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韓 사회의 발전 과정 고찰 : 辰王의 위상변화와 삼한사회의 분립을 중심으로

        조영훈 이화사학연구소 2003 梨花史學硏究 Vol.0 No.30

        This article makes a goal to consid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Byeon-han(弁韓) from Three-hans(三韓) period to Three-kingdoms(三國) period. The Account of Eastern Barbarians(東夷傳) in the Samgukji(三國志) is the oldest, and the nearest by real. Because those are based on the contemporary sources of Wei(魏), so must be regarded as the most fundamental materials. The part of the Samgukji concerning Three-Hans(三韓) in the 3rd century records the existence of a king by the name of Jin-wang(辰王) ruling Mokji-guk(目支國.) However the interpretence of a king by the name of Jin-wang have been varied, through this examination, I think that the historical character of his figure is representative of chieftain called Sinji(臣智); who came into existence as the result of combination and subjugation between tribal communities in Three-Hans society. The Sinji in each region organized central political principality, such as Sinbungo-guk(臣분沽國), Sinunsin-guk(臣雲新國), located Ma-han(馬韓), Guya-guk(狗邪國), Anya-guk(安邪國), located in Byeon-han. In the beginning of the 3rd century, Sinji of Mokii-guk conclude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chieftains of principalities, at length he became a king, Jin-wang. But the basis of jin-wang's kingship was we so he was always unable to bring these principalities under his authority. Also, on the distruption-policy of Wei(魏) dynasty in China, he soon disappeard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The eastern foreign policy of the Wei took the shape of a mililtary hard-line policy aimed at protecting their rear frontiers and ensuring the supply of goods. According to the changing circumstans, principalities of Jin-han(辰韓) and Ma-han get out of Jin-wang's authority, and they concentrated all one's abilities on making the kingdom in the each region. While on the Byeon-han, the nucleus that principality transform into state didn't appear, still principalities like Guya-guk, Anya-guk remain until 6th century. The actual existernce of Jin-wang historically evaluat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precednt to the formation of king on Three-kingdoms period(三國時代).

      • KCI등재

        三韓 인식의 연원과 통일전쟁기 新羅의 天下觀

        윤경진 ( Kyeong Jin Yoo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7 No.-

        이 글은 신라에서 삼한일통의식(三韓一統意識)이 수립되는 전제로서 三韓에 대한 인식의 연원을 살펴보고, 통일전쟁기 주변국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三韓은 본래 중국 사서(史書)에서 한반도에 있던 세 韓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이들이 소멸한 후에는 중국 동쪽에 존재한 역사 단위를 총칭하는 개념이 되었다. 이것은 본래 삼한과 구분되었던 고구려(高句麗)와 그 이전에 존재하던 고조선(古朝鮮)까지 포함하는 것이었다. 唐은 외교적 관점에서 삼국의 화해를 도모하면서 三韓을 통해 삼국의 역사적 동질성을 강조했지만, 신라는 이러한 인식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자신의 역사를 三韓으로 표현하는 사례가 보이지만, 대체로 후대의 인식이 소급된 것이다. 외침에 시달리던 신라는 이를 이념적으로 타개하기 위해 자신을 천하의 중심으로 자처하였다. 이러한 천하관이 표현된 것이 구한(九韓)으로, 구이(九夷)의 관념을 토대로 만들어낸 것이었다. 九韓은 신라에 내공(來貢)하는 존재로 규정되기 때문에 신라 자신을 포함하는 (三韓一統意識)과 구분된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recognition of "Sam-Han" (三韓), which was the foundation of a notion (developed by the Shilla people) that suggested "the Three Han entities had been one all along" (三韓一統意識), originated and formed. Also examined is how Shilla viewed the other opponent countries during the Unification war. The term "Sam-Han" (三韓), appearing in Chinese historical texts, originally referred to the three Han ent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Yet later, when all of these entities disappeared, it became a term used to refer to all the historical entities existing in the east of China in a generic sense, including Goguryeo (高句麗), which was not part of the Sam-Han legacy, as well as Joseon (朝鮮), which had existed well before the time of Sam-Han. Diplomatically, the Chinese Dang (唐) dynasty encouraged the three dynasties to get along with each other, and emphasized historical similarities shared by them (supposedly through Sam-Han), but Shilla never accepted or embraced such a notion. There are examples in 『Samguk Yusa (Tales of the Three Dynasties that Remain to be Told)』 or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Dynasties)』, in which the Shilla people are depicted as referring to their own history as the history of "Sam-Han," but in most cases they were rather expressions came from their descendants, the people of Goryeo. Being continuously harassed by all types of foreign invasions, Shilla needed an ideological notion that could enable itself to sustain and endure; hence, the Shilla people came to consider themselves as occupying the center of the universe. One expression revealing this type of view of the world was "Gu-Han" (九韓, nine Han entities), which was based upon the concept of "Nine Types of Yet-to-be Civilized" (``Gu-Ih``, 九夷). In theory, these Gu-Han units paid tribute to Shilla and were therefore conceptual figure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Sam-Han units, which included Shilla itself.

