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and Comparison of Warfarin Dosing Algorithms in Stroke Patients

        이경아,조선미,이경,최종락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6 Yonsei medical journal Vol.57 No.3

        Purpose: The genes for cytochrome P450 2C9 (CYP2C9) and vitamin K epoxide reductase complex subunit 1 (VKORC1)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genetic determinants of warfarin dosing and have been studied. We developed warfarin algorithm for Korean patients with stroke and compared the accuracy of warfarin dose prediction algorithms based on the pharmacogenetic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1 patients on stable maintenance dose of warfarin were enrolled. Warfarin dosing algorithm was develop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performance of all the algorithms was characterized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determined by linear regression, and the mean of percent deviation was used to predict doses from the actual dos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s using percentage of predicted dose falling within ±20% of clinicallyobserved doses and dividing the patients into a low-dose group (≤3 mg/day), an intermediate-dose group (3–7 mg/day), and high-dose group (≥7 mg/day). Results: A new developed algorithms including the variables of age, body weight, and CYP2C9 and VKORC1 genotype. Our algorithmaccounted for 51% of variation in the warfarin stable dose, and performed best in predicting dose within 20% of actual dose and intermediate-dose group. Conclusion: Our warfarin dosing algorithm may be useful for Korean patients with stroke. Further studies to elucidate clinical utilityof genotype-guided dosing and find the additional genetic association are necessary.

      • KCI등재

        디자인 교육 특성화를 위한 융·복합형 디자인 교육 개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교통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아,송연호,장효민,이경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오늘날 사회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상은 정치·경제,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급변하는 주변 정세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인 디자인 인재가 요구된다.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기술과 지식 전수를 통한 '기능 중심의 디자이너'가 요구 되었다. 하지만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진 오늘날에는 뛰어난 창의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능력을 겸비한 '창조적인 디자이너'가 요구된다. 즉, 오늘날의 디자이너는 '디자인'이라는 영역 내에서의 이론적, 실무적 교류 및 융합 능력을 바탕으로 타 분야들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도 미래지향적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타학문과의 교류 및 융합뿐만 아니라 디자인 영역 간의 상호작용 즉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의 주요 논점은 디자인의 의미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개념을 재 정의하였다. 또한 재 정의한 디자인 개념에 따라 융·복합형 디자인 교육의 개념모델로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의미 및 개념을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디자인 교육 개념 모델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사회 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준비된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융·복합형 디자인 교육 개념모델(CDECM, Convergence Design Educating Concept Model)' 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소속대학의 융합교육 계획에 따라 디자인 교육특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후속 과제인 '미래지향적인 통합 디자인 교육 모델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A major viewpoint of this study lies on the fact that design concept is accordingly re-defined to the change of design meaning. Moreover, according to the re-defined design concept this study proposes a communication design as a conceptual model for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For these,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concept of communication in the aspects of various dimensions and applied it to a conceptual model of desig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vergence Design Educating Concept Model (CDECM), for raising prepared designers to actively cope with the social conditions that change suddenly. Also,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used for 'a study of future-oriented integrated design educating model,' and also, a succeeding project as a basic research for specialized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convergence education plans of the affiliated university.

