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정책의제설정 행위자들의 정책의제 수용력과 유사도에 관한 연구

        원인재 한국정책학회 2019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대의 민주주의 국가에서 공식적인 정부의제설정 행위자인 대통령과 의회는 대중의 정책의제 관심과 선호를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과 의회, 대중으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정책의제설정 행위자들이 어떤 정책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행위자들의 정책의제가 얼마나 유사한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2010년 9월부터 2018년 5월까지 데이터를 수집해 경제, 교육, 국토개발, 노동, 보건복지, 산업, 에너지·자원 등 총 15개 정책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 정책의제설정 행위자들의 정책의제 수용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클리드 거리와 코사인 유사도를 통해 행위자들의 정책의제 유사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행위자들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정책 분야에 대한 정책의제를 표현하고 있었다. 그리고 의회는 대통령에 비해 특정 시점에서 발생한 정책 이슈에 대해서 대중의 정책의제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대통령의 정책의제는 장기적인 시간 속에서 방향성이 대중의 정책의제와 유사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통령과 의회의 민주적 대표성이 ‘누구’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넘어 ‘무엇’을 반영해야 하는가에 대한 담론의 시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美 미래 합동전투개념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합동전영역지휘통제를 중심으로

        원인재,송승종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1

        탈냉전 이후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군은 중국, 러시아 등 강대국들의 군사력이 점차 정교해지고 발달함에 따라 미래전에 대비한 작전개념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작전개념은 다영역을 교차하는 시너지효과 창출에 기반하고 있다. 미 육군과 공군이 2010년대 중반부터 각기 발전시켜온 다영역작전(MDO), 다영역지휘통제(MDC2) 개념은 2020년 들어 미 합참 주도로 미래전투개념인 합동전영역작전(JADO)으로 통합되었으며, 합동전영역지휘통제, 합동화력, 정보우위, 군수지원 등 4개의 기능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4개의 기능개념 중 합동전영역지휘통제는 공군이 추진해 오던 다영역지휘통제의 연장선에서 가장 우선순위화하여 추진 중에 있다. 미 공군이 주도하고 있는 합동전영역지휘통제 개념은 먼저, 각 군의 각종 탐지자산으로부터 수집된 방대한 양의 정보를 보안이 유지된 가운데 작전을 수행하는 모든 제대들과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지휘관의 의사결정 주기(OODA Loop)를 단축하여 상대국보다 빠른 작전템포를 유지함으로써 적의 결심체계에 딜레마를 야기시키기 위한 조직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미 공군은 이를 위해 국방부, 합참과 협조하여 공군의 첨단전장관리체계(ABMS)를 중심으로 타 군의 지휘통제체계와 연결하는 노력과 지휘통제 전문가 양성 및 교리를 발전시키고 있다. 한국군의 미래작전개념은 다영역작전을 기반으로 발전될 것이다. 따라서, 작전개념 발전 시 미국과 상황이 다른 한국은 한국의 전략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미래 작전개념의 핵심인 지휘통제를 위해 현재의 항공우주작전본부(AOC)를 모태로 한 조직 및 체계 발전과 이를 운용하기 위한 전문가 양성 계획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진료자세가 고정성 국소의치의 지대치 삭제에 미치는 영향

