus, which reduces turnout. In this paper, I claim that we need to take the opportunity cost of voting into account in the country like South Korea, where an election-day is designated as a special holiday. Voters who plan leisure activities on the election-day are more likely to turn out in bad weather than in good weather. Given that young people often have stronger preference to leisure activities and affinities with liberal parties, moreover, bad weather in an election-day results in more favorable electoral outcomes to liberal parties than conservative parties. An analysis of three legislative elections since 2004 shows that rainfall increases the number of votes for liberal parties, but decreases the number of votes for conservative parties. However, rainfall does not produce any significant change in turnout because the changes in votes between liberal parties and conservatives parties cancel out each other.

      • KCI등재

        제21대 국회의원 이념성향과 정책 태도

        강우창 ( Kang Woo Chang ),구본상 ( Koo Bon Sang ),이재묵 ( Lee Jae Mook ),정진웅 ( Jung Jinwung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0 의정연구 Vol.2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정당학회와 한겨레신문사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직후 실시한 ‘제21대 국회의원 정치이념 및 정책 현안 인식 조사’의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다. 한국정당학회는 2002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후보자 또는 당선자들의 이념성향과 정책 태도에 관한 조사를 지속해왔다. 이러한 시계열 자료의 축적은 정당별 이념 분화와 응집성, 정당 간 이념 양극화 추세를 통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조사는 대북·외교, 경제, 사회·현안, 물질·탈물질주의 등 4가지 영역 21개 정책 쟁점 문항과 이념에 대한 자가평가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조사 대상인 국회의원 300명 중에서 총 197명이 참여하여 65.7%의 응답률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정책 영역과 이를 종합한 정책이념지수에서 정의당 소속 의원들이 평균적으로 가장 진보적이고, 더불어민주당이 중간, 미래통합당 소속 의원들이 가장 보수적으로 나타났다. 정책 영역별로는 그동안 정당 간의 차이가 뚜렷했던 대북·외교, 경제, 물질·탈물질주의 영역에서는 정당 간의 차이가 지속되는 반면, 사회영역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보수화로 인해 정당 간의 차이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가 제21대 국회의 운영과정에서 사회정책을 둘러싼 두 정당의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할 만하다. 한편, 의원 개개인의 정책이념지수에 대한 분석에서는 의원의 소속 정당과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정당이 단순히 서로 다른 지역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의원들의 집단이 아니라, ‘비슷한 주의·주장을 가진 사람의 집단’으로 자리 잡았음을 확인시켜주는 대목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21<sup>st</sup> National Assembly members’ conduct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arty Studies (KAPS) and the Hankyoreh following the 21<sup>st</sup>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Since the 16<sup>th</sup>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e KAPS has surveyed the candidates and/or the elected regarding their views on major policy issues and perceived self-ideology, which has contributed to our understanding of overtime changes in ideology of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and their members. This year’s survey includes 21 questions on the four major policy issue areas including foreign policy, economy, social issues and cultural issues as well as their perceived ideology. Among the 300 elected, 197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Justice Party is most liberal, the United Future Party is most conservative, and the Democratic Party is in the middle on average in terms of issue preference and perceived ideology. Compared to the preceding National Assembly, the partisan gap continues to appear salient in foreign policy, economy, and the cultural issues. In contrast, the gap narrows down in the social issues because the members of the Democratic Party embrace more conservative preference. It is noteworthy to examine whether this shift leads to cooperative decision making on social policies between liberal and conservative parties in the upcoming National Assembly. The composite policy preference index of individual assembly members, on the other hand,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mbers of different parties.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has evolved from a group of people from the same region into a group of people with distinctive policy preferences.

      • 네 이웃을 사랑하라 : 종교성과 사회적 관용

        강우창(Kang, Woo Chang) 평화나눔연구소 2024 인간과 평화 Vol.5 No.1

        보편적인 평등과 형제애, 연민과 인간애에 대한 종교적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서구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다른 종교를 믿거나,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 그리고 동성애자나 이민자와 같은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해 편협한 태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는 한국에서 종교가 사회적 소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신에 대한 믿음과 종교활동이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일수록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종교가 없는 응답자, 천주교 신자와 불교 신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천주교 신자의 경우 종교성의 강도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에 반해 개신교 신자의 경우 종교성이 소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espite religious teachings on universal equality, brotherhood, compassion, and humanity, prior studies focused on the West have shown that religious individuals tend to exhibit prejudiced attitudes towards those of other religions, non-believers, and social minorities such as homosexuals and immigrants.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impact of religiosity on attitudes towards social minorities in Korea. The analysis indicated that respondents who consider their belief in God and religious activities as significant in their live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social minority groups. However, this effect was common among non-religious respondents, Catholics, and Buddhists, with the difference in favorability being most pronounced among Catholics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ir religiosity. In contrast, the religiosity of Protestants did not influence their attitudes towards mino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