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이식환자에서 발생한 담즙누출의 내시경적 치료 : Endoscopic management of bile leakag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오동욱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942

        Background: Liver transplantation has been a well accepted treatment for patients with end-stage liver disease. Biliary tract complications are common after liver transplantation, occurring in 6% to 29% of patients and are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 main biliary complications after transplantations are anastomotic stricture and bile leakage. Especially bile leakag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biliary tract related death after liver transplantatio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crucial, as the treatment may improve graft function and help to avoid repeated surgery. Surgery or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was used to treat bile leakag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But surgical repair has a higher percentage of complications and death, and PTBD has a lower percentage of success because of biliary dilatio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golden standard diagnostic pathway for biliary disease, is the preferred method of evaluation and effective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ndoscopic treatment in patients who undergo cadaveric liver transplantation o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and develop bile leakage.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patients who developed bile leakage after cadaveric liver transplantatio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and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with dual grafts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8. Results: A total of 1,430 adult patients (age range 18-65 years) had been performed adult to adult liver transplantation at Asan medical center. Of these patients, bile leakage occurred in 42 (2.9%) of 1430 patients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bile leakage alone group, endoscopic treatment was technically successful in 19 patients (19/22, 86.4%). Clinical success achieved in 17 of 22 patients (77.3%). Endoscopic management was failed in 3 patients. Of the 3 patients, two patients required surgery and one patient required PTBD. Two patients resolved in follow-up nasobiliary catheter cholangiography, but these patients died of sepsis related to the bile leakage. In patients with bile leakage with bile duct stricture, endoscopic treatment was technically successful in 14 patients (13/20, 65.0%). Clinical success achieved in 10 of 20 patients (50.0%). Endoscopic management was failed in 7 patients. Of the 7 patients, 1 patient required PTBD following surgery and 6 patients required PTBD. Three patients resolved in follow-up nasobiliary catheter cholangiography. But one of these 3 patients underwent retransplantation because of graft failure. In the remaining two patients, PTBD was performed due to a persistent abdominal pain related to bile duct stricture. Of the 42 patients who underwent ERCP, technical success achieved in 32 of 42 patients (76.2%). Of the 42 patients, clinical success achieved in 27 of 42 patients (64.3%). ERCP related complication rate was 9.5% (4/42). One patient developed perforation. This patient underwent surgical repair. Three patients developed bleeding. One patient successfully managed by embolization. Two patients successfully managed by ERCP. Conclusion: ERCP is effective and safe therapeutic modality. ERCP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itial, less invasive therapeutic modality in the post-liver transplantation patients

      • Dynamic Data Validation and Reconciliation for Improving the Detection of Sodium Leakage in a Sodium-Cooled Fast Reactor

