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경제기구 가입과 무역개방도:정치경제학 접근

        황진영,양현석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9 No.2

        The growing trend toward globalization not only has aggravated the interdependence among countries but also has increased the rol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lthough there are many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paradigm of international politics, most of the studies are based on theoretical arguments or case studies. Hence,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the affiliation to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are selected based on a few criteria, namely, Committee on Banking Regulation and Supervisory Practices, World Trade Organizatio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on the degree of trade openness, measured by the trade volume (i.e., the volume of trade (export + import) as a percentage of nominal GDP). Specifically, we establish a hypothesis based on the existing theoretical arguments as follows. That is, “realism means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affiliation to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degree of trade openness, whereas the liberalism implies that there does not exis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ffiliation to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degree of trade openness.” To empirically test the above hypothesis, we estimate the impact of the affiliation to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in 1995 on the average trade volume for the periods of 1995-2000 or 1995-2005. Using cross-section of 136 countries, the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a country with the affiliation to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has a lower level of trade opennes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affiliation to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a negligible effect on the change of trade openness (an average value for the period of 1995-2005). These results are supporting to realism among the paradigm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Therefore, in relations of international econom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not a trigger to bring on substantial increases of trade volume, but provide a kind of specific standard. 세계화 진전으로 국가 간 상호의존이 심화된 상황에서 국제기구의 역할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비록 현실주의․자유주의․구성주의 등으로 대표되는 국제정치 패러다임 속에서 국제기구의 효용성과 한계점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지만, 선행연구는 이론적 측면만을 강조하거나 사례분석에 집중됐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국가 간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4개의 국제경제기구(몇 가지 기준에 근거해 설정한 국제경제기구, 즉 은행규제감독위원회․세계무역기구․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국제개발협회) 가입이 무역개방도(무역량, 즉 “GDP 대비 무역(수출+수입)량의 비율(%)”로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자유주의 패러다임에 의하면 국제경제기구가 무역개방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현실주의 패러다임에 의하면 국제경제기구가 무역개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가설을 설정했다. 또한 이상의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1995년 기준으로 국제경제기구에 가입한 국가가 이후 6년 혹은 11년 동안 무역개방도 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추정됐다. 실증분석 결과 국제경제기구에 가입한 국가의 무역개방도 수준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관측됐다. 또한 본 연구는 국제경제기구 가입이 무역증가율에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는 국제정치 패러다임 중에서 현실주의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경제 관계에 있어 국제경제기구는 특정한 기준을 제시할 뿐 실질적인 무역량 증가를 유도하지는 않았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일 전시주최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창원,김봉석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1

        무역전시회의 주요 3요소 중 전시주최자는 전시회를 기획하고, 참가업체를 유치하며, 전시회를 운영하는 등 전시회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 최자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참관객과 참가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 족한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를 중심으로, 그 중에서도 국내에 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온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단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 전시주최자의 경우 전시장을 보유한 메세의 전시회 개최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국내 전시회의 경우 민간전시사업자의 전시개최 비율 못지않게 일 반 산업을 대표하는 기관인 업종별 사업자단체의 비중 또한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내 전시주최자로서 업종별 사업자 단체에 관한 연구는 이들 기관의 공공적 성격과 해당 산업의 대표기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은 충분하다. 우리나라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개최는 70년대 정부주도의 제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수출 진흥 및 해외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전시회가 전무하던 우리나 라에 전시산업의 터전을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제조업 중심의 무역 확대를 통하여 우 리나라 경제성장의 일부분을 담당해 왔다. 이러한 전시주최자로서 사업자단체는 민간전시사업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실제 개최되는 전시회를 대상으로 한 통계자료에 따르더라도 사 업자단체의 전시 개최 비율은 전체 전시회의 약 20%에 이를 정도로 전시산업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개최 또한 수익구조 및 조직구성 등 일정부분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단체의 전시회 운용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독 일의 유수 전시 주최기관처럼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역량은 전시회 개최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새로운 시도를 통해서 가능하며, 세 방향으 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전시주최자로서 국내 사업자단체의 ‘특수성’을 활용해야 하며, 둘째로 전시회 ‘참관객 프로모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사업자단체들이 주최하는 전시회의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Of the three main elements of the trade show, the organizer is a key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rade show, such as planning & operating it and attracting exhibitors.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organizers, it is still relatively inadequate compared to researches of the visitors and exhibit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hibition organizers, especially "Business Associations by industry(B.A.)" as an organizer developed into a unique form in Korea. In case of trade show organizer in Germany, Messe which is a venue owner has a fairly high ratio of holding trade show.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rean trade shows, the proportion of holding trade show of B.A. that represent the general industry is as high as that of private-exhibition-compani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the study on B.A. as a trade show organizer are sufficient given the public nature of them and the fact that they ar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of the relevant industries. Holding a trade show of B.A. in Korea started as a part of export promotion and overseas marketing activities in response to manufacturing promotion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n 1970s. These B.A. have not only laid the foundation of trade show industry in Korea, but also played a part of the economic growth through the expansion of manufacturing-oriented trade. B.A. as the organizer of the trade show account for the second largest share followed by private-exhibition-companies. And even if following the statistical data for actual trade shows held each year, the exhibition holding ratio of them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de show industry to about 20% of the total trade show. However, in terms of holding trade show, these B.A. also have limitations such as profit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organization. Therefore, new marketing strategi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like the organizers of leading trade show in Germany in order to enhance the exhibition management capabilities. These competencies are possible through aggressive investment and new attempts, an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in three ways. Fir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uniqueness' of the B.A. as the organizer of the trade show in Korea.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from exhibitor promo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visitor promotion. Lastly,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in the trade show hosted by B.A. should be preceded.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도시주민 조직 방식의 형성 -건국(建國) 초기(初期) 북경(北京)의 공회(工會)를 중심으로

