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β-estrdiol dipropionate [1,3,5(10)-Estratriene-3,17 β-diol dipropionate]를 이용한 Guppy(Poecilia reticulata)의 性轉換에 관한 연구 : 生産物이 높은 實用畜의 生産에 關한 기초 연구

        朴弘陽,尹鍾萬 건국대학교 1987 새마을연구논문집 Vol.6 No.-

        Guppy fries were treated for the first 40 days of life with 0, 20, 40, 60 & 100㎍ of estradiol per gram of food in order to change the sex of normal undifferentiated fries to functional females. The present investigation deals with the effects of steroid hormones on the sex differentiation in guppy. Steroid hormones used was β-estradiol. Oral administration of steroid hormones caused sex reversal. The degree of sex revers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dosage level of steroid hormone. It may be assumed that the success to the higher dosage levels of steroid hormones us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Mild lordosis, however, was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higher dosage levels of steroid hormone(60, 100㎍/g diet).

      • LHRH-a와 pimozide에 의한 동자개의 배란유도

        박홍양,이종영,이영직,권혁추 한국양식학회 1998 韓國養殖學會誌 Vol.11 No.2

        동자개의 배란유도에 대한 LHRH-a, pimozide 및 HCG의 복강내 투여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어체중 ㎏당 HCG를 각각 5,000, 10,000, 20,000 IU를 주사하였을 경우 71.4, 80, 100%의 배란유도율을 나타냈다. 또한 pimozide의 존재에 관계없이 LHRH-a를 주사한 개체들 대부분이 배란되었다. LHRH-a 단독투여 실험에서 ㎏당 200, 300, 400 ㎍처리에서 각각 50, 75 및 100%의 배란유도율을 나타냈다. 즉, LHRH-a와 pimozide의 혼합투여에서 어체중 ㎏당 pimozide 1㎎과 LHRH-a 300㎍에서 100% 가장 좋은 배란유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impzide 단독투여에서는 배란이 유도되지 않았다. 호르몬 처리후의 생식소숙도지수(GSI)와 pseudo-GSI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HCG, LHRH-a 및 LHRH-a + pimozide를 주사한 그룹간의 생식소숙도지수(GSI)와 pseudo-GSI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호르몬 처리후 배란이 일어나기까지의 소요시간은 HCG 처리후 17∼22시간, LHRH-a 단독 또는 pimozide와의 혼합처리에서 대체로 23∼29시간이 걸렸다. Effects of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LHRH-a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nalogue), pimozide and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were studied on ovulation in the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Ovulation was induced in 71.4, 80 and 100% by injection of HCG 5,000, 10,000 and 20,000 IU/㎏ of body weight, respectively. Also, the majority of fish injected with LHRH-a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mozide were ovulated. The ovulating rates in fish injected with LHRH-a alone showed 50, 75 and 100% at a dose 200, 300 and 400 ㎍/㎏, respectively. Pimozide enhanced the activity of LHRH-a,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for inducing ovulation (100%) was LHRH-a at 300 ㎍/㎏ plus pimozide at 1 ㎎/㎏. Pimozide alone was ineffective in inducing ovulation of P. fulvidrac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nadosomatic index (GSI) and pseudo-GSI values among the groups treated with HCG, LHRH-a and LHRH-a plus pimozide (p>0.05). The latency time of group treated with HCG was 17∼22 hours, and the group injected with LHRHa alone and/or in combination with pimozide was ovulated within 23∼29 hours.