        Sangjun Park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1

        Since the leakage of sodium in an SFR (Sodium-cooled Fast Reactor) cause an explosion upon reaction with air and water, sodium leakages represent a critical safety issue. Most researches conducted on detecting the sodium leakage in SFRs focused on the hardware approaches such as sensing instrument. But it is challenging to distinguish the sodium leakage due to the error of measurements caused by instruments and the environment in SFRs. Therefore, the supporting technique for detecting the sodium leakage is required. In this study, a novel technique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odium leakage detection applying DDVR (Dynamic Data Validation and Reconciliation) is proposed and verified to resolve this technical issue. DDVR is a technique that aims to improve the measurement accuracy of a target system in a dynamic state by minimizing random errors, such as from the uncertainty of instruments o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by distinguishing the gross errors, such as instrument failure, miscalibration, or aging, using the spatial redundancy of measurements in a physical model and the varianc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s. DDVR also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the state of unmeasured points by the physical model. In other words, DDVR is a suitable methodology to support the detection of a sodium leakage by estimating an expected true value of the system. This expected true value of the system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odium leakage detection by comparing with it and measurement from instrument for detecting the sodium leakag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pply the DDVR technique as a support technique for overcoming this safety issue. To validate the DDVR as a support system for the sodium leakage detection, this study used the experimental data from an experiment of sodium leakage detection perform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he validation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sodium leakage detection is improved by cooperation between DDVR and measurements of hardware system such as an instru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echnology integrating software and hardware approaches is suggested to improve the overall reliability of sodium leakage detection. Keywords: Data Validation and Reconciliation, Sodium-cooled Fast Reactor, Physical Model, Redundancy, Kalman Filter, Sodium Leakage, Leakage Detection, Reliability. 본 논문은 물리모델과 다양한 계측기의 신뢰도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대되는 참값을 추정할 수 있는 Data Validation and Reconciliation (DVR) 기법을 적용하여, 소듐냉각고속로(SFR: Sodium-cooled Fast React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듐 누설 감지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기존의 SFR에서의 소듐 누설 감지 연구는 계측기와 같은 하드웨어 시스템에만 주로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SFR 배관과 같은 고환경에서 사용되는 계측기는 측정값의 큰 오차를 수반하게 되어, 소듐 누설 감지의 정확성뿐만 아니라 누설 감지의 신뢰성도 저하시키게 되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듐 누설을 감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소듐 누설 사고는 중요한 사고로 인지됨에도 불구하고 단일 타입의 계측기의 정보에만 의존하고 있어, 소듐 누설 감지를 위한 정보의 다양성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결국, 측정값의 부정확성과 측정 정보의 다양성 결핍은 신속하고 정확한 소듐 누설 감지의 성능을 저하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듐 누설과 같은 비정상 상태의 감지의 신뢰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 정상상태에서의 시스템 동적상태를 추정하는 방법론인 Dynamic Data Validation and Reconciliation (DDVR)를 적용하여 SFR에서 발생되는 소듐 누설을 신속하게 탐지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DDVR은 물리모델 기반의 상태추정 방법론으로써,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정확한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또한, DDVR은 단일 측정값 이외에 다양한 주변 환경의 측정 정보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기대되는 참값을 추정할 수 있어, 소듐 누설 감지를 위한 정보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DDVR 기법을 통한 시스템의 정확한 상태 값과 하드웨어의 측정값을 동시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듐 누설 감지와 같은 비정상 상태를 감시하고 탐지하는 성능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듐 누설 감지 지원 기법을 위해 적용된 DDVR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소듐냉각고속로 부서에서 수행한 소듐 누설 모의 실험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또한, DDVR의 성능 핵심 요소인 물리모델을 구현하기 위해서 실험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측정 정보의 다중성을 만족하는 물리적 모델을 구현하여 DDVR의 소듐 누설 감지 성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DDVR은 다양한 측정 정보를 만족하는 물리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정확한 상태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신호처리 방법인 이동평균 기법보다 측정값의 오차를 저감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DDVR은 시스템의 정확한 상태 추정값을 제시함으로써, 소듐 누설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 상태는 DDVR의 정확한 시스템 상태 추정값을 지속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비정상 상태 감지의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정확성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가적으로, 최근에는 디지털 트윈과 같은 원전 시스템의 물리모델을 이용하여 원전의 상태를 감시하여 운영하는 기술들이 발전되고 있어, DVR과 같은 측정값의 다양성을 만족하는 물리모델 기반의 상태추정 기법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DVR의 활용성이 더욱 기대되고 있다.

