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가 주택시장, 신규수요위축불가피

        안명숙,An, Myeong-Suk 한국주택협회 2006 주택과 사람들 Vol.192 No.-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와 주택 담보대출 규제 강화를 위해 마련된 3 · 30 대책 발표 이후 주택 거래 시장은 전반적으로 위축돼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에서 예상했던 것처럼 강남권 아파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주택 담보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 조치 관련 상세 내용과 앞으로 주택 시장 변화에 대한 PB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자

      • 대출 규제에 따른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

        안명숙,An, Myeong-Suk 한국주택협회 2007 주택과 사람들 Vol.202 No.-

        DTI 규제 총부채상환비율(DTI)적용 여신 심사 기준이 시행되면서 주택 담보 대출은 더욱 위축될 전망이다. 대출 규제 내용과 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향후 부동산 시장을 전망해보자.

      • KCI등재

        사전동의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인식과 경험

        안명숙 (An, Myung Sook),민혜숙 (Min, Hye Sook) 병원간호사회 2008 임상간호연구 Vol.14 No.2

        Purpos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mote understanding on mutually informed cons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formed consent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s.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45 physicians, 300 nurses, and 178 patients from eight hospitals in Busan. To examine thei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with informed consent, all participan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12.0 program. Results: On the necessity of informed consent, the affirmative percentages were 95.9% for physicians, 99.0% for nurses and 84.8% for patients. As to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informed consent 47.6% of the physicians and 64.3% of the nurses answered ‘because it is an occupational and ethical duty’, while 46.6% of the patients answered ‘because it is protection for physicians’. Regarding the legal decision maker for informed consent, 33.1% of the physicians, 27% of the nurses, and 42.1% of the patients answered that the legal decision-making right belonged to the ‘patient’. The agreement rate on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explanation about informed consent was 89.0% for physicians, 98.3% for nurses, and 96.1% for patients. Conclusion: Most physicians, nurses, and even patients have inaccurate perceptions and inappropriate experience with informed consent.

