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nO 기반 NO2 가스센서의 MgZnO와 MgO을 통한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박소영,이문석,이세형,박찬영,백동기 한국센서학회 2022 센서학회지 Vol.31 No.6

        Brush-like ZnO hierarchical nanostructures decorated with MgxZn1-xO (x = 0.1, 0.2, 0.3, 0.4, and 0.5) were fabricated and examined for application to a gas sensor. They were synthesized using vapor phase growth (VPG) on indium tin oxide (ITO) substrates. To generate electronic accumulation at ZnO surface, MgZnO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sol-gel method, and the ratio of Mg and Zn was adjusted to optimize the device for NO2 gas detection. As the electrons in the accumulation layer generated by the heterojunction reacted faster and more frequently with the gas, the sensitivity and speed improved. When tested as sensing materials for gas sensors at 100 ppm NO2 at 300oC, these MgZnO decorated ZnO nanostructures exhibited an improvement from 165 to 514 times compared to pristine ZnO. The response and recovery time of the MgZnO decorated ZnO samples were shorter than those of the pristine ZnO. Various analyzing techniques, includ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and X-ray powder diffraction (XRD) were employed to confirm the growth morphology, atomic composition, and crystalline information of the samples, respectively.

      • F-125 : Free Paper Presentation ; Effect of Prone Positioning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A Meta-analysis

        박소영,( Yun Su Sim ),( Hyun Jung Kim ),( Sei Won Lee ),( Eun Kyung Kim ),( Yee Hyung Kim ),( Moon Ji Yong ),( Kyung Hoon Min ),( Sung Soo Park ),( Yong Bum Park ),( Kwang Ha Yoo ),( Jin Woo Lee ),( Seok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

        Purpose: Prone position ventilation for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improves oxygenation but the effect of survival is not yet clearly defined. Recently,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howed mortality reduction with prone ventilation. We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prone position as compared with supine position, with respect mortality, improvement in oxygenation, incidence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and adverse effect. Method: Randomized control trials comparing 6≥hrs of prone position with supine position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Data were combined in a meta-analysis using random effect models. Results: 7 trials met inclusion criteria.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risk ratio (RR), 0.76, 95% confidence interval (CI) 0.56-1.03; p=0.08 ). However, prone position reduc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PaO2/FiO2 <200 mmHg [RR, 0.71, 95% CI 0.52-0.97; p=0.03]. Prone positioning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O2/FiO2 mmHg [weighted mean difference 32.22; 95% CI 16.76-47.67 ; p<0.0001]. But increased the risk of pressure sore (RR 1.23, 95%CI 1.06-1.42, 0.006) and loss of venous access (RR 1.98, 95%CI 1.11-3.55, 0.02) in prone posi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idence of pneumonia, endotracheal tube displacement and cardiac arrest. Conclusions: Prone position ventilation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reduces mortality in patients with PaO2/FiO2 <200 mmHg, and it i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oxygenation.Purpose: Prone position ventilation for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improves oxygenation but the effect of survival is not yet clearly defined. Recently,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howed mortality reduction with prone ventilation. We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prone position as compared with supine position, with respect mortality, improvement in oxygenation, incidence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and adverse effect. Method: Randomized control trials comparing 6≥hrs of prone position with supine position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Data were combined in a meta-analysis using random effect models. Results: 7 trials met inclusion criteria.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risk ratio (RR), 0.76, 95% confidence interval (CI) 0.56-1.03; p=0.08 ). However, prone position reduc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PaO2/FiO2 <200 mmHg [RR, 0.71, 95% CI 0.52-0.97; p=0.03]. Prone positioning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O2/FiO2 mmHg [weighted mean difference 32.22; 95% CI 16.76-47.67 ; p<0.0001]. But increased the risk of pressure sore (RR 1.23, 95%CI 1.06-1.42, 0.006) and loss of venous access (RR 1.98, 95%CI 1.11-3.55, 0.02) in prone posi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idence of pneumonia, endotracheal tube displacement and cardiac arrest. Conclusions: Prone position ventilation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reduces mortality in patients with PaO2/FiO2 <200 mmHg, and it i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oxygenation.

      • KCI등재후보

        영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애니메이션 표현 특징에 관한 연구- 3D 애니매이션 ‘슈렉’을 중심으로 -

        박소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4 한국디자인포럼 Vol.10 No.-

        Animation is a kind of procedure to make a story with animated things by giving life to inanimated things like images.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plays a key role in deciding whether a animation is appealing to many people or not. Though a language is the most fundamental tool for communications, an image media developed by advanced technologies transmits multimedia - text, sound, image and vedio - within a single transmission medium and appeals to the multi-senses like eye and the ear of human.In this paper, we observed how the image verbal messages interact with the intention and meaning conveyance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s of animation as a communication method. 애니메이션은 한 프레임(Frame)씩 촬영하여 사물이나 이미지에 생명, 즉 움직임을 부여하여 그 움직이는 대상을 매개로 숨겨져 있는 스토리를 풀어내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이미지의 변형을 통하여 현실을 재구성하여 가상의 세상을 만들어 낸 애니메이션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설득력 있게 다가갈 수 있는가는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달려있다.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언어이지만 테크놀로지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하여 발생된 영상매체는 하나의 전달 미디어에 문자, 이미지, 소리와 영상 등 의 멀티미디어를 함께 전달하여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함과 동시에 인간의 시각과 청각의 결합을 통한 복합적인 감각에 호소한다. 본 논문은 변화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매체로서의 애니메이션에서 영상을 통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는 송신자와 수신자간에 이루어지는 ‘의사 전달’, ‘의미 작용’ 등에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알아보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애니메이션의 표현 특성에 대하여 접근을 시도하여 본다. 영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 특성들은 인간 커뮤니케이션을 충족시키는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여는 중요한 요소가 되리라고 확신한다.