      • (The) effect of polyglycolic acid sheet for animal anastomosis leakage model

        권인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941

        Purpose Anastomotic leakage is a major cause of death after intestinal anastomosis. The polyglycolic acid (PGA) sheet has been used for preventing air leakage after pneumonectomy, 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 after pancreatectomy, and bile leakage after liver resection. Although several surgeons have used the PGA sheet to prevent anastomotic leakage, the effect of a PGA sheet on intestinal anastomosis remains unknow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PGA sheet on anastomotic leakage in a rat model. Methods Twelve rats were used to create anastomotic leakage models. We performed gastrojejunostomy and intentionally omitted one to three stitches. Rats with one omitted stitch were considered the minor leakage model, whereas rats with two omitted stitches were considered the major leakage model. In the minor leakage model, 20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ontrol, PGA, fibrin glue, and PGA+fibrin glue group. The rats’ survival was evaluated for 2 weeks. Rats that survived were assessed for histological change. The same protocol was used in the other 20 rats in the major leakage model.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Fisher’s protected least significance post hoc test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In the minor leakage model, there were 2 deaths in the fibrin-free groups (control and PGA groups) and 6 deaths in the fibrin-applied groups (fibrin glue and fibrin glue+PGA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groups. In the major leakage model, mortality rates were different in each group (control, PGA, fibrin glue, and fibrin glue+PGA groups: 60%, 0%, 100%, and 60%, respectively, p=0.015). In the gross and histologic review, the liver commonly covered the perforated site of anastomosis in the rats that survived in the control group. The formation of granulation tissue and foreign body reaction with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at the perforated anastomosis site in the PGA group. Conclusion The PGA sheet could be used to seal incomplete anastomoses in an animal model of anastomotic leakage. However, fibrin glue should be cautiously applied to the anastomotic site. When fibrin glue is used as an adhesive for the PGA sheet, it should not to be applied directly on the intestinal anastomotic site. 서론: 문합부 누출은 장문합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합병증으로 발생을 막기위한 시도들이 있으나 아직 해결되지 않는 문제이다. Polyglycolic acid (PGA) 인조포는 폐절제술, 췌장절제술, 간절제술 등 다양한 수술에서 절제부위의 누출을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위장관 절제수술에서도 문합부 누출을 막기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그 효과에 대해서는 근거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제 본 연구는 PGA 인조포의 문합부에 미치는 효과를 동물 누출 모델을 통해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문합부 누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12마리의 rat이 사용되었다.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으며, 의도적으로 10개의 바늘땀에서 한 땀씩 빠트리면서 사망을 여부를 확인하였다. 한 땀을 빠트린 것을 미세누출모델로 선정하였으며, 두 땀을 빠트린 것을 대량누출모델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모델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대조군, PGA 인조포군, 피브린 접착제군, PGA 및 피브린 접착제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 5마리씩 실험을 진행했다. 수술 후 2주까지 생존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생존한 rat 은 희생시킨 뒤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미세누출모델의 경우, 피브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10마리 중 2마리만 죽었으나, 피브린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10 마리 중 6마리가 죽어서 차이가 보이지만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었다. 대량누출모델의 경우, 대조군, PGA 인조포군, 피브린 접착제군, PGA 및 피브린 접착제군 각각 60%, 0%, 100%, 60%)의 사망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p=0.015). 생존한 rat의 경우 주변조직과의 유착으로 문합부 누출이 막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PGA 인조포를 사용한 경우 인조포 주변으로 염증세포와 육아조직이 형성되면서 누출부위를 덮어주는 형상을 띄었다. 결론: PGA 인조포의 사용은 동물 문합부 누출 모델에서 누출부위를 덮어주어 누출을 막아주는 것으로 보인다. PGA 인조포의 고정을 위해 피브린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문합부에 직접 접촉을 하지 않게 사용을 하는 것이 문합부 누출을 막는데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leak detec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coustic signals

