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이크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16 QAM 신호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고봉진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9 産技硏論文集 Vol.13 No.-

        In this paper, the Optimum Threshold Level(OTL) of 16QAM signal which is considered in AWGN as well as fading depth is derived, and the performance of 16QAM signal is analyzed. And evaluated error performance of 16QAM signal is compared with that of 16QAM signal which considered in fading depth only. From the results, the error performance evaluated by proposed OTL was superior to that of 16QAM signal with OTL, which considered in fading depth only, in the range of low CNR.

      • KCI등재

        연명의료중단 규율에 대한 한국법과 미국법 비교 연구

        고봉진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法과 政策 Vol.25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justification requirement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prescribed in Korea’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making Act’, and compares it with the contents of various US states laws (especially California’ law). In Korea,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applies the lifetime treatment discontinuation to the patients in the end-of-life course and the patients in the end stage, while the United States permits the discontinuation of life-sa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persistent vegetative state(PVS). In Korea,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has AD and POLST as a way to confirm the patient’s intention. This is similar to the Advanced Directive(AD) and the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POLST) in the United States, but there are differenc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n law and US law is whether or not to accept a proxy decision through an agent. In Korea, the ‘Health Care Decision Act’ does not recognize the ‘agency deci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States, the patient can designate an agent for the AD, and not only the patient but also the agent can participate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ST. In Korea,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requires the consent of the spouse of the patient and all members of the direct line within one village. Some state laws in the United States set out the order of people who can make decisions on behalf of patients, and in the absence of such legislation, the courts decided on a proxy decision. In some states, legislation has been created to justify ‘doctor assisted suicide’. This is a completely different part of our country. In this paper, I compare the conten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in Korea with the contents of various states (especially California) laws in the United States. The comparative legal consideration was not to judge whether one side is right or the other, but to show that there is a proper discipline in each of the treatment based on Korean and American culture. You can also find out what to learn in the various programs and specific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에 규정된 ‘연명의료중단의 정당화 요건’을 다루고, 이를 미국의 여러 주(특히 캘리포니아주) 법 내용과 ‘전반적으로’ 비교했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와 ‘말기환자’에 연명의료중단이 적용되는 반면에, 미국은 ‘지속적 식물인간상태(PVS)’에 있는 환자에게도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된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두었다. 이는 미국의 AD(Advanced Directive)와 POLST(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점이 있다. 대리인을 통한 대리결정을 인정하는지 여부가 한국법과 미국법의 가장 큰 차이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대리인을 통한 대리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 반면에 미국은 환자는 AD에 대리인을 지정할 수 있고, POLST 작성에 환자뿐 아니라 그 대리인도 참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에서 대리규정이 활발하게 활용되는 배경에는 프라이버시권을 연명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로 보는 데 있다.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의 의사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환자의 배우자 및 1촌 이내 직계 존비속 전원의 동의가 요구한다. 미국 일부 주법에서는 이 경우 환자를 대신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의 순서를 정해두었고, 이러한 입법이 없는 경우에는 법원의 판결로 대리결정자를 결정했다. 미국 몇몇 주에서는 ‘의사조력자살’을 정당화하는 입법이 만들어졌다. 이는 우리나라와 전혀 다른 부분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나라 ‘연명의료결정법’ 내용과 미국의 여러 주(특히 캘리포니아주) 법 내용과 ‘전반적으로’ 비교했다. 우리나라는 ‘인간존엄’ 논의를 통해 연명의료중단의 정당화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조심스럽게 접근하는데 반해, 미국은 ‘인간존엄’ 논의가 (가톨릭, 기독교 종교 차원과 이론 차원에서는 주장되어도) 헌법 차원에서는 제기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보다는 조금 더 나간 면이 있다. 대신 미국은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는 문화가 있다. 이 또한 가족 후견주의를 강조하는 동양 문화와 다르다. 자기결정권 못지않게 가족 후견주의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 문화에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이 미국만큼 강조되지 않는다.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어느 일방이 옳고 어느 일방이 그르다는 판단이 아니라, 한국과 미국의 문화에 기초하여 ‘연명의료중단’에도 각각에 적합한 규율이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 줄기세포주의 국가간 이동

        고봉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The human stem cell lines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of human stem cell research. By providing high quality materials we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stem cell research and therap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researchers wishing to study the human stem cell and improve the cell therapy to gain high quality materials through import and expor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mport and export of the human stem cell lines. Many of the source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are located in countries other than South Korea. So we should establish procedures to help ensure that the import of the human stem cell lines are conducted in an legal manner. At the same time we should develop rules to help ensure that the stem cell research are conducted in an ethical and legal manner. As for the human stem cell research it is a fundamental requirement of using materials that the import and export of human stem cell lines and the human stem cell research should meet the international approved criteria. In this article, the procedures and rules of three countries (Germany, England, the Unites States) are introduced and compared. By comparing the system of three countries, we hope that we can establish our own system.

