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내와 떨어져 0세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의 사례연구

        안지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아내와 떨어져 자녀를 양육해본 아버지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됨의 의미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러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를 심층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아내와 떨어져 양육하는 것은 새로운 도전이었으며, 이러한 도전은 두려움으로 다가왔다. 연구참여자에게 주변 사람들은 낮은 육아 기대치를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역할비중을 스스로 높아나갔으며, 해보지 않았던 일상적 양육의 영역까지 경험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적으로 육아를 담당할 수 없었던 연구참여자는 주변에 도움의 손길을 구해야 했으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버지로서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가족 모두의 행복을 추구해야 하며, 전통적인 아버지의 역할에 갇혀 있기보다 새로운 아버지됨을 만들어가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자신은 가족을 위해 희생이 아닌 당당한 선택을 하는 존재이며, 앞으로도 계속 고민하게 될 존재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는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아버지들과 자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kind of experience does a father who has raised his child without his wife ha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For this, we have deeply interviewed a father who has such experience and have analyzed collected data. Raising his child without his wife was a new challenge to him and a fear fell upon him as such challenge began. Raising experience was started from the low expectations of neighboring people toward him but gradually he increased his role in raising and started to know what is an actual raising. However, he had to ask for the help to neighboring people and sometimes he felt the difficult. Through such experience, he got to be realized that he has to strive continuously as a father, has to pursue the happiness of all family members, and has to create a new role of father rather than stuck in the typical role of father. Also, he realized that he has to make not a sacrifice but a fair choice for his family and will concern this continuously even in future. This will be an actual help to understand fathers who raise their children alone and will has the meaning as a basic data to prepare the system to support such fathers and their children.

      • 아동소비자의 정보탐색활동과 소비자 영향력에 관한 연구

        안지혜,서영숙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6 아동중심실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첫째, 아동의 소비자 정보탐색활동을 조사하고, 둘째, 아동의 소비자영향력은 어떠한지 규명하며 셋째, 부모의 소비자교육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넷째, 아동소비자의 정보탐색 활동, 아동의 부모에 대한 정보제공정도, 아동의 구매영향력, 부모의 아동소비자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367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137문항의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아동의 소비자 정보탐색활동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이 사용하는 정보원천, 얻고자 하는 정보내용, 정보탐색정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아동소비자의 정보탐색활동 중 아동의 주요 정보원천은 부모의 영향력이 여전히 크게 나타났고, 정보탐색내용은 각 상품별로 알고자 하는 정보내용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제품의 성능․안전성, 가격 등의 실질적인 면을 중심으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정보탐색노력정도는 독자적으로 구매하기 어려운 고가의 상품은 그에 비해 노력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아동이 독자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주로 사용하는 제품들은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주 사용자인 상품에 대해서는 높은 구매영향력을 행사하고, 아동이 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아동소비자교육에 있어서는 구매행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에 대한 지도는 많이 이루어지나, 정보원천으로서의 TV와 인터넷 이용에 대한 지도는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정보탐색노력정도와 아동의 부모에 대한 정보제공 정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구매영향력이 높게 나타날 것이고, 부모로부터 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았을수록 아동의 구매영향력은 높게 나타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및 옻나무 추출물 투여로 체중증가 및 일반활동도의 개선을 보인 진행성 위암환자 1례

        안지혜,정의민,정종수,박재우,윤성우,An, Ji-Hye,Jerng, Ui-Min,Jeong, Jong-Soo,Park, Jae-Woo,Yoon, Seong-Woo 대한암한의학회 2009 大韓癌韓醫學會誌 Vol.14 No.1

        Advanced gastric cancer is the most common type of all cancers in Korea, which account for approximately 18.1% of all incident cancers, and mortality from advanced gastric cancer is estimated at nearly 15.6% of death that caused by all cancer. In the conventional medicine, treatments of advanced gastric cancer include chemotherapy such like FOLFOX. In this case report, we introduce a case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greater omentum, thyroid, supraclavicular lymph node metastasis who had received chemotherapy. Chemotherapy was stopped because of weight loss and neurologic symptom such like cognitive disorder. The patient visited $M{\cdot\mu}$ Integrative cancer center in 2008, and was treated by Sojeukjungwon-san and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aRVS). There was no evidence of brain metastasis.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of cognitive disorder and gained weight. Further case study will b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jeukjungwon-san and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aRVS) for the quality of life of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chemotherapy.

