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파종성 임균 감염과 급성 C형 바이러스 간염이 동반된 1례

        김기창,이충훤,서영환,이진수,정문현,최지호,문연숙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임질은 개발도상국에 흔한 질환이며 이 지역으로 여행하는 해외 여행자에서도 성인성질환의 중요 원인이다. 또한 다른 성인성 질환과 동반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임균은 대부분은 점막에 국한되는 감염을 일으키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점막외 부위에 감염을 일으키며 파종성임균 감염이 가장 흔한 전신 감염형태이다. 파종성 임균감염은 열과 오한, 피부 병변, 건활막염, 이동형 관절염으로 나타나며, 국내에서는 이에 대해 보고가 없었다. 또한 C형 바이러스 감염이 성접촉 후 발생한다는 것을 직접 증명한 예가 없었다. 필리핀 여행 후 40세 남자 환자가 발열, 다관절통, 출혈성 수포, 농포로 내원하여 활액 검사에서 임균이 관찰되어, 전신성 임균 감염으로 진단되어 ceftriaxone으로 치료하였다. 또한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 간기능 이상과 anti-HCV 양성전환을 보여 급성 C형 바이러스 간염을 진단하고 interferon-α 2b로 치료 후 증상의 호전을 보인 예를 경험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onorrhea is endemic in developing countries. Frequent sexual contacts are common among travellers to endemic countries and the risk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s gonorrhea is believed to be high. Disseminated gonococcal infection (DGI) results from blood dissemination of Neisseria gonorrhoeae from the primary mucosal infection and is a common cause of infective arthritis in sexually active adults in the USA. The usual manifestations of DGI are dermatitis, tenosynovitis, and septic arthritis. We experienced a case of DGI concomitant with acute viral hepatitis C, probably acquired by sexual contacts in Philippines. A 40-year-old man took a trip to Philippines and stayed for a week. During his stay in Philippines, a hemorrhagic bulla and several pustules developed on his extrimities. Subsequently he suffered from high fever and arthralgia of several joints, including both knee joints. Neisseria gonorrhoeae was identified by culture of an aspirate from the right knee joint and he was managed with ceftriaxone for 3 weeks under the diagnosis of DGI and gonococcal arthritis. During the follow-up at the outpatient clinic,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levels began to rise and an anti-HCV antibody became positive. Because HCV viral loads were surging up from 56,703 copies/mL to 538,292 copies/mL during the next 4 weeks, interferon-alpha 2b was administered for 6 months with resultant normal liver function tests and undetectable HCV viral loads.

      • SCOPUSKCI등재

        A Novel Translocation Involving RUNX1 and HOXA Gene Clusters in a Case of Acute Myeloid Leukemia with t(7;21)(p15;q22)

        Moon, Yeonsook,Horsman, Douglas E.,Humphries, R. Keith,Park, Gyeongsin The Korean Association of Immunobiologists 2013 Immune Network Vol.13 No.5

        Translocations involving chromosome 21q22 are frequently observed in hematologic malignancies including acute myeloid leukemia (AML), most of which have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malignant transformation through transcriptional dysregulation of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RUNX1) target genes. Nineteen RUNX1 translocational partner genes, at least, have been identified, but not Homeobox A (HOXA) genes so far. We report a novel translocation of RUNX1 into the HOXA gene cluster in a 57-year-old female AML patient who had been diagnosed with myelofibrosis 39 months ahead. G-banding showed 46,XX,t(7;21)(p15;q22). The involvement of RUNX1 and HOXA genes was confirm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 KCI등재