        오병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940

        Water distribution networks encounter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deteriorate and lower their efficiencies such as leakage, corrosion, and damages. In cases of leakage, water loss and energy consumption increase. At present, the most common leakage detection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mainly consists of direct listening by the technician. However, this method is not only difficult to apply during the day when there is a lot of background noise, but also varies greatly depending on individual competencies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leakage. This study suggests a reasonable alternative to this manpower-based leakage detection method. Therefore, an optimal leakage detection machine learning model was presented using 78,204 instances of leakage noise (vibra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First, leakage prediction accuracy was evaluated for 9 machine learning models applicable to leakage detection (k-NN, Decision Tree, SVM, SGD, Random Forest, Neural Network, Naive Bayes, Gradient Boosting, AdaBoost).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evaluation, the k-NN, Random Forest, Neural Network, and Boosting types of models were relatively excellent in judging leakage or non-leakage. Therefore, hyperparameters were adjusted for these four selected ML mode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training and test sets. This study applied ROC_AUC curve, Ac (Accuracy), F1, Precision and Recall for evaluating each ML model. The evaluation results for leakage prediction accuracy using the test set were in the descending order of XGBoost (0.988), Random Forest (0.981), Neural Network (0.980), and k-NN (0.977) in terms of ROC_AUC. Ac (Accuracy) was XGBoost (0.914), k-NN (0.901), Random Forest (0.887), and Neural Network (0.887), followed by leakage detection prediction accuracy. In addition, the proposed ML models were applied in a live water distribution network by installing leak detection sensors to verify their usa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differentiate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cross-analysis between not only the leakage noise itself but also other sounds (vibrations) that can be detected by a leakage sensor such as mechanical/electric noise, environmental noise, and noise under normal condition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L algorithms using acoustic signals for leakage detection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XGBoost model is the most efficient because it had the highest accuracy and the shortest execution time. The leakage detection dataset used for training and test ML models in this study used open source sponsor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services. 상수도관은 매설 후 다양한 주변 환경에 의해 노후화되어 누수, 부식, 파손과 같이 효율저하 원인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누수의 발생은 물의 손실과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누수방지를 위한 현재의 누수탐사 방식은 인력 기반의 청음 방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소음이 많은 낮 시간대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누수 여부 판단에 있어서도 개인 역량에 따라 차이가 많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력 기반의 누수탐지 방법에 대해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수도 관망의 누수음향(진동음) 78,204건의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누수탐지 머신러닝 모형을 제시하였다. 우선 누수탐지에 적용이 가능한 9 가지(k-NN, Decision Tree, SVM, SGD, Random Forest, Neural Network, Naive Bayes, Gradient Boosting, AdaBoost) 머신러닝 모형에 대해 누수음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선정 평가 결과 k-NN, Random Forest, Neural Network 및 Boosting 종류의 모형이 누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따라서 이 4가지 선정된 ML 모형에 대해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고, 학습 및 테스트 세트을 활용하여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ML모형의 평가를 위해 ROC_AUC curve, Ac (Accuracy), F1, Precision 그리고 Recall을 적용하였고, 테스트 세트를 적용한 누수음 예측 정확도 있어서 ROC_AUC 기준으로 XGBoost (0.988), Random Forest (0.981), Neural Network (0.980) 그리고 k-NN (0.977) 순으로 나타났다. Ac (Accuracy) 값은 XGBoost (0.914), k-NN (0.901), Random Forest (0.887) 그리고 Neural Network (0.878) 순으로 누수 감지 예측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제안된 ML모형을 누수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운영중인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누수음 자체뿐만 아니라 누수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기타 전기·기계 소음, 환경음, 정상상태의 음향(진동)을 상호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이점이 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본 연구에서는 음향신호를 활용한 누수탐지 ML 알고리즘을 검증한 결과 XGBoost 모형이 가장 정확도가 높고, 수행시간이 짧아 가장 효율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ML 모형의 학습 및 평가를 위해 사용된 누수감지 데이터 셋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인공지능 기술 및 서비스 발전을 위해 구축한 개방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Outcomes of treatments for leakages after gastrectomy in the gastric cancer

