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김슬기,박경희,박태홍,임희수,김슬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Occupational Therapy. Methods: The researchers identified 16 qualitative studies among 692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Therapy from the first issue in 1993 until 2018. The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COnsolidated criteria forREporting the Qualitative research(COREQ) developed by Tong et al(2007). Results: The first domain, “Research team and reflexivity”, properly maintained the notification items for researchpurposes, as well as the participants’ rights and the researchers’ duties, whereas the reported items of researcherexperience and training were insufficient. In the second domain, “study design”, phenomenology was the mostcommon research methodology, and most of th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sented in the paper, althoughinterview dropouts and interview environment reports were insufficient. Finally, in the third domain “Analysis andfindings”, the participants’ quotations and topic presentation items were generally well followed, but the participantchecking was no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OREQ can provide a systematic reporting framework for qualitative researchand can be a useful guideline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transparency of theresearch methods. Therefore, COREQ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qualitativeresearch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연구자들은 1993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692편 중 질적연구 16편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을 Tong 등(2007)이 개발한 질적 연구 보고 통합 기준(COnsolidated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연구팀과 성찰’영역에는 연구 목적 및 참여자 권리와 연구자 의무에대한 고지 항목은 잘 지켰으나 연구자의 경험과 훈련 보고 항목은 미흡했다. 두 번째 ‘연구 설계’ 영역에서 연구 방법론은 현상학이 가장 많았으며 면접 지침은 대부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하지만 면접 탈락자 및 면접 환경 보고는 미흡했다. 그리고 세 번째 ‘분석과 결과’ 영역에서 참여자 인용문과 주제 제시의항목은 대체로 잘 지켜졌으나 면접자 점검 항목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COREQ가 질적 연구 보고 분석에서 체계적인 보고 틀을 제공하여 연구 방법의 일관성과 연구 방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COREQ의 활용은 작업치료 질적 연구 보고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액상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폐커피가루의 흡착능력 평가

        김슬기,나승민,손영규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1

        최근 커피 이용량이 증가하면서 폐커피가루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환경공학 분야에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폐커피가루를 재활용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흡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액상의 유기 오염물질(메틸렌 블루)에 대한 흡착평형실험 및 흡착속도실험을 수행하였고, 입상활성탄 및 분말활성탄을 이용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흡착평형의 경우 세 종류의 흡착제 모두 Langmuir 식에 잘 맞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대흡착량은 분말활성탄(178.6 mg/g), 폐커피가루(60.6 mg/g), 입상활성탄(15.6 mg/g) 순으로 확인되었다. 흡착속도실험에서도 유사 1차식 및 유사 2차식 모두에서 폐커피가루가 입상활성탄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폐커피가루의 입자 크기가 입상활성탄보다 작으며 표면이 입상 및 분말활성탄과 같이 다공성 특성을 띄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판단되었다. The reuse of spent coffee powder has been researched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pplications such as adsorbents of organic/inorganic pollutants. In this study adsorption equilibrium tests and adsorption kinetics tests for the removal of aqueous organic pollutant (methylene blue) were conducted using spent coffee powder,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powdered activated carbon.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three adsorbents followed the order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178.6 mg/g) > spent coffee powder (60.6 mg/g) > granular activated carbon (15.6 mg/g). The results of adsorption kinetics tests also indicated that spent coffee powder had higher kinetic parameters than granular activated carbon for pseudo 1st and 2nd order kinetics. The high performance of spent coffee powder might be due to its porous surface like those of granular and powdered activated carbons and smaller particle size comparing with granular activated carbon.

      • KCI등재

        단독주택지 내 초등학교 주변 보행환경에 대한 초등학생 만족도 연구 : 일산신도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김슬기,이유미,김서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3

        공동주택지와 달리 단독주택지의 보행환경은 체계적이지 못한 도로계획으로 인해 교통안전문제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보행자를 고려하지 않은 환경으로 주의력이 낮은 초등학생들이 이용에 불편함을 겪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일산신도시에서 단독주택지에 위치한 초등학교 주변 보행로를 대상으로 보행환경을 분석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는 일산 단독주택지의 5개 학교를 중심으로 정문과 후문에 면한 보행로 10개 구간을 대상으로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측면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학교 중 2개 이상 초등학교에서 정문 보행환경 만족도는 차량 통행 만족도, 차량 속도 만족도, 교통안전표지판 만족도, 보행로포장상태 만족도, 보행로포장재료 만족도, 보행로 폭 만족도, 보행로 단차 만족도, 불법 주차차량 만족도, 사람 통행량 만족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5개 학교 중 2개 이상 초등학교에서 후문 보행환경 만족도는 차량통행 만족도, 보행로 단차 만족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5개 초등학교에서 보행환경 만족도 차이가 유의했던 항목은 정문에서 보행로 단차, 식재 및 조경, 사람 통행량이었고, 후문에서 자전거 통행량, 교통안전표지판, 보행로포장재료, 사람 통행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율성 역설에 대한 니체식의 대응

