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강대호,정수군,구인선,Kang, Dae-Ho,Jeong, Soo-Goon,Koo, In-Sun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6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을 제 7차 과학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이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현장 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기초 탐구요소들은 분류를 제외하고는 제 7차 화학 II교과서에 대체로 찰 반영되어 있었으나, 통합탐구 요소들은 자료해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결론도출, 자료변환 등을 제외한 통함 탐구요소들은 이주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탐구활동 요소들도 조사의 비율 이 전체 탐구활동의 100/0미만이고, 과제연구는이주적고, 견학은나타나지 않았다 제 7차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고학년의 탐구학습 일수록 다양한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현장의 탐구학습에서는 이러한 화학 R 교과서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학습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inquiry area of the chemistry (II)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by the 7th curriculum.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gree to which chemistry (II) textbooks reflected the guideline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propos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inquiry learning. The analysis of the inquiry area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uggested inquiry element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Overall, for the analysis of inquiry elements, basic inquiry elements except classifying suggested by the 7th science curriculum were well reflected on the textbooks. However, for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interpreting data takes almost half of the total integrated inquiry elements. Other integrated inquiry elements except drawing conclusion and transforming data were reflected less than ten percent. Investigation was also reflected less than ten percent of all inquiry activity. And inquiry activities were limited in terms of variety with few projects and no field trip. The main essence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is the emphasis on total inquiry learning through various integrated inquiry elements and inquiry activities for higher grade students. Thu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provide inquiry learning which can supplement the textbook.

      • SCOPUSKCI등재

        MeOH-MeCN 혼합용매계에서 4-치환-2,6-이니트로 염화벤젠과 아닐린 치환체와의 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강대호,구인선,이종건,이익춘,Dae-Ho Kang,In-Sun Koo,Jong Gun Lee,Ikchoon Lee 대한화학회 1985 대한화학회지 Vol.29 No.6

        MeOH-MeCN 혼합용매계에서 4-치환-2,6-이니트로염화벤젠과 아닐린 치환제 사이의 친핵성 치환반응속도를 전기 전도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기질의 고리에 있는 치환기의 치환기변화에 따른 속도상수의 크기순서는 4-$NO_2{\gg}4-CN {\gg}$4-$CF_3$이었고, 아닐린 고리에 있는 치환기에 의한 속도상수의 크기는 p-O$CH_3 {\gg}p- CH_3{\gg}H {\gg}p-Cl{\gg}m-NO_2$ 순서였다. MeOH함량이 많은 용매에서 속도상수가 MeCN 함량이 많은 용매속에서의 속도상수보다 컸다. MeOH-MeCN 혼합용매계와 친핵체 변화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로 볼 때 Cl의 이탈단계가 속도결정단계로 보여졌다. MeOH에 의한 친전자적 촉매작용은 알코올의 수소와 이탈기 염소원자 사이의 전이상태에서 수소결합 형성으로 이루어지고 친핵성 촉매작용은 전이상태에서 알코올의 산소와 아민의 수소사이의 수소결합에 의한 것으로 생각 되었다. 모든 이의 사실로 보아 본 반응은 제 2단계가 속도결정단계인 $S_N$Ar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메카니즘은 PES모형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The rates of reaction between 4-substituted-2,6-dinitrochlorobenzenes with para-substituted anilines in methanol-acetonitrile mixtures were measured by conductometry. It was observed that the rate constant increases in the order of X = 4-$NO_2 {\gg}4-CN {\gg}4- CF_3$, where X is a substituent in the substrate. The rate constant also increases in the order of Y = p-O$CH_3{\gg}p- CH_3{\gg}H {\gg}p-Cl{\gg}m- NO_2$, where Y is a substituent in the aniline ring. Kinetic studies in the methanol-acetonitrile solvent system with various nucleophiles showed that the N-C bond forming step is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overall second order rate constant. The electrophilic catalysis by methanol probably consists of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alcoholic hydrogen and leaving chloride in the transition state. The nucleophilic catalysis by methanol may be ascribed to the formation of hydrogen bonds between alcoholic oxygen and hydrogens of amines in the transition state. All these experimental facts ar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S_N$Ar machanism with the second step being the rate determining. This mechanism can be successfully fitted to the PES model.