        노철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940

        연구적 배경: 문합부 누출은 위암으로 위절제술 후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수술 후 높은 합병증 발생률 및 사망률과 관계가 깊다. 하지만, 위암 수술 후 누출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 이 연구는 위암 수술 후 발생한 누출에 대해 문합 유형 및 수술 방법 별 발생률을 확인하고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부에서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1407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누출은 방사선학적, 내시경적 또는 임상적으로 진단하였다. 누출은 보존적, 중재적 또는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를 하였다. 주요 결과는 누출 발생률, 치료 결과 및 누출 관련 사망률이었다. 결과: 위암 수술 후 누출은 평균 수술 후 7일 (중앙값, 범위 1-29일)에 진단이 되었다. 전체 누출률은 1.51 퍼센트 (14075 중 213명)이었고, 식도공장문합부에서 가장 높은 누출률을 보였다 (2.07 퍼센트). 위전절제술 후 누출은 최소 침습 수술에서 개복 수술보다 흔하게 나타났다 (로봇: 5.83 퍼센트, 복강경: 3.56 퍼센트, 개복: 1.64 퍼센트; P<0.001). 누출률은 특히 최소 침습 수술 초기 100 케이스 (2.4 퍼센트)에서 이후 케이스 (1.3 퍼센트)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P=0.001). 조기 누출 (수술 후 4일 전 진단)는 최소 침습 수술에서 개복 수술보다 자주 발생하였다 (복강경: 35.4 퍼센트, 로봇: 29.0 퍼센트, 개복: 12.7 퍼센트; P=0.006). 누출에 대한 초기 치료 성공률은 70.4 퍼센트였다 (213 중 150). 십이지장 봉합부위 누출은 다른 누출들보다 높은 초기 치료 성공률을 보였다 (9.6.6 퍼센트, P<0.001). 초기 치료 실패 후 시행한 수술적 치료는 조기 누출에서 중기 누출 및 후기 누출 보다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조기: 80 퍼센트, 중기: 20 퍼센트, 후기: 25 퍼센트). 조기 누출의 치료 기간은 중기 및 후기 누출에 비해 길었다 (중앙값, 조기: 32일, 중기: 23일, 후기: 23일; P=0.025). 누출 환자 213명 중 15명이 사망하였다 (7.0 퍼센트). 위공장문합부 (11.1 퍼센트) 및 식도공장문합부 (10.5 퍼센트) 누출의 사망률이 다른 부위 누출들 보다 높았다. 누출 관련 사망은 전체 수술 관련 사망의 38.5 퍼센트를 차지하였다 (39 중 15). 결론: 위암 수술 후 누출은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최소 침습 수술, 특히 위전절제술과 근위 위절제술에 대한 수술자의 많은 경험이 누출의 위험을 줄이는데 필요할 것이다. 비록 누출에 대한 최적의 치료 체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조기 누출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효과적이다. Background: Leakage is a serious and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However, comprehensive reports for leakage after gastrectomy still limited. We aim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treatment outcomes of leakage after gastrectomy for cancer.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4075 patients who received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7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re reviewed. Leakage was diagnosed radiologically, endoscopically, or clinically. Treatment of leakages consisted of conservative, interventional, or surgical treatment. The main outcomes were the leakage incidence, treatment outcomes, and leakage-related mortality. Results: Leakage was most commonly detected on postoperative day 7 (range: 1-29 days). The overall leakage incidence was 1.51% (213/14,075), and the most common site was the esophagojejunostomy (2.07%; P<0.001). Leakage after total gastrectomy was more common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robotic: 5.83%, laparoscopic: 3.56%, open: 1.64%; P<0.001), while leakage after distal gastrectomy was more common for open (open: 1.55%, laparoscopic: 0.69%, robotic: 0.81%; P=0.001). Leakage incidence was higher in the initial 100 cases than in the later cases (2.4 vs. 1.3%; P<0.001), especially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arly leakage (≤4 days after surgery) was more common after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paroscopic: 35.4%, robotic: 29.0%, open: 12.7%; P=0.006). The initial treatment success rate was 70.4% (150/213), and duodenal stump leakage was more successfully resolved with the initial treatment than others (96.6%, P<0.001). Surgery after initial treatment failure demonstrated a higher success rate for early leakage than for late leakage (80.0 vs. 22.2%). The duration of leakage treatment was longer for early leakage than for late leakage (32 vs. 23 days; P=0.007). Fifteen patients (7.0%) died; the highest mortality rates were observed at the esophagojejunostomy (10.5%) and gastrojejunostomy (11.1%) leakages. Leakage-related mortality accounted for 38.5% (15/39) of all mortality after gastrectomy. Conclusions: Leakage after gastric cancer surgery is associated with a high mortality. Improved surgeon experience with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is required to reduce the risk of leakage, especially for total and proximal gastrectomy. Surger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early leakage,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ies.

