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紅疫바이러스의 增殖에 關한 硏究

        鄭一男 中央醫學社 1967 中央醫學 Vol.12 No.6

        The experiment on the proliferation of measles virus in primary chick embryo cell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199 medium was proved to be the best maintenance medium and next Eagle's medium. 30°C was the more optimal temperature for the maintenance of the cells than 36°C and the healthy condit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2-3 weeks under 30°C. 2. Passage of measles virus in chick embryo cells caused increase of its infectivity and the peak of infectivity was observed after the 9th passage. There has been no remarkable change, thereafter. 3. In determining the infectivity of measles virus in chick embryo cells, day 14 after the inoculation was the most. suitable time. 4. The growth curve of measles virus in chick embryo cells at 30°C showed its peak 7 days after the virus inoc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楚亭 朴齊家의 ‘屈騷’ 수용과 그 의미

        정일(Jeong, Il-nam),최유진(Choe, Yu-jin)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본고는 초정 박제가의 ‘굴소’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다루었다. 우선 초정의 이름과 자 · 호의 유래를 살펴본 결과 중국의 『대학』 · 「이소」 · 『시경』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그중 특히 ‘초정’이란 호는 박제가가 스스로 밝힌 바와 같이 「이소」의 의미에 기탁하여 지은 것이다. 그 동기에 대해서는 굴원과의 同病相憐 및 굴원의 爲人을 이상적인 인격으로 추구하고, 그러한 인격 기준으로 늘 자신을 편달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세속의 영향이 미칠 수 없는 ‘백운’을 자주 언급한 것도 ‘초정’이나 ‘정유’와 같은 호의 이미지와 동일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시경』에서 유래된 ‘위항도인’이란 호를 통해 재능을 自信하는 동시에 성취하고야 말겠다는 열정과 여의치 않는 생에 대한 낙관을 읽을 수 있었다. 다음은 초정의 「이소」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였다. 초정은 ‘굴소’를 숭상하여 號를 ‘楚亭’이라 했던 만큼 굴원의 인격은 곧 초정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격이었다. 초정은 「이소」를 『시경』의 비흥수법과 대조시켜 怨慕의 작품으로 보았고, 비분강개한 정서의 작품 및 통곡의 작품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이러한 ‘굴소’를 초정은 약간은 ‘怨而不怒’의 유가적 詩敎에 위배된 것으로 이해하면서도 다른 한편 굴원의 인격과 멀어지는가 싶어서 「이소」를 베끼었고, 「이소」와 같은 작품을 지으려 함으로써 ‘굴소’에 대한 애호를 멈추지 않았다. 초정은 굴원의 인격만이 아니라 그의 시어나 표현수법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초사의 시구를 나름대로 변용하여 나의 시어, 나의 시의 이미지로 승화시켜 시 창작에 일조하였다. 요컨대 초정은 젊은 시절 재주와 포부는 지녔으나 신분의 한계로 인하여 비전이 없는 현실을 고민하였고, 후기에 성은을 입어 致仕는 했지만 마음 한 구석에는 항상 大材小用의 유감이 자리 잡고 있었다고 본다. 따라서 평생 이소를 애독함으로써 만강의 수심을 해소하는 동시에 굴원의 고결한 인격으로 자신을 편달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Chojeong (楚亭) Park Je-ga (朴齊家) and ‘Kul-so’ (屈騷, Li-sao written by Qu Yuan). Chojeong revered ‘Cho-sa’ (Chu-ci in Chinese), so he named himself Chojeong (楚亭) as his pen name. Chu Yuan (굴원)’s personality was just the ideal that Chojeong aimed for. Chojeong usually enjoyed reading Cho-sa and even when he met friends he carried 「Li-sao(離騷)」 along. In this way, Chojeong regarded Cho-sa as his soul mate and delighted in it very much. Chojeong appreciated 「Li-sao」 as a literary work full of patriotism and sorrowful indignation, as well as resentment and yearning. But Chojeong also paid attention to his excessive obsession over 「Li-sao」. It was due to that he considered Cho-sa as against traditional Confucian poetic theory, which sought “resentment but no anger(怨而不怒)”. Chojeong sometimes read 「Li-sao」 when he felt he had grown away from Chu Yuan’s personality. The son of a concubine, regret over being overqualified and self-discipline were perhaps the main reasons why Chojeong received Cho-sa.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열하일기』 「앙엽기」 일고

