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우만의 액체근대론과 벡의 성찰적 근대화론 비교 연구

        손경미(Son, Kyoung Me)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2 No.-

        최근에 위험은 전 세계적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위험의 일상화와 지구화에 대한 벡의 논의와 위험의 유동적인 공포에 대한 바우만의 논의는 이 시대에 성찰성을 제공한다. 이들은 위험사회에 대해 상반된 입장에서 논의하고 있다. 벡은 위험사회가 근대성과 산업사회의창조적 파괴성에서 야기된 것으로 이해한 것에 비해 바우만은 근대성의 실패와 탈근대성의 유동적 특징에 의해서 분출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개인화는 성찰적 개인화에 의해서 위험에 대한 해결가능성으로 제시한 벡의 논의와는 달리 바우만은 개인화를 위험사회의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벡의 성찰적 근대화론과 바우만의 액체근대론을 고찰하고 다음은 양자의 개인화와 위험사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두 이론의 위험사회를 검토할 것이다. 이런 논의의 연장선에서 액체근대론의 탈근대성에 대한 관점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es to discusses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of postmodern society. Actually,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are production of modernity. I will centrally examine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on Reflective Modernity of Beck and Liquid modernity of Bauman. Two theorists have different view of postmodernity. First, Beck’ view has a creative destruction but Bauman’ view has a chaotic creation of postmodernity. Second, Beck has synthesis but Bauman has a dichotomy of structure and act. The former indicates solution posivility of reflective individualization and the latter indicates a new inequality, especially winner/loser, insider/outsider, inclusive/exclusive, sufficent/surplus, legislator/interpreter, etc. Bauman’s dichotomy view has an ad hoc of modernity. First, I wish to examine Reflective Modernity of Beck and Liquid modernity of Bauman. Second, 1 will study of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of two theories. Third, I wish to examine comparative studies of Reflective Modernity of Beck and Liquid modernity of Bauman. This paper seeks to help new society formation through examine specially and criticize works of Bauman.

      • KCI등재

        광고의 개인화 수준이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정동아,김하연,이상우 한국정보사회학회 2022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3 No.2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personalization level of personalized advertising on users' perceived benefits, risk factors and acceptance intentions. Onlin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people in their 20s and 30s. Specifically, personalized advertisements were manipulated at three levels based on the degree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between-subjects designed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ly. User’s awareness of personalized advertising was divided into benefits (informativeness, trust, entertainment) and risk factors (privacy concerns, intrusion) by applying the privacy calculus model. Users who encountered personalized advertisem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and then analyzed the users’ perceptions in each group of how they felt about the advertisem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benefit factors of personalized advertising, informativeness, trust, and entertainment were higher as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increased. Interestingly, privacy concern, one of the risk factors for personalized advertising,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 following sequence of personalization-levels : mid-level group, high-level group, and low-level group. This means that privacy concern is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personalization, and the lowest in the group with an intermediate level of personalization. These results give us some implications. First of all, the usage of Instagram search history leads to targeted advertisements for me. In the end, the more my search records accumulate, the more likely I will be exposed to personalized advertisements aimed at me, which means that it can lead to invasion of my privacy. In addition, users who have encountered medium-level personalized advertisements using search, gender, and age data can positively recognize this advertisement.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people exposed to mid-level personalized advertisements may have a positive perception that personalized advertisements have obtained the new information they need, rather than feeling that they violate my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benefits and risk factors of personalized advertisements on the advertisement acceptance intention, the higher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advertisements as personalized advertisements provide appropriate product information, and feel reliable and entertaining. On the other hand, privacy concer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dvertising acceptance intention, while intrusion negatively affected acceptance intention. This means that feeling that one's online activities have been hindered by personalized advertising has a greater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than concerns about privacy.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this study academically proved that the user's percep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of personalized advertisements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use.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have rarely been dealt with i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was investigated. 본 연구는 개인화 광고의 개인 정보 활용 정도에 따라 이용자의 혜택 및 위험 요인 인식이 광고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 정보 활용 정도에 따라 개인화 광고의 수준을 고ᆞ중ᆞ저 세 가지 수준으로 조작한 후, 20-30대를 대상으로 집단 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인화 광고에 대한 이용자 인식은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토대로, 혜택(정보성, 신뢰 성, 오락성)과 위험 요인(프라이버시 우려, 침입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화 광고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의 혜택 요인인 정보성과 신뢰성, 오락성을 높게 인식 하였다. 개인화 광고의 위험 요인 중 프라이버시 우려는 흥미롭게도 개인화가 가장 적게된 광고를 접한 집단(저 집단)에서 가장 높게, 중간 집단(중 집단)에서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광고의 혜택 및 위험 요인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개인화 광고가 적절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오락적이라고 느낄수록 광고에 대한 수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우려는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침입성은 수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보다 개인화 광고 로 인해 자신의 온라인 활동을 방해 받았다고 느끼는 것이 수용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개인화 광고의 개인 정보 활용 정도에 따라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수용의도가 달라짐을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에서 자주 다뤄지지 않았던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와 ‘하위 정치’의 마키아벨리즘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4 No.-

