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법상 자녀복리가 위험한 경우 가정법원의 역할 - 독일민법 제1666조가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조은희 ( Cho Eun-hee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국제법무 Vol.10 No.1

        우리 헌법 제36조 제1항은 가족생활에서 가족의 한 구성원인 아동은 한 개인의 주체로서 존중되어야 하며, 민법은 부모의 친권행사에 있어서 자의 복리가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민법 제912조 제1항). 그러나 부모의 권리남용으로 자녀의 복리는 위험한 상태에 빠지며, 이러한 경우는 적지 않게 발생한다. 이에 국가는 자녀의 복리를 위하여 부모의 양육을 감독하고 조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의 양육에 개입하여야 의무가 있다. 이는 결국 자녀의 복리가 어떠한 범주 안에서 보호되어야 하며, 어떠한 방식으로 자녀의 복리실현을 도모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 민법은 자녀의 복리가 위험에 빠진 경우 이에 대한 친권상실 및 친권제한 제도를 통해 자녀의 복리실현을 도모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자녀의 복리가 위험에 빠진 경우 이를 회복하기 위하여 민법에 보다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위험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독일민법 제1666조). 독일의 이러한 입법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 논문은 독일민법 제1666조 및 관련조항을 소개하면서, 자녀가 위험한 상태에 빠진 경우 이를 회복하기 위한 아동·청소년청과 가정법원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생각해 보았다. The parents are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 The Basic Law stipulates that the care and upbringing of children are the parents' natural rights and the duty they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Art. 6 (2) sentence 1 GG). But here it was further regulated that the state community is watching over their awakening (Article 6 (2), second sentence, GG). If their dealings with their children severely impair or endanger the child's welfare, for example through violence, the state may be called into the family to protect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For the protection of the child the youth welfare office is the most important state institution. The youth welfare office is subordinate to the Federal Ministry for Family Affairs, Senior Citizens, Women and Youth. The Youth Welfare Office helps parents and children when they require help, and in an emergency, it works for the child's welfare. His cooperation with family law is also important. If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are jeopardized, the family court has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avert the danger. The extent of the involvement of the § 1666 German Civil Code, which is relevant in this respect, has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both with regard to the conditions for taking legal action and with regard to the type of measures to be taken. What is needed now is that the physical, mental or emotional welfare of the child is endangered by abusive performance of parental care, neglect of the child, failure of parents without fault or the behavior of a third party and parents are unwilling or unable to do so are to avert the danger (§1666 BGB). Parental custody may be withdrawn by the court. But the entire caring for the children in Germany may only be withdrawn if other measures have been unsuccessful.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ole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family courts for the welfare of children in Germany and I looked for implications for us. In particular, Article 1666 of the German Civil Code, which protects children and provides detailed support for their children if their child is in a dangerous situation, gives us several implications. Therefore, the Family Court should further strengthen its role to provide provisions to the civil law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such as supporting or helping to restore the harmful condition of the child, or to restrict the parental rights, So that they can form closer cooperation with institutions.