      • KCI등재

        기성복 브랜드에 나타난 신(新)한복 저고리의 현황 및 유형 분석 - 9개 브랜드를 중심으로 -

        안명숙 ( An Myung-sook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최근 들어 전통한복보다 편하게 디자인된 신한복이 일상생활 속에서 많이 입혀지고 있으며, 다양한 온ㆍ오프라인 브랜드도 많아졌다. 기성복으로 판매되는 신한복 유형을 분석하여 저고리를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인 형태, 색상, 소재, 문양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이러한 신한복 저고리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5년 동안 온ㆍ오프라인을 통해 판매되고 있는 9개 대표 브랜드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저고리 종류는 짧은 저고리가 123개(38.6%)로 가장 많았고, 맞음새는 몸에 어느 정도 맞는 보통의 핏감으로 된 유형이 282개(88.4%)로 가장 많았으며, 저고리 형태는 프린세스 라인이나 다트를 넣은 것보다는 양장식 패턴으로 길을 깎아서 만든 일자형(박스형)으로 된 유형이 255개(80%)로 많았다. 또한 저고리 여밈도 중앙에서 2/3 정도 겹쳐진 여밈의 저고리가 177개(55.5%)로 가장 많았다. 깃모양은 목판깃이 가장 많았으나, 9개 브랜드 중 수설화 저고리는 모두 둥근깃, 웨이유는 모두 목판깃 이었다. 리슬은 당코깃이 가장 많았고 데일리한은 칼깃이 가장 많아, 브랜드 별로 선호하는 깃모양이 있었다. 깃너비는 대부분 5~6cm 정도의 보통 너비를 선호하였으며, 꼬마끄와 웨이유는 3cm 정도의 작은 깃너비 저고리도 있었다. 저고리 여밈은 고름으로 여미는 저고리가 228개(71.5%)로 가장 많았으며, 고름의 색상도 저고리와 같은 색상 고름이 179개(78.5%)로 많았다. 고름의 개수는 대부분 1개의 고름을 사용한 저고리가 216개(94.7%)로 많았고, 웨이유 장저고리의 경우 2개 고름을 이색(異色)으로 달기도 하였다. 소매의 종류는 셋인슬리브 형태의 일자소매가 가장 많았으며 316개(99%), 소매모양은 전통소매의 일자형보다 암홀을 둥글게 파준 양장식 소매가 271개(85%)로 많았다. 소매길이는 긴팔소매 233개(73%)로 가장 많았으며, 끝동이나 절개 등 아무 것도 없는 기본적인 일자형 긴팔소매 198개(62%)로 가장 많았다. 끝동이 있는 경우 긴팔로 비교했을 경우 끝동색은 동색보다 이색 끝동을 한 디자인이 많았다. 칠부소매는 주로 절개를 두어야 해서 딴단을 대어 튼튼하게 하는 방법을 하였다. 소재는 면과 폴리에스테르 100%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 외 레이온 100%도 있었고, 주로 실용성을 위해 면과 폴리에스테르, 면과 레이온, 면과 나일론, 면과 마, 울, 아크릴 등의 혼방직물이 사용되었다. 신한복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요가 많아져 신한복용 새로운 직물 제직이 되어야 제대로 된 신한복 기성복화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색상은 원색에서부터 파스텔색, 무채색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무채색보다는 유채색 저고리가 많았다. 유채색은 빨강, 노랑 등 원색보다는 브라운, 곤색, 버건디, 청록색 등 깊이가 있고 약간 어두운 색상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단색 저고리보다는 무늬가 있는 저고리가 많았으며, 꽃무늬가 있는 저고리가 가장 많았다. 9개 브랜드의 저고리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디자인은 대부분 공통적이면서 나름대로 저고리 길이, 깃 모양, 여밈 방법과 여밈 종류, 소매모양 등 브랜드마다 약간씩 차이를 두면서 디자인의 변화를 꾀하고 있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types of New-Hanbok Jeogori, the company selected nine representative brands that have been selling New-Hanbok through online and offline stores for past five years. The nine New-Hanbok brands to be studied include Leesle, Ccomaque, Dailyhan, Thegoeun, Coreano, Wayyu, Seorinarae, Soosulhwa and Ryuhwa. One representative Jeogori was purchased from offline stores of nine brands and the survey period of online data was based on Jeogori posted between June 2019 and January 2020. According to the survey, the portion of short Jeogori types was highest, which was 38.6% (123) and the moderate fit bodice was highest, which was 88.4%(283). Rather than having princesses or darts, 80%(255) of Jeogori were made in a box-type pattern. Most Kit shape was Mokpan-kit, and most of them preferred the normal width of 5-6cm. Go-reum was the highest portion of Jeogori Yeomim, which was 71.5% (228) and 78.5% (179) was the same color as Jeogori. The set-in sleeve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form of sleeves while 85%(271) of the sleeves was the embellished sleeves that dug up the armholes rather than the straight ones of traditional sleeves. The long sleeve accounted for 73% (233). The most commonly used textile was cotton and polyester 100%, and 100% rayon was the next. Mixed fabrics such as cotton and polyester, cotton and rayon, cotton and nylon, cotton and hemp, wool and acrylic were used mainly for practical use. Color was various from primary color to pastel and achromatic colors. Colored Jeogori were made more than achromatic colors. There were more patterned Jeogori than monochrome Jeogori. Flower patterned Jeogori was made the most. Since 2014, sales of New-Hanbok have been on the rise every year due to huge interest and purcha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New-Hanbok, which can be worn in everyday life, have many challenges ahead to develop into a brand that fits the lifestyle and need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settle into a New-Hanbok culture.

