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계음악교육을 위한 자원으로서의 전래 자장가

        고선미 ( Koh Seonmi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7 미래음악교육연구 Vol.2 No.1

        세계의 다양한 민속음악을 교육하는 것은 학생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힐 뿐만 아니라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심을 갖도록 하여 세계적 환경에서의 삶을 준비하는 데에 일조를 한다. 그러나 각 문화의 민속음악은 음악어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교사가 이러한 음악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것에서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세계음악은 음악보다는 사회·문화적 콘텐츠의 교육이라는 의미가 있다. 현재 음악교과서에는 다양한 대륙과 국가, 문화 등을 고려한 세계음악이 수록되어 있지만 충분한 사회·문화적 콘텐츠를 담고 있지 못한 제재 곡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음악 중에서 특히 전래 자장가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문화적 콘텐츠를 분석하고 설명함으로서 세계음악교육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제재곡 선곡(選曲)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Educating the world`s various folk music not only broadens the musical spectrum of students, but also helps them prepare for life in a global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 cultures. However, since the folk music of each culture is diverse,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understand and teach such musical diversity. Therefore, world music education is worthy of the socio-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music. However, most of the world music in the current music textbooks do not contain enough socio-cultural contents.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nts embedded in the traditional lullabies are analyzed and explained to suggest the educational values of the traditional lullabies for world mus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노래가사 지도방안: 스토리 구성을 중심으로

        고선미 ( Seonmi Koh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음악은 느낌의 세계를 표현한다. 특히 노래는 구체적인 표현의 도구인 언어로 된 가사가 있는 음악형식이기 때문에 다른 여러 음악형식들보다 악곡의 표현의도에 대한 공감과 이를 통한 심미적 체험이 용이하다. 노래의 표현은 기본적으로 가사로 사용된 시에서 근거한다. 따라서 노래가사의 시적 의미를 발견하고 공감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악곡의 표현적 의도에 공감을 하고 심미적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노래의 가사로 사용되는 시는 문학 장르 중에서 가장 주관적인 양식으로, 상상과 이미지, 그리고 추론을 통해 주제를 해석하는 문학이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이 노래가사를 읽고 시어의 전언적 의미를 넘어선 깊이 있는 이해와 공감을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노래가사를 이해하고 공감을 하여 노래를 통한 표현과 심미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도접근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스토리텔링은 이야기가 구현되는 상황, 대상, 필요성 등에 따라서 매우 유동적이다. 초등학생들은 소설에 비해 시를 어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시의 이야기성 부족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를 이야기로 구성하는 부분에 역점을 두었다. 연구는 우선 노래가사로 사용되는 시의 특성 및 시의 이해를 돕는 스토리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창작동요 ‘달팽이의 하루’의 노래가사를 제재로 하여 스토리텔링을 위한 스토리 구성의 예들을 제시하였다. 노래가사인 시를 바탕으로 하여 체계적이고 표현적으로 잘 구성된 이야기는 단순히 전언적 의미로 이해될법한 노래가사가 초등학생들에게 공감과 심미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지도방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Much of the expressive nature of songs has its origin in its lyrics which are especially appealing to children. Therefore, teachers are often asked to teach students to appreciate and interpret the texts properly. However teaching children to appreciate song-text is challenging because the poetic qualities are lack of requisite characteristics of a story.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using the content, structure, and a specific process of creating a story as a method for teaching song-texts. ‘Storytelling’ can be broken down into its basic components of ``story`` and ``telling`` which are currently experiencing a considerable revival of interest in the education field. This has led many educators to think about ways in which storytell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tool because stories have the power to command emotion, to compel involvement, and to transport us into timelessness. Stories are a way in which we can grasp difficult concepts, remember and understand, and evoke powerful emotional responses. Therefore transforming lyrics of a song into a story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help student clarify and appreciate the poetic qualities of songs. In order to show how storytelling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teach song-texts to children, the concept of the storytelling as a teaching tool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then the requisite conditions to create a story based on poetry are explained. Also three examples of story making based on the song-text of ‘A day of Snail’ were introduced to 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storytelling.