        윤형진 ( Hyong Jin Yo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7 No.-

        中共은 北京에서 接管이후 市總工會를 정점으로 하는 工會조직의 건설을 추진하면서 처음부터 업종별 조직을 만든다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도시주민의 조직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공회는 도시주민의 주요한 조직 형식으로 상정되고 있었다. 中共지도부는 생산의 발전과 함께 노동자가 도시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망 속에서 공회는 단순한 직업조직을 넘어서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한시적인 노동 현장에까지 공회가 조직되었다는 점은 중공과 시총공회가 공회를 도시 노동자들의 보편적인조직 방식으로 관철시키려는 의지가 강했음을 잘 보여준다. ‘公共戶口’라는 형식의 인구 관리 방식 역시 공회가 가지는 주민조직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그러나 공회의 조직에는 한계가 있었고 공회로 조직된 도시주민의 다수도 분산되어 있었다. 五反運動은 사영 기업에서 공회 조직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사영 기업 및 공회에 대한 중공의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분산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당과 市總工會의 사영 기업 공회에 대한 개입이 강화되면서, 공회 계통의 조직구조 문제가 제기되었고 결국 공회의 조직 원리의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즉 區이하의 공회 조직이 업종별 조직에서 지역별 조직으로 바뀌었다. 지역을 단위로 하는 직업조직의 건설은 중공의 통치 하에 등장한 새로운 현상이었다. 이는 공회라는 형식을 통해서 도시주민을 조직한다는 중공의 방침이 현실적 조건과 타협하면서 만들어 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공회라는 틀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지역에 따른 조직이라는 원리를 끌어들인 것은, 街道居民委員會및 街道辦事處의 설립과 궤를 같이 하는 변화였다. After the CCP took over Beijing, they planned to set up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ofessions under the Beijing Federation of trade unions. The trade unions were considered to be a primary element in terms of this organizational aspect when focusing on the organizational aspect of the urban residents. The CCP leaders foresaw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of cities to comprise mostly of laborers due to the advent of the industrial base. In this regard, the trade unions were seen more than just being an ordinary form of union. By observing unions even amongst temporary laborers, it shows that the CCP and the Beijing Federation of trade unions were adamant in utilizing trade unions in organizing the urban residents. Population control methods called ‘Gonggonghukou(公共戶口)’ shows the aspects of resident organization of the trade unions. Bu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trade unions were not strong, and the urban residents that were organized were disseminated as well. Not only did the Five-Anti campaign have the effect of the trade unions becoming stronger amongst the private enterprises, but also led to the increase of CCP’s influence over the private enterprises and the trade unions. As the intervention of the CCP and trade unions in relation to the private enterprises became stronger amidst the dispersibility, serious questions were raised in regards to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trade unions, which ultimately led to changes in how they were organized. To put it simply, the trade unions, which were originally organized under professions, were reorganized into regional organizations. This form of organization that used regional sections was a new form of governance under the CCP’s rule. It can be seen that these changes were a result of the CCP caving in to the many factors of the socio political conditions and making changes to their plan of organizing the urban residents using trade unions. By not completely giving up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rade unions and incorporating regional aspects, it went along side by side with the establishment of jiedaojuminweiyuanhui (街道居民委員會) and jiedaobanshichu(街道辦事處).