        원인재,권긍록,배아란,최대균,Won, In-Jae,Kwon, Kung-Rock,Pae, Ah-Ran,Choi, Dae-Gy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고정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의 지대치 삭제에 대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진료 자세를 확립하고, 치과의사의 일반적 작업 자세와 비교, 분석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를 이용하여 향후 치과의사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고정성 국소의치를 위한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고안하고 임상 경력 3-6년의 보철과 전공의 과정에 있는 치과의사 8명을 선정하여 임의의 자세로 상악 좌측 고정성 부분의치 지대치 삭제를 시행하고 연구 대상자들에게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교육하고 연구 대상들에게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로 상악 좌측 고정성 국소의치 지대치 삭제를 시행하였다. 임의의 자세로 삭제 시행한 치아와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로 삭제 시행한 치아를 KHDP 3-dimensional measuring device를 사용하여 계측해 교합면 삭제량, 변연의 폭경, 변연의 깊이 축면 경사도. 그리고 삭제시간을 측정 비교하였다. 모든 계측된 결과를 윈도우즈용 SPSS 통계 프로그램 (ver. 18.0, 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교합면 삭제량, 변연의 폭 및 깊이, 축면 경사도, 치아 삭제 시간을 평균값 및 표준편차 분석하고 T-test를 Random Position 와 Home Position에 따른 차이 검정하였다. 결과: 와(fossa) 부위에서의 교합면 삭제량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지시삭제량에 비해 적었으며, 교두정에서의 삭제량은 지시삭제량 1.7 mm에비해 많았으나, Random position과 Home position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P > .05). 변연 폭의 삭제량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지시삭제량에 비해 많았으며, Random position과 Home position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P > .05). 변연 깊이의 삭제량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Random position이 Home position에 비하여 지시삭제량보다 깊었다 (P < .05). 축면경사각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Home position의 축면 경사각이 Random position의 축면경사각보다 작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P > .05). 피어슨 상관분석 결과, Random position에서 교합면 삭제량, 변연 깊이, 축면경사각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Home position에서는 측정결과 들이 거의 독립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P < .05). Home position 삭제 횟수가 많아질수록 삭제소요 시간은 줄어들었고, 이는 실험에 참여한 8명 모두에서 Random position 삭제시간과 비슷해지거나 더 짧았다. 결론: 고정성 국소의치를 위한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삭제의 경우, 교합면 삭제량, 변연의 폭, 변연의 깊이, 축면 경사각에 있어서 Home position과 Random position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삭제시간, 인접치 인접면 손상 정도는 Home position이 Random position보다 적었다. 또한 자세분석을 한 결과 Home position이 Random position에 비하여 곧은 자세로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았다. 따라서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인 Home position의 임상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Purpose: Dentists suffer back, neck and shoulder pain during their careers due to bad operating posture. If dentists have a good operating posture ergonomically, there would be less pain and discomfort in the shoulder and back. Therefore, dentists should learn the Home position which enables dentists to approach a stable posture ergonomically. This study was to compare tooth preparation in the Home position and the Random position, and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Home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Tooth preparation for fixed partial denture was performed on the maxillary left 2nd premolar and maxillary left 2nd molar at the two different operating positions were compared. The amount of occlusal reduction, marginal width, subgingival margin depth, and convergence angle were measured. A T-test was performed separately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Random position and the Home position. Results: 1. The amounts of average thickness of occlusal reduction on fossa were deficient to the ordered ones in the Random position and the Home position (P > .05). 2. The average subgingival margin depth of prepared margin on maxillary left 2nd premolar, maxillary left 2nd molar were excessive in the Random position than in the Home position. On the maxillary left 2nd premola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andom position and the Home position except Distal midline, DL line angle, Lingual midline, ML line angle (P< .05). On the maxillary left 2nd mola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andom position and the Home position (P < .05). 3. Average convergence angle in the Random position and the Home position were excessive compared to the ordered angl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andom position and the Home position (P > .05). 4. Analysis of pearson correlation : In the Random position, the amounts of average thickness of occlusal reduction, the average subgingival margin depth of prepared margin, convergence angl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P < .05). But in the Home position, they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P < .05). 5. The time needed for preparation in the Home position was faster or equal than that of the Random position as time went on.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me position and Random position in measures of occlusal reduction, marginal width, marginal depth, convergence angle. However, preparation time and incidence of damaging adjacent teeth were less in Home position than in Random position. Therefore, if trained properly, Home position which is more ergonomically stable can be adopted for clinical use.

      •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 모델들의 특성 분석

        元寅載,朴帝賢,金正國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5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4 No.-

        Rayleigh signal fading phenomena due to multipath propa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simulated using the sum-of-sinusoids channel model. Jakes' fading channel model and Clarke's fading channel model are very simple simulators based on the sum-of-sinusoids and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It has some short-comings. Its time correlation properties based on the simulated waveform do not correspond to the statistical ones.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statistical and time properties of Jakes' fading channel model and Clarke's fading channel model are examined.