      • DRAM에서 인접 word line 전압변화에 따른 retention time 거동 연구

        강동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0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Refresh가 필요한 메모리로써 Cell에 데이터를 Write한 후 일정시간(Retention Time, tRET)이 지나면 다양한 Leakage Current로 인하여 데이터가 손실된다. 제품이 Shrink 됨에 따라 각 Node와 Line에 걸리는 Electrical Field(E-field)가 증가하게 되어 Leakage Current 역시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유지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불량의 원인을 분류하는 Test 방법을 제안하고 인접 Word line의 변화에 따른 추가 열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Test는 20nm 이하 급의 DRAM에서 진행하였으며 Tester를 사용하여 128Mb Cell의 tRET을 측정하였다. TEG(Test Element Group)의 유사 패턴에서 진행한 것이 아닌 Real Chip의 BCAT(Buried Channel Array Transistor) 구조에서 평가를 진행하였다. 먼저 Gate Leakage Current Classification을 위해 Fail bit의 Leakage Current를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과 Junction Leakage로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𝑉𝐵𝐵1(Back Bias Voltage)와 𝑉𝐵𝐵2(Word line Off Voltage)가 동일한 값을 갖는 조건에서 두 값 모두 Negative 해질 때 GIDL에 의한 tRET은 줄어들고 Junction Leakage에 의한 tRET은 변화가 없는 특성을 이용하였다. 인접 Word line의 전압을 변화시킬 때의 GIDL과 Junction Leakage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Test를 진행하였다. 인접 Word line의 전압이 𝑉𝑃𝑃 (Gate On Voltage)으로 인가될 때 GIDL에 의한 tRET은 5~30배 개선되고 Junction leakage에 의한 tRET은 80% 저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접 Word line의 전압변화로 인한 전기장 변화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며 TCAD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가 확인하였다. A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is a memory that requires a refresh operation. The charge of data written to DRAM cells decreases over time due to various leakage currents. As the DRAM design rule shrinks, the Efield (Electrical field) applied to each node and line increases, the leakage current is also increa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gate leakage current classification test method for the cause of data retention failure, and to confirm additional degradation due to changes in the adjacent word line. The test was performed on a sub-20nm DRAM device and the tRET (Retention time) of 128Mb Cells were measured using a tester.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BCAT (Buried Channel Array Transistor) structure of the real chip, not in the similar pattern of TEG (Test Element Group). First, for gate leakage current classification, a method of classifying the leakage current of a fail bit into GIDL (Gate Induced Drain Leakage) and junction leakage is presented. Under the condition of 𝑉𝐵𝐵1 = 𝑉𝐵𝐵2 , when both values became more negative, the GIDL tRET decreased and the Junction leakage tRET did not change. We tested to verify the behavior of GIDL and junction leakage when changing the voltage of the adjacent word line. As a result of the test, GIDL and junction leakage showed different behavior. When the voltage of the adjacent word line (word line across STI) was applied as 𝑉𝑃𝑃 (gate on voltage), the tRET of the GIDL fail bit is improved by 5~30 times and the junction leakage fail bit is reduced by 80%.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E-field change as the adjacent word line is applied as 𝑉𝑃𝑃 , and it was further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 인산지질 소포체로부터 여러 화학물질의 Leakage에 관한 연구