      • 창원-마산 지역에서 정지위성신호의 강우감쇠 연구

        고봉진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8 産技硏論文集 Vol.12 No.-

        In satellite communication, although rain is not a problem of low GHz band, it is a major concern that strongly influences link design as using frequency move into the 14/12 and 30/20 GHz bands to avoid orbital congestion. A reliable prediction of attenuation by rain is therefore necessary for a system design. But the study on attenuation by rain has not been yet in Changwon-Masan. In this paper, the rain rate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from recent year data and then the rain attenuation is estimated in Changwon-Masan.

      • KCI등재

        재분배, 사회권, 인정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2 법철학연구 Vol.15 No.3

        자유지상주의자, 의무론적 자유주의자, 공동체주의자는 ‘소득과 부의 재분배’의 정당성에 대해 각각 다른 시각을 보인다. 보수주의자는 진보주의가 ‘소득과 부의 재분배’를 지나치게 확대함으로써 가진 자의 재산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진보주의자는 보수주의가 ‘소득과 부의 재분배’를 지나치게 축소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도외시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자유지상주의, 의무론적 자유주의,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소득과 부의 재분배’의 정당성 논의를 살피는 가운데,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私見에 따르면) 적정한 ‘소득과 부의 재분배’는 사회적 약자에게 상실된 자유를 회복시키며, ‘개인의 자기실현의 전제조건’을 충족시킨다는 점에서 정당화된다. 적정한 ‘소득과 부의 재분배’의 정당화는 국가에게 법적․실제적 가능성을 감안하여 가능한 최대한의 수준에서 복지정책을 실현할 의무를 부과하는 ‘원칙으로서의 사회권’과 실현가능한 최소한의 기준은 지체 없이 충족시킬 의무를 부과하는 ‘규칙으로서의 사회권’이라는 사회권의 특징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역행할 수 없는 ‘세계화’와 관련하여 개인이 자기실현할 수 있는 전제조건을 보장하는 국가의 과제가 점점 더 실현하기 어렵게 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세계화에 따른 국민국가와 복지국가의 위기 속에서도 ‘인정의 정치’는 개인의 자기실현의 전제조건을 증진시키는 정책을 최대한 펼칠 것을 요구한다. In diesem Aufsatz bearbeite ich zuerst die Debatte über die Legitimität der Umverteilung des Einkommens und des Vermögens (in Bezug auf Libertarianism, deontolgischer Liberalism, Kommunitarimus) und danach schlage meine Meinung vor. Meiner Meinung nach rechtfertigt sich die Umverteilung des Einkommens und des Vermögens, insofern sie sozialen Schwächen die verlorene Freiheit wiederherstellen und die Vorbedingung der Selbstverwirklung erfüllen kann. Die Legitimität der Umverteilung des Einkommens und des Vermögens steht in engen Beziehungen mit der Merkmalen des Sozialrechts: Sozialrecht als Regel und Sozialrecht als Prinzip. Während der Staat sich unter dem Sozialrecht als Regel verplicht, ausführbare minimale Massstäbe sofort zu verwirklichen, verplicht er sich unter dem Sozialrecht als Prinzip höchstmögliche Massstäbe in Anbetracht legale, praktische Möglichkeiten. In Bezug auf Globalizierung ist es eine sehr schwierige Aufgabe geworden, die Vorbedingung der Selbstverwirklung mit dem Recht und der Politik zu erfüllen. Gleichzeitig ist die Politik der Anerkung wichtig geworden, um die Vorbedingung der Selbstverwirklung zu erfüllen.