      • KCI등재후보

        삼한일통의식의 형성 시기에 대한 고찰

        노태돈(盧泰敦)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삼한일통의식이 7세기 말 8세기 초에 형성되었다는 기존 설을 부정하고, 이 의식이 9세기 후반에 형성되었다고 여기는 설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720년 편찬된 일본서기에 기술된 삼한 기사를 검토하여, 신라에서 삼한 의식이 언제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일본서기에 기술된 ‘삼한’ 기사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삼한’은 삼국을 뜻하며, 삼국은 모두 일본에 시종 종속적인 번국(蕃國)이었다고 여기었다. 그런데 이런 인식은 빨라도 7세기 중반 이후에 형성된 것이었다. 645년에 일어난 대화개신(大化改新) 직후, 왜국 조정이 고구려 사절에게 전한 말에서 고구려왕을 신의 아들(神子)이라 표현하여 공경하는 자세를 보였다. 그리고 일본서기 천지(天智) 원년(662) 12월조에 기술된 ‘삼한’을 언급한 기사의 일부는 중국 책 문선(文選)의 서도부(西都賦)의 기사를 원용한 것이다. 그러면서 서도부의 ‘구주(九州)’라는 단어를 일본서기에서는 ‘삼한’으로 바꾸어 기술하였다. 수·당대의 삼한 용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예이다. 삼한을 구주(九州)나 천하와 같은 뜻으로 여기는 이러한 일본서기의 ‘삼한’ 개념은 신라로부터 도입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그 뒤 삼국통일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삼국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 668년 신라가 일본과 국교 재개를 한 뒤, 669년부터 신라가 당과 교전을 벌림에 따라, 신라는 일본의 지원을 바라게 되었고, 최소한 일본의 중립을 유지키 위해 진력하였다. 그런 가운데서 일본은 신라에 대해 우월적 입장을 취하였다. 그런 일본을 달래려고 신라는 물자를 보내는 등 저자세 외교를 감수하였다. 아울러 백제 땅이었던 금마저에 자리 잡은 고구려 유민의 나라인 소고구려도 신라의 통제 하에서 일본과 교섭하면서 시종 저자세를 취하였다. 676년 신라와 당 간의 군사적 대결이 휴전 상태가 된 이후에도 이런 측면은 당분간 지속되었다. 이런 신라와 소고구려의 일본과의 교섭 양태와, 그리고 일본 열도로 이주해 간 삼국 주민들의 열악한 형편은 당시 일본인들의 삼국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삼국 모두 일본에 굴종적인 약소한 나라들이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그런 인식이 역사 서술에 반영되어, 거슬러 삼국과 일본과의 교섭 초기부터 그러하였다는 식의 기술을 낳게 하였다. 이런 식의 인식이 성립한 것이 언제 부터인가를 생각할 때, 유의되는 것이 신공황후전설에 대한 고사기와 일본서기 간의 기술의 차이이다. 720년에 편찬된 일본서기에선 신공황후가 신라를 원정하니, 삼한(三韓) 즉 삼국 모두가 항복해왔다고 하였다. 그에 비해 712년에 간행된 고사기(古事記)에서는 신라와 백제가 신공황후에게 항복하였다고 하였다. 삼국을 삼한으로 지칭하고, 삼한이 시종 일본의 종속국이라는 서술이 등장한 것이 720년 이후였음을 말해준다. 곧 삼국을 삼한이라고 칭하고 그것이 신라로 통합되었다는 신라인의 인식이 7세기 후반 이후 일본에 전해졌고, 다시 그러한 삼한이 거슬러 이른 시기부터 일본에 종속국이었다는 식으로 일본식의 삼한인식을 형성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역으로 신라에서 삼한일통의식이 7세기 종반에는 형성되었음을 추단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일본의 ‘三韓’ 인식에 대한 재검토