      • KCI등재

        친생추정과 ʻ자의 복리ʼ - 대법원 2019. 10. 13. 선고 2016므2510 전원합의체 판결 -

        김선화(Kim, Seonwha)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9

        우리 민법의 친생추정 제도는 친생추정의 기준을 ‘혼인 중 포태된 자’로 설정하고 있고, 법률혼 관계에 있는 부부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에 대해서만 친생추정의 효력을 미치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의 복리보다는 부의 혈통 확보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대법원은 2019. 10.13. 선고 대법원 2016므2510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아내가 혼인 중 인공수정으로 임신하여 출산한 자녀 및 혼외관계를 통해 출산한 자녀의 친자관계에 대한 상세한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대상판결에서 나타난 다양한 관점의 대립과 교차는 유전자형이 배치되어 혈연적인 연결고리가 없는 자녀에 대한 친생추정 여부 및 ‘의사’만으로 친자관계를 창설할 수 있는지 여부, 인공수정에 있어서 타방 배우자의 ‘동의’ 요건, 친자관계라는 신분적 귀속과 ‘자의 복리’ 간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 등에 관하여 많은 생각할 지점들을 남겼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혈연의 존부가 용이하게 판명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가족형태의 증가로 사적 영역으로 간주되던 가족 사안에 국가와 법이 깊숙이 개입하게 되었다는 결정적인 변화를 고려할 때, 부부 간의 성적 교섭 이외에 인공수정 등 보조생식시술을 전혀 상정하지 않았던 시대에 제정된 친생추정 제도를 인공수정의 영역에까지 확대하여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나아가 위와 같은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를 고려할 때 친생추정의 예외를 지나치게 협소하게 인정하던 기존의 외관설을 계속 유지하기보다는, 합리적인 범위로 오히려 그 예외를 확대시켜 나가는 것에 찬성한다. ‘자의 복리’라는 이념이 친자관계를 결정함에 있어 우선적이고 주요한 목표가 되어야 함에는 의문이 없으나 조속한 신분관계의 안정이라는 목표 아래 자녀를 법률상 부와의 법적 고리에 매어 있도록 하는것이 어느 경우에나 자의 복리를 증진하는 길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의 복리’라는 추상적 가치를 심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지표(사회적 친자관계 유무, 경제적 부양, 정서적 유대, 혈연, 신분관계 안정의 필요성 등)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개별 사건별로 유연하게 어떤 상황이 자의 복리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부와 자녀 사이에 자연적 혈연관계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도입된 친생추정 규정을 제3자 인공수정 방식으로 태어난 자녀에 대하여 주장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언제나 자녀의 복리에 부합하는지도 의문이기에 제3자 인공수정 방식으로 태어난 자녀 및 혼외관계에서 태어난 자녀에 대한 친생자관계 성립은 친생추정제도가 아닌 다른 제도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친생추정과 친생부인의 소의 제소요건이 결합된 결과로 나타나는 경직된 제도의 운용은 오히려 구체적, 개별적 상황에서 자의 복리를 위한 유연한 판단을 가로막는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3자 인공수정은 기존 민법이 상정하는 혈연관계에 의한 친생자관계와 의사에 의한 양친자관계라는 두 가지 친자관계 체계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제도이다. 향후 이에 대한 규율은 입법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앞서 언급한 의사만으로 아버지 지위를 부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해 인공수정 이전에 받는 동의의 요건을 강화하여 적어도 인공수정 당시 장차 태어날 자녀에 대하여 아버지로서의 책임과 부양의무를 인수하겠다는 진지한 의사표시를 서면 등의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혼외관계에서 출생한 자녀에 대해서는 친생추정이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입양의 법리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Presumption of paternity in Korean civil law focuses more on identification of father’s lineage than welfare of the child, as only a child ‘conceived during marriage’ can be presumed to be the child of the father. Korean Supreme Court developed detailed interpretation about parentage of a child conceived via AID(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and a child born between extramarital relationship by en banc Decision 2016Meu2510 decided October 23, 2019. The decision dealt with various issues and showed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issues like presumption of parentage with a child who has no blood relation with father, creation of parentage by consent, the legal character of husband’s consent o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ge and welfare of the child. Nowadays, the existence of blood relationship can be easily identified by gene test, and law is intervening deeply into family matters which were regarded as ‘private sphere’ in the past. Regarding this change, it is doubtful whether we can apply the presumption of paternity to the realm of artificial insemin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s in all sorts of environments, I agree with the idea that exception of presumption of paternity under certain conditions need to be rather extended. Surely, the ‘welfare of the child’ should be the primary goal when deciding parentage, but enlarging the sphere of paternity presumption does not automatically enhance the welfare of the chil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dexes to evaluate ‘welfare of the child’, such as social parent-child relationship, economic support, emotional bond, blood relationship, and stability of identification. It is desirable to regulate the sphere of AID and parentage of extramarital child by institution other than presumption of paternity, and it will be better to settle these issues by legislation. The requirement of the consent about artificial insemination should be reinforced, that it should entail agreement by document admitting that one shall take over the responsibility for the child who will be born in the future. Also, the matter of child born between extramarital relationship should be regulated with the principle of adoption, not with presumption of paternity.