        1인 가구 주거공간의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유정 ( Liu Ting ),문승현 ( Moon Sunghyun ),신소현 ( Shin Sohyeon ),황연숙 ( Hwang Yeon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가족해체 및 학업과 구직기간 연장 등의 원인으로 한국 사회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개발된 1인 주택모델은 사람들 간 소통이 단절되고 단편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주택모델 중 대표적 모델인 코하우징은 상호교류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여 사람들의 교류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를 위한 중규모형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코하우징 사례조사를 통해 코하우징의 공간 유형 및 커뮤니케이션 공간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바람직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며 향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2015년 이후 설립된 수도권의 10-29명을 수용할 수 있는 중규모형 코하우징 6개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1인 가구, 코하우징에 대한 정의와 공간구성유형 중 커뮤니케이션 공간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의 공간 특성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 셋째,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6개의 코하우징 사례를 현장조사하고 이를 분석한다. 넷째, 최종적으로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구성과 공간특성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 특성을 접근성, 개방성, 상호작용성으로 분류하였다. 공간특성 중 개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첫째, 개방성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면적이 넓고 장애물이 적으며, 큰 창을 사용하여 채광을 도입하고, 흰색 벽면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개방성을 높였다. 또한 이용시간의 제한이 없으며 부분적으로 1층 카페 등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외부인의 출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개별 출입구를 통해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둘째, 접근성의 경우 대부분의 사례가 주출입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표지판을 제공하는 사례도 많다. 대부분의 사례가 교차식의 공간배치방식이어서 층마다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있어 이용이 편리하다. 하지만 일부 주택은 엘리베이터가 없이 계단을 이용하고, 계단을 활용한 skip floor 디자인을 하고 있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상호작용성의 경우 모든 거주자를 수용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한정적이었으며 조명이나 가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거주자의 목적에 따라 용도를 변경하거나 대형가구의 배치를 변화시키기 어렵다. 또한 복도나 계단아래 공간 등의 포켓공간의 활용도가 낮으며 면적이 한정되어 있어 공간 배치와 위치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 (결론) 현재 1인 가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코하우징의 공간배치와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사용자 설문이나 인터뷰와 같은 접근 방법을 통해 세밀한 디자인 지침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With this tre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single-person residence” model, the dredg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been cut off, forming one-sid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housing models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co-housing, the most representative one, activates communication by providing an exchange space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considering the co-housing communication space characteristics of a single-person family, and by investigating “sharing cases,” it puts forward the ideal planning direction of public housing communication space, which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the future. (Method)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definition of a single-person family was mastered, as well as common residence and the communication space types in the space composition types. Second, through the advance research, a checklist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communication was obtained. Third, based on the list, this paper conducted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zed six cases of shared housing established after 2015 that could accommodate 10-29 people. Fourth, we conducted the final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housing exchange space composition and obtai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 (Result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co-housing residence exchange space can be classified as proximity, openness, and interaction. In our analys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had the highest openness and the lowest interaction. First, in terms of openness, the communication space covered a large area with few obstacles. Large windows are used for lighting, and white walls are used to improve the visual openness. In addition, there is no time limit. Second, considering proximity, most of the examples provided natural access to the communication space through the main entrance, and there were many examples of available signage. Most of the examples come in the form of intersections, with communication space on each floor, facilitating its use. However, people with disabilities or older people had difficulty using it. Third, in terms of interaction, the communication space that could accommodate all the residents wa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use or layout of large furniture according to residents’ needs due to the fixed location of lighting and furniture. In addition, due to the limited area, the layout and location of the space were difficult to replace. (Conclusion) At present, there is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trend of single-member families. For this reason, we should develop further the spatial layout of co-housing and diversify the communication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forward detailed design guidelines through a user questionnaire survey or interview and other approaches in the future.

      • KCI등재

        현상학적 연출이 반영된 설치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 올라퍼 엘리아슨, 제임스 터렐, 도쿠진 요시오카 작품을 중심으로 -