        윤경진(Yoon, Kyeong-jin)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이 논문은 중국과 일본의 삼한 인식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비판하고 새로운 각도에서 그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삼한 인식을 통해 7세기 신라의 삼한일통의식을 뒷받침할 수 없음을 논증한 것이다. 삼국의 통합을 당위로 인식하는 ‘一統三韓’의 이념에서 ‘三韓’은 삼국의 역사적 동질성을 통해 ‘一統’의 당위를 유도하는 준거였다. 이것은 역사적 실체로서 삼한이 소멸한 후 그와 관련이 없는 고구려까지 삼한으로 지칭된 것에서 연원한다. 중국 隋唐대의 삼한 인식은 대부분 기존의 東夷를 대신하는 범칭으로 사용된 것이었다. 고구려를 삼한으로 연결하는 역사적 준거에 대해서는 樂浪郡의 한 통제나 箕子와의 연결관계를 통해 제시하기도 하지만 모두 근거가 부족하다. 삼한을 통해 삼국의 역사적 동질성을 제시한 것은 외교적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사회 일반으로 확산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또한 『일본서기』에서 한은 일본이 지배하는 지역을 상징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東韓과 南韓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각각 진한과 변한에 상응한다. 백제와 고구려까지 멸망하면서 일본은 이들까지 자신의 藩國으로 간주하면서 삼한 개념을 채용하였다. 이것은 『일본서기』 단계에서 비로소 수립된 것으로 신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볼 수 없다. Attempted in this article is a critical analysis of previous discussions regarding China and Japan’s perception of the “Samhan(‘三韓, Three Han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ose perceptions could be used as resources that supposedly confirm the Shilla notion of “Three Hans being one(三韓一統意識)” indeed having been the product of the 7th century. The “Samhan” references made during the Chinese Su & Dang(隋唐) periods were all uttered to indicate the old “Dong’ih(東夷)” race. Some have argued that the Nakrang-gun commandery[樂浪郡]’s control of Han(韓) or the advent of Gija(箕子) himself should be considered as historical facts that could be used in linking Goguryeo to Samhan, but such relationships seem to be circumstantial at best. Citing Samhan to present the historical relationship among, as well as similarities shared by, all three dynast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a diplomatic initiative. In 『Ilhon Shoki(日本書紀)』, Han represented the region ruled by Japan, and sometimes parts of that realm were separately called as ‘Dong’han(東韓)’ and ‘Nam’han(南韓).’ After Baekje and Goguryeo fell, Japan began to label them as their perimeter states[藩國] too, and then began to use the Samhan concept as well, which shows us that their perception of Samhan was established at the time of 『Nihon Shoki』’s compilation, and could not have been imported from Shilla.