      • KCI등재

        광주 한복 산업 집적지의 혁신 역량과 활성화 정책 평가

        안명숙 ( An Myung-sook ),허승연 ( Heo Seung-yeun ) 남도민속학회 2019 남도민속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한국 한복 산업 집적지 중 광주광역시 충장로에 집적되어 있는 한복 집적지의 혁신 역량을 고찰하고, 지역 한복업 집적지의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해 온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소공인특화지원사업 정책의 성과를 파악하여 광주 한복산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에서 지원하고 있는 집적지의 한복업체 소공인대표 32명을 대상의 설문조사 실시를 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 한복 집적지의 혁신 활동을 파악하고 둘째, 광주 한복 집적지의 혁신 네트워크를 파악한다. 셋째,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사업의 개요를 파악하고 넷째,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사업을 통한 활성화 정책을 단계적으로 평가 분석한다. 다섯째, 앞으로 한복산업 활성화를 위해 광주 한복집적지와 한복센터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광주광역시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2015년에 시작하여 2019년 현재 5차년도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조사대상 32개 업체 중, 1차 년도에는 24개사가 참여하여 75% 참여율을 나타냈고, 계속 증가하여 4차 년도에는 32개사가 참여하여 100%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며, 모든 업체가 혁신활동을 수행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집적지 한복업체들의 혁신 활동 중 기술혁신 실태조사 결과, 기존 전통한복 제품 개선이 46.9%로 가장 많고, 신한복을 중심으로 한 신제품 개발이 28.1%, 유통·판매·홍보·마케팅 개선이 15.6%, 기존 생산 공정 개선이 6.3%, 신 생산 공정이 3.1% 순으로 나타났다. 기술혁신의 장애요소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 부족이 40.6%로 가장 높았고, 연구개발 수행인력 부족이 28.1%, 혁신에 필요한 지식 및 정보 부족이 21.9%, R&D 설비 및 기자재의 부족이 6.3%, 기업의 혁신마인드와 혁신지원기관과의 교류, 타 기업과의 협력기회 부족이 각각 3.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사업은 2015년도에 8개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1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4년간의 집적지 소공인 업체 만족도를 5점 척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교육 프로그램이 4.25%로 가장 높은 만족률을 나타냈고, 마케팅 활동이 4.17%, 지역사회봉사 및 시민참여가 4.15%, 네트워크 구축이 4.1%, 컨설팅이 4.09%, 작업개선이 4.01%, 브랜드화와 홍보가 각각 3.98%로 동일했고, 판로개척이 3.82%, 수출이 3.49%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 중 판로개척과 수출에 대한 만족률이 낮은 이유는 소공인들의 고령화와 디지털 정보화인 사회적 시류에 따른 현대인의 소비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온라인 유통 혁신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으며, 한복이라는 제품의 특수성과 해외 소비자들의 인식 미흡으로 인한 것이라 파악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bility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 in Chungjang-ro,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is one of Hanbok Industrial Clusters in Korea. It also investigate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Hanbok Industry by understanding the achievements of the Small Manufacturer Specialized Support Center policy that promotes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s. There are five main points in this study. First is to identify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Hanbok Cluster in Gwangju. Second is to identify the innovation network. Third is to understand the overview. Fourth, to evaluate and analyzed the revitalization policy through the Hanbok Center project in Gwangju by steps. Fifth, to examine the role of the Hanbok Center in Gwangju for revitalization of Hanbok industry in the future. The Hanbok Center in Gwangju started in 2015 and has implemented its fifth-year project as of 2019. Of the 32 companies surveyed, 24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first year and represented 75% participation. In the fourth year, 32 companies participated and showed 100% participation rate. All companies answered that they had carried out innovative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factual survey about technological innovation showed that improvements of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clothing products (46.9%), development of new products based on New Hanbok (28.1%), improvements in distribution, sales, promotion, and marketing (15.6%), improvements in the existing production process (6.3%)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ion process (3.1%). The obstacl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were shortage of funds needed for R&D (40.6%), lack of R&D workers (28.1%),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ed for innovation (21.9%), lack of R&D facilities and equipment (6.3%), lack of exchanges with support organizations and lack of innovative minds (3.1%) and lack of opportunities with other companies (3.1%). The Hanbok Center project was launched in 2015 with eight program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mall manufacturers since 2015 is the education program (4.25), marketing activities (4.17), community service and civic participation (4.15), build of network (4.1), consulting (4.09), improvement of work line (4.01), branding and promotion (3.98), improvement of sales (3.82) and exports (3.49). The reason of low satisfaction rate at sales and exports is because of the aging of small manufacturers. They have difficulties to read the consumption trend of people and to follow the social trend of digital information society. Lack of online distribution, the specificity of Hanbok products and insufficient awareness of foreign consumers are main reasons.