      • KCI등재후보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가 돈육 삼겹살의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박홍양,박근규,정영철,이의수,양시용,임병순,김천제,Park Hong-Yang,Park Keun-Kyu,Jung Young-Chul,Lee Eui-Soo,Yang Si-Yong,Im Byoung-Soon,Kim Cheon-Jei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 급여가 돈육의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국내에서 가장 소비가 많이 되고 있는 삼겹살 부위를 이용하여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암퇘지 삼겹살의 경우 생육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신선도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식 후 소비자 관능특성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 에 차이 가 없었다. 거세돈 삼겹살의 경우 생육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지방량을 제외하고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식 후 소비자 기호도도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생육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육색을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식 후의 소비자 관능특성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시험구(FFWF)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선호도에 있어서는 암퇘지의 경우 대조구가 시험구(FFWF)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의 경우 시식 전 생육에 있어서는 시험구(FFWF)가 대조구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시식후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두 처리구 간의 선호도는 생육과 시식 후 모두 대조구와 시험구(FFWF)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돼지 삼겹살의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은 음식물 발효사료의 돼지사료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mpare tile effect of feeding the commercial feeds (control) or fermented food waste feeds (FEWF) on consumer's acceptability and preference of pork belly. The bellies from carcasses of gilts and barrows were used. The consumers evaluated raw meat for color, freshness, fat amount (5=too much fat; 1= not enough fat), fat acceptabil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on 5-point stale (5=most desirable; 3=moderate; 1=least desirable) and grilled belly for flavor, taste, texture,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n 5-point scale (5=most desirable; 3=moderate: 1=least desirable). Raw belly of control had higher scores in color than belly fed FFWF.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for freshness, fat contents, acceptability of fat contents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ny sensory trait between control and FFWF belly after cooking (p>0.05). Mean scores for preference or overall-liking of raw and cooked belly als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5). This results mean that feeding FFWF to pork didn't change the sensory Properties of belly meat.

      • KCI등재

        무지개 송어의 유전(遺傳)육종학적(育種學的)연구 : VI . 번식주기(繁殖週期)에 따른 난모세포(卵母細胞)의 발달단계 VI . Developmental Stages of Oocytes in Reproductive Cycles

        박홍양,윤종만,김계웅 한국어류학회 1991 韓國魚類學會誌 Vol.3 No.2

        1989年 3月부터 1990年 2月까지 채취된 무지개 松魚(Oncorhynchus mykiss) 卵母細胞의 發達 段階를 理解하기 위하여 光學 및 電子顯微鏡을 通해서 本 硏究를 實施하였다. 建國 大學校 畜産大學 養魚場에서 自然 採光 狀態에서 펠렛트 飼料를 給與하여 飼育中인 700-1,200 g의 한腹 새끼인 무지개 松魚 암컷 120마리를 供試魚로 利用하였다. 卵母細胞가 成長함에 따라 核仁의 크기가 增加하였고, 卵黃顆粒도 增加를 나타내었으며, 水化가 이루어짐에 따라 表層胞의 數가 서서히 增加하였다. 卵黃顆粒의 最大値는 卵母細胞 1個當 약 5,000個로 나타났고, 이러한 數値는 水化直前에 약 ½로 그 數가 減少하였으며, 이 時期에 核仁의 數도 有意性 있게 減少하였다. 卵黃은 顆粒狀으로 卵母細胞內에 蓄積되고, 그 格子狀은 水化가 이루어지어 卵子가 透明해지는 時期에 崩壞된다. 커다란 early maturing oocytes와 late maturing oocytes가 存在함으로써 卵巢는 增大되고, 透明하며, 顆粒狀態가 된다. 이러한 成熟狀態의 段階를 가진 무지개 松魚의 數는 9월과 10월 사이에 增加하기 때문에 平均 GSI의 數値도 增加하게 된다. GSI의 變化는 正常的인 光週期를 받는 個體와 빛이 遮斷된 個體 모두 産卵時期인 1月에 각각 14.616%과 15.532%로 最大値를 보였으며, 빛이 遮斷된 個體에서 全般的으로 높은 傾向을 나타내었다. 成熟段階(Stage VI)에 있는 무지개 松魚는 1月과 2月에 存在하며, 平均 GSI는 모든 무지개 松魚가 成熟段階에 있기 때문에 1月에 14.616%로서 가장 높은 數値를 나타내었다. 過熟段階(Stage VII)에 있는 무지개 松魚는 2月末경에 나타나며, 이러한 形態의 卵巢를 가진 무지개 松魚의 GSI는 급격하게 낮아졌다. 季節別 腦下垂體의 重量은 가을과 겨울에 有意하게(P<0.01) 무거운 變化를 보였고, 腦下垂體의 組織的 變化는 産卵時期에는 好酸性으로 granular cell이 增加하였으나, 非産卵時期에는 好鹽基性으로 vesicular cell 數가 더 많았다. 뇌하수체는 가을철인 9월경에 많은 數의 分泌顆粒(secretory globules, SG), 커다란 顆粒(globules, GL), 특히 불규칙적인 顆粒 덩어리 (irregular masses, IM) 等의 미세구조적 변화가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卵巢의 顯微鏡的 微細形態의 季節的 變化는 外形的인 形態의 變化와 密接한 關係가 있고, GSI는 性腺의 性成熟을 測定하는데 有用한 指標로서 提示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istological changes of ovary, pituitary gland and liver, for 3-year-old femal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l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monthly from March 1989 to February 1990. The size of the nucleoli increased and the yolk granules increased as the oocyte grew. The number of cortical alveoli increased steadily towards hydration. The maximal number of yolk granules was nearly 5,000 per oocyte. This number was reduced to less than the half prior to hydration. A significant reduction occurred also in the number of nucleoli at that time. Yolk was deposited in the oocyte as crystalline granules. The lattice was broken down at hydration, leaving the egg transparent. Due to the presence of large early and late maturing oocytes, their ovaries were enlarged, transparent and granular. As the percentages of fish in this maturity stage increased from September to October, mean values of gonadosomatic index(GSI) increased. The GSI in fishes under normal light and under no-light in spawning period during January were the maximum of 14.616 and 15.532, respectively. Ripe fish (Stage VI) were present from January through February. Mean GSI was highest in May as all fish examined were either still maturing or ripe. The GSI increased abruptly from November to January, and showed the highest peak (14.616% in January, coinciding with the numerical drastic increase of mature oocytes in female. The weight of pituitary gland increased significantly in autumn and winter (P<0.01). Increased number of granular cells with acidophils was detected from the tissues of pituitary gland in spawning period, but in no-spawing period vesicular cells with basophils were detected. The GSI values employ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useful and sensitive parameters in monitoring gonad maturation. Seasonal changes in the microscopic appearance of the ovaries were well correlated with seasonal changes in both gonadosomatic index and macroscopic appearance. The ultrastructures of the gonadotrophs largely parallel the periodical changes in the ovary.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the pituitary gonadotrophs show the histological development and periodical secretion of the hormones, sufficient for a oogenesis and gonadal steroid production.

