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 내용분석

        강경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6권의 10학년 가정교과서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단원 구성은 가정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었고, 가정교과서의 총 페이지는 출판사별로 110페이지부터 122페이지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식생활 문화’ 단원은 출판사별로 교과서 B는 가장 적은 6페이지가 집필되었고, 교과서 F에서 가장 많은 12페이지가 집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식생활단원의 학습목표는 ①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소비 생활과 식의주 생활의 특징과 변화 등 동향을 ②비교·체험함으로써 ③바람직한 가정생활 문 화를 창조한다.로 제시되어 있으며,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①체험활동, ②생활 속 자료, ③진로교육 등, ④용어 해설, ⑤다양한 활동, ⑥다양한 자료, ⑦사고능력향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포함하고 있는 내용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개발된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의 평가 내용은 출판사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단원에서 고등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향후 좋은 가정교과서의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을 반영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요소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학습 내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사후 관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들의 입김이 담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of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goal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examined to determine if the met the goals that were stated cleary in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recommended by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evaluation in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various evalu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many questions that asked advanced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big unit. The plan for development of a good Home Economics textbook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a good textbook should be reflect the cautions and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urth, enough ex post facto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a textbook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education demanders should be developed. Sixth, continuous research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Recognition Level of the Culinary Practice of Culinary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강경심 대한가정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1 No.2

        This study finds methods to activate culinary education by surveying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culinary practice from the culinary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umber of individuals surveyed is 103. Data is verified by using SPSS 14.0 (SPSS Inc, Chicago, USA).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recognition for culinary education showed that learning requirements are very high as well as that theoretical education and trial demonstr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s of culinary practice education. Desir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were cooking materials by a certified technician. Their desired supplementary data for enhancing practical techniques were practical demonstrations, various materials and language instruction to learn other culinary practices. It is reported that there was increasing work other than learning time and complication for preparing practice. In addition, they desire more websites for cooking need to be built. Plans for activating culinary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culinary teachers. Second, to show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education, video-based education, and culinary practice demonstrations. Third, to show the necessity to increase the ratio for culinary practice classes. Fourth, to displa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ifth, to enhance websites for culinary data. Sixth,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ugment a sense of achiev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 어머니의 가공식품 표시기준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융복합 효과

        강경심,이세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xamine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cheong and the convergence effect of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standards on purchasing behavior. A two-step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for 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urchase behavior of processed foods and the collection was determined by Schwarz's BIC criteria. Three types were determined: "convenience pursuit," "large mart preference," and "high cost reverse purchase". The proportion of college graduates in 'large mart preference' was higher,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mothers in 'high cost reverse purchase' was higher, and the need for food labeling standards was higher in 'large mart preference'. ‘Shelf life'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tem. ’Large market preference' scored higher in 'used materials' and 'food additives', 'nutrition labelling‘. In order to improve the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above all el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al media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real life. 연구 목적은 충청권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공식품 표시기준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융복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가공식품 구매행동에 따른 집단 구분을 위해 2단계 군집분석을 하였고, Schwarz's BIC 기준에 의해 군집수를 결정하였다. 그룹 간 구매행태 특징 분석 결과 '편의추구형'과 '대형마트선호형', '고비용반복구매형'의 3개 모형이 결정되었다. 그룹별 학력 및 직업은 '대형마트선호형'의 대졸 이상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비용반복구매형'의 취업모 비율이 높았으며, 식품표시기준 필요성은 '대형마트선호형'이 다른 그룹보다 높았다. 모든 그룹에서 식품표시기준 항목 중 '유통기한'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구매 시 고려사항은 '사용원료'와 '식품첨가물', '영양성분표시'에서 ‘대형마트선호형'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가공식품 구매행동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생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대상자 맞춤형 교육매체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코로나-19 위험지각이 온라인 신선식품의 안전지향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경심,박용규,서명지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the safety-oriente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online consumers of fresh food consumer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d purchase amount of online fresh food by consumers are increasing together with the number of fresh food purchases online and the purchase intention. Second, the risk perception attribute of COVID-19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fety-oriented attitude (p<.001). Furthermore, social vulnerability and personal vulnerability, disease severity were analyzed to have an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Third, safety-oriented attitud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001). As the safety-oriented attitude increases, the intention to purchase fresh food online is expected to increase. Fourth, the risk perception attribute of COVID-19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001), personal vulnerability (p<.001) and social vulnerability (p<.05) increased,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fresh food using online increased. Since it has been verified that COVID-19 risk perception affects the safety-oriente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online fresh food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level of consumer risk perception in risk situation such as COVID-19 and predict the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위험지각이 온라인 신선식품의 소비자 안전지향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온라인 신선식품 구매빈도와 구매금액은 증가하고 있으며, 온라인을 이용한 신선식품 구매횟수와 구매의향 증가를 보이고 있다. 둘째, 코로나-19 위험지각 속성은 안전지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p<.001), 사회적 취약성과 개인적 취약성, 질병 심각성이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안전지향태도는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p<.001) 안전지향태도가 높아질수록 온라인에서 신선식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코로나-19 위험지각속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p<.001), 개인적 취약성(p<.001)과 사회적 취약성(p<.05)이 증가할수록 소비자의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의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이 신선식품 온라인 소비자의 안전지향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으므로, 코로나-19와 같은 위험상황에서 소비자의 위험지각수준을 파악하고, 이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를 예측하여 상황에 맞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농촌관광의 내재적동기와 음식선호에 대한 융복합 연구

        강경심,이순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연구의 목적은 농촌관광 내재적동기와 음식선호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농촌관광 음식상품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을 통해 농촌관광 내재적동기는 ‘여가지향’, ‘가족지향’, ‘관계지향’, ‘건강지향’, 음식선호는 ‘요리건강성’, ‘재료기능성’, ‘지역자 원성’, ‘소비체험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여가․건강지향’은 요리건강성, ‘건강․관계지향’은 재료기능성, ‘여 가․가족․관계지향’은 지역자원성, 관계지향은 소비체험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휴식과 힐링, 건강을 원하는 관광객에게는 건강한 요리를 제공하고, 가족 등과 여가 시간을 희망하는 관광객은 향토요리나 특산물요리를 제공 하며, 사람과의 관계를 원하는 관광객은 기능성식품이나 한방약초 요리가 권장된다. 관광객 요구에 맞는 농촌관광 음식상품은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재방문을 유도하여 농촌관광의 확대를 통해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ural tourism and food products by looking at the relevanc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food preference. Through the analysis, factors of 'leisure oriented', 'family oriented', 'relationship oriented', 'health oriented', and food preference 'cooking health', 'material function', 'local resource' and 'consume experience' were extract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leisure and health oriented'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ith cooking health, 'relationship and health oriented' was significant with material function, 'leisure, family and relationship oriented' was significant with local resource and ‘relationship oriented’ was significant with consume experience. Therefore, tourists who want rest, healing and health need to provide healthy dishes, tourists who want family and leisure provide local or special dishes, and tourists who want to have a relationship with people need to provide functional foods or herbal medicine dishes. Food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tourists will induce revisit by increasing tourist satisfaction and bring economic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through the expansion of rural tou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