      • KCI등재

        수ㆍ당대의 삼한 인식 변화와 『翰苑』의 편목 설정

        이준성(Lee, Jun-Su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7

        『翰苑』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른 지역에 비해 東夷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다. 동이 지역과 관련하여서는 7세기 당시 존재하고 있던 국가들 뿐 아니라 부여, 삼한 등 이미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정치체들을 아울러 서술하고 있다. 또한 동이지역의 부여ㆍ삼한ㆍ고려ㆍ신라ㆍ백제 등 5개 편목 사이에는 부여→고구려, 삼한→신라 및 백제의 계승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편찬 당시 동이 지역에 존재하고 있던 국가에 대한 관심의 범위가 그 역사적 계승에까지 닿아있었던 것이다. 결국 『한원』의 편찬 과정에서는 ‘역사적 삼한’과 ‘현실적 삼한’ 인식이 혼재될 가능성도 있었지만, 찬자는 ‘삼한’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고 대응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내용 파악이 용이한 사서를 중심으로 삼한 편목을 구성하였다. 그것은 漢의 계승을 통한 中華 재건을 표방하던 수ㆍ당대 대외인식을 반영하는 것인 동시에, 아직 동이 지역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이르지 못하던 상황을 반영해준다.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Hanwon, it is found to show a higher interest in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東夷) than in other regions. Regarding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not only the countries that existed in the 7th century, but also the political bodies that already ceased to exist, such as Buyeo and Samhan, were described. In addition, it established a succession relationship from Buyeo → Goguryeo, Samhan → Silla and Baekje among the five of Buyeo, Samhan, Goguryeo, Silla, and Baekje in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At the time of compilation, the scope of interest in the countries that existed in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reached its historical succession. In the end, the author of 『Hanwon』 would have had no choice but to organize a compilation on Samhan focusing on history books that were relatively easy to grasp instead of closely analyzing and addressing ‘Samhan’ after thinking over the difference between ‘Historical Samhan’ and ‘Real Samhan.’ It reflects the external perception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at advocated the reconstruction of China(中華) through the succession of Han(漢),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was not yet reached.

      • KCI등재

        <三韓拾遺>의 기술 방식 세 가지

        이승수 한국고소설학회 2003 古小說 硏究 Vol.15 No.-

        이 글은 기술 방식을 분석하여 <삼한습유>가 지닌 예술성의 형식적 근거를 규명한 논문이다. <삼한습유>는 크게 전과 환상, 그리고 寓言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과 환상은 역사적 연원과 지향에 있어서 이질적인 양식이다. 이질적인 두 양식이 자기를 내세우고 서로를 견제하면서 동거하는 형태는 <삼한습유>가 지닌 예술적 매력이다. 전과 寓言은 역사적으로 친연성이 높아 후대의 많은 문인들이 두 양식의 결합을 실험해왔다. <삼한습유>에서 전과 우언의 결합은 그러한 전통에 속해 있다. 환상과 우언은 모두 현실 질서의 해체와 이데올로기의 전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속성상 가깝다. 그러면서도 우언은 환상에 비해 현실성이 높으며, 환상은 서사규모를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다는 각각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환상은 우언의 기술 방식을 채택하여 현실과의 긴장을 유지했고, 우언은 환상의 보호 속에서 자기 모순을 드러내는 기능을 잘 발휘했다는 점에서, <삼한습유>에서 환상과 우언의 결합은 성공적이다. 역사적 기반이 각기 다른 이질적 양식을 실험적으로 결합하여 현실성과 친숙성을 끌어안으면서도, 그것들이 지닌 관습성과 상투성을 극복하여 신선하고 역동적인 서사를 만들어낸 것은 <삼한습유>가 거둔 최고의 문학적 성과이다. Samhanseupyu(三韓拾遺) is a long story with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It was not read by many common people, but has been recognized by representative contemporary intellectuals as one of the best writings. Modern researchers highly value this novel and have studied on this, producing tremendous amount of papers. In spite of strong interests on the novel, however, not many studies focused on its formal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description methods of it in order to figure out the formal base of its artistic aspects. With regard to description methods, Samhanseupyu is largely composed of 'biography', 'vision' and 'parable'. Biography and parable are based on Samacheon(司馬遷)'s 'Sagiyeoljeon(事記列傳)' and 'Jangja(莊子)', respectively, and so it has a long history and self-regulation as a genre. On the other hand, vision was formed comparatively later, and it has a weak identity as a genre. These three are combined in Samhanseupyu not as a genre, but as an aspect of 'description methods'. This largely shows the process that a new genre novel in the 19th century of the Korean novel history included its adjacent genres, while it showed a mechanism in which a writing produced aesthetic effects. Interpreting this involves in both the history of novel and the analysis of writings. However, this study deals with only the latter. Biography and vision are two different forms in historical backgrounds and aims. The artistic attractiveness of Samhanseupyu lies in the fact that these two different patterns coexist while they hold each other in check. A positive aspect is that biography gives stability to vision, making it equipped with realistic tension, while vision releases stiffness and burden of biography, stimulating imagination and aesthetic senses. As biography and parable(寓言) have been closely related for a long time, many writers in later times have experimented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orms. The combination of biography and parable in Samhanseupyu belongs to such a tradition. Vision and parable are close in nature to each other in the respect that they all aim at dissolving the current order and overthrowing ideology. Nevertheless, parable has a stronger sense of reality than vision, whereas vision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scale of description to the unlimited extent. Vision maintained tension with reality by adopting the description method of parable, while parable well revealed self-conflict through the protection of vision. In this regard, the combination of vision and parable in Samhanseupyu was successful. One of the best literal achievements of Samhanseupyu is that it combined the two historically and basically different forms and adopted reality and familiarity, while it overcame its mannerism and conventions and created fresh and dynamic writing.