      • KCI등재

        블록체인 기법을 이용한 RPS 제도의 데이터 투명성

        강대호(Dae-Ho Kang),조규철(Kyu-Cheol Ch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3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이하, RPS)는 오래 전부터 시행 중인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다. 현재의 RPS는 다양한 기관에서 접근하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중앙집중화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 접근의 불투명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또한 각자의 기관에서 필요한 정보를 각자가 소유하고 있다. 그렇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데이터양이 늘어남으로 더욱더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해졌다. 또한, 각자의 기관에서 유지 중인 서버가 공격을 당할시에 RPS 업무의 중지라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논문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RPS를 제안한다. 컨소시엄 방식의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블록 데이터 안에 Renewable Energy Certificate(이하, REC) 데이터를 삽입하여 모든 기관이 동일한 데이터를 소지하고 있고, 해당 블록들의 검증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투명성과 보안의 문제점 해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기관이 외부적인 공격으로 인해 서버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다른 기관이 해당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 안에 데이터를 넣는 과정을 실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RPS에 블록체인 기법을 도입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 which is in operated by country for many years is eco-friendly energy business. Although a variety of institute are accessing the RPS, it consists of a centralized system. Also, it shows opacity of data access in user"s point of view. And each institutes is possessing their own data collected by themselves. Therefore decentralization and integrated control is demanded. Also, when institutes are attacked, the interruption of RPS can be existed. For resolving this issue, this study proposes the RPS using blockchain. Using the consortium method of blockchain, every institutes has possessing same data inserting REC data in block data, it is resolvable that transparency and security issue as transaction through verification of certain block. Furthermore, in case of one institute is paused by external attack, the role can be replaced by other institutes. This study tried the processing of putting data through ethereum network, therefore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blockchain method in RPS.

      • SCOPUSKCI등재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 (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강대호(Kang, Dae-Ho),정수군(Jeong, Soo-Goon),김봉곤(Kim, Bong-Gon)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6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 교과서 탐구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탐구 요소들을 조사,분석하여 화학 I 교과서의 제 7차 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탐구 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하였다. 교과서 탐구 영역의 분석은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제 7차 화학 I 교과서의 탐구 영역 에 기초 탐구 요소는 측정, 분류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고르게 반영되어있다. 그러나 통함 탐구 요소는 자료 해석의 비율이 절반을 넘으며, 자료 변환, 결론 도출, 문제 인식은 어느 정도 활용가능하나 그 외의 통함 탐구 요소의 비율은 매우 작다. 탐구활동도 견학과 과제연구 비율은 거의 없거나 이주 작다.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탐구 학습 을 강조하고 있음으로, 위와 같은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 활동의 편중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 학습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quiry elements and inquiry activity of the inquiry area in chemistry I textbooks authorized by 7th curriculum. It was to confirm suitable reflection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to find educational suggestions of inquiry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basic inquiry elements except measuring and classifying were well reflected on the textbooks. However, only several integrated inquiry elements and the inquiry activities were well reflected on the same textbooks. For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interpreting data was shown as the tower above the rest inquiry elements. In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the numbers of experiment is placed almost half of all inquiry activities. The sum of two numbers of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s similar ratio to experiment but field trip and project are rarely or low ratio. As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and inquiry activities were not balanced for various inquiry learning. It is suggested that learners be educated with complementary of these aspects in inquiry learning.

      • KCI등재

        자연 유산의 영양배엽에서 LH / CG 수용체 , α 및 β - hCG 의 발현

        강대호(Dae Ho Kang),변태섭(Tae Sup Byeun),이수선(Su Sun Lee),이방현(Bang Hyeon Lee),최성권(Song Kwon Choi),류기성(Gi Sung Ryu),오준환(Joon Hwan Oh),신진웅(Jin Woong Shin),김도강(Do Ka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0