      • KCI등재

        자의 성과 본의 변경심판에 있어서 자의 복리

        이현재(Hyun Jai Lee) 한국가족법학회 2008 가족법연구 Vol.22 No.2

          Section 781(1) of the Korean Civil Code was amended on March 31, 2005 to provide that: (1) A child shall assume her or his father’s surname and origin of surname. But in a case of the child whose parents agreed to follow its mother’s surname when they got married, the child shall assume her or his mother’s surname and the origin of surname.<BR>  A new subsection, §781(6), was enacted to provide, in relevant part, that: “the court may permit a child’s original surname and origin of surname to change when her or his surname need to be changed for the child’s welfare. (the rest omitted)”<BR>  This Article explores the applica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elements of the child’s welfare in the petition for change of the child’s surname, with analytical studies on the cases filed in the family court, Gwang-Ju district court. It first starts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olding patronymy unconstitutional.<BR>  Part Ⅱ argues the several necessities of change of child’s surname such as the need for stability for remarried families, adoptive families, or mother-child families. In addition, it discusses the concept of child’s welfare as the standard for the change. The Korean Civil Code is silent on the child’s welfare standard. The standard authorizes the court to determine the result that is best for a child. But the prevailing view defines the child’s welfare as a composite of the follow factors: a) the preservation of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b) the strength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c) the identification of the child as part of a family unit; d) the wishes of the child; e) the child’s age and maturity; f) the nature of the family situation; g) misconduct of or neglect toward the child by the parent opposing the change; h) the name by which the child has customarily been called; and i) the opposing party’s conduct toward the spouse and the child during the marriage.<BR>  Other factors include the length of time during which the child has used a name, the child’s comfort with using a surname that differs from the custodial parent’s surname, the child’s alienation from neighborhood children who bear their fathers’ surnames, any negative association or social stigma attached to either the current or proposed name, and the petitioner’s motive for seeking the name change.<BR>  The parent who seeks to change the child’s surname must prove that the proposed change is in the child’s best interest. Courts do not necessarily examine all of these factors, and none of the factors constitutes a mandatory consideration. The factors are not prioritized in importance.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s determined by the virtually unfettered discretion of the trial court. Courts must balance a number of considerations to reach its conclusion.<BR>  Part Ⅲ shows a statistical report, such as the number of the cases petitioned before the family court, Gwang-Ju district court, and the number, the percentage, and the sort of the petitions granted or dismissed. This statistic shows that most women now prevail in cases involving marital children’s surnames.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 child’s welfare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forms provided by two courts, the family court, Gwang-Ju district court, and Seoul family court.<BR>  Part Ⅳ analyzes what factors constitute the child’s welfare in specific cases, and which factors carried more weight than other factors before the family court, Gwang-Ju district court, i.e., whether the family court considers heavily which factor of several factors. Part Ⅳ shows the importance and the weight of visitation and support payment by uncustodial father. Visitation and support payment, two of the elements of child’s welfare, are often considered most critical in determining the change of the child’s surname from the surname of her or his father to the surname of m

      • KCI등재

        자(子)의 복리와 친권, 자(子)의 권리

        김명숙 ( Myeong Sook Kim ) 안암법학회 2009 안암 법학 Vol.0 No.28

        As human beings, Parent and child is entitled to b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al Law, Civil law, and so on. Children also require special protection and care.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cognized the child`s capability of decision making and participation in its own affair in guide and direction of its parent. Child is associated with its parent, and its right`s is primarily protected by its parent and secondarily by the Nation and the Society. It is rooted in the belief parent is the best person who can protect its own child, taking account of the affection on the basis of their blood-tie. The welfare of the child must be considered primarily in parent-child relation. Parent-child relation may be based on their blood-tie, but it may not coincide with blood-tie. Parent-child rela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legitimacy of the child`s parent marriag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ccelerates the difficulty in the decision of parent-child relation. So it may be interesting that the welfare of the child may affect the parent-child relation. It may be unnecessary the recognition of the child`s right may intrude upon the right of parent`s right in the decision-making on the protection and upbringing of its own child and its family stability. Parent`s right of protection and upbringing of the child is justified by the welfare of child. Parent`s fiduciary obligations are to guarantee the child`s immediate well-being and to direct and guide the child`s future development. Where the right of parent and that of a child are conflicted, the child`s right and interest must prevail, depending on their nature and seriousness. It may override right of the parent, but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legal right of parent to the upbringing of child can be justified by the welfare of the child, so the overriding indeed is not overriding, conflict is not conflict. Parent right is a dwindling right, the more, the older the child is. The decision-making of parent about the child could be justified by the welfare of the child, and may be restrained by the welfare of the child. The purpose of the restraint is the promoting of the welfare of the child. The welfare of the child is fundamental in parent-child relation.