      • KCI등재
      • 문화재 감상을 활용한 통합미술 프로그램 연구

        이경아 한국아동미술학회 2014 아동미술교육 Vol.13 No.-

        창의적인 미술교육을 다양한 재료로 꾸미고 기술을 많이 가르치는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지만 교사가 무엇을 가 르치는가보다는 어떻게 가르치는지가 창의 미술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올바른 창의 미술교육은 아동들에게 자 기 자신을 발견하게 해주고 사고하는 능력을 키워줌으로서 학교에서 배우는 음악, 수학, 과학, 역사, 지리, 등의 과목들과 연계되어 친근하게 느껴지고, 친구들과 교사, 가족, 이웃, 사회를 연결시켜 확장될 것이다. 이렇게 교과 과정이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을 하게 하는 통합적인 접근 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고자한다. 여기에 가장 적합한 통합교육을 위해 문화재를 활용한 통합미술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독창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우리 전통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주체적이고 창의적으로 계승하고 발전하는 교육의 필요 또한 절실하므로 이를 통해 우리 문 화유산의 참된 가치와 아름다움을 알게 되는 것 또한 매우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에 따른 통합적 미술교육프로 그램 지도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추 할 수 있다. 첫째, 미술과 역사의 통합을 통하여 두 교과의 폭넓은 이해가 기대된다. 둘째, 하나의 문화재 감상으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계발 할 수 있다. 셋째, 문화재를 통하여 역사교과의 학습내용의 이해를 돕고, 깊이 있는 문화재감상을 할 수 있으므로 수업의 효 율을 올릴 수 있다. 넷째,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의 양식을 이해 할 수 있다. 다섯째, 미술표현에 있어 보다 자유 로운 표현으로 결과물 보다는 과정에서 얻는 아동의 성취감을 올릴 수 있으며 효과적인 아동발달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여섯째, 학습자는 암기식이 아닌 교과의 통합적인 이해로 보다 쉽게 학습능률을 올릴 수 있다. 본 연구 는 문화재의 다양한 감상과 표현으로 통합교육을 시도하여 학습자의 미술교육에 도움이 되고 교사에겐 유용한 학습 자료가 되기를 기대 하건데 교실 내에서만 교재나 영상자료를 이용한 접근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떄문에 실 제로 박물관방문을 통해 유물을 감상하는 것이 깊이 있는 감상에 보다 도움이 될 것이다. 더불어 외울 것이 많 고 지루하다고도 생각 할 수 있는 교과를 미술을 통해 즐기면서 학습 할 수 있고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을 알고 찾고 지킬 수 있는 문화재 애호 인식을 함양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 해 본다. There is a possibility for anyone to misunderstand creative art education as something to teach students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but as a matter of fact, creative art education is regarded as a field of education to teach how rather than what. In terms of right creative art education, as it encourages children not only to actually see who they are but also to improve their thinking abilities, it leads the children to feel familiar with these subjects that they study at school such as music, mathematics, science, history, geography and others, and eventually, creative art education connects the children even to peers, teachers, families, neighbors and communities. As briefly explained so far, making effective use of this integrated approach method to help the subjects interact with each other only closely, creative art education aims to support the children in displaying their creative ideas and thoughts including their creative abilities as well when they need to solve problems. In order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integrated education at this point, this study looked for ways to conduct an integrated art educational program with cultural assets applied. Korean cultural assets are recognized globally for their own original values and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it is urgent for any relevant fields to come up with education that would help the children succeed and develop the cultural assets in both independent and creative ways based on a sense of pride in the properties. That being so, the study finds it truly reasonable for Korea to make use of such education to let their children know authentic value and beauty of their cultural assets. Based on what has been mentioned above, the study extracts conclusions as follows in connection with the teaching plan of the integrated art educational program. First, combination of art and history expands thi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the two subjects. Second, as teachers try various approaches through appreciation of one cultural asset, they can help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s’ creativity. Third, cultural assets improves the learners’ understanding on what they would learn in history books at school, and since the learners are given a chance to appreciate cultural assets more carefully, the class efficiency consequently increases. Fourth, the learners do not have many difficulties figuring out diverse ways to learn. Fifth, the teachers invite the learners to work on unrestricted representation when they try to express something artistically, and there, as being more concerned with the process than the result, the children feel a sense of achievement which, in the end, helps the teachers to extract effective developments of the children. Sixth, not through drills at school but through integrated understanding on the subject, the learners are led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iciency even more conveniently. Even though this study hopes that special integrated education with appreciation and representation of several cultural assets applied contributes to art education of the learners as it works for the teachers as some useful instructional material, due to this limit of the approach made through textbooks or visual materials in a classroom only, the study actually believes it to be more helpful when the learners appreciate cultural assets in museums. However, the study still argues that integrated art education with cultural assets appreciation applied will lead the learners to enjoy any subjects through art, which they might think boring because they need to memorize all of the contents, and that such education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learners to be a lover of Korean cultural assets who values and protects cultural heritages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리경험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메시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아,이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Public-service advertising campaign has addressed a variety of topics to perform its mission to solve social issues and provide visions since its beginning in 1981. In case of safe driving campaign, while the topics such as driving under alcohol influence and traffic signal violation have been addressed considerably, the topic of drowsy driving has been addressed very insignificantly but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is very high.