        N/A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mRNA expressions of hCG, LH/CG receptor and in hormone secretion in the trophoblast of normal and abnormal early pregnancy. Methods : hCG, free β-hCG,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serum and the mRNA expressions of α,β-hCG and LH/CG receptor were measured in the placental trophoblast of 22 spontaneous abortion patients (spontaneous abortion group), 20 normal pregnancy women (normal pregnancy group) and 6 hydatidiform mole patients (hydatidiform mole group). Results : 1. Mean values of serum hCG and free β-hCG concentrations were the lowest in spontaneous abortion group (46343.63±40404.18 mIU/ml, p<0.001; 31.34±61.57 mIU/ml, p<0.01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groups. Mean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the lowest in spontaneous abortion group (11.84±7.60 ng/ml, p<0.01), too. 2. The expression levels of α,β-hCG were the highest in spontaneous abortion group (4.64±5.47, p=0.015; 4.57±4.42 p=0.002 respectively). The expression levels of LH/CG receptor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ey were high at the 5th week of gestation, reaching nadir at the 10th week of gestation when the concentrations of serum hCG showed peak values in normal pregnancy group. 3. The correlations between serum hCG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positive in both spontaneous abortion (r=0.827, p<0.001) and normal pregnancy (r=0.438, p=0.054) group. 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the levels of α,β-hCG expressions were negative in both spontaneous abortion (r=-0.237, p=0.289; r=-0.211, p=0.347) and normal pregnancy (r=-0.270, p=0.250; r=-0.235, p=0.318) group. In hydatidiform mole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the levels of β-hCG expression was positive (r=0.968, p=0.002).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secretion of hCG, progesterone and the expression of α,β-hCG, LH/CG receptor be normal in spontaneous abortion as in normal pregnancy and in the both groups, hCG stimulate the secretion of progesterone by autocrine function and control the secretion of itself, through the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s of α,β-hCG and LH/CG receptors. So the cause of spontaneous abortion in early pregnancy may be not placental dysfunction but the defect of embryo itself with poor placental growth.

      • SCOPUSKCI등재

        d-주석산이온과 라세미코발트(III) 착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발원편광이색성 Spectra와 크로마토그래피

        오창언,강대호,신갑철,Chang Eon Oh,Dae Ho Kang,Gab Choul Shin 대한화학회 1981 대한화학회지 Vol.25 No.5

        라세미코발트(III)착물인 $[Co(en)_3]^{3+},\;[Co(tn)_3]^{3+},\;cis-[Co(NH_3)(en)_2]^{3+},\;[Co({\beta}-ala)(en)_2]^{2+},\;[Co(gly)(en)_2]^{2+}$ 및 [Co(acac)(en)$_2]^{2+}$을 실온에서 d-주석산염의 수용액에 녹여 원편광이색성 spectra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모든 착물에 대해서 가시부영역 (400∼500nm)에 한개의 음의 CD spectrum이 관측되었다. 이것은 d-주석산이온과 ${\Lambda}$-및 ${\Delta}$-거울상이성질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차에의한 것이라고 해석되었다. 즉 ${\Lambda}$-및 ${\Delta}$-거울상이성질체에 d-주석산이온을 각각 부가했을때 ${\Lambda}$-거울상이성질체는 크게 변하였고 ${\Delta}$-거울상이성질체는 약하게 변하여 그 결과 유발원편광이색성 spectrum으로 나타났다. 이온교환 관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용리제와 더 강하게 회합하는 거울상이성질체가 관으로부터 더 빨리 용출된다. 만일 chiral음이온과 착물과의 더 강한 상호작용이 착물의 원래 부호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의 용리순서를 예측할 수가 있고, 실험결과 용리순서는 측정된 모든 착물에 대하여 유발 원편광이색성 spectrum의 부포로부터 예측된 거울상이성질체의 절대구조와 완전히 일치하였다. Induced circular dichroism spectra of racemic cobalt(III) complexes for $[Co(en)_3]^{3+},\;[Co(tn_)3]^{3+},\;cis-[Co(NH_3)(en)_2]^{3+},\;[Co({\beta}-ala)(en)2_]^{2+},\;[Co(gly)(en)_2]^{2+}\;and\;[Co(acac)(en)_2]^{2+}$ were measured when they were dissolved in aqueous d-tartrate2-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Only a single negative CD spectrum was observed for all the complexes above in visible region(400∼500nm). It was interpreted that these CD bands wer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Lambda}$-and ${\Delta}$-enantiomers with d-tartrate$^{2-}$. Namely, when d-tartrate$^{2-}$ was added to ${\Lambda}$-enantiomer and ${\Delta}$-enantiomer, it caused ${\Lambda}$-enantiomer to change greatly and ${\Delta}$-enantiomer to change only slightly; combined the results proved induced circular dichroism. The enantiomer for which the eluent has a stronger affinity should be eluted faster in 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lution order of chromatography from the sign of the induced CD if stronger interaction of chiral anion with the complex leads to greater change in the natural CD spectrum of the complex. The elution order was in complete agreement with the prediction from the sign of the induced CD spectrum for all the measured complexes.