      • KCI등재
      • KCI등재

        Doritaenopsis 체세포배의 내배수성 특성과 절편체의 내배수성 세포에 기인한 체세포변이의 발생

        박소영,백기엽,Park, So-Young,Paek, Kee-Yoeup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3 No.4

        In general, the proliferation of orchids via somatic embryos has been used for mass production of somatic clones because of high propagation efficiency. In spite of high propagation rate, this method often brings somaclonal variation, especially polyploid frequency. Therefor we here concentra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dopolyploidization patterns of explants and the occurrence of tetraploid variant in clonally proliferated Doritaenopsis via somatic embryo regeneration system. In the fully developed somatic embryo, upper part contained 2C to 16C while middle and lower parts showed 2C to 32C DNA content. Two-week-old embryo contained 2C to 16C, whereas those regenerated after 4 to 10-week-old contained 2C to 64C nuclei. Results showed that endoreduplication was variable depending upon tissue types, ages, and parts in one species. lower part of somatic embryo having high endoreduplication degree increased the regeneration of tetraploid variants by about 3-fold comparing to upper part of somatic embryo culture. polyploid frequency occurrence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high levels of endoreduplication of somatic embryos used as explant. It suggested that the upper part of somatic embryo having comparatively low endoreduplication degree is suitable for the stable in vitro propag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체세포배를 경유한 대량증식은 증식효율이 높다. 그러나 종종 배수성 변이와 같은 체세포 변이를 야기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Doritaenopsis hybrid의 체세포배 증식시 발생하는 배수성 변이체와 체세포배의 세포에 내재되어 있는 내배수화된 세포와의 관계를 구명하여 배수성 변이체 발생 원인을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내배수성 분석결과 체세포배의 상부는 $2C{\sim}16C$의 DNA를 함유한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중부와 하부 조직에는 $2C{\sim}32C$의 내배수성이 높은 세포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체세포배 연령별로는 2주된 체세포배가 $2C{\sim}16C$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10주령의 체세포배는 $2C{\sim}64C$까지 고도로 내배수화가 진행된 세포들이 존재하였다. 이는 한 식물체에서도 부위, 연령에 따라 내배수성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체세포배 부위중 내배수성이 낮은 상부와 높은 하부로 절단하여 각각의 절편체를 배양한 결과 배수성 변이체의 발생은 내배수성이 높은 하부를 배양하였을 때 3배 이상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변수성 변이체의 발생원인이 내배수화된 세포에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기초로 Dtps. hybrid의 안정적인 증식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가 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어 소유 피동문의 두 유형 - 소유물 격 교체와 피동화의 유형론

        박소영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9

        이 논문은 소유물 논항이 격 교체를 보이는 소유 피동문의 두 가지 유형에 대하여 그 통사 분석을 제시한다. 소유물 논항의 ‘-을/를’은 목적격 조사이며, 피동문에서의 목적격 논항의 존재는 피동접사가 부착되는 통사 위치에 의해 설명된다. 접사 ‘-이/히/리/기-’에 의한 피동의 파생은 통사부에서 이루어지며, 피동의 PassP는 VP와 그보다 더 큰 구조의 격 부여 능력이 있는 vP를 내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통사부와 형태부와의 직접적인 대응을 지지하며, 형태구조의 통사론적 접근 방식을 옹호한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의 전자독서확대기 사용 실태 파악 및 개선 방안

        박소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2 시각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저시력 학생 중 전자독서확대기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자독서확대기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사용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전국 5개의 시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저시력 학생 중 전자독서확대기를 학습에 이용하는 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시력학생이 전자독서확대기를 이용하여 학습을 함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학습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의 시력 특성을 파악하고 단계적인 적응 훈련 및 학생에서 맞는 설정지도를 위한 학교별 지도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독서확대기는 노후화된 기종이 많은데 기기의 고장이나 성능의 문제로 학습 효율이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노후화된 기기의 수리, 교체 및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reading magnifier for students who are learning with using electronic reading magnifier, and identify the problems of usage and guidance.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usage and guidance, 42 students who use electronic reading magnifier for learning, of 5 schoo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it has two results below. First, for those students have low vision, to get more learning efficiency in using electronic reading magnifier, each school nee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ight and establish teaching method for guidance have to be appropriate to students. Second, to improve the device and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ice to be continuously managed and replaced with new one.

      • KCI등재후보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박소영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18 한국융합인문학 Vol.6 No.1

        본 연구는 OECD 국가와 우리나라 간호인력의 현황 및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여 간호인력의 수급 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OECD 국가들은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첫째, 면허인력(11.6%) 보다는 활동 간호인력(19.2%)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활동 간호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면허인력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병상 수를 꾸준히 감소(-15.8%)시켰다. 그 결과 간호인력의 높은 노동강도와 이직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100병상 당 간호인력 수’가 증가(33.7%)하였고, 이는 활동 간호사의 증가로 이어졌다. 둘째, OECD 국가들은 양질의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동 간호인력 중 ‘간호사 대비 간호보조 인력의 비율’을 20% 수준으로 유지해왔다. 반면, 우리나라는 면허 간호인력(62.2%)과 병상 수(148.0%)를 지속적으로 늘려 왔다. 그 결과 ‘100병상 당 간호인력’이 OECD 국가 중 가장 적고, ‘인구 1000명 당 활동 간호사수’는 OECD 평균(6.93명)의 50% 이하 수준(3.1명)에 머무르고 있다. 그리하여 ‘간호사 대비 간호조무사 비율’은 OECD 평균의 2배 이상인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간호인력 수급 정책의 방향은 양적 확대―간호대학의 입학정원 증원을 통한―보다는 간호인력 보유와 적정 간호인력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