        이 논문에서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이론을 그동안 많이 조명되어온 ‘위험’의 관점에서보다는 사회이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결속 형태의 변화이다. 벡은 개인화 테제를 통해서 위험사회의 위험이 생태적 위험인 동시에 사회 통합의 위험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혔다. 자본주의 산업사회가 생태계를 착취하고 타자화함으로써 생태계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생산했다면, (노동)시장의 논리가 사회세계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게 됨으로써 계급적 결속력과 국민국가의 결속력, 가족의 결속력을 모두 약화시킨 것으로 본다. 이것은 개인들을 제1근대성의 준신분제적 구속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인 동시에, 그들을 새로운 빈곤과 불안으로 몰아넣는 이율배반적 과정이다. 그러나 맑스와 베버가 목격했던 근대 초기와 달리 현재의 이러한 이율배반은 생태계의 파괴와 인류의 절멸 가능성이라는 인류 공통의 막다른 골목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위험사회를 산업사회로부터 구별하는 시대적 특징이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계급과 민족을 초월한 보편적 사회연대의 가능성을 강압하는 실존적 조건을 이루며, 다른 한편으로는 위험을 정의하고 규정하는 담론 정치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하위 정치의 공간을 여는 근거가 된다. 위험의 담론 정치, 하위 정치는 의사소통의 성찰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근본주의 등 파시즘적 요소들을 결집시킬 수 있는 반동적 가능성 역시 포함한다. 이러한 정치적 충돌의 가능성으로 인해서 위험사회의 하위 정치는 도덕 정치의 성격이 아니라 마키아벨리즘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것으로 필자는 이해한다. Ulrich Beck’s risk society deals with not only ecology dangers, but also a danger of social disintegration. This represents the thesis of individualization. As the capitalism of industrial society has produced ecology risks, so the growing (labour) market erodes the unity of a class, a national state and a family. Individualization means a freedom from a traditional class and family identity as well as a drop into a new poverty and uncertainty. This differs, however,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of Marx and Weber, for today the individualization occurs in front of a real existing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catastrophe. This possibility of a humankind’s disaster works, paradoxically, constructive for a universal solidarity of societies. On the other hand, as the possibility of disaster is only one thing that is real, other aspects of danger (definitions, measuring, prevention, etc.) depend on knowledges and discourses. This transforms the political into sub-politics. And this way to a second, reflexive modernization is in fact an ambivalent process of political confrontations. What we expect in this process, is, I think, a new era of Machiavellism, and not a era of moral politics.

      • KCI등재

        개인화의 두 유형에 관한 연구

        심영희(Young-Hee Shi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3 No.-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개인화와 공동체 사이의 관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 이를 벡(Beck)의 개인화 이론과 연결시켜 그 의미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1) 한국 여성 노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개인화의 유형을 구별한다. 2) 개인화에 영향을 주는 밀어내는 요인(push factor)과 끌어당기는 요인(pull factor)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여성 노인의 개인화의 특징을 밝힌다. 3) 아울러 한국의 경험을 서구의 개인화 이론과 비교한다. 이 연구의 자료는 2011년 11월 11일부터 2012년 3월 20일까지 여성 노인 17명에게 실시했던 생애사 관련 심층면접 자료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마주친 위험의 유형에 따라 “가족 중심 생존 지향형 개인화”와 “황혼 및 가정 내 이혼형 개인화”가 구별되었다. 둘째, 개인화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담론적 요인에 관해서는 “가족 중심 생존 지향 개인화” 의 경우, 자식들에게“가난을 대물림 하지 않겠다는 열망”, “결혼한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고 싶다는 생각”이 특히 중요하게 나타났다. “황혼 및 가정 내 이혼형 개인화” 유형에서는 복지관을 통해 얻은 삶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친구 관계가 특히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두 유형의 개인화의 특징을 보면 “가족 중심 생존 지향형 개인화”는 서구의 자아 중심적 자유주의적 개인화와 상당히 다른 모습이고, “황혼 및 가정 내 이혼형 개인화”는 근접한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보면 대상은 다를지라도 강한 가족지향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한국사회의 개인화는 서구의 개인화와 다른 특징을 보인다. This study is aimed at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zation and family community in Korean society and discuss its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Beck’s individualization theor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aimed at studying which type the individualization of Korean elderly women can be classified into, what are the factors which push and pull them toward individualization, and how their individualization can be characterized, and through this to compare the individualization of Korea with that of Western society. In oder to do thi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o 17 elderly women who go to welfare centers in Seoul from November 11, 2011 to March 20, 2012.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risks and effort, two types of individualization, were found out, that is, “family-centered survival type” and “twilight and domestic divorce type”. Second, as to the push and pul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individualization, aspirations not to pass down poverty to children and aspirations not to be a burden to the married children we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family-centered survival type”, and visions for a new life and formation of new friends though welfare centers, we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twilight and domestic divorce type” Third,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types of individualization, “family-centered survival type” seems quite different and “twilight and domestic divorce type” seems similar to the self-oriented liberalist individualization of the west.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they seem to share a strong family relationship. In these respect individualization of Korea can be sai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 KCI등재