      • KCI등재

        발성 테크닉 지도를 위한 심상(Imagery) 활용의 실제

        고선미 ( Koh Seonmi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4

        본 연구는 성악 지도를 위해 활용되는 심상(imagery)과 비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전문 성악 교수자들의 심상 활용의 실제를 조사ㆍ분석하여 효과적인 심상의 본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특정 발성 테크닉과 관련된 발성 생리학적 원리 및 심상을 활용한 교수법을 주제로 한 문헌 조사 연구를 통한 이론적 기반의 마련과 전문 성악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을 통한 결론의 도출이다. 연구 소재는 발성기관의 자기수용감각(proprioception) 지각 및 이와 관련된 근운동 감각(kinesthesia) 반응이 핵심 조건이 되는 어질러티(agility)이다. 설문조사는 전문 성악 교수자 13인을 대상으로 3회의 설문조사와 추가적인 인터뷰로 진행했다. 설문은 어질러티 지도를 위해 활용하는 심상과 비유를 묻는 정성적 성격의 문항들로 구성하였으며 답변 내용은 주제별로 주요 요소를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상의 인식과 반응에는 주관성과 개인차가 존재한다. 둘째, 발성과 관련된 복잡한 신경학적 과정 또는 눈으로 확인하거나 직접적 감각으로도 지각하기 어려운 발성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심상과 비유는 구체적이고 정교하며 자세하게 구상된다. 셋째, 심상과 비유의 구상에는 발성기관의 움직임에 대한 불필요한 의식이나 의도적인 조작을 지양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다. 넷째, 발성 테크닉 지도는 기술적 관점뿐만이 아니라 예술적 관점으로 접근된다. 다섯째, 음악의 디테일한 특징까지 구분하여 구상되는 심상과 비유는 교수자의 전문적 지식이 근간이 된 적절한 경험의 누적에 의한 직관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악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심상과 비유의 구상 및 활용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to the use of imagery and analogy in vocal i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actice of their use by professional voice teachers in order to explain the nature of effective imagery and related analogies. The research methods were included establishing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teaching methods using vocal physiological principles and imagery in relation to specific vocal techniques, and drawing conclusions through analysis of the results of a survey of professional voice teacher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gility, as proprioception and its associated kinesthetic responses are key condition for this technique.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questionnaires and additional interviews with 13 professional voice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qualitative in nature, asking for imagery and related analogies for teaching agility, and the responses were summarized into themes and key elem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ubjectiv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response to imagery. Second, imagery and analogies are specific, detailed, and comprehensive in describing complex neur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vocalization or vocal events that are difficult to perceive through the direct senses. Third, imagery and analogies are developed to avoid unnecessary awareness or deliberate manipulation of vocal organ movements. Fourthly, vocal technique is approached from an artistic as well as a technical point of view. Finally, the imagery and analogies are constructed by recognizing the detailed features of music that require intu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appropriate experience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instru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sign and use of effective imagery and analogies for vocal teaching.

      • KCI우수등재

        밴드랩(BandLab)을 활용한 비대면 화음창 활동에 대한 소고

        고선미(Seonmi Koh)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면방식이 관례였던 화음창 활동을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밴드랩 애플리케이션을 가창실기수업과 합창 수업에 활용해 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다수의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화음창 활동에 효과적일 수 있는 애플리케이 션을 선정하고 화음창 활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비대면 방식이 라는 제한적 조건에서도 유의미한 화음창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은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했는데 이는 적절한 애플리 케이션의 활용이 비대면 방식의 음악 실기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일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택트 문화와 온택트 소통방식, 그리고 재택 문화로 특징되는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음악 실기 수업을 위한 유효한 접근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BandLab application in singing practice class and chorus class, and to examine its music educational meaning as a way to operate vocal ensemble activities in a non-contact manner. It was shown that selecting an application that can be effective for vocal ensemble activities among many music-related applications and systematically using i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can bring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despite the limited condition of the non-contact manner. In addition, the students presented a very positive evaluation of the use of the applic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non-contact music practical classes, as well as it can be a valid approach for music practical classes in Corona New-Normal era,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un-tact culture, an on-tac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tay-at-home culture.