      • KCI등재후보

        노동조합 조직변경에 관한 법리 고찰 -초기업노조 산하 지부와 기업별노조간의 조직변경을 중심으로-

        박진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12 노동법포럼 Vol.- No.8

        Trade union’s organization form is often transformed in practice but only few specific cases are at issue so it is neglected in academic circles and business. The summariz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 form is originally to “change the form to another type of organization without dissolution procedures”, secondly, change in rules of transforming the scope of the members of union is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organization form transformation, and thirdly, "maintaining identity of organization" is not a “requirement”in terms of organization form transformation but an “effect”. Therefor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 form is only available if it can accept effects of “maintaining identity”. In addition, regarding “organization transformation between the transcendent enterprise-affiliated trade union that has no independent organization coordination and the trade union of companies” as mentioned in the beginning,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 form should be not juridical basically but solved by “legal principles of merger between trade unions or demerger”. However, if this is not proper to solve, then it needs to solve on the legal principle of ‘a new union formation after withdrawing from the union" and build a new legal principle of “trade union division” like Japanese law in the long term.

      • KCI등재

        Estimation of trade exhibitions by foreign organizers in Bangladesh and lessons for Korean organizers’ business expansion

        익발 뷰얀,윤기관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2

        최근들어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은 급성장하였다. 현재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발 전은 비록 초기 단계에 놓여 있지만 비약적인 발전 가능성 측면에서는 큰 잠재력을 보 여주고 있다. 전시산업은 관광 및 오락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국 민경제의 발전에 있어서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국내외 무역전 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많은 무역전시를 개최하였다. 무역전시회 관련 다른 무 역 기관이나 협회들도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해 무역전시주최자로서 역할 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는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전반적인 상황 을 분석하고, 국내외 전시주최자들의 무역전시회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며, 둘째는 한국 의 무역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성공적인 무역전시회를 론칭하기 위하여 필요 한 몇가지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 데시에서 이루어 놓은 무역전시 활동에서의 커다란 기여를 제시하였다. 역사적으로 한 국은 방글라데시의 좋은 무역파트너이고, 방글라데시의 기성복 의류산업의 초기단계 발전에 있어서 독보적으로 기여하였다. 따라서 한국 무역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 서 무역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방글라데시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많은 한국 기업 들이 혜택을 입어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 발전에 있어서 인상적인 발자국을 남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 정부가 방글라데시 무역전시 산업의 발전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을 현실화시켜 방글라데시 무역전시산업이 더욱 선진 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원조직과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has witnessed tremendous development in the recent years. Although the industry is currently at a nascent stage in terms of developmental typology, it has huge potential to develop. Having the direct impact o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sector, the industry was already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national economy. Throughout the years, a significant number of trade exhibitions are organized by both local and foreign organizers. Different trade bodies and associations are also working as exhibition organizers to develop this important industr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raw out an overview of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analyze trade exhibition activities of local and foreign organizers, explore the conditions for launching successful trade exhibition opening in Bangladesh, and provide suggestions for Korean organizers to expand their organizing business in this market. The paper finds out that foreign exhibition organizers have a great role in the recent development of exhibition activities in Bangladesh. Historically Korea is a good trading partner of Bangladesh and contributed solely in the first phase development of ready-made garments (RMG) industry of Bangladesh. Thus,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have also great opportunities to make a strong foot print in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realizing the benefits from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Bangladesh. In particular, the analysis suggests that Bangladesh Government should develop a variety of supporting systems and programs for making the country’s trade exhibition industry more advanced through realizing its own potential and growth feasibility.