      • KCI등재

        자의 복리를 위한 친양자제도

        이은주 한국가족법학회 2013 가족법연구 Vol.27 No.1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doption system of Korea, an adopted child could not use his or her adoptive father's surname. As an adoption should have been disclosed by the documents that prove the family relationship, people had been reluctant to use an adoption. Even there were cases that some adopted children were reported just as the legitimate children. So, jurists and civil society argued that "For the welfare of the child, we should make a system that ter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ed child and the natural parents, and generate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ve parents and the adopted child." July 20, 1998, for the first time, the Department of Justice tried to enact the law on the full adoption system. As the 15th Congressional term expired May 29, 2000, the law was discarded automatically. Then, on October 16, 2000, the Department of Justice submitted Civil Code amendments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on March 2, 2005, the proposed amendments of the Civil Code were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from January 1, 2008, the full adoption system was performed.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re is a limit to realize the intent of the full adoption system because the Civil Code requires full adoption requirements too strictly. Thus, the revision of the Civil Code of 2012 mitigates full adoption requirements as follows: First, the child to be adopted shall be a minor which means under the age of nineteen, not fifteen. Second, a request to the Family Court for full adoption may be accepted without the consent or approval of the natural parents in each cas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1) where the child’s agent by law has refused consent or approval without a justifiable reason, 2) where the natural parents with their own fault do not fulfill the child support obligations and visitation for three years or more, 3) where the natural parents has abused or deserted the adopted child or otherwise has severely impaired the welfare of the adopted child. But in the full adoption system of the Civil Code, there are some problems which need to be improved.

      • KCI등재후보

        자녀의 성‧본 변경을 통해 본 부계가족의 정상성과 어머니의 지위

        위선주(Wi, SunJu),배은경(Bae, Eun-Ky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1

        이 논문은 부성(父姓)주의 원칙 하에서 자녀의 성?본 변경 제도가 실질적으로 부계가족의 정상화와 어머니 지위의 부차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자녀의 성?본 변경 판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 있다. 성이 생물학적 부계혈통을 표시하는 것보다 구체적인 가족관계를 반영하는 것이 자녀에게 보다 큰 이익이 되는 경우 자녀의 성?본 변경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여전히 성?본은 부계혈통의 표지로서 부계가족과의 유대감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모자가정에서 자녀들의 성이 다르거나 재혼가정에서 계부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가 있을 경우 성?본 변경이 보다 용이하다는 것은 한 가족 내 자녀들의 성은 같아야 한다는 것으로, 변형된 형태의 부성주의를 통해 부계가족의 정상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머니의 지위라는 측면에서 보면 성 ?본 변경에 있어 어머니의 의사는 아버지의 의사에 비해 부차화되고 있으며, 그마저 자녀의 복리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모성의 사용은 자녀의 복리에 대립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모성(母姓)의 사용에 대한 차별과 낙인이 유지, 강화되고 있다. 즉 자녀의 성?본 변경이 가능해졌다 할지라도 이성애적 법적 결혼과 자녀의 부계 귀속에 대한 강한 정상성 부여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성?본이 일상적인 양육과 보살핌이 제공되는 구체적인 생활관계 및 어머니를 통한 혈통 계승을 반영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부성주의 원칙의 폐기가 필요하며, 부계 성과 모계 성, 그리고 자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이름이 합리적이고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legal cases of alternation of the child"s surname and ancestral seat, which demonstrate that the current surname alteration system based on the patrilineal surname principle contributes to the normalization of the patrilineal family and the marginalization of the mother"s status. In the cases examined, it is deemed necessary to change the child"s surname when it is in the child"s interest to have a surname that reflects actual family relations. Still, surname is basically recognized as a sign of patrilineal genealogy, strengthening the child"s sense of connection to the paternal side of the family. A different form of the patrilineal surname principle, a notion that all children of a family should have the same surname, still sustains the normalization of the patrilineal family. In the cases of alteration of the child"s surname, the mother"s intention is deemed less relevant compared to the father"s, and requests for using maternal surname are rarely accepted, generally deemed unfavorable to the child"s welfare. This reinforces the discrimination and stigmatization against the use of maternal surnam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the patrilineal surname principle be repelled in order for the child"s surname and ancestral seat to reflect actual family relations and the succession of family line through mother.