        An Empirical Study on Individualization and Causal Structure of Risk with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Sang Do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1

        이 연구는 국민정체성과 애국심, 정치성향,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정치 및 대외관계 위험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력을 복합적⋅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분석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 및 대외관계 위험의 실제노출은 진보성향과 교육년수는 정의 인과적 영향으로 소득은 부의 인과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 및 대외관계 위험의 정부대처능력은 실제위험노출은 정의 인과적 영향으로 애국심은 부의 인과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 및 대외관계위험의 본인위험발생 가능성은 정부대처능력과 실제위험노출이 강한 정의 인과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보성향, 교육, 소득은 실제위험노출에 매개되어 정부가 잘못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제위험노출, 애국심, 진보성향, 교육, 소득이 정부대처역량에 매개되어 본인에게 닥쳐올 위험가능성이 높게 형성되었다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national identity, patriotism, political orientation, socioeconomics, risk with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gressive orientation and educ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tual exposure to risk with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risks, while Incom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ctual risk exposure. Second, the government’s coping capac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actual risk exposure but negatively related with patriotism. Third, both the actual risk exposure and government’s coping capac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isk possibility. Forth, Patriotism and educ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government’s coping capacity, via the actual risk exposure. Fifth, The actual risk exposure, patriotism, progressive orientation, education and incom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isk possibility, via the government’s coping capacity.

      • KCI등재

        위험과 성찰성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6 No.-

        1990년대 이후 활발한 한국의 위험 또는 위험사회에 대한 논의 속에는 근대화론에서부터 개인주의 비판까지 상호 이질적인 관점들이 압축적으로 융합되어있다. 이것은 위험이 이론적 문제가 아니라 우선적으로 실증적이고 경험적 문제라는 사회학의 통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위험 또는 위험사회에 대한 논의를 한 단계 더 심화하기 위해서는 위험과 성찰성의 사회이론들에 대해 변별력을 갖추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하여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등장한 ‘위험’ 이슈를 관찰하는 세 명의 사회학자들을 비교하고자한다. 벡과 기든스는 이미 별도의 저서를 통해 특히 ‘성찰성’ 개념과 관련하여 자신들의 이론적 차이를 강조한 바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 둘의 차이는 거의 인식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위험과 성찰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식에서 벡과 기든스가 상당한 이질성을 보인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기든스가 벡뿐만 아니라 루만의 위험 개념 역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루만을 비교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sociological theories of Beck, Giddens, and Luhmann, focusing on their different uses and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s of ‘risk’ and ‘reflexivity’. It is very hard to translate these terms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so there tends to be confusion about the different notions of these concepts in Korea, especially between those of Beck and Giddens. As Giddens seems to weigh the notions of Beck and Luhmann in formulating his concepts, Luhmann is included in this study.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Giddens stands rather nearer to Luhmann than to Beck in the use of these concepts. Regarding ‘risk’, Beck uses the word in the narrowest manner of the three theorists. Regarding ‘reflexivity’, Beck emphasizes modernity’s dialectic of continuity and change as a new dynamic of the contemporary era, whereas Giddens and Luhmann postulate ever-expanding reflexivity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These differences are important for Korean sociology, because modernization in Korea contradicts the notions of reflexivity as used by Giddens or Luhmann.