      • KCI등재

        전남 영암군 출토 포류의 봉제구성법에 관한일례(一例) -나주임씨와 제주양씨 분묘 출토 포류를 중심으로-

        안명숙 ( Myung Sook An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본 출토복식은 나주 임씨 임연(1587~1654)과 제주양씨(1589~1687)의 것으로 전남영암군 시종면에서 발견되어 2012년 5월 21, 22일 이틀에 걸쳐 수습이 되었다. 출토 포류중에는 수의로 입은 것도 있고 보공용으로 일상시 입었던 포들도 있다. 제주 양씨는 나주 임씨 임연의 재실이다. 옷의 구성은 홑옷, 겹옷, 솜옷, 솜누비옷 등 다양하였으며, 나주 임씨와 제주 양씨의 포류에 사용된 바느질은 옷의 구성에 상관없이 홈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꼼꼼하게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인 깃, 무 등에는 온박음질을 사용하였다. 두 출토복식의 바느질법에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부위별 바느질을 정리해 보면 깃 바느질은 주로 온박음질이 사용되었고, 섶은 홈질이 주로 사용되었다. 솔기방향은 겉섶, 안섶 모두 길쪽으로 된 것이 많았고, 등솔은 홈질로 바느질되었고, 입어서 오른쪽으로 솔기 처리를 한 것이 많으나 등솔이 골로 된 것도 있었다. 도련의 단처리는 겉감과 안감을 단없이 바로 연결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도련의 바느질은 대부분 홈질로 하였다. 무는 삼각무와 함께 힘을 많이 받는 곳이므로 고운 홈질과 온박음질로 하였다. 고름은 솔기 방향이 위로 향한 것과 아래로 향한 것이 혼용하여 달린 것이 대부분이고, 긴고름과 짧은 고름이 반대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누비는 고운 누비가 아니고 바늘땀이 위로 드러나기보다 안으로 바늘땀이 긴 누빔바느질로 하여 누빔도 예쁘지 않았으며 누비간격도 컸다. 다른 분묘들의 누비 바느질보다 정교하지 않았다. These excavated costumes are found at Yeongam, south Jeolla province and collected from May 21 to 22, 2015. They are belong to Naju Lim and Jeju Yang. Some costumes are shrouds and some are everyday dress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stumes such as unlined clothes, lined clothes, padded clothes, and quilted clothes. Most of Po were made by broad-stitching. For Kit(collar) and Moo(gusset) which needs firmness, backstitch was used. There i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m. Different sewing skills were used depending on the parts of costumes. Mostly backstitch was used for Kit while broad-stitching was used for Sub. Most seams were headed to the bodice. Dengsol were made by broad-stitching and most seams were headed to the right. Some Dengsol was not having cut. Lining and upper fabric of trim was connected without hem and broad-stitching was used. Moo as well as triangle Moo which needs firmness were made by broad-stiching and backstitch. Both upturned and downturned seam were used for coat-string and long and short coat-string were exchanged in some costumes. Stitching for quilting did not come into view and quilting intervals were broad. Stiching was not elaborate compared to other costumes excavated from other gra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나주 임씨 연(1587~1654) 출토복식의 형태적 특징과 바느질법

        안명숙 ( Myung Sook An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7 No.-

        본 유물은 전남 영암군에서 출토된 나주 임씨 연(1587~1654)의 남자 분묘로 조선 중기인 17세기에 해당된다. 임연은 족보에 의하면 진사출신으로 능참봉을 지낸 사람이다. 출토유물로는 저고리, 적삼, 바지, 중치막, 겹단령, 소창의, 방령, 망건과 감투 등이 있다. 총 출토유물 수량은 50건 68점이다. 나주 임씨 저고리 겉깃은 목판깃과 당코깃이 사용되었고, 안깃은 반쯤 내어달린 목판깃이 사용되었다. 길은 직선길과 사선길이 공존하였고, 소매배래도 직선배래와 사선배래가 공존하였다. 무는 삼각무와 곡선무가 사용되었다. 소창의와 중치막의 소매형태나 무형태에서도 17세기 형태적 특징이 나타난다. 17세기 출토된 소창의와 중치막의 깃형태는 대부분 칼깃인데, 출토유물 소창의는 당코깃 이다. 단령은 겉옷인 단령과 속옷인 직령을 각각 홑으로 연결해 겹단령으로 만들었다. 안에 입은 직령은 당코깃이고, 받침옷으로 사용되었다. 방령은 앞길이(119cm)가 길고 뒷길이(89cm)가 짧은 것이 특징으로 겉감은 문단을, 안감은 명주를 사용하였다. 문양이 옷 전체길이를 9등분하여 균일하게 놓여 있다. 방령은 옆트임과 뒤트임이 있으며, 소매길이는 6cm로 매우 짧았다. 바느질은 솜옷이나 누비옷이 많아 홈질이 주로 사용되었고 솔기방향은 기존 방식과는 달리 처리된 곳도 있다. 대체적으로 식서와 식서는 그대로 박아서 두었고, 홑옷은 통솔도 보인다. 수의로 입혀졌던 옷은 바느질이 대체적으로 정교하지 않았으며 푸서인 경우도 곱솔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시접을 둔 곳도 있었다. The grave belongs to Naju Lim-Yeon and made in 17th century which is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Cheogori(저고리), single-layered chogori(적삼), pants(바지), joongchimak(중치막), double-danryung(겹단령), sochangeui(소창의), bangryung(방령), mang-gun(망건) and tang-gun(탕건) were excavated from the grave. Total number of excavated relics are 68. Cheogori’s outer collar used mokpankit and dangkokit and inner collar used half-visible mokpankit. Straight bodice and diagonal bodice were both used for bodice and both straight-bearea and diagonal-bearea were used for the inseam of the sleeve. Triangle gusset and curved gusset were used for gusset. Pants is sapok-pants. Characteristic of 17th century is shown in shape of sleeve and gusset of sochangeui and joongchimak. Most of collar’s shape of sochangeui and joongchimak in these period are kalkit but this excavated sochangeui used dangkokit. Excavated danryung is double danryung which connects unlined danryung and unlined jikryung. Jikryung used dangkokit so it can be said that it was unlined clothes. Front length(119cm) of bangryung is longer than back length(89cm) and it used patterned-silk for upper and silk for lining. Pattern is equally placed in 9 places of costume. Bangryung has side slit and back slit and its sleeve length is 6cm which is very short for sleeve length. Broad-stitching is mostly used because most of costume were padded clothes or quilted clothes and some seam direction was in opposite direction of modern costume. Selvage were just sewed to each other and some unlined clothes used french seam. Sewing of the shroud was not elaborated. Some frayed ends were not double-stitched and slim margin remained intact.