      • KCI등재

        헤기(Jake Heggie)의 < 오필리아의 노래와 소네트(Songs and Sonnets to Ophelia, 1999) > 곡 해석 연구

        고선미 ( Koh Seonm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헤기의 연가곡 <오필리아의 노래와 소네트>에서 피아노부의 표현적 역할 분석을 통해, 가사에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작곡가의 표현의도를 유추하는 곡 해석을 하였다. 예술가곡의 특징인 시와 음악의 유기적 결합은 작곡가에 의한 시의 음악적 탈바꿈이라 할 수 있다. 작곡가는 성악부와 피아노부를 통해 자신만의 시적 이미지를 드러내는데 피아노부에는, 가사가 동반되기 때문에 명시적이고 전언적(傳言的) 의미 전달의 역할을 하는 성악부와는 구분되는 표현적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이 헤기의 <오필리아의 노래와 소네트>이다. 작곡가는 가사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오필리아(ophelia)`의 이미지를 피아노부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표현적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연주자로 하여금 이 작품의 성공적인 곡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주자에게 이 작품의 곡 해석 자료가 될 뿐만이 아니라 성악가나 피아니스트를 지도하는 교육자들에게 예술가곡의 특성 및 곡 해석 방법을 지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The art song is defined as a vocal composition, usually written for one voice with piano accompaniment in the classical art music. However, nowadays, the definition of art song is needed to be altered to `a vocal composition, usually written for one voice and one pianist`. Art song is a unique hybrid of poetry and music. It is the poetry that inspires the composer, and it is the text that serves as the conduit for the feelings to be expressed. Since the art song is the composer`s musical response to the words, performing art songs stretches and develops the performers imaginations. In order to produce imaginative and artistic performances, both of singer and pianist must have done extensive preliminary work with words and music. As famous pianist Katz states that the compliment he has savored most is “You really played the words!”, the collaboration with a singer for performance of art song means dealing with words. In this study Jake Heggie`s Songs and Sonnets to Ophelia was analysed in order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the pianist`s role for express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piano part of each four songs in Songs and Sonnets to Ophelia played a significant role of expression for hidden meanings of text as well as suggestive images of Ophelia which cannot be expressed in words as well as through voice.

      • 모토에 대한 知覺이 호텔職員의 自我尊重感과 組織에 대한 忠誠度 및 서비스態度에 미치는 影響

        高善美(Koh, Seon-Mi)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8 관광산업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motto on the self esteem, loyalty to organization, and service attitude of hotel employees.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motto and self esteem, employee loyalty, service attitude. In conclusion, the motto takes a role as an aim of a company and shows the way for ideal service way to the employees. Moreover, a motto can be substituted by regular training for employees who do shift working during 24 hours. Well recognized motto which implies owner’s way helps employees to set their own aim in a company so that employees can be encouraged self improvement and enjoy their company life.

      • 2015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가창지도법 제안

        고선미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Music textbooks and tutorials are used as the most important tools for music education and educational indicator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articular, music textbooks and tutorials should provide adequate information and sufficient pedagogical information for successful music clas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se expertise in music intensive educat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Since music textbooks and tutorials for grades 5-6, which are based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ere distributed in 2019, researches related to the textbooks and tutorials has not been sufficiently progressed yet.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the practices of teaching music through dealing with vocalization as a real music sou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songs were selected which are applied common learning element in several music textbooks.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selected songs, Riding a Train is the changes of dynamics and the Song of a Tree is the changes of tempo. In this study, various pedagogical methods for singing to teach the changes of dynamics as well as changes of tempo was proposed through applying to the singing activities for the Riding a Train and the Song of a Tree. 음악과 교과서와 지도서는 초등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교과교육 도구이자 교육지표로 활용된 다. 특히 음악심화교육의 전문성이 중등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초등 교사를 위해 음악 교과서와 지도서는 성공적인 음악수업을 위한 적절한 내용과 함께 충분한 교수법적 정보를 제 공하여야 한다. 2015 개정 초등음악과 교육과정에 준한 5~6학년 음악교과서와 지도는 2019년에 보급되었는데 최근에 접하게 된 교과서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음악수업의 중심활동인 가창을 관점으로 하여 2015 개정 초등음악과 교육과정의 학 습내용과 성취기준과 2015 개정 초등음악과 교육과정에 준한 5~6학년 음악교과서 8중에서 공통 되는 학습내용을 제시하는 가창활동 제재곡 두 곡의 분석을 통해 추가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가 창지도요소를 추출하고 실음(實音)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가장지도의 실제를 제안하였다.