      • KCI등재

        임플랜트에 연결한 영구자석의 자력이 뼈의 세포외 기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실적 연구

        원인재,백진,권긍록,이성복,Won, In-Jae,Baik, Jin,Kwon, Kung-Rock,Lee, Sung-B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4 No.5

        Statement of problem : The use of permanent magnetics is increasing in implant dentistry. Purpose :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permanent magnetics on bone matrix formation of osteoblasts. Materials and methods : The konus abutment-shaped permanent magnetics were connected to the implant fixture, and placed on the culture plate. The osteoblast-like cell Mc3T3E1 were used for cell culture. As the control group, the implants were connected to titanium healing caps, and cultured in the same conditions of experimental group. After 3. 7, 14 days, cells were cultured, and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amount of collagen type I, osteocalcin, which is bone matrix protein by Western immunoblotting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Western immunoblotting analysis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bone extracellular matrix,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steobla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3 and 7day-osteoblast culturing. However when cells were cultured for 14days, the amount of bone extracellular matrix was increased, o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magnetic field of permanent magnetics might have effect on bone formation of osteoblast, especially at initial stage of implant placement. Therefore, their clinical application for implant or bone graft could be possible.

      • KCI우수등재

        한국 정책과정에서 의제설정의 거시동학 - 대통령, 의회, 언론, 대중의 상호작용 -

        원인재 ( Injae Won ),김두래 ( Doo-rae Kim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2

        본 연구는 한국 정책과정에서 의제설정의 거시동학(macrodynamics)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해 대통령, 의회, 언론, 대중의 상대적 영향력과 상호작용의 양태가 변화하고 차별화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통령과 의회를 포함한 정부행위자, 언론과 정부행위자, 대중과 정부행위자 및 언론의 관계로 단계적으로 확장하여 논리적 근거를 정리하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수직적 및 수평적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 경제, 교육, 국토개발, 노동, 보건복지의 5개 정책영역에서 주요행위자들이 표명하는 관심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들의 상호영향을 벡터자기회귀(Vector Autoregressive·VAR) 모형과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IRF) 시뮬레이션 및 그랜저(Granger) 인과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의제설정의 거시동학이 정책영역에 따라 차별화되면서 주도적 행위자와 다른 행위자의 관심이 수평적·수직적 차원에서 충격-반응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정책의제를 형성해 가는 인과적 과정을 밝혔다. This study seek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macrodynamics of agenda setting by analyzing the causal mechanism through which the relative influence and interactive patterns are differentiated across policy domains among such major actors as president, legislature, media, and the mass public in Korea. For this purpose, a conceptual framework is formulated to highlight macro-interactions among governmental actors, media, and the mass public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A set of original time-series data on agenda attentions are constructed in major domestic policy domains including economy, education, land development, labor, and public health and welfare. The causal dynamics in agenda setting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by using Vector Autoregressive(VAR) model, Impulse Response Function(IRF) simulation and Granger causality test. The results collectively show that the major actors’ impact-response patterns in their agenda attentions substantially vary across policy domains through diverse horizontal and vertical interactions, especially top-down and bottom-up flows of influence surrounding the legislature rather than president, despite the historical legacy of strong executive power in Korea.

      • BREW FTP Client Application 구현

        朴泓相,元寅載,朴宰賢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7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6 No.-

        Since portable wireless devices was introduced to our daily lives, there have been a great deal of progres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rea. Beginning with a simple voice call and short message service(S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progress makes various additional applications possible like web browser and e-mail services containing multimedia contents nowadays. Currently the major service area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web-based contents downloading, but it becomes necessary to store, edit and upload these downloaded contents in portable wireless devices. In this thesis, the FTP(File Transfer Protocol) client application is developed and realized that can be used in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equipped with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The portable wireless device with BREW provides a stand alone application environment independent from the manufacturer’s firmware. The realized FTP Client application suggests a way to manage and transfer various multimedia contents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in portable wireless devices.

      • KCI등재

        10 GHz Multiuser Optical CDMA Based on Spectral Phase Coding of Short Pulses

        루안완용,박재현,원인재,서동선 한국전기전자학회 200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3 No.1

        We propose an ultrashort pulse optical code-division multiple-access (O-CDMA) scheme based on a pseudorandom binary M-sequence spectral phase encoding and decoding of coherent mode-locked laser pulses and perform a numerical simulation to analyze its feasibility. We demonstrate the ability to properly decode any of the multiple (eight) 10 Gbit/s users by the matched code selection of the spectral phase decoder. The peak power signal to noise ratio of properly and improperly decoded 8 x 10 Gb/s signals could be greater than 15 for 127 M-sequence co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