      • KCI등재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 사건의 재판실무상 제문제

        양종찬 중앙법학회 2020 中央法學 Vol.22 No.2

        Foster care to children who were protected in a protected facility established by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is steadily in progress and the use of a child guardianship system to improve the fostering environment of foster famili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judgment criteria is a remarkably insufficient situation. Since 2015. the Central Family Consignment Support Center, the Korea Family Law Office, and the law firm Chung-Shin filed a lawsuit in collaboration, and among the cases, problems in trial practice were identified. In this manuscript, I would like to review the issues of jurisprudence in each case. First, is the Child Welfare Act a special law on civil law? If the mayor is likely to make a senior claim to be a minor guardian under the Children's Welfare Act, can the claimant set by the Civil Act not sue? Second,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s operates under the Civil law and the Child Welfare Act,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Can a person designated as a guardian nominated by mayor under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be the same as the guardian prescribed by the Civil law? What is the method of appeal when a foster parent is appointed as a new guardian when no guardianship designation has been canceled? Third, if the paternity is unable to exercise paternity due to unknown location, must it be declared a loss of paternity and request the appointment of a minor guardian? Is it possible to appoint a guardian without losing parental rights by analogy by applying other laws? In response, the court first determined that the Child Welfare Act is a special law to the Civil law, and if the Mayor is likely to make a claim, the civil law cannot make a claim. Second, the guardian determined by the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and the guardian determined by the civil law are the same, In order to designate a foster parent as a guardian it must be filled alteration lawsuit. Third, it is impossible to request a guardianship without loss of parental rights if both parents are unknown whereabouts, and Other laws cannot be applied by analogy. The court's judgment In the case above is reasonable, but other judgments are possible. So I will criticize the court's judgment, and I will propose other criteria.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호시설에 보호되던 아동에 대한 가정위탁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위탁가정의 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미성년후견제도의 이용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재판실무상 미성년후견제도에 대한 법리 연구와 일관된 판단기준의 정립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2015. 이후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와 한국가정법률사무소, 법무법인 청신이 협업하여 진행하였던 다수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 사건 중에서도 법리 오해와 선례 부족으로 인한 재판실무상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는바,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2018느단100182호 사건, 수원지방법원 2018느단50818호 사건, 대법원 2019스561호 사건의 사례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이하 본고에서는 위 각 사건에서 문제되었던 법리 쟁점을 검토하고자 하는바, 첫째,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이 민법 제932조 제1항에 대한 특별법의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있는지, 이로 인해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에 따른 시·도지사 등이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를 할 가능성이 있다면, 민법 제932조 제1항이 정한 청구권자는 별도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를 할 수 없는 것인지 문제되었다. 둘째, 현행 미성년후견제도는 민법 이외에도 아동복지법,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는바,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제3조 제2항에 따라 그 보호시설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 등에 의하여 후견인으로 지정된 자의 지위를 민법상 미성년후견인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지, 동 법률 제7조에 따른 후견인 지정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위탁부모 등을 새로운 후견인으로 선임하고자 하는 경우 구체적인 소의 방법은 무엇인지 문제되었다. 셋째, 민법 제928조는 미성년자녀에게 친권자가 없거나 친권자가 친권상실 등으로 친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행사할 수 없는 경우를 미성년후견개시사유로 정하고 있는바, 만약 친권자에게 소재불명 등 친권을 행사할 수 없는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민법 제928조가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이유로 반드시 친권상실선고를 거쳐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를 하여야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인지 또는 부모의 협의 또는 법원의 심판으로 단독친권자가 정해졌던 미성년자녀의 경우에 관한 민법 제927조의2를 유추적용함으로써 친권상실선고를 거치지 않더라도 곧바로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가 각 문제되었다. 위 각 쟁점에 대하여 법원은 첫째,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은 민법 제932조 제1항에 대한 특별법이라는 전제하에,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에 따른 시·도지사 등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의 가능성이 있다면 민법 제932조 제1항에 따른 별도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는 허용될 수 없다는 입장에 기초하여 재판절차를 진행하였으며, 둘째,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제3조 제2항에 따라 후견인으로 지정된 자는 민법상 미성년후견인과 동일한 지위에 있다는 전제하에 위탁부모가 새로운 미성년후견인으로 선임되기 위해서는 기존 보호시설 장으로부터 위탁부모 후견인을 변경하기 위한 민법 제940조에 따른 후견인변경청구의 소를 제기하거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의 소를 제기하되 소제기 전 또는 소송계속 중 기존 보호시설 장에 대한 후견인 지정이 취소되어야...