      • KCI등재후보

        성층권 비행선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연구

        고봉진,김혜영,조성언,Ko Bong Jin,Kim Hye Young,Cho Sung E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 No.2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tic results of outage probability, considering the effect of Rician fading, interference and interference-reduction techniques, wh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as constructed by using Stratospheric platform, one of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hich provides high speed multimedia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carrier to interference power ratio C/I and fading depth K have an effect on outage probability. That is, outage probability decreases as K value increases for constant C/I value and C/I value increases for constant K value.

      •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IRB

        고봉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2

        We live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especially characterized as ‘Risk Society’: We live with the modern risk. It is so huge and wide, that we should try to know how to deal with. It has two sides: benefit and harm. Besides it is related with the decision and the responsibility. The former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modern risk: benefit, harm, decision, responsibility.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isk of the modern biotechnology research and the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modern biotechnology research ha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the benefit, but also that of the harm. The IRB should estimate the risk of the modern biotechnology, and take possibile steps to reduce it. With the decision of the IRB, it takes the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und the norm. The theme ‘the risk of the modern biotechnology research and the IRB’, with which this article deal, is one example of the important problem, how the modern norm responds to the modern risk.

      • KCI등재

        제도 공리주의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3

        The fact that ‘majority problem’ is highlighted by modern capitalism is the main background for utilitarianism to be in the spotlight. Utilitarianism is the optimal theory that can deal with ‘majority problem’ in that it aims for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With the totality of modern capitalism, today’s economic sector affects all areas of society. Utilitarianism emerges again as progressive theory in this era in that modern society is a structure of ‘minority to majority.’ Utilitarianism becomes a counter theory against the totality of capitalism. I insist on creating and operating a system for the benefit of the majority through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Social reform is none other than institutional reform. It is to promote public interest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proper system. Public interest should be understood as social organizational system, and our task is to make social systems promote public interest. In creating and operating social systems, the priority of pain removal and the secondarity of pleasure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requires harmony with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Laws and system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at actually occurs in society. Otherwise it can be counterproductive. It has a more effective effect to operate an appropriate system in line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for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promotes desirable functional differentiation from ‘normal perspective’ against the backdrop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realized in society. I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factual concept’ is the background and condition for realizing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concept’ becomes the goal that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seeks to realize. If you are satisfied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at actually occurs in society as it is, you cannot expect to differentiate the system for the weak naturally in society. I insist on realiz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task’ in areas outside the market. In this regard, from my point of view, ‘utilitarianism’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task’ are very closely related. 현대 자본주의에 의해 ‘다수의 문제’가 부각되는 점은 공리주의가 각광을 받게 되는 주된 배경이 된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지향하고 다수의 公利를 다룬다는 점에서 ‘다수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최적의 이론이다. 현대 자본주의의 총체성으로 오늘날 경제영역은 사회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현대 사회가 ‘소수 대 다수’의 구조라는 점에서 공리주의는 이 시대에 진보적인 이론으로 다시 부상된다. 공리주의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대항하는 대항 이론이 된다. 필자는 ‘제도 공리주의’를 통해 다수의 이익을 위한 제도를 만들고 운영할 것을 주장한다. 사회개혁은 다름 아닌 제도개혁이며, 제도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公利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제대로 된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제도 공리주의’는 강조한다. 공리는 사회 조직 체계로 파악되어야 하고, 우리의 과제는 사회제도가 공리를 증진하는 것으로 만드는 데 있다. 사회 제도를 만들고 운영함에 있어서는 ‘고통 제거의 우선성’과 ‘쾌락 증진의 이차성’을 고려해야 한다. ‘제도 공리주의’는 ‘사회의 기능적 분화’와 조화를 이룰 것을 요한다. 사회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기능적 분화’를 고려해 법과 제도를 마련해야지, 다수를 위한 제도와 정책이 표면상으로 옳다고 해서 이를 무턱대고 추진해서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사회의 기능적 분화에 발맞추어 적절한 제도 운영을 하는 것이 더 실효적인 효과를 낸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제도 공리주의’는 사회에 실현된 기능적 분화를 배경으로 ‘규범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기능적 분화를 도모한다. ‘사실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가 ‘제도 공리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배경과 조건이라면, ‘규범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는 ‘제도 공리주의’가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가 된다. 사회에 실제로 일어나는 기능적 분화를 그대로 두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약자를 위한 체계가 분화되기를 기대할 수 없다. 필자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시장 외의 영역에서 실현할 것을 주장한다. 그런 점에서 필자의 관점에서는 ‘공리주의’와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