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6권의 10학년 가정교과서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단원 구성은 가정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었고, 가정교과서의 총 페이지는 출판사별로 110페이지부터 122페이지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식생활 문화’ 단원은 출판사별로 교과서 B는 가장 적은 6페이지가 집필되었고, 교과서 F에서 가장 많은 12페이지가 집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식생활단원의 학습목표는 ①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소비 생활과 식의주 생활의 특징과 변화 등 동향을 ②비교·체험함으로써 ③바람직한 가정생활 문 화를 창조한다.로 제시되어 있으며,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①체험활동, ②생활 속 자료, ③진로교육 등, ④용어 해설, ⑤다양한 활동, ⑥다양한 자료, ⑦사고능력향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포함하고 있는 내용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개발된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의 평가 내용은 출판사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단원에서 고등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향후 좋은 가정교과서의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을 반영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요소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학습 내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사후 관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들의 입김이 담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of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goal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examined to determine if the met the goals that were stated cleary in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recommended by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evaluation in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various evalu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many questions that asked advanced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big unit.
The plan for development of a good Home Economics textbook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a good textbook should be reflect the cautions and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urth, enough ex post facto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a textbook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education demanders should be developed. Sixth, continuous research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경, "한국 가정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5-19, 2002
2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Ⅲ)-수학,과학,기술가정" 한솔사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성취기준 평가기준"
4 김세연,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게재된 음식의 종류와 분량 및 영양 적정성" 한국교원대학교 2007
5 손현희, "제7차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45-158, 2009
6 양미경, "정보화 시대 도래에 따른 교과서의 성격과 기능의 재조명" 34 : 43-48, 2000
7 양정혜, "일-가족 균형적 관점에서 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357-378, 2010
8 이수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해설서 개선 방안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63-85, 2008
9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10 문대영, "실과 교과서 개발 방향 : 교사와 학생은 무엇을 원하는가"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14, 2009
1 윤인경, "한국 가정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5-19, 2002
2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Ⅲ)-수학,과학,기술가정" 한솔사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성취기준 평가기준"
4 김세연,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게재된 음식의 종류와 분량 및 영양 적정성" 한국교원대학교 2007
5 손현희, "제7차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45-158, 2009
6 양미경, "정보화 시대 도래에 따른 교과서의 성격과 기능의 재조명" 34 : 43-48, 2000
7 양정혜, "일-가족 균형적 관점에서 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357-378, 2010
8 이수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해설서 개선 방안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63-85, 2008
9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10 문대영, "실과 교과서 개발 방향 : 교사와 학생은 무엇을 원하는가"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14, 2009
11 이수희, "선진국 가정과 교육과정 동향 및 개정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방안, In 교육인적자원부·경기도교육청 주관 시·도교육청 교육과정 핵심요원 연수 자료집:기술·가정" 23-38, 2007
12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09 개정 교육과정(초․중등 교육과정) 발표"
13 이수정, "미래 지향적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1-39, 2008
14 고혜린,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생활과 주거」 단원 삽화의 적합성 분석" 건국대학교 2008
15 양미경,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의 문제와 발전 과제" 16 (16): 85-123, 1998
16 이병욱, "고등학교 기술·가정 1" 삼양미디어 2010
17 이병욱, "고등학교 기술·가정 1" 삼양미디어 2010
18 이병욱, "고등학교 기술·가정 1" 삼양미디어 2010
19 이병욱, "고등학교 기술·가정 1" 삼양미디어 2010
20 이병욱, "고등학교 기술·가정 1" 삼양미디어 2010
21 이병욱, "고등학교 기술·가정 1" 삼양미디어 2010
22 최정아, "고등학교 교과서의 식품과 영양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동아대학교 2008
23 교육과학기술부,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24 김은정, "가정과교육에서의 개정 교육과정의 과제와 방향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75-93, 2010
25 차미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역사』단원 개발의 실제 - 조선전기 단원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4 (14): 641-668, 2010
26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교육과정"
27 이준혁,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사회 교과서의 문제점 탐색: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4 (14): 537-557, 2010
28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29 이수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등 가정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와 대안적 교수-학습 전략"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25-145, 2010
30 유태명,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1-19, 2009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사례연구
Bloom의 신 교육 목표 분류학에 의한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실험 수업 목표 비교 분석
STAD 협동학습 수업모형의 체육수업 적용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3-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17 | 1.432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