      • KCI등재

        嶺南地域 三韓時代 住居址의 變遷과 地域性

        김나영 영남고고학회 2007 嶺南考古學 Vol.- No.43

        In order to examine changes of dwelling plans in Youngnam area during the Samhan Period over time and their regional differentiation, types of dwelling plans have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dwelling plan, fire place, post holes and so on. This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proposed types of dwelling places had been varied diversely as time passed.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of the first half of the Samhan period(三韓前期) vividly showed the emergence of a new dwelling culture and how the new arrivals had settled down while having adapted to new environments. Unlike the dwelling places of the Bronze Age, the dwelling places of the Samhan Period in Youngnam area do not have a regular pattern. But they had maintained indigenous dwelling traditions. And the plans of dwelling places of this period are round or square. They are sometimes a small pit. They have survived partially. So they are sometimes considered to be occupied temporarily. The second half of the Samhan period(三韓後期)w itnessed the development of dwelling culture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Wajil pottery culture(瓦質土器文化)and its spread. The early second half of the Samhan period saw the appearance of the dwellings with kitchen ranges(부뚜막식주거지)i n all parts of Youngnam area. The late second half of the Samhan period witnessed the appearance of the dwellings with floor heating facilities called Ondol and their spread in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During the end of the Samhan perio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 culture in each region appeared along with new cultural changes.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each dwelling type over time reveal three regional groups; the south-eastern region ranging Gyeongsan-Pohang-Gyeongju-Busan areas, the western inland region ranging Geochang-Hamyang-Jinju-Sancheong areas, and the southern coastal region ranging Goseong-Jinhae-Sacheon areas. The examination of the dwelling types in each region reveals regional variations in dwelling culture. In the south-eastern region the diverse dwelling culture had been appeared and spread upon the adoption of Wajil pottery culture. Instead changes in the dwelling culture and its developmental speed is a little bit steady or slow in the western inland region where the spread of the Wajil pottery culture is relatively weak. An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diverse dwelling elements from other regions have been discovered, which might be a result of interaction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trading advantages as a coastal region. 영남지역 삼한시대 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을 살펴보기 위해 주거지 구조의 속성 중시간성과 공간성을 잘 나타내는 평면형태, 노시설, 기둥형태를 중심으로 주거지 유형을설정했다. 설정한 주거지 유형은 각 시기별 문화변동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감을 알수 있었다. 삼한 전기는 새로운 주거문화가 출현하는 단계로 이주민들이 새로운 환경으로 이주하여정착해 나가는 과정을 잘 보여 준다. 확인되는 주거지 형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처럼 정형화된 패턴을 띄지 않고 기존 재지 주거문화의 전통을 유지하거나 원·방형의 소형수혈유구또는 부정형하게 바닥 일부만 남아 있는 일시주거의 형태를 띠고 있다. 삼한 후기는 와질토기문화의 출현과 확산으로 주거문화가 변화·발전하는 시기이다. 삼한 후기 전반에는 영남전역에 원형의 부뚜막식 주거지가 출현하고, 삼한 후기 후반에 이르면 방형의 온돌식 주거지가 동남해안을 중심으로 출현하여 발전해 나간다. 삼한 말기에는 새로운 문화의 변동과함께 각 지역마다 주거문화의 지역성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단계별 주거문화의 특징으로 유형별 분포양상을 살펴 본 결과 크게 3개의 지역권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지역권은 경산-포항-경주-부산을 잇는 동남부지역권, 거창-함양-진주- 산청을 잇는 서부내륙지역권, 고성-진해-사천을 잇는 남해안지역권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각 지역권 별 주거지 유형을 살펴본 결과 동남부지역권은 대체로 와질토기문화의 수용에따라 다양한 주거문화가 등장하고 전개되어 나감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와질토기문화의파급이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서부내륙지역권은 주거지의 변화와 발전 속도가 다소 지체적이며, 기존 재지 주거문화의 전통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남해안지역권은 해안이라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타 지역의 다양한 주거문화 요소가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三韓 起源과 ‘三韓’의 成立