        허선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940

        본 논문은 빈혈 환자의 치료제인 folic acid를 함유한 리포좀의 위장관내 pH 변화에 따른 leakage와 두꺼비에서 추출하여 정제 및 합성한 평균 21개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항병원균 펩티드에 의한 membrane leakage에 관한 연구이다. 형광물질인 folic acid는 리포좆의 지질 이중층이 불안정해지면서 리포좀 밖으로 새어나와 회석 효과로 인해 형광을 발하게 된다. 따라서 excitation 360nm, emission 460nm에서 folic acid의 형관세기를 측정하였다. 인지질 조성을 달리하여 리포좀 내에 folic acid을 포획시킨 후 위장관내 pH에서 온도별 [4℃, 상온(25℃), 37℃],시간별로 leakage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0% phosphatidylcholine(PC)으로 제조한 리포좀인 경우, folic acid는 37℃ pH 2에서 24시간 경과 후 100%, pH 4에서는 1 주일 경과 후 100%, 그 밖의 pH (pH 7.4, 9, 10)에서는 20-30% 방출되었다. 이에 반하여 상온(25℃)과 4℃에서는 각 pH에서 30일 경과 후 15-40% 방출되었다. 둘째, 원형질막 조성 (phosphatidylcholine / sphongomyelin / ganglioside GMl = 1/1/0.14의 질량비)으로 리포좀을 제조한 경우, pH에 따라 같은 시간 folic acid가 방출되는 정도는 60% PC 조성에비해 5-10% 더 적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콜레스테롤을 60% PC 조성과 원형질막 조성에 첨가한 경우,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약 5% 더 안정하였다. 60% PC로 이루어진 vesicle이 들어있는 용액에 항병원균 펩티드 농도를 달리하면서 (15μM∼30μM) 첨가하여 leakage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Vesicle이 들어있는 용액에 항병원균 펩티를 첨가하였을때는 리포좀 내의 내용물이 30-100% 방출되었으며 항병원균 펩티드를 첨가 하지 않은 경우에는 15-20%가 방출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항병원균 펩티드를 약 30μM씩 vesicle이 들었는 용액에 첨가하였을때 리포좀 내의 내용물을 방출시키는 효과는 L(16%), BT(25%),B17(51%), B(72%), B11(90%) 순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30μM의 여러 항병원균 펩티들중에서 항병원균 펩티드 B11이 가장 효과적으로 막의 내용물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항병원균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s about the leakage of various chemicals from phospholipid vesicles and is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of it is about the measurement of leakage of folic acid encapsulated in liposome at various pH when it passes through the stomach and intestins. The second part of it is concerned with leakage of membrane when a antimicrobial 21 amino acid peptides derived toads interacts with membrane. If the bilayer of liposome is unstable, folic acid encapsulated in liposome, a fluorophore, leaks out it and become fluorescent. In the study, therefore,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folic acid was measured of the excitation wavelength 360nm and the emission wavelength 460nm. In the first part, folic acid was encapsulated in liposome and the leakage was measured at various pH, and temperature (4℃, 25℃, 37℃).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the case of liposomes with the composotion of 60% PC, about 100% folic acid was released within 24hours at pH 2, about 100% in a week at pH 4, and about 20-30% in thiryt days at higher pH values (pH 7.4, 9, 10) at 37℃. 2) It showed that the extent of release of folic acid was 5-10% less when the lipod composition of liposome was the same as the plasma membrane (phosphatidylcholine/sphingomyelin / ganglioside GMI = 1 /1 /0.14) than the 60% PC during the same period. 3)The extent of release of folic acid from the liposome containing cholesterol is less only about 5% of the vesicles without of cholesterol. In the second part, the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 (15□□∼30□□) on the vesicle leakage was studied.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When antimicrobial peptides were alse presents, liposome was released about 3--100% of its content. In the absence of anfimicrobial peptide, only about 15-20% of the vesicle content was released. 2) The effectiveness of release of liposome content was dependent on the peptide added [L(16%), BT(25%),B17(51%), B(72%), B11(90%)]. Therefore, among 21 amino acid peptides derived from antimicrobial peptide which was isolated and synthesize from toad, was most effective in releasing the liposome contents.

      • The difference between active type and sealed off type of CSF leakage on MR myelography : 자기공명 척수조영술에서 활성형 뇌척수액 누출과 고립형 뇌척수액 누출의 영상의학적 차이

        Baek, Seung Hwan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940

        Objective : To investigate cerebrospinal fluid (CSF) leakage type for active leakage(Type A) or sealed off leakage(Type S) and to investigate whether it has any clinical significance. Materials and methods : We found 36 patients with orthostatic headache in our institution. Among them, we selected 24 patients with presenting CSF leakage in MR myelograph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ctive leakage and sealed off leakage. And were additionally analyzed whether focal type or diffuse type. Result : The active CSF leakage as type A (n=14, 58.3%) in MR myelography is that a fluid continuously spread out along the plexus of nerve root. The sealed CSF leakage as type S (n=10, 41.7%) is observed form of loculation away from nerve root. Focal or diffuse type are as the following: focal type(n=15, 62.5%) and diffuse type(n=10, 37.5%). When comparing the average duration of the symptom between type A and type S, the type A was 4.1 days and the type S was 13.2 days. All patients with CSF leakage were treated by hydration and epidural blood patch. We also performed follow up MR myelography after treatment and confirmed the disappearance of leakage. Conclusion : It has been already known that MR myelography is crucial modality for detecting CSF leakage site. Through the MR myelography, we were able to classify the type A(current leakage) and type S(previous leakage) of CSF leakage . Depending on the type of CSF leakage, we showed the difference in time of occurrence, and amount of leakage between the two types. Also, MR myelography would be the excellent choice for follow up examination modality after the treatment as well as for the initial diagnosis.