      • KCI등재

        未成年後見制度의 改正方向에 關한 小考

        김현수 한국가족법학회 2014 가족법연구 Vol.28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legal system of guardianship of minors in South Korea. And it provides some thoughts on the future development and directions of the Korean Civil Code (Korean CC) in this area. Although the Korean CC use the terminology “親權”[parental authority], it is now understood as a collection of rights, duties, powers, responsibilities which by law a parent of a child has in relation to the child and his property. This concept of parent authority encompasses several aspects, including care and protection, determination of the child’s residence, the child’s education, legal representation, administration of property. And child welfare or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constitutes principle of parental authority (§912 Korean CC). If there is no person of parental authority over a minor or if a person of parental authority is unable to exercise the right of representation with respect to the juristic acts or the right of management of property of a minor, a guardian must be appointed for the child. In such cases, guardianship replaces parental authority. Although a guardian is a creature of statute, and has only those powers that are prescribed by statute, the power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guardian are the same as a parent, except in some instances. Thus, child welfare or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should be highest guiding principle for the exercise of powers and responsibilities by the guardian; at the same time, it also constitute the legal basis for court decisions and legislations. The full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child’s best interests require the development of a right-based approach, engaging all actors, to secure the holistic physical, psychological, moral and spiritual integrity of the child and promote his or her human dignity. However, in light of the fundamental and interpretative legal principle, the legal system of guardianship of minors in the Korean CC does not seem to work effectively in some respects. First, the Korean CC does not have the requirement of a guardian for minors. Second, although there may be two types of guardians, guardian of the person and guardian of the property, the Korean CC does not allow a different guardian to be appointed for each position. Thirdly, it does not allow public body or association to be appointed as guardian for minors. In light of these, the current legal system of guardianship of minors should be revised to ensure the application of and respect for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 KCI등재후보

        친권자 변경에 관한 연구

        정광수(Chung, Kwang-soo)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2 江原法學 Vol.37 No.-

        부모가 혼인중인 때에는 부모는 공동으로 친권을 행사하므로 부모가 공동친권자이다. 그러나 혼인중인 때에도 부모의 의견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당사자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친권자를 정하므로, 이 경우에는 부모 중 일방만이 친권자가 된다. 이와 같이 부모가 공동친권자이었다가 부모 중 일방만이 친권자가되는 경우에 친권자 지정이 일어난다. 또한 부모의 일방이 친권을 행사할 수 없을 때에는 다른 일방이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친권자 지정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뿐만 아니라 혼인외의 자가 인지된 경우와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에는 부모의 협의로 친권자를 정하여야 하고, 협의할 수 없거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은 직권으로 또는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친권자를 정하여야 한다. 다만 부모의 협의가 자(子)의 복리에 반하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은 보정을 명하거나 직권으로 친권자를 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도 친권자 지정이 일어난다. 그 밖에 혼인의 취소, 재판상 이혼 또는 인지청구의 소의 경우에도 가정법원은 직권으로 친권자를 정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친권자 지정이 일어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친권자 지정이 일어난 경우들에 있어서 가정법원은 자의 복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자의 4촌 이내의 친족의 청구에 의하여 정하여진 친권자를 다른 일방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민법상 부모의 일방이 친권자로 지정되는 경우에 친권자 변경이 발생한다. 그런데 최근 한 유명연예인의 사후에 그의 자녀인 미성년자에 대한 친권을 둘러 싸고 논란이 제기된 바 있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논란의 핵심은 ‘부모의 이혼 시에 일방이 미성년자인 자녀에 대한 친권 및 양육권을 포기하였는데, 친권 및 양육권을 가지고 있던 상대방의 사망 후에 포기하였던 부모 일방의 친권이나 양육권이 당연히 회복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점에 대하여서 그 당시에는 민법상 명문 규정이 없어서 학설이 대립하고 있으며, 판례의 태도에 대하여도 해석상 논란이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친권자 변경과 관련하여 그동안 논란이 있었던 친권자와 친권행사자의 개념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친권자인 부모 일방이 사망한 후, 다른 일방이 당연히 친권자로 되는가? 등과 관련하여 논란이 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새롭게 개정된 민법규정을 포함한 현행 민법상 친권자 변경이 문제되는 경우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친권자 변경제도 및 절차를 포함한 친권자 변경에 관한 민법규정들이 현행 민법(친자법)상 ?친권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자의 복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는 친권행사의 기준에 비추어 볼 때, 과연 얼마나 타당한가를 검토하고 이에 관한 개선방안도 모색하여 보았다. Recent times a famous korean actress was died. She was a divorcee. By the bye, at the time of divorce she"s former husband(a divorce) resigned a parental authority and upbringing about own children. So she had taken care of their children from divorce time before she died. After that time parental authority and upbringing about children has become an issue.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is about whether it is fit to approve non-parental custodian. Parents have the prior responsibility to foster their children, but non-parental custodians should play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role in this case where it is unfit children to be brought up by their own father. In this case Non-parental custodians(exe. grandparents) can be viewed as people who are in charge of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an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to invest certain authority like parental authority on them. Nowadays a matter of primary concern of the Parental Authority Law is the protection of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n the Welfare of the child ligh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Welfare of the child in the current Korean Civil Law and present an amendment of the current Korean Civil Law as an improvement of policy through the systematic complementation. This article consists of 5 parts.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The point at issue: Raise several point). Chapter 2 is A conception of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and a Exerciser of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Chapter 3 is The Change of a Person in Parental Authority. Chapter 4 is An Improvement(as an amendment of the current Korean Civil Law). Chapter 5 is A conclusion.