        이승현 ( Seunghyeun Lee ),문자영 ( Jayoung Moon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공간은 작품과 관람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인 개념의 공간을 넘어 공간경계의 확장성과 다양한 감각경험을 이끌어내는 관람자 중심의 전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시형태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공간이론에 영향을 받은 설치작가를 중심으로 인간의 신체 즉, 지각요소를 통해 관람객들로 하여금 작품에 직접적인 개입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체험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 화이트 큐브의 물리적 공간의 제한이 아닌 자연적인 비-물질성 요소들을 결합하거나 과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전시형태를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기반으로 한 대표 작가들의 전시작품을 선정하여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향 후 전시공간의 현상학적 연출에 대한 공간지각요소를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개념과 공간지각요소에 대해 이해한다. 그 후 선행연구를 통해 설치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시연출 요소 및 공간지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공통적으로 도출된 공간지각요소인 장소, 시간, 신체감각에 따라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공간지각요소에 따른 공간 표현방법, 공간구성요소, 관람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지각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세 작가의 작품 모두 관람자를 공간 속 작품에 직접 개입시킴으로써 상호작용을 통해 관람객의 공간경험을 유도하고 있었다. 특히 비물질성 요소를 주로 활용하여 작품 자체가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고, 공간의 경계를 모호화 시킴으로써 지각을 통한현상학적 공간의 체험을 극대화하였다. 이러한 전시공간은 관람자에게 감각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유도하며, 물리적인 공간을 넘어 초월적, 유희적 공간을 체험하도록 한다. 그러나 작가에 따라 활용하는 기준과 나타내는 방법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현상학적 지각방식과 공간경험을 다르게 이끌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앞으로는 기존 전시공간의 물리적 한계와 작가 중심의 작품 연출에서 나아가 현상학적 관점으로서 관람자와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보다 다양한 체험형 전시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향후 전시공간에 있어 지각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공간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exhibit spaces have focused on spectators who can extend the boundaries of space beyond the physical concept spac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works and spectators. This type of display especially encourages viewers to directly intervene in the works through the human body, that is, the perception element, centered on the installation and influenced by Merleau-Ponty's theory of phenomenological space. This provides various experiential possibilities. This concept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space of the existing white cube, but it includes a combination of natural non-material element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o create an exhibition in which the boundaries of space are blur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erception in interaction with visitors by selecting exhibition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In addi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attempt to grasp the spatial perception factor of a phenomenological present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Method) First, theoretical review enables an understanding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space concept and spatial perception factors. Then, we analyze the elements of exhibition presentations and spatial perception that have appeared in the works of installation artists using previous research and construct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commonly recognized spatial perception elements of space, time, and the physical senses. Using this framework of analysis, the spatial expression method, spatial component, and viewing method according to spatial perception elements were analyzed. Finally,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spatial perception elements in three artists' works were analyz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oncluded that all the works of the three artists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work of the space, which enhanced the viewers’ experience of the space through interaction. In particular, using mainly non-material elements, an environment is created in which the work itself plays a role as space, and the boundaries of space are obscured to maximize the experience of phenomenological space through perception. Such an exhibition space induces new experiences through sensations and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tal and amusing spaces that transcend the physical element.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artists in the criteria and the methods used to achieve this effect. This indicates that the artists’ intentions were different from phenomenological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space. (Conclusion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experiential exhibition form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pectators and objects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at transcends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xhibition spaces and artist-oriented works. This suggests that in the future, exhibition spaces can present the space paradigm in a way that adds new value through perception.

      • A Preliminary Study on the Prognostic Impact of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Lung Cancer Patients

        ( Woo Kyung Ryu ),( Hae-seong Nam ),( Mi Hwa Park ),( Jun Hyeok Lim ),( Jung Soo Kim ),( Yeonsook Moon ),( Jeong-seon Ryu ),( Seung Min Kwak ),( Hong Lyeol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21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9 No.-

        Purpose Inflamm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umorigenesis and is now characterized a hallmark of cancer. Accumulating evidence have demonstrated that the serum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s (sNLR) among systemic inflammatory markers have prognostic significance in various cancers. However, no study on the prognostic impact of NLR of BAL fluids (bNLR), which may be provided worthwhile information of local inflammation of tumor origin, in lung cancer patients have been reported thus far. Method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prospectively collected BAL fluids. The optimal cutoff values for NLRs were determined using the maximally selected rank statistics of R software.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high bNLR and low bNLR groups, and clinic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orrelation with survival. Result The study included 48 lung cancer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High bNLR and sNL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se overall survival (OS) (p = 0.020 and p < 0.001, respectively, figure 1 and 2).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worse OS: performance status 2-4 (p < 0.001), former or current smokers (p = 0.028), advanced TNM stage (p = 0.001), high c-reactive protein (CRP) (p < 0.001), and hypoalbuminemia (p = 0.014). A multivariable analysis confirmed that CRP (p = 0.029), sNLR (p = 0.009), bNLR (p = 0.008), and TNM stage (P=0.002)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O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high bNLR, like sNLR, i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adverse OS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has investigated the prognostic value of the bNLR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Furthermore, this result may serve as the cornerstone of further studies using BAL fluids obtained by liquid biop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