      • 계분으로부터 살모넬라에 감염된 가금류의 신속한 진단

        박홍양 동물자원연구센터 1999 1999년도 동물자원연구센터 학술심포지움 Vol.1999 No.-

        우리의 건강과 깊은 관계가 있는 유해미생물중 하나인 살모넬라균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금류인 닭의 경우 살모넬라가 주로 장내에 번식하고 있어 도살시 계육뿐만 아니라 계분과 함께 배출되어 산란된 난에까지 오염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육계, 산란계로부터 조기에 살모넬라 감염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현재의 검출법 중 하나인 단순배양법의 경우 시간이 오래걸리고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살모넬라에 감염된 닭의 분을 이용해 유전공학기법의 하나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해서 살모넬라균 특유의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찾아 검출에 필요한 primer(S-1,S-2,S-7,S-8)를 제작하고, 이를 적절하나 조건(94 ℃에서 30초간의 denaturation, 63 ℃에서 20초간 annealing, 72 ℃에서 40초간의 extension 과정을 30번 반복)에 맞추어 실험하여 닭의 도축전에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양계농가의 경제적 이익과 국민의 건강증진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송어의 能力檢定을 위한 半循環 濾過裝置의 開發 : 農家 所得의 增大를 爲한 淡水魚 集約 飼育裝置

        朴弘陽 건국대학교 1985 새마을연구논문집 Vol.4 No.-

        An intensive rearing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corntrolled breeding of cold water fish under define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system consists of rearing and a water regeneration unit has 35 single PVC-cylinder with a water volume of 801 each. This enables the separated rearing of about 150 rainbow trout of different origin from fry (about 2g) up to fingerling size (20~25g) in each cylinder. The final fish: water ratio was I : 18.6(or 150kg fish per 2.8m3 water). Water temperature is almost constant (10±2℃) all the year round. Water inflow of about 10l/min. in the cylinder cause a water exchange of seven times per hour. The addition of about 10 percent fresh water per cycle is necessary to secure a good water quality.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ite, and nitrate, the pH and conductivity were measured weekly, the COD several times during the experiment. The values of PH (7.2) and of COD(2-6mg O2/1) remained rather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ite and nitrate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0.6mg NO2-/l and 15mg No3-/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