      • KCI등재

        위험에 처한 몸

        양은경(Eun Kyung Ya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2

        이 글은 한국사회의 미디어에서 ‘생활습관병’ 개념의 확산에 주목하면서, 최근의 건강증진담론의 성격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론적으로 후기 근대성 이론과 통치성 연구를 ‘위험의 개인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상호보완적으로 살펴보았다. 미디어에서 건강관리 담론은 사람들로 하여금 일상생활 속에 만연한 위험 요인들을 인지하게 하고, 의학적 관리의 대상으로 포섭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을 잠정적으로 환자의 위치에 놓이게 한다. 주체화의 양식에서 대중들은 스스로의 건강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지식을 획득하여 자신에 대한 전문가가 되도록 격려된다. 그러나 이는 상당 부분 의료상품 소비자로서의 위치에 국한된다. 전문가들에 의해 독점되던 과학적 지식들이 적극적으로 대중들에게 공유되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과학적 지식이 대중들의 경험적 지식이나 다른 형태의 지식보다는 우월성을 가진다는 식으로 구성되고 있다. 위험의 담론을 통해 건강은 옳은 선택을 하는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주체의 문제로서 도덕적인 함의를 띠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강은 자율적이고 능동적이며 책임 있는 신자유주의 시민의 상징이 된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health promotion discourse on socio-cultural perspective, while focusing on the spread of concept called ‘lifestyle disease’ in Korean society’s media. It takes complementarily both post modernity theory and governmentality study, while focusing on ‘individualization of risk’. Discourse on health care in media allows people to recognize risk factors in lifestyle, and puts everyone into a potential patient’s position who is under the medical supervision. Publics are encouraged to be engaged with their own health and acquire knowledge to become an expert for oneself. However, this is limited to the position of being the consumer of medical products. Scientific knowledge is considered to be superior than the public’s knowledge gained by experience or other forms of knowledge, while public nowadays can access to the scientific knowledge that was limited to the expert. Through risk discourse, health has a implicit moral meaning that choosing the right thing is the matter of a responsible being. Health symbolizes the citizen of free, active, and responsible society.

      • KCI등재후보

        위험사회와 불안한 음악

        최유준 ( Yu Jun Choi ) 한국음악학학회 2015 음악학 Vol.23 No.1

        한국은 오래 전에 울리히 벡이 말한 ``위험사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핵심적 면모는 크고 작은 사고들 자체보다는 오히려 그 이면에서 사회 전역에 퍼져가는 개인화 현상에 있다. 세월호 참사가 한국인들에게 주었던 감성적 충격도 그러한 개인화 현상을 배경으로 한 위험사회의 발견과 관련되어 있다. 위험사회의 지배적 감정은 불안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위험사회가 음악과 맺는 정서적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다. 특히 최근의 대중음악에서 위험사회의 불안이 드러나는 모습을 몇 가지 예를 들어 밝힐 것이다. 울리히 벡이 말하는 새로운 근대(``2차 근대``)는 ``정치적인 것``을 재발견하도록 촉구한다. 여기서 정치적인 것은 거시적 차원의 정치가 아니라 미시의 정치이며 일상의 정치, 생활 정치다. 자본주의 시장의 무한경쟁과 효율성에 대한 요구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한 가지 통로가 예술과 음악의 정치적 실천에 있다. 이 위험사회에서 돌이킬수 없는 개인화의 흐름을 성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미적 소통과 공감의 확장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예술적 실천은 생존에 대한 불안이 아닌 심미적 혼란이 될 것이며, 그 혼란은 오히려 이 사회의 물화된 체제를 정지시키고 잊혀진 감성의 공동체를 일깨울 것이다. It is possible to say that Korea has become what Ulrich Beck called the ``Risk society`` since long before. The essential symptom of risk society lies not just in accidents and disasters frequently happened and caused by human error, but in the accelerated individualization that is now rampant in this society. The emotional shock the Koreans had gotten from ``Sewol-ferry disaster`` was also associated to the recognition of a risk society with an individualization setting. Anxiety is a dominant feeling in this risk society. This paper analyses the emotional relations between music and risk society. I will also suggest how anxiety of this risk society reveals in recent popular music scene through several examples. The new modernity(``second modernity``), as Beck suggested, urges to find ``the political``, which is not about a macro-politics but about a micro- and life politics. A path to escape from demands for unlimited competition and efficiency by capitalist markets lies in political practices of arts and music. We should change the irreversible individualizing process to a self-reflective one. The individual artistic practice made through aesthetic communicat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causes not anxiety about survival but an aesthetic chaos, which would rather stop the reified system of this society and arouse a forgotten emotional community.

