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와 국어활동 교과서 만족도 조사

        가은아(Ka, Eu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와 국어활동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국 450개 초등학교 1, 2학년 담임교사, 2학년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와 국어활동 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기 대비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들은 국어 교과서에 비해 국어활동 교과서에 대해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내용 구성과 관련하여 전반적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에서 '학습 자료 및 활동의 유용성'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학습 분량'과 '혼자 공부할 때의 이해 정도(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외형체제와 관련하여 전반적 만족도 또한 매우 높았으며, 세부 항목에서 지질, 색도, 서체, 편집 및 디자인에는 높은 만족을 보였다. 그에 비해 판형, 분량 및 쪽수에 대하여는 대체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서의 내용 및 외형 체제의 개선 방안과 교과서 활용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xtbook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ctivity in grade 1-2 elementary schools. For conducting this study, 1-2 grade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 in 450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atisfaction research. First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activity language section, the content aspects of Korean showed higher overall textbook satisfaction. Also, overall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ctivity were higher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owever, teachers show a higher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than Korean activity language textbook. In detail, 'the availability of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addition, 'learning materials and the availability of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mount of learning' and 'degree of understanding when studying alone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a relatively low satisfaction. Secondly, the external system of overall satisfaction was also higher. Especially quality of paper, color, fonts, and designs are highly satisfied, but format, quantity and pages were low.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improvement plans about contents and external system of an elementary school 1-2 grade textbook and textbook application plans sh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ly.

      • KCI등재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가은아(Ka EunA),이주연(Lee JooYoun),이근호(Lee KeunHo),이병천(Lee ByeongCh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3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단위 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과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에 대한 시사점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과 관련 문헌 및 자료들을 검토하고 각 국가의 교육과정 담당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 주제로 분석되었다. 첫째, 호주와 영국에서는 국가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공개하고 교육 당사자 간에 활발하고 적극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보급 전파 하는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호주와 영국은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워크숍 형태의 교사연수나 특화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수, 교과별 교사 네트워크나 TS(Teaching School)을 활용한 교사 전문성 신 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셋째, 호주와 영국 모두 정부가 발행하는 교과서는 없었으나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과 관련된 자료를 쉽게 찾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트들을 서로 연동하여 개발하는 등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o first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will be expand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next year, 2018 school year. As of this year, the way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o better implement the curriculum into their classrooms are crucial.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building curriculum supporting and implementing system by investigating relevant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Engl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in regards to the curriculum implementing and supporting system, interviews with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and analyzes their web-sites of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active communication is essential among curriculum developers and curriculum implementers including school teachers and other stake-holders, and this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by building systematic ways;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should be recommended by support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process; third, the principal agent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school teachers, should have the autonomy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detailed ways for realizing the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초·중학생들의 문단 쓰기 실태와 문단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가은아 ( Ka Euna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이 연구는 초·중학생들의 문단 쓰기 실태를 확인하고, 문단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양상을 탐색하여 문단 쓰기 교육의 과제를 점검하고 교육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초·중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문단 쓰기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과, 교사들은 문단 쓰기 교육의 효과와 교육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으나 지도 방법을 잘 모르고, 실제 쓰기를 하지 않는 현실적 제약 때문에 문단 쓰기 교육을 충실하게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문단 쓰기를 교육 내용으로 확보하고 다양한 글을 쓰는 과정에서 문단 쓰기를 지속적으로 교육하기, 문단 쓰기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문단 쓰기 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그리고 교사들의 문단 쓰기 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양성 기관에서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교육과정을 보강하고 체험 중심의 교사 연수와 워크숍을 활성화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agraph writ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paragraph writing education. Also,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effective educational teaching plans for paragraph writing. To attain the research goals, this study gathered the writing composition of 23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lso, 236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on paragraph writing education. Results from the data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were deficient in their paragraph writing composition. Second, teachers have already known the effectiveness of paragraph writ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However, they didn`t recognize the teaching method well. Also, they didn`t implement paragraph writing education sufficiently in class.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agraph writing should be included in writing educational contents. In addition to, instructors should educate their students on paragraph writing consistently. For meaningfu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writing practice should be designed to help instructors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on paragraph writing.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계열별 교육요구분석

        이슬기 ( Lee Seulki ),가은아 ( Ka Euna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에서 계열에 따라 교육 요구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우선, 학생들로부터 교육 요구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K대학 학생들 45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을 언어 정보 처리 방식으로 분석하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해 군집화한 결과 15개의 역량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인문, 사회, 이공 계열로 응답자를 분류하여 감정분석을 통해 각 역량에 대한 긍정과 부정 점수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계열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들은 주장에 대한 논리적 근거에 높은 교육 요구를 나타냈다. 또한 형식의 완결성, 진솔한 자아 성찰, 문학적 글쓰기 소양, 쓰기 윤리 준수에 대해서는 모두 낮은 교육 요구를 나타냈다. 이와 달리 나머지 10개의 역량에 대해서는 계열별로 교육 요구에 차이가 있었고 요구의 정도도 상이 했다. 인문 계열은 자기 표현과 관련한 교육 요구가, 사회 계열은 내용 생성과 관련한 항목들 위주의 교육 요구가 나타났고, 이공 계열은 태도 관련 교육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계열별로 우선순위를 두고 시행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s educational needs are represented in college writing based on major. An open questionnaire was first conducted among 450 students of K University to identify their educational needs.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language information processing and clustered using topic modeling. As a result, 15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e respondents were then classified into department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and positive and negative scores for each competency were calculated through emotion analysis. A requirements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l students showed high educational demand for the logical basis of opinions, regardless of major. Moreover, there was low demand for education on formal integrity, honest self-reflection, knowledge of literary writing, and observance of writing ethics. In contrast, for the remaining 10 competenc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demand by major. In the humanities, education demands related to self-expression were found, whil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demands related to content creation were the focu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education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each major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 연구

        이근호(Keunho Lee),이병천(Byeongcheon Lee),가은아(Euna Ka),이주연(Jooyo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2007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을 문헌 연구와 현장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준거에 기초하여 싱가포르와 호주를 방문하고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운영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교육부 관계자, 학교 관리자, 현장 교사 등을 면담하여 문헌과 인터넷 탐색 등에 기반을 둔 사전 조사의 실질적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는 비단 현재의 시스템이나 현황에 대한 표피적인 조사를 넘어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개선 요구 등과 같은 실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출된 시사점은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적 접근, 쌍방향과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의 개선,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의 내실화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actual problems and challenges faced by school teachers, and drew criteria for analyzing overseas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criteria, we investigated the Australian and Singap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We especially carried out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principals, officials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tried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beyond superficial investigation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ur suggestions such as integrated way of monitoring, multi-way open system, and substantial approach into monitoring operation which will lead into meeting with the purpose of the monitoring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