      • LMS 시스템을 활용한 가창실기지도의 교육적 특이성 고찰

        고선미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는 LMS를 활용한 비대면 방식 가창실기교육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 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을 제안한다. 가창실기교육은 대면방식이 관례였으나 2020학 년도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방식의 운영이 요구됐다. 그 대응책으로 LMS를 활용 하였으나 비대면 방식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 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였다. 코로나 팬데믹은 2021학년도에도 종식되지 않아 2년간 의 LMS를 활용한 비대면 방식 가창실기교육이 운영됐으며 그 과정에서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의 활용은 LMS에 의한 비대면 방식의 가창실기교육의 문제점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면 방식의 가창실기교육에서도 효과적인 접근방안이 될 수 있음이 인식됐다. 애플리 케이션의 활용은 재택문화 및 언택과 온택으로 설명되는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적합한 접근 일 뿐만 아니라 시·공간적으로 자유롭다는 장점으로 인해 대면방식의 가창실기교육에서도 효 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교육 목적에 따라 구안된 매뉴얼의 제공이라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는 점도 주목된다.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various applications as a way to strengthen the effect of education in the operation of non-contact singing training using LMS. The face-to-face teaching approach was customary for singing training, but the non-face-to-face operation was required due to the 2020 corona pandemic. As a countermeasure, LMS was used, but various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non-face-to-face approach. Furthermore, the corona pandemic did not end even in the 2021 school year, so non-face-to-face singing training using LMS for two years has been operated. However, in this process,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to face-to-face singing practice education. Utilization of the application is evaluated 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only an approach suitable for the at-home culture and Corona New-Normal Era, which is explained by un-tact and on-tack, but also is free in time and space. It is also noted that the condition of providing an easy-to-use manual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urpose must be satisfied for the use of the application.

      • KCI등재

        발성조절에 있어서의 피드백의 특성 및 역할 연구 : Part Ⅰ

        고선미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9 이화음악논집 Vol.13 No.1

        Auditory feedback is commonly regarded as the obvious tool for voice control on singing under normal circumstance. But by its very nature, auditory feedback does not provide a reliable means for controlling voice. Listening own voice in controlling voice is primarily the sensory experience that involves both the ear and the body. The sensory systems on the ear and the body provide not only auditory feedback but also proprioceptive feedback. Therefore singers should rely on auditory as well as on proprioceptive feedback to have accurate control of their own voice. The proprioceptive feedback is essentially based on the senses of pallesthetic(vibratory), kinesthetic(muscular) and vestibular(balance or equilibrium) system. The proprioceptive feedback provides singers with precise landmarks for controlling their emission. This means of control is more reliable than auditory feedback in which the voice is substantially modified by the acoustics of the environment. Perhaps what Lamperti referred to when he said “Do not listen to yourself sing! Feel yourself sing!” is the need to use not only ears but also body. 성악은 신체를 악기로 하는 음악 연주 행위로서 신체는 다른 악기와는 달리 유기체라는 고유성을 갖는다. 유기체는 자기조절시스템(self-regulating system)에 의해 그 기능을 하게 되는데 모든 시스템은 조절순회시스템(regulatory circuit system)으로서 발성조절 또한 발성을 위한 피드백의 순회(feedback loop)에 의하여 그 기능을 하게 된다. 발성조절을 위한 피드백은 신경・감각계가 체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와 체외에서 받는 자극에 대한 정보를 뇌에 보고하여 뇌가 이 정보를 분석하여 직접 지시함으로써 발성기관인 신체가 어떤 반응을 보이거나 대처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시각으로는 발성조절에 있어서 청감각 피드백이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으나 기술적인 발성조절력이 요구되는 전문 성악가의 경우는 청감각 피드백은 믿을만한 피드백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성악가들에게는 정확한 음정 조절력 외에도 폭 넓은 음악적 표현을 목소리를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다양한 환경적 조건 하에서 연주를 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발성 조절력을 보여줄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성악가들은 대규모의 오케스트라나 합창단과 연주를 하는 경우 성악가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청감각 차폐 상황이나 연주장소마다 다른 음향적 조건 하에서도 안정된 발성조절력을 보여줄 것이 요구된다.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악훈련은 청감각 피드백 지각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지만 자기감수 피드백의 지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청감각 피드백 외에 자기감수 피드백에 의존한 발성조절이 전문 성악가와 일반인들을 구분하게 되는 가장 뚜렷한 조건이 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청감각 피드백은 성악가가 후두부에서 발성한 목소리가 성도를 지나 입 밖으로 방출된 소리를 다시 성악가의 귀를 통해 듣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자기감수 피드백은 성악가가 후두부에서 발성한 목소리가 성악가의 골격계의 진동으로서 지각되는 팔레스테틱 피드백, 발성기관이 기능을 하면서 지각되는 근감각과 전정기관 감각을 포함하여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19세기의 저명한 발성학가 람페르티가 남긴 “자신의 목소리를 듣지 말고 느끼면서 노래하라.”라는 금언의 의미를 설명해준다. 따라서 성악가와 성악를 지도하는 교사는 자신의 소리를 듣기보다는 느낄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발성훈련 또는 연습의 결과를 갖게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