        정일 ( Il Nam Jung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5

        「앙엽기」는 道觀, 사찰 또는 묘지에 관한 記文이지만 「열하일기」의 다른 글과 마찬가지로 저자의 사상의식과 글의 특성이 그대로 구현되고 있어, 이를 고찰하는 작업은 「열하일기」의 전반 가치를 진일보 보완해주는데 일정한 역할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고는 「앙엽기」의 특성을 보다 분명히 밝히고자 가끔 기타 연행록의 해당 기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홍인사」는 족자그림을 통해 군신간의 大義를 지켜야 한다는 유교의 정치윤리를 담론하였고, 「융복사」는 사대부가 몸소 물품을 구입하는 것에서 조선의 사대부 문화풍토와는 전혀 다른 솔직한 인간본연의 세계를 발견한 것이다. 「천녕사」는 「화엄경」을 베낀 여인의 손재간을 극찬했고, 「이마두총」은 벽돌로 무덤을 쌓은 것에 주목했다. 「법장사」는 기타 연행록에서 기피하는 `귀신`이나 `꿈`같은 표현을 자유로이 구사했고, 現在法이나 意境의 수법으로 정서를 토로하기도 했다. 아울러 「앙엽기」의 적지 않은 글은 주제를 집약하여 보여주었고, 거의 편마다 용사의 특징이 보인다. 「앙엽기」는 記文이지만 記에 구속되지 않고, 素材에서 저자가 원하는바 이치 내지 교훈적인 것을 발견 또는 추출해내고자 하였고, 아울러 이런 내용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한 예술적인 구사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Record of ANGYE」 is a travel notes about historic sites like Taoist temple, temple, graveyard, etc. Although it is a travel notes, just like other articles of 「The JEHOL Diaries」, We can still experience the ideology 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writer from the articles. So, it gives important theoretical meaning to further to perfect the whole literature value of 「The JEHOL Diaries」, approach to 「Record of ANGYE」. For mak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 of ANGYE」 more distinct, this paper puts some articles related with 「Record of YANXING」 together and analysis them. In chapter of 「HONGREN Temple」, through analyzing the painting of Buddha, as to the relation of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s, this paper discussed how to be honest and loyalty to the subjects and how to serves for the country - typical criticism of Confucian idea; In chapter of 「LONGFU Temple」, through analyzing the action of scholar official`s purchasing, we found the natural, rustic spirit of humanism; In chapter of 「TIANNING Temple」, through discussing the hand written copy of 「buddhavatam sakamahavaipu-lyasutra」, we praised the skills of the lady who copied the book; and in 「Matteo Riccis`s Gave」, we pay our attention on the phenomenon of tomb which is made of brick-tile; In chapter of 「FAZANG Temple」, using the taboo words of 「Record of YANXING」, such as "GUI, SHEN, MENG", in the course of conception. Through using the method of present, and the manifestations of artistic conception, express the emotion. Although 「Record of ANGYE」 is a travel notes, but it does not stickle itself in the form of travel notes. So this paper found the useful things from the fodder of the book and positive to consider them through the materials validly and fixedly. Meanwhile we also could find that 「Record of ANGYE」 reflects some same factors of other chapters of 「The JEHOLDiaries」.

      • KCI등재

        박제가 詩味論 연구

        정일 한국한문학회 200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9

        The research of the theory of poem-sapor by Pak jega(朴家) 처음 음식의 맛에서 기원된 味가 정식으로 시론의 범주에 적용된 것은 중국 南朝의 齊, 梁시기부터이다. 詩味論은 唐, 宋을 거쳐 元, 明에 이르기까지 줄곧 발전해 왔고, 淸의 초반에는 집대성 되었다가 중반부터는 점차 쇠미해졌다. 그런데 18세기 말, 즉 청의 중반에 해당하는 시기 조선조의 초정 박제가에 의해 특색 있는 시미론이 나왔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초정이 詩選序를 통해 전문 시미에 대해 논한 것은 중국 시미론의 역사에서도 보기 드문 일이다. 글은 “마음을 움직이고 눈을 즐겁게 하는” 모든 사물이 味라 하여 視覺적, 心적인 측면에서 味를 해석했고, 전인이 언급한 적이 없는 ‘百味’, ‘極味’, ‘渴味’의 의미로 味의 범주를 진일보 확충하였다. 초정의 다른 글에서도 詩味의 요소를 볼 수 있는바, 그 중 ‘성자일치’를 전제로 하는 生趣설이 주목된다. 생취는 시문의 미감과 직결되는 개념이다. 초정은 생취를 천지의 이치, 생명력, 감화력, 리듬과 관련시켜 설명하고 있는데, 실은 이는 시문이 갖추어야 할 味感의 내함이다. 이처럼 味에 대한 구체적이고 독특한 해석은 전반 시미론사에 대한 초정의 기여라 하겠다.