        신현웅(Shin Hyun-Wooung)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2 No.-

        Samgukji(三國志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hinese) Hanjeon(韓傳 Han, the account of Eastern Barbarians) c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ancient and the primary literature of reference to Samhan(三韓). It is true that we have Huhanseo(後漢書) Hanjeon also, but as the latter seems to be the remake of Samgukji Hanjeon, we are in the position that should depend on Samgukji Hanjeon absolutely for its being almost the only literature in the field. This research has endeavored, through the analysis of Samgukji Hanjeon, to arrange the views over the following prominent issues. First of all it mentioned the origin of Mahan(馬韓) as illustrated in Samgukji Hanjeon along with that of Jinhan(辰韓) and Byeonjin(弁辰). And it reviewed the issues over the concept of 'Samhan'(three-Hans) and inferre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Until now the issue over the origin of Samhan has been explained through two points of view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Some tend to view the whole Samhan primarily as the result of the growth of an indigenous power, while others view the mainstream of Samhan as being related to the northern people's migration to the south. But both views do not seem to match the actual articles in Samgukji Hanjeon. Since Samgukji Hanjeon manifests that Mahan was a kind of natives while Byeonjinhan(弁辰韓 ByeonjinㆍJinhan) were migrated power that came down to the south, the Samhan society that has been mentioned in Samgukji Hanjeon can be inferred as having a binary structure in its origin. And the concept of 'Samhan' appear in Samgukji Hanjeon looks it could be deciphered as a progressive viewpoint in the formation of Samhan. In sum while considering the origin of 'Samhan'. we may suppose it as being the ① Han(韓)ㆍJin(辰) in the initial stage and as having progressed in turn to ② Han(韓) - Jinhan(辰韓), ③ Mahan(馬韓) - Jinhan(辰韓), ④ Mahan(馬韓) - Jinhan(辰韓) - Byeonjin(弁辰), and ⑤ Mahan(馬韓) - Jinhan(辰韓) - Byeonhan(弁韓). Apparently it would be right to suggest that the origin issue and the formation issue of 'Samhan' are in some way or another related with each other. The researcher came to credit, considering the progressive forma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Samhan', that the basic concepts of Samhan such as Hanguk(韓國 Han-country)ㆍHanwang(韓王 Han-king), Jinguk(辰國 Jin-country)ㆍJinwang(辰王 Jin-king), MahanㆍJinhan, and ByeonjinㆍByeonhan in record of Hanjeon would be comprehensible with their facilitation of reciprocal bases.