        김슬기 한국니체학회 2022 니체연구 Vol.42 No.-

        The autonomy view claims that norms or values are legitimate insofar as an agent herself establishes and imposes them upon herself. The autonomy view, however, must face a paradox. If it dismisses any constraints over self-legislation, it ends up being arbitrary. On the contrary, if a constraint over self-legislation is presupposed, it could be just heteronomous. Raising the issue of the paradox to Nietzsche’s autonomy view, Reginster and Katsafanas claim that there can be a Nietzschean solution. According to their view, there could be a normative principle that helps to avoid arbitrariness, while not undermining autonomy. They claim that Nietzsche’s concept of will to power can function as a normative principle. They conclude that the will to power, as a normative principle, can solve the paradox of autonomy. This essay claims that Reginster and Katsafanas’s claim is ungrounded for three reasons. First, their claim on “overcoming resistance” as a normative principle conflicts with Nietzsche’s concept of power. Second, their idea of “self-originating” implies a logical defect. Third, Nietzsche’s conception of autonomy thoroughly rejects any supposition of a normative principle that presents itself as ultimate and conclusive. Instead, this essay claims that the paradox of autonomy is, for Nietzsche, not what to be resolved or avoided in order for an agent to be autonomous, but what to be affirmed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autonomy. Nietzsche presents the normative principle to solve the critique of arbitrariness as what to be achieved by each agent themselves. 율성 개념에 따르면 가치나 규범의 정당성은 행위자 자신이 그것을 수립하 고 자기에게 부여했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자율성 개념은 논리적으로 자 의성의 문제와 타율로의 전락이라는 자가당착적 상황에 봉착한다. 즉, 가치나 규범이 어떠한 외부적 제약 없이 철저히 행위자 자신의 결정에 의해서만 수립된 다고 한다면, 자율적 결정은 자의적 결정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자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위자가 수립하지 않은 어떠한 규범적 제약을 상정한다면, 자 율적 결정은 타율로 전락하고 만다. 레진스터와 캇자파나스는 니체의 자율성 개 념에 이와 같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을 보이고, 나아가 이 문제에 니체식의 해 결 대안이 가능함을 주장한다. 먼저, 이들은 자율성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규범적 원리가 필요하다고 한 후, 자율성 역설을 해결할 규범적 원리의 조건을 다음의 두 가지로 제시한다. 규범적 원리는 외부로부터 주어진 것이 아 니라 자기가 수립한 것이어야 하며, 그럼에도 그것은 다른 가치와 달리 특권적 지위를 가진 것으로 다른 가치를 평가하고 선택할 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들은 니체의 힘에의 의지 논의로부터 ‘저항 극복’이라는 규범적 원리가 도출될 수 있으며, 이것은 위의 두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본다. 이로부터 이들은 저항 극복이라는 규범적 원리를 통해서 니체에게 제시되는 자율성 역설의 문제 가해결될수있다고결론내린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이유로 위의 시도에 비판적이다. 첫째, 레진스터와 캇자파 나스가 제시하는 저항 극복이라는 규범적 원리는 니체가 주장하는 힘이라는 규 범적 원리의 중요한 특성과 배치된다. 둘째, 이들은 ‘스스로 수립’이라는 표현을 이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저항 극복이 자율을 침해하는 원리임을 간과한다. 셋 째, 이들의 시도는 니체의 전체 철학적 기획과 어긋난다. 니체는 그 자체로 궁극 적이고 최종적인 형태로 주어지는 규범적 원리의 상정을 철저히 거부한다는 점 에서 하나의 객관적이고 궁극적인 원리를 통해서 자의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 도는결코니체식의대응이라고할수없다. 본 논문은 자율성 역설에 대한 참된 니체식의 대응은 이것을 해소하거나 제거 해야 할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자율 실천의 필연적 조건으로 받아들 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니체식의 자율 실천이 자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아니다. 니체 역시 자기 결정을 인도할 하나의 규범적 원리 상정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다만 니체에게 이것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형태로 주어지 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것은 행위자 개개인이 각자의 실천에서 스스로 수립 해야 할 과제로 주어지는 것이다.

      • KCI등재

        교정공무원의 성격5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와 동료관계의 매개효과

        김슬기,정효운,김정민,오영선 한국교정학회 2024 矯正硏究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공무원의 성격5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동료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교정시설에 근무하는 교정공무원 총 22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 척도, 성격5요인 척도, 직무스트레스 척도, 의사소통 척도, 대인관계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성격5요인,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격5요인 중 친화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정공무원의 외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직무스트레스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친화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직무스트레스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외향성과 개방성이 조직몰입에미치는 영향에 대해 동료관계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친화성이 조직몰입에미치는 영향에 동료관계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coworker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rrectional offic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0 correctional officers working in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scales to meas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job stres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five personality factors, job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rrectional officers, job stress and agreeableness, on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rrectional officers. Second, job stress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extrovers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agreeabl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coworker relationships fully mediated the impact of extroversion and open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agreeabl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