      • KCI등재

        “먹거리 위험” 담론과 성역할분업의 정교화

        함인희(In Hee Hahm),정세경(Sekyung Chung)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1 여성학논집 Vol.28 No.1

        최근 “먹거리 위험”에 관한 논의가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2008년 발생한 미국산 광우병 쇠고기 수입 파동으로부터, GMO 옥수수 수입, 중국산 멜라민 함유 분유 판매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의 위험요소들이 식생활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현대성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위험사회 논의 중 먹거리 위험과 관련된 논의는 전형적인 젠더 편향성을 드러냄으로써, 위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위험의 개인화” 명제를 통해 전통적인 성역할분업 구조를 정교화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간지 신문기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먹거리 위험”을 주제로 어떠한 담론이 유포되고 있는지 그 유형을 다각도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먹거리 위험을 둘러싸고 식품안전 사건사고 유형별, 사건발생 시기별, 신문지면별로 여성역할 담론의 성격이 달리 구성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전통적 성역할분업논리의 정교화 기제로는 주부의 가사노동=가족 사랑을 실천하는 신성한 역할이라는 논리 강조하기, 가족의 건강관리를 책임지는 주부=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주부의 전문성 부각하기, 그리고 과학적 합리적으로 가족의 식단 관리를 하는 ‘전문’ 주부와 비전문 주부로서 ‘요즘 젊은 주부’ 혹은 ‘취업 주부’를 이분화 함으로써 전자를 미화하는 전략 등이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식품안전 사건사고 이후 구성되는 성찰적 프로 주부로서의 현명한 소비선택이라는 담론은 성별분업을 정교하게 고착시키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discourses targeting women’s role that are constructed after food accidents. The term “Food Accident,” such as genetic-transformed food, imported poisoned foods, one of the examples of ‘risk’ that are discussed in “Risk Society” by Ulrich Beck, appears in the globalized ‘modern food system.’ However, individuals are responsible for dealing with the condition of ‘risk,’ and continuing studies show that guidelines for food safety are targeting women. As a case study to show how women’s role is constructed in food safety issues, the study examines newspaper articles from 1985 to 2008.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iscourse are as follows: Women’s role has been encouraged in four categories, which are cooking food for the family, obtaining information, consumption and participating in women’s gatherings. First, emphasis says that traditional food and food for children should be cooked and that domestic food should be substituted for imported. Second, the women’s role of cooking for the family’s consumption is mainly delivered through the newspaper in the section “Life & Women, Economy and Society.”Third, cooking for the family which is considered women's traditional role ha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newspaper articles through all time periods. Furthermore, the role of consump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howed a great increase in the 1990’s. It was also found that women have been stimulated to perform their given roles by separation and comparison between women who are doing their job and those who are not. In conclusion,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discourse on dealing with the food accidents overlooks the sacrificial efforts and domestic labor of women. It rather strengthened the traditional role of women, based on a selfgiving, professional ‘motherhood’ ideology and through instruction for food safety which can be guaranteed only by a mother in a ‘Risk Society.’

      • KCI등재

        울리히 벡의 개인개념과 한국사회

        이하준(Ha-Jun Lee)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논문은 ‘한국사회와 개인’의 문제를 벡의 ‘개인화 논제’을 원용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사회이론 영역에서 벡의 이론들을 준용해 한국사회의 개별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물은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철학의 영역에서 벡의 비판적 사회이론이나 개별 주제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거나 그의 이론적 성과에 입각해 한국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하는 연구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벡의 ‘개인화 논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개인개념을 규명하고 그의 논제가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문제를 밝혀내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으며 어떤 이론적 한계를 갖는지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첫째, 아도르노의 개인이 종말에 관한 벡의 비판이 제한적 타당성만을 갖는 다는 것을 논증한다. 둘째, 근대적 개인과 위험사회에서 개인에 대한 벡의 이론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셋째, 개인화의 논제를 재구성하고 개인화의 양의성과 개인의 위기를 규명한다. 넷째, 초위험 사회로서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의 양상과 성격을 벡의 논점과 비교 검토 한다. 다섯째,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개인화와 개인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Korean society and Individual throug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In the field of social theory, there are some researches which are applied to individu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connected with philosophy or philosop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through Beck’s theory. From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I will prove how much analysing of his theory of individualization can contribute to inquiry of individual in our society and show what its limit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 argue that Beck’s criticism on Adorno’s thesis on the end of individual is restrictive valid. Second, I review that Beck’s theoretical position on modern individual and individual in risk society. Third, I reconstruct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and prove ambivalence of individualization and crisis of individual. Fourth, I cross check the issue between the whol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of Korea as a ‘High-Risk Society’ and Beck’s aspects. Last, I search the possibility of true individualization and individual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