      • KCI등재

        목은 이색(1328~1396)의 형세문화론적 화이관과 삼한사(三韓史) 인식

        김성환(Sunghwan Kim)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1 No.-

        이색(1328~1396)의 고려왕조사로서 삼한사 인식은 조선씨→기자→삼국→고려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는 3대 부계로 구성된 단군신화를 알고 있었지만, 신이와 괴력난설의 중간 지점인 비괴(秘怪)로 이해했다. 이것은 그에게 고조선의 건국시조를 단군으로 지칭하지 못하고, 조선씨(朝鮮氏)로 얼버무리게 했다. 그 대략은 “당요 무진년에 조선씨가 건국하여 천여년을 지속한 후 기자가 계승했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또 ”단목(檀木) 아래로 내려온 신인(神人) 단군을 국인(國人)이 추대하여 왕이 되었다“는 『응제시』 유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의 이해라고 파악된다. 고려 말부터 성리학을 수용한 신흥유신들 사이에서 단군전승의 합리적인 인식을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는 고려 전·중기의 다원적 천하관이 원과의 관계 속에서 형세문화론적 화이관으로 변한 시대를 살았다. 두 명의 천자가 공존하여 천하관의 중첩을 경험하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기자 인식은 소중화와 불신론(不臣論)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에게서는 동아시아 보편문화인 사대관계에서의 소중화론과 독자적인 영역과 문화를 지칭하는 불신론이 공존할 수 있었다. 그 중심에는 고조선(조선씨)을 문화적인 측면으로도 확대·이해하여 유교적 문명론을 지향하는 ‘삼한인수군자국’에 대한 관념이 자리하고 있었다. Examining Yi Saek'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one can see his outlook on the history of Samhan as one of progression from the Joseon-ssi(朝鮮氏) to the Goryeo nation itself. He knew of the Tangun mythology involving three generations of male lineage, but understood this as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divinely mystical and chaos. This reflects Yi Saek's efforts to creat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Tangun legend among a group of literati who expropriated Neo-Confucianism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period.Concerning Gija, this can be summed up by the Goryeo conception of itself as “Little China” and it's “Anti-Vassal Ideology”. This was the result of Goryeo's consciousness of its separate existence originating with Ancient Joseon, and manifested as one of several logical arguments designed to maintain Goryeo's independence. This concept resulted in an expanded consciousness of Ancient Joseon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t its core lay the theory of “the benevolent nation of Samhan”. Yi Saek understood the Joseon-ssi not merely through a historical context, but also a cultural one. In his opinion, because Joseon represented a “nation of benevolence”, its anti-vassal ideology designating an independent territory and culture could co-exist with the theory of “Little China” as represented by Gija's worship of and loyalty to power, both ideologies involving a universal East Asian culture.

      • KCI등재

        고려의 三韓一統意識과 ‘開國’ 인식

        윤경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문화 Vol.74 No.-

        Examined in this study is a historical fact that the term “Foundation of the Country(開國),” during the Goryeo period, actually referred to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dynasties(後三國), instead of Founder king Taejo(太祖) Wang-Geon(王建)’s enthronement. Goryeo proclaimed that it was a successor dynasty to Goguryeo, and endeavored to unite the later three dynasties. Its operation system and institutions were based upon the very notion that three Hans had been one all the time. Vassals who helped Wang Geon and contributed to his enthronement were never called as “Meritorious vassals for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開國功臣),” but were instead included in the “Three Hans’ Meritorious vassals(三韓功臣),” which referred to vassals who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dynasties. It was the same with the term “Foundation of the Country(開國),” which we can find from many Goryeo records, as they also referred to the unification of the country, instead of the founder king’s rise to the throne. Goryeo also perceived the beginning point of the dynasty as the year of its unification. In the ending days of Goryeo, a new view consider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dynasty to have been Wang Geon’s year of enthronement slowly began to prevail, yet during the better part of the entire Goryeo period,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was continuously considered as a much more important and definitive marker. Founder king Taejo was also defined as “The King who reunited(一統) the Three Hans(三韓).”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