      • KCI등재

        프랑스민법상 방문권 - 방문권자(면접교섭권자)의 범위를 중심으로 -

        서종희 ( Seo¸ Jonghee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국제법무 Vol.12 No.2

        프랑스의 방문권에 관한 법 상황은 변화되어 왔으나, 방문권의 권리주체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논할 수 있는 법 개정의 기준은 점차적으로 子의 이익이나 子의 권리보호에 있었다. 즉 방문권이 인정된 초기에는 방문권을 방문하는 측의 권리로서만 구성되었으나, 최근의 방문권은 子의 권리이거나 방문권자와 子의 상호적 권리라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특히 이와 같은 변화는 1989년의 UN 아동권리협약 및 2000년 공포된 유럽연합 기본권 헌장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유럽인권법원 또한 면접교섭권을 판단함에 있어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이익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아동의 복리에 우위를 두고 있다. 아동의 복리는 사실상 가족 유대관계를 형성했던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들의 면접교섭권을 인정한다. 즉 유럽인권법원은 이를 기초로 하여 부모든 부모 이외의 자이든 일반적으로 가족 유대 관계를 지속하게 하는 것이 아동의 복리에 부합한 것으로 보며, 그 관계는 혈연과는 무관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영향으로 프랑스를 비롯하여 유럽의 다수 국가가 점차적으로 면접교섭권자의 범위를 더 확대하고 있다. 우리민법이 최근 개정으로 직계존속에까지도 면접교섭권을 인정하는 예외규정을 두고 있으나 해석으로 그 범위를 넓히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명문규정만을 놓고 본다면, 다른 나라에 비하여 협소하다. 장기간에 걸친 프랑스 내에서의 면접교섭권자의 범위와 관련한 개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면접교섭권자의 범주를 원칙적으로 좁히고 예외적으로 그 범주를 넓히기보다는 원칙적으로 그 범주를 넓히고 예외적으로 좁히는 방식이 자녀의 권리로서의 면접교섭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한다. 향후 우리민법의 개정시에 이러한 태도가 수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Although the provisions on the visitation rights have been changed under the French Civil Law, the standard for amendment of the law that can be discussed in common regardless of the subject of the right to visit was gradually in the interests of the child or the protection of the child’s rights. In other words, in the early days when the visitation rights was recognized in France, it consisted only of the right of the visitor, but in recent years, the position that the visitation rights is the right of the child or the mutual right of the right to visit and the child dominates. In particular,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believes that continuing family ties irrespective of blood ties is suitable for the welfare of children, and due to this influence, France and many other European countries are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exercise the visitation rights. With the recent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Act, there are exceptions that allow for the visitation rights of grandparent, but apart from expanding the scope by interpretation, it is narrower than other countries in terms of prestigious regulations. As can be seen through a long-term amendment to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exercise the visitation rights in France, the method of broadening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exercise the visitation rights in principle and narrowing them to the exception substantially guarantees the visitation rights as a child’s right. I look forward to the acceptance of this attitude in future amendment of the Korean Civil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