      • KCI등재

        복수노조시대의 유니언 숍 협정과 단결선택권에 관한 해석론과 입법론

        양성필 한국사회법학회 2019 社會法硏究 Vol.0 No.38

        헌법 제33조 제1항의 단결권은 집단적 단결권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노동조합의 조직강제가 인정된다. 조직강제의 유형은 다양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1964년 당해 사업장 근로자의 3분의 2 이상을 대표하는 노동조합에 대하여 유니언 숍 협정의 체결을 허용하는 규정이 최초로 도입되었다. 유니언 숍제도는 1980년 폐지되었다가, 1987년 유니언 숍 협정을 통한 노동조합의 조직강제는 인정하면서도 노동조합으로부터 제명된 근로자에 대해 불이익조치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부활되었다. 이러한 유니언 숍 제도는 위헌성여부가 문제되었으나, 2005년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33조 제1항의 단결권은 소극적 단결권을 포함하지 않고, 노동조합에게 조직강제권을 인정한다고 해도 근로자의 소극적 단결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합헌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2006년 복수노조시대에 대응하여 ‘그 노동조합으로부터 탈퇴하여 새로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다른 노동조합에 가입한 자에 대한 불이익 조치를 금지’하는 내용이 추가되어 유니온 숍 제도가 노동조합의 조직강제권과 근로자의 단결선택권이 조화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은 선제적 입법조치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유니언 숍 제도제도와 최근 서울행정법원은 법문의 형식적 의미를 중시하여 유니언 숍 협정 체결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고 다른 노동조합에 가입한 근로자를 사용자가 면직처분한 행위는 정당하다고 본 반면, 서울고등법원은 법문의 실질적 의미를 단결선택권을 보장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앞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해고는 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판결들은 복수노조시대에 유니언 숍 제도와 단결선택권의 문제에 대한 해석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복수노조의 허용은 단결선택권이 온전히 행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유니언 숍 제도도 근로자의 단결선택권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법문의 표현 자체에 집착하지 말고, 해당 조항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해석하여 근로자가 단결선택권을 행사하여 지배적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그 노동조합에의 가입・탈퇴여부를 불문하고 그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보아야 한다. 나아가 노동조합법 제81조 제2호 단서 중 ‘그 노동조합을 탈퇴하여’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법문상으로도 근로자의 단결선택권이 완전히 보장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 노동조합의 조직강제권과 근로자의 단결선택권이 조화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될 필요도 있다.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defines the right to organize. Compulsion of organization by the trade union is allowed as the right to organize includes collective right to organize. In this context, the proviso of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Section 82(2) prescribes that in cases where a trade union represents more than two-thirds of workers employed in the same business, the conclus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under which a person is employed on condition that he/she becomes a member of the trade union shall be allowed as an exception. In this case, the employer shall not put the worker in any disadvantageous position in terms of status, on the ground that the worker has been expelled from the trade union, or has withdrawn from the trade union to organize a new trade union or to join another trade union. There was a constitutional appeal in relations to this cl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clause is constitutional in 2005. In relation to the clause,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Seoul High Court concluded different decisions.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decided that the dismissal to the employee was lawful on the ground that the employee joined the minority trade union without subscription to the majority trade union. But the Seoul High Court concluded that the dismissal was unfair because the substantial meaning of the clause is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select a trade union.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right to select a trade union can be exercised fully in the multiple trade unionism,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ight to select a trade un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union shop system. Accordingly, an employer can not dismiss the employee that joined a minor trade union without subscription of major trade union. The revision of the clause is needed in order to make clear the point.

      • KCI등재

        유니온 숍 협정과 부당해고, 부당노동행위

        임상민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0 노동법포럼 Vol.- No.31

        Article 81, Paragraph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stipulates compulsory membership provisions, such as the union shop agreement, as one of the unfair labor practices. However, union shop agreement entered into by a dominant trade union is considered to be valid as an exception. According to interpretation of the above clause, union shop agreement might apply to the act of a new employee who directly establishes a new trade union or joins another trade union without first joining and withdrawing from the dominant trade union. In this case the dispute was over the issue of whether the dismissal of a new employee based on the union shop agreement was an unfair dismissal or not, where the employee had joined another trade union without first joining and withdrawing from the dominant trade union. The trial court decided that the firing was not an unfair dismissal because the union shop agreement justified it. On the contrary, the appellate court decided that it was an unfair dismissal.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it was an unfair dismissal based on a limited interpretation where it was found that the union shop agreement can only be applied to a new employee who has not joined any trade union. It appears th Supreme Court’s decision is rational based on the reasons belows. 1) It is a global trend to limit the effectiveness of the union shop agreement and it also corresponds to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trade unions. 2) It is necessary to protect employee’s right to work and right to choose the traded union by controlling employer’s dismissal. 3) Employer’s positive right to organize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union’s positive right to organize should be treated equally among plural trade unions. I hope that based on this ruling, the meaning of the right to unite, especially passive right to organize, will be contemplated and debated deeply. It is necessary, in my view, to regulate the union shop agreement as an unfair labor practice altogether, because passive right to organize should be protected equally to the positive right to organize.