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direct experiences of audience and their vicarious experiences via TV or media reports in the roles of public-service advertisement and the accidents as well a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public-service advertisement from a new perspective. Thus, this study experimentally discusses the effects of vicarious experiences and its impacts on behavior intention with the mediation of empathy via path as well as the moderating variables of advertisement appeal types and self-efficacy in such impacts.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with ordinary drivers through experimental method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the studies on the public-service advertisemen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advertisement messages on attitude formation, the view that we experience and learn direct or indirect situation via advanced media without our knowledge, which affects the personality of an individual as well as self development and self-control may have significant academic implication. This suggests that the contents of the message may have greater impacts when the message information delivered by public-service advertisement is combined with the vividness of vicarious experience by the audience. Secondly, the vividness of vicarious experience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s of different advertisement types. This demonstrates that it affect the self-control ability which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self-efficacy which represents self-confidence as well as behavior intention depending on self-efficacy level. Therefor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group who receive the message, the vividness of experience and types of advertisement may play a significant rol in enhancing self-efficac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ublic-service advertisement which requires higher level of morality, the information which may enhance self-efficacy should be provided, and i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to develop advertisement information which provide vivid information as well as allows for good empathy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group. 공익광고 캠페인은 1981년을 시작으로 사회문제 해결 및 비전 제시라는 임무를 수행해 오고 있다. 그 중 교통안전의 경우 음주, 신호위반 사고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데 비해 실제 교통사고 중 사망사고율이 높은 졸음운전을 주제로 한 공익 광고메시지는 아주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사고율이 높은 졸음운전을 주제로 수용자의 직접적인 경험, 혹은 TV보도나 매체를 통해 얻은 간접적 대리경험이 주는 중요한 시사점과 위협소구형 공익광고의 역할을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대리경험이 감정이입을 매개로 수용자의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광고소구유형(긍정-부정)과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조절변인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공익광고의 수용자들이 TV보도나 매체를 통해 얻은 간접적 대리경험의 생생함은 공익광고에 대한 감정이입을 매개로 수용자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익광고에 대한 감정이입이 수용자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광고유형과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개인의 특성과 광고메시지의 특성이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금까지의 공익광고에 관한 연구에서 벗어나서 매체에 의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경험되어지고 학습되어진 것들이 감정이입을 매개로 개인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 형성과 자기조절을 통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둘째, 공익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용자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수용자의 성향, 특성에 맞춰 생생한 정보와 함께 광고감정이입이 잘 될 수 있는 광고메시지를 개발하여야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공익광고의 메시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랍문화코드 연구를 통한 아라비안 디자인 기본 자료 조사연구; 아랍문화 기반의 디자인프로세스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이경아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o help ourdesign to enter Middle East market. Middle East regionhas low dependence on manufacturing industry than anyother overseas area. Therefore, they need design industryrelatively little. However, our design industry can beconsidered to enter the market perceiving it as service andknowledge centered industry rather than as manufacturingcentered industry. For this, roles of design should beconsidered again from cultural perspectives. Culture is theroot of a society and it has characteristics to be reducedto new concept of culture reflecting the contemporarysociety. It is the same characteristic as meaning of designfrom contextual dimens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purposed to study Arabicculture code and develop design process conceptual modelfor Middle East region. Additionally, it is also purposedto help our design to enter Middle East market bydeveloping Arabic culture based design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cept of Arabic culture was understood. Second,Arabic culture codes were defined and researched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study onArabic culture. Third, discussions on Arabian design weremade based on Arabic culture code. Fourth, basic studyon culture and cultural code was made. Finally, Arabicculture codes were discussed qualitatively andquantitatively based on the study on Arabic culture andArabian design concept model was developed from it. This study researched a concept model for Arabian designbased on discussions on Arabic cultural code and proposeddesign proce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proposed considerations for our design when it enteredMiddle East market as cultural cod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의 중동아시아 지역 진출을 돕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중동아시아 지역은 다른 해외지역들 보다 제조업 분야의 의존도가 낮다. 그래서 상대적으로디자인 산업의 필요성이 미비한 상황이다. 하지만 디자인을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와 지식 중심의 산업으로 인식하고 중동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의 역할을 문화적인 측면에서 다시 한 번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문화는 한 사회의 뿌리이자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해 새로운 개념의 문화로 환원되는 성질을 가졌다. 이는 맥락적인 차원에서 디자인의 의의와도 같은 성질은 지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랍문화코드를 연구하고 중동아시아지역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연구 개발하는데 목적이있다. 덧붙여 본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디자인의 중동아시아 지역 진출을 돕고자 하는데 함축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랍문화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아랍문화 연구를 바탕으로 정성적, 정량적인 측면에서의 아랍문화코드를 분석하고 이를 정의하고 연구하였다. 셋째, 아랍문화코드를 바탕으로아라비안 디자인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넷째, 문화에 대한 기초연구 및 문화코드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랍문화코드를 정성과 정량적인 측면에서 논의하고 이를 아라비안디자인을 위한 개념으로 발전 시켰다. 본 연구는 아랍문화코드를 바탕으로 아라비안 디자인을 위한개념 모델을 연구하였다. 또한 개념모델을 기반으로 아라비안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동아시아 지역으로 진출 시 우리나라 디자인 혹은 디자이너가 고려해야 할 사항을 문화코드와 디자인프로세스모델로 제안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