      • KCI등재

        자유주제 : 중국에서의 한국고대한시 연구에 대한 일고찰 -21세기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일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3

        본고는 2000년도를 망라한 그 이후의 중국에서의 한국고전한시 연구현황을 단편논문, 학위논문에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건국 후 50년 사이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연구를 문학사 연구, 작가 작품 연구, 장르별 연구, 비교문학 연구, 중국조선족문학 연구, 학위논문 등 소제로 분류하여 자세히 논의한 바 있다. 이가운데는 당연히 2000년도 이전까지의 한국고전한시 연구현황에 대한 고찰도 망라되어 있다. 얼마 안 되는 연구저서의 경우 단일한 작가 작품의 미시적 연구보다 포괄적인 거시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00년도 내지 그 이후 10여 년의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 시작품 연구서만 10여 종, 학위논문을 망라한 연구논문이 근300편으로 집계돼 상당한 연구 성과를 자랑하고 있다. 이런 성취에서 한국한시연구저서, 연구논문의 수가 전례 없이 많아졌음은 물론 연구 대상, 논문테마, 연구방법이 무척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중 특히 비교문학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된저서, 논문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학위논문의 경우 연구형식이 포괄적인 연구에서 작가작품연구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었다. 이와 같은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한중수교 이후 중국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한국고전문학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아울러 연구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향후 해당 분야의 젊은 연구자들이 증대되고, 추진 중인 『韓國古代漢詩全集』이 출간되면 그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牧隱 李穡의 詩와 『詩經』

        정일(Jeong, li-nam),이려(Lili) 한국고전번역원 2019 民族文化 Vol.54 No.-

        『詩經』은 유가의 경전이면서 시가총집이다. 본고가 牧隱 李穡의 시문과 『시경』 관련을 연구과제로 선정한 것은 첫째로 『시경』의 이중 의미를 감안해서이고, 둘째는 목은의 시문에서 『시경』인용 빈도가 고려는 물론 전반 한국고전문학사에서도 가장 많은 양으로 집계되기 때문이다. 牧隱은 고려문학을 대변하는 시인의 한 사람이고 전반 한국고전문학사에서도 그 문학성취가 인정되는 문인이다. 따라서 목은 시문과 『시경』의 관련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목은의 『시경』 인식을 “문장은 도덕에서 나온다”는 그의 문학견해와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목은의 문학경향은 도덕성을 전제로 하는 “思無邪”와 궤를 같이 한다. 그것은 또 시의 “根於心” 내지 詩道의 “性情”으로 나타난다. 이런 주장은 전통적인 “詩言志”설의 계승과 발전이다. 목은은 詩道의 타락은 世道의 타락과 관련된다고 했다. 그가 시문에서 “仁義道德”적 성격을 갖춘 『시경』 등 경전을 대량으로 이용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시와 『시경』관련에서는 주로 『시경』의 詩旨와 詩句 이용을 살펴보았다. 우선 詩旨의 작품화를 분석한 결과 성리학적 내용으로 집대성된 雅頌詩가 많았다. 다음은 시구의 약간한 변용에서는 1자의 增減 등으로 시행의 자수를 맞추고자 하였고, 순수 變用은 『시경』 구절에서 2자·3자·4자·5자를 취하는 등 형식이 다양했던바 이는 고려조 다른 문인들보다 독특했다. 특히 「古意三章章四句」같은 경우 9편의 『시경』 詩句를 참조하여 나의 시를 지었다는 것은 詩作에서 전인의 시구절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요컨대 목은이 『시경』을 대량으로 다양하게 이용한데는 그의 성리학적 문학관에 기인되고, 또 그것이 목은의 문학을 성취하는데도 크게 일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 Lee Saek’s work and the Book of Odes and the reason of choosing this topic is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is inspired by the ambivalence that the Book of Odes presents. Secondly, the Book of Odes is very frequently cited in Mok-eun’s poem and the frequency rate is second only to the cita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At the same time, the frequency of citing the Book of Odes ranked top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ince Mok-eun’s literary achievement is commonly acknowledg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s work and the Book of Odes. Firstly, this paper associated Mok-eun’s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Odes with his literary opinion, which is represented in “The article comes from morality.” Mok-eun’s literary leanings are in line with “pure thought[思無邪]”, which is based on morality. Further, it is also reflected by “rooted in the heart[根於心]” or by “nature[性情]” of poetry way[詩道]. This kind of opinion derives from the theory “Poetry expresses aspiration[詩言志]”, and becomes the premise of Park Je-ga’s “Opening one’s mind[開其心智]” in poems. According to Mok-eun, the corruption of poetry [詩道] is related to the depravity of the manners and morals of the time[世道]. Therefore, he used a large amount of quotations from the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Odes. Secondly,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s poetry and prose and the Book of Odes, this article mainly observed the use of theme[詩旨] and verses[詩句] from the Book of Ode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poetization[詩化] of the theme are A-Song poetry[雅頌詩]. As to the use of verses, diversification[變用] is the most common and a certain diversity could also be observed in forms. I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poetry. Specifically, when writing the poem 〈古意三章章四句〉, the author alludes to several verses from nine poems of the Book of Odes. This probably means that the author could accept the verses of former poets critically. In short, the large extent of Mok-eun’s reference to the Book of Odes is attributed to his literary view of Neo-Confucianism[性理學], which has also motivated Mok-eun’s literary achieve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