      • KCI등재

        정규크리깅을 이용한 우리나라 주변해역 일평균 해수면온도 격자지도화 및 내삽정확도 분석

        안지혜,이양원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1

        SST (Sea Surface Temperature) is based on the atmosphere-ocean interac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sms for the Earth system. Because it is a crucial oceanic and meteorological factor for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gap-free grid data at a specific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is beneficial in SST studies. This paper examined the production of daily SST grid maps from 137 stations in 2020 through the ordinary kriging with variogram optimization and their accuracy assessment. The variogram optimization was achieved by WLS (Weighted Least Squares) method, and the blind tests for the interpolation accuracy assessment were conducted by an objective and spatially unbiased sampling scheme. The four-round blind tests showed a pretty high accuracy: a root mean square error between 0.995 and 1.035℃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0.981 and 0.982. In terms of season, the accuracy in summer was a bit lower, presumably because of the abrupt change in SST affected by the typhoon. The accuracy was better in the far seas than in the near seas. West Sea showed better accuracy than East or South Sea. It is because the semi-enclosed sea in the near seas can have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seasonal and region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accuracy improvement in future work, and the improved SST can be a member of the SST ensemble around South Korea. 해수면온도는 지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의 하나인 대기-해양의 상호작용을 단적으로 나타내며, 기후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해양 기상요소이다. 이에, 공백 없이 시공간해상도가 일정한 격자자료는 해수면온도 연구에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이 논문에서는 2020년 해양 실측자료 137개 지점으로부터 최적화된 베리오그 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한 정규크리깅을 통해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일평균 해수면온도 격자지도를 산출하고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베리오그램 최적화는 가중최소제곱법을 이용하였고, 내삽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공간적인 치 우침이 없도록 객관적인 샘플링 기준을 적용하여 암맹평가를 수행하였다. 4회에 걸친 암맹평가 결과, 평균제곱근오 차 0.995~1.035℃, 상관계수 0.981~0.982의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정확도가 상대적 으로 약간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급격한 수온 변동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가까운 바다보 다 먼 바다에서, 동해, 남해보다 서해에서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가까운 바다에서 종종 반폐 쇄해 지형으로 인해 해수의 물리적인 특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계절별, 해역 별 특성을 반영하는 SST 추정기법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개선된 자료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고품질 SST 합성 장을 산출하는 앙상블 멤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그 의미에 관한 연구

        안지혜,서영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5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action research process and experience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s to teachers who implemented action research. This study took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experienced teacher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In order to carry out action research, they must start from the point of their standing and find the most suitable methodology for the method of their own life. There might cases that they felt strangeness because of unexpected reaction, and struggled hard against uncertainty. But, they finally experienced the joy of completion of their research. Such experiences gave them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lives and to escape any mannerism through concentration and enthusiasm. And they c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cord of ordinary life in a meaningful way, and also recognize the meaning of process as a new start other than failure. So, they made efforts to grant meaning in a widened perspective. And they found themselves to live as empirical research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could not only have sufficient quality to be researchers but also need to be more aware of such talents.

      • KCI등재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안지혜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수월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좋은 대학수업'으로 평가받은 인문·사회 계열의 우수 수업 사례들로부터 좋은 수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를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내용의 구성과 제시 방법' 측면에서는 풍부한 학습내용을 제공하고, 구조화 된 학습내용을 제시하며, 명확한 설명이 주어지고, 학습내용과 연계된 유머가 사용되며, 심화학습을 유도하는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방법' 측면에서는 잘 연계된 다양한 학습활동을 사용하고, 학습자의 참여가 포함되는 활발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유발 및 학습 지원'의 측면에서는 학업 성과 증명의 기회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학습한 내용의 활용가능성을 강조하고, 지적 자극, 열정 등을 갖도록 지원하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과제 수행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며, 학습 전략을 제시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넷째, '수업 관리' 측면에서는 단위 수업에 대한 관리와 한 학기 수업 전체에 대한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 평가 및 수업 평가'의 측면에서는 학생 평가를 다양한 방식으로 하고, 수업에 대한 성찰과 평가도 다양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좋은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교수자의 열정과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교수자의 열정은 수업에 대한 열정과 학생에 대한 열정으로 나누어지며, 교수자의 지식은 수업 내용에 대한 지식과 수업 방법에 대한 방법적 지식이 포함된다. 이러한 교수자의 열정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하고, 끊임없는 성찰을 통해서 수업의 질적 개선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할 때, 비로소 학생들의 입장에서 "남는 것이 많은" 수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college classes by analyz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urses that were rated as 'good'. In a two-year ethnographic case study, researcher performed 28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f 6 classes rated "good". For the analysis and integration of the data, taxonomic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gramming and presentation of contents, good college classes were those where the professors provided various meaningful content in a well-structured manner, and through a structured learning content. Furthermore, professors gave clear and logical explanations, used a sense of humor in conjunction with learning content, and offered tasks which induced intensive study. Second, in terms of learning methods, good college classes provide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induced learners' participation through active interaction. Third,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upport, good college classes provided students the opportunities to prov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ntinuous feedback from the professor; supported intellectual stimulation, self-confidence and passion of the students; encourag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supported task performance; and provided learning strategies. Fourth, in terms of class management, good college classes managed the whole course of the semester as well as each unit class. Fifth, in terms of student assessment and classroom assessment, good college classes assessed the students and the class in various ways.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a good class were the professor's passion for teaching and devotion to his or her students, as well as the professor's knowledge about the content of the major classes and of various teaching methods. Preparation for class and reflection of the class is thus based on the professor's passion and knowledge. Through efforts to improve class quality, these classes will be memorable for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