      • KCI등재

        소형견 한복 패턴 개발 연구

        안명숙(An, Myung Sook),임린(Yim, Lyn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전통한복 구성에 기반한 소형견 한복 패턴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반려견 한복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여 포털사이트에 상위랭킹된 6개 업체를 선정하고 소형견 한복 사이즈 스펙, 한복 아이템, 한복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원형패턴을 실물제작하여 S, M, L 사이즈로 선별된 소형견 각 1마리씩 총 3마리와 S사이즈 모형견에 착의평가를 3차에 걸쳐 실행하였다. 착의평가자는 한국의복구성 전문가 3인과 애견사 2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 반려견 한복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소형견의 사이즈 스펙을 확인하고 평균값을 제시하였다. 아이템은 저고리치마, 저고리바지가 기본구성이었고, 구성요소는 깃, 고름을 갖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착의 평가는 앞(가슴), 옆, 뒤(등), 소매, 전체 항목으로 나누어 실시되었고, 그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소매 항목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차에 걸친 착의평가로 소매의 당김이나 군주름을 개선할 수 있었다. 셋째, 착의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기본패턴을 만들고 수정 보완하였고, 깃 배치를 위한 목둘레선, 교임을 위한 섶 여유분, 소매 구성 등을 고려하여 저고리, 소매, 치마, 깃, 고름으로 나누어 제도하였고, 최종적으로 소형견 한복 패턴을 개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anbok pattern for small dogs based on traditional Hanbok composi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procedure, six top-ranked companies were selected on the portal site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hanbok for companion dogs at an online shopping mall, and the specifications of hanbok size for small dogs, hanbok items, and hanbok component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study has implemented prerequisite bodice patterns presented with the development of bodice patterns of prior studies, and the fitting evalua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for each small dog selected in sizes S, M, and L, that is, a total of three ones and an S-sized modeling dog. The fitting evaluator consisted of thr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specialists and two dog groomers who sell dog costumes and run dog sho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tatus of hanbok for companion dogs distributed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size specifications of small dogs were checked and the average value was presented. The items for the basic composition were the Jeogori-skirt and Jeogori-pants, and the components were found to have Hanbok collar and breast-ties. Second, the fitting evaluation consisted of five categories; front(chest), side, back, sleeve, and silhouette, resulting in high scores in most categories and only sleeve catagory showed relatively low scores. Nevertheless,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pulling or wrinkle of the sleeve through three-times fitting evaluations. Third, the basic pattern was created and revis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fitting evaluation, and Hanbok pattern for small dogs was finally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Jeogori, sleeve, skirt, collar, breast-ties considering the neck circumference for the Hanbok collar arrangement, gusset ease for cross the collar to wrap up, and the sleeve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