      • KCI등재

        무역지원 확대를 위한 국내 무역보험 교육의 탐색적 연구

        곽수영,강성주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무역보험 교육현황을 살펴본 후 무역지원을 담당하는 무역유관기관과의 협업과 지원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를 탐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와 2년제 대학교를 포함한 국내 대학교 무역관련 학과의 무역보험 교과목에 대한 커리큘럼을 홈페이지를 통해 전수조 사 하였으며, 각 지역별 무역업체 수를 파악함으로써 무역지원의 지역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무역지원확대를 위해서는 먼저 대학교 무역보험관련 교과목의 개설이 요구되며, 무역유관기관 과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역지원관련 교과목의 추가 개설이 필요하였다. 또한 무역기업의 지역적 분포와 해당 지역의 대학교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실무적 무역교육이 진행되는 것이 잠재적 측면에서 요구되고 있음을 제언하였다. 향후 과제로는 국내 무역유관기관에서 행하고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탐색할 수 있는 대학교의 교과목의 부재는 잠재적인 무역인의 역량을 저해하는 것으로 서 향후 각 기관의 무역지원 성과를 실증분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a political task for collaboration with related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 that takes charge in trade support and enlargement of support after searching education status of international trade insurance in local university. For those researcher carried out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hrough university homepage about curriculum of senior college and junior college in local department of related international trade. Figuring out the number of each areal international trade companies and found are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bout trade support. To enlarge international support it required to establish a related subject of international insurance and needed additionally to open related trade support subject which secures the link with related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 Besides,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it needed practical trade education potentially through areal distribution of international trade companies and organic link of university in the area. Further work should include empirical study about performance of trade support for each organization as lacking of university subjects which is able to explore a various support projects from local related trade organizations impede competence of trader potentially.

      • KCI등재

        시장지향성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전시주최자의 경영성과와 신규 전시회 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해석 ( Hae Seok Lee ),김봉석 ( Bong-seok Kim ) 한독경상학회 2020 經商論叢 Vol.38 No.4

        최근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전시주최자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시장에 대한 이들의 관심 증대는 인적ㆍ물적ㆍ네트워크 자원에 있어 비교 열위에 있는 국내 전시주최자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전시주최자의 경영성과와 이에 대한 중요한 영향요인인 시장지향성, 기업가적 지향성, 신규 전시회 개발역량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인간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전시주최자협회 회원사 임직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이메일 및 회원사를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32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설계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17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데이터 클리닝을 통해 최종 163개의 유효표본을 구조 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장지향성은 전시주최자의 경영성과와 신규 전시회 개발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기업가적 지향성은 전시주최자의 경영성과와 신규 전시회 개발역량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아울러 신규 전시회 개발역량은 전시주최자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국내 전시주최자들이 미래의 잠재 경쟁자인 글로벌 주최자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과감한 투자활동, 제도개선, 제안 및 보상활동을 강화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신규 전시회 개발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creasing business opportunities are turning the attention of global leading trade show organizers toward the Korean exhibition market as well as those of other Asian countries. It is prospected that recent market movements will negatively affect domestic trade show organizers competing against global tycoons that have comparatively more advanced human, capital and networking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business performances of domestic small-to-medium trade show organizers and factors such as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ceding studies were conducted to discover that market orientati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NPD capabilities are feasible factors that affect domestic trade show organizers’ business performances. A survey of 163 domestic trade show organizers was conducted, and a structured equation model (SEM) was used for verification after setting hypotheses. The empirical study suggests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NPD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s of domestic trade show organizers. On the other hand, market orientation was not proved to have any influence on either factor.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NPD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s of domestic trade show organizer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exploratory research clearly suggest that domestic trade show organizers should strongly invest in expanding resources, R&D and incentives to increase their own NPD capabilities.

      • KCI등재

        전시주최자의 마케팅믹스가 전시참가업체의 만족도와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정은(Jung Eun Yang),김봉석(Bong Soek Kim)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9 호텔경영학연구 Vol.18 No.3

        The perception of trade show is growing around the globe and many countries focus more on developing and supporting their trade show industries. In Korea, while the trade show industry has quantitatively highly grown up over the years, the qualitative growth is behind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the intense competition among the trade show organizer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makes organizers difficult to acquire exhibitors and visitor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trade show industry, we need to provide high quality trade show. For this, trade show organizers have to map out marketing strategy to acquire high quality exhibitors and visitors. Particulary, exhibitors are very important customers to organizers and a good indicator of trade show`s suc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organizer`s marketing mix elements which satisfies exhibitor`s participation in the show and to stimulate their intention to reparticipate in the next show and recommend the show to others. To this goals, this study kept a literature survey and a demonstrative research. In literature survey, there are definitions of trade show, organizers, exhibitors, marketing mix,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earch model is derived from selected factors of marketing mix and former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 of trade show organizer`s marketing mix on exhibitor`s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exhibitor`s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 could be used to set up the new marketing mix strategy for acquiring the exhibi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