      • SCOPUSKCI등재

        2-염화티오펜술포닐의 가용매 분해반응

        최진철,오지은,강대호,구인선,이익춘,Jin-Chel Choi,Jieun Oh,Dae Ho Kang,In Sun Koo,Ikchoon Lee 대한화학회 1993 대한화학회지 Vol.37 No.8

        25$^{\circ}C$에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이성분 혼합수용액과 물, 메탄올에서의 가용매분해반응 속도 상수를 결정하고, 이들 속도자료를 Grunwald-Winstein 식과 Kivinen 관계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물과 메탄올에서의 속도론적 용매 동위원소 효과와 알코올-물 혼합용매계에서 생성물 선택성 값을 결정하였다. 염화 2-티오펜술포닐의 가용매 분해반으에 대한 속도론적 용매 동위원소 효과는 메탄올과 물에서 각가 2.24와 1.47이었다. 에탄올-물에서의 술포닐 에스테르 형성에 대한 선택성 값은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메탄올과 물에서의 속도론적 용매 동위원소 효과, 알코올 수용액에서의 선택성 자료와 용매효과로부터, 본 연구에서의 반응은 극성이 낮은 용매계에서는 일반염기 촉매반응과 또는 S$_A$N 반응이 유리하고, 극성이 큰 용매계에서는 S$_N$2 반응의 유리한 반응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Rate constants of solvolysis of 2-thiophenesulfonyl chloride were determined in aqueous binary mixtures with methanol, ethanol, acetone in water and in methanol. These data are interpreted using the equation of Grunwald-Winstein and Kivinen relationship. Also, kinetic solvent isotope effects in water and in methanol and product selectivities in alcohol-water mixtures were determined. Kinetic solvent isotope effect for hydrolysis of 2-thiopenesulfonyl chloride was 2.24 and 1.47 for methanol and water, respectively. Selectivity values for formation of ester relative to acid in ethanol-water mixtures show maximum S value. From kinetic solvent isotope effect in methanol and water, selectivity data in aqueous alcoholic solvents and solvent effects, it is proposed that the reaction channel favoured in low polarity solvents is general-base catalysis and/or is possibly addition elimination (S$_A$N) reaction pathway and in high polarity solvents iS S$_N$2 reaction mechanism.

      • KCI등재

        제7차의 탐구요소들에 의한 중학교 과학 3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 화학 분야에 대하여 -

        구인선,이종원,강대호,Koo, In-Sun,Lee, Jong-Won,Kang, Dae-Ho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4

        이 연구는 9학년 과학교과서의 화학분야 탐구영역(탐구과정, 탐구활동)을 제7차 과학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탐구요소들에 근거하여, 교과서별, 단원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요소들이 중학교 최고학년인 9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영역에 반영된 정도를 알아보고, 다양한 탐구학습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9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탐구요소들의 분석에서, 기초탐구요소들은 분류를 제외하고는 제7차 중학교 과학교과서들에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으나, 통합탐구요소들은 자료해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탐구과정과 탐구활동의 분석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활동유형으로 신설된 과제연구와 견학은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제7차 과학교육과정은 과학과의 교수방법 해설에서, 9학년을 탐구의 수준에서 고학년 과정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통합탐구요소들과 탐구활동의 유형들은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9학년의 탐구학습은 본 연구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영역을 재구성하여 다양하게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통합탐구요소들과 탐구활동유형들이 9학년의 탐구영역에 활용되는 정도와 비율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겠다. This study analysed inquiry process and activities of the inquiry area in the chemistry field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inquiry element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 degree of reflecting the 7th science curriculum in the 9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o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various inquiry learning. Overall, for the analysis of inquiry elements, basic inquiry elements except classification were well reflected o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9th grade. However, for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interpreting data occupies almost half of them. This phenomenon is shown in the analysis of inquiry process and inquiry activities, as well. Especially, project and field trip introduced in the 7th science curriculum are hardly found in the textbooks. 9th grade is classified as an upper grade in the 7th science curriculum in terms of inquiry level. Integrated inquiry elements and inquiry activity types, however, are not thoroughly reflected in the 9th grade science textbooks. It is desirable that a variety of inquiry learning of 9th grade be implemented by reconstructing inquiry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nce the degree and ratio of utilizing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and inquiry activity types to the inquiry area of science textbook in 9th grade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