      • (The) impact of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on anastomotic leakage in mid and low rectal cancer surgery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이세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939

        연구의 배경: 수술 전 화학 방사선 치료는 종양의 병기를 낮춰주고 수술 시 항문 괄약근을 보존의 가능성을 높여주며 수술 후 국소 재발을 줄여주기 때문에 국소 진행성 직장암의 표준 치료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술 전 화학 방사선 치료가 문합부 누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여부는 논란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향 점수 매칭법을 이용하여 수술 전 항암 방사선 치료가 직장암 수술 후 발생 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인 문합부 누출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신촌 및 강남 세브란스 병원에서 저위 전방 절제술을 시행 받은 중·하부 직장암 환자 (1617명)을 후향적으로 평가 하였다. 문합부 누출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는 연령, 성별, 종양의 위치, 초기 T-stage, 수술의 종류, 수술 방법 및 장루 형성 여부를 변수로 하여 성향 점수 매칭법으로 선정된 수술 전화학 방사선 치료를 받은 343명의 환자와 받지 않았던 343명의 환자를 비교 분석 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발생한 문합부 누출을 종류, 등급, 발생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문합부 누출의 위험 인자에 대해서도 분석 하였다. 결과: 문합부 누출의 전체 발생률은 8.5% 였으며 수술 전 화학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11.1%) 에서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6.1%) 문합부 누출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P=0.021) 문합부 누출의 종류 중 free leakage의 발생은 비슷하였지만 contained leakage 가 수술 전 화학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많이 발생하였다. (6.7 vs. 2.6%, P=0.011). 또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전 복부 수술 과거력, ASA, 종양의 위치 및 수술 전 항암 방사선 치료 여부가 문합부 누출의 위험 인자로 평가 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수술 전 항암 방사선 치료가 문합부 누출, 특히 contained leakage 를 증가 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Background: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PCRT)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because it can down-stage tumors and preserve the anal sphincter. However, the effect of PCRT on anastomotic leakage is controversial. We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determine if preoperative CRT affects anastomotic leakage after mid- and low-rectal cancer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1617 patients who underwent low anterior resection or ultra-low anterior resection for mid- and low-rectal cancer between June 2004 and May 2012 at two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hospitals. A propensity score based on age, sex, tumor location, initial T-stage, operative procedure, operative method, and stoma creation was calculated for 343 patients in each group. Anastomotic leakage was analyzed by leakage subtype, grade, and development time. Postoperative outcomes and risk factors for anastomotic leakage were assessed.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anastomotic leakage was 8.5%. The rate of anastomotic leakage was higher in the PCRT(+) group (11.1%) than in the PCRT(−) group (6.1% (P = 0.021). The incidences of free leakage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but contained leakage was more frequent in the PCRT(+) group (6.7% vs. 2.6%, P = 0.011). Previous abdominal operation,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 tumor location, and PCRT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increased anastomotic leakage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Conclusions: PCRT increased the risk of anastomotic leakage after mid- and low-rectal cancer surgery. Especially, leakage subtype analysis showed that PCRT did not affect free leakage but increased the risk of contained leakage.

      • (An) analysis on allowance allocation and carbon leakage under the EU ETS

        정혁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2 국내박사

        RANK : 2939

        유럽연합의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EU ETS)는 두 거래 기간 동안(1기: 2005-2007, 2기: 2008-2011) 주요 배출권 할당 방식들(무상할당방식, 경매)을 사용하면서 세계 최대규모의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로서 그 입지를 다져왔다. 그 주요 배출권 할당방식들은 그 기능적 특성들 때문에 할당방식차원에서 EU ETS 내 과도기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은 EU ETS 내에 사용되는 주요 배출권 할당방식들의 기능적 특성들과 그로 인해 야기된 EU ETS 내 주요 할당방식상의 변화를 분석해본다. 그리고 그 중 한 할당방식인 경매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라는 현상의 부분적인 원인이 되었는 데 이 현상의 부분적인 해결방안으로서 다른 배출권 할당방식(무상할당방식)이 어떻게 해결방안이 될 수 있는 지를 관련할당방식 차원에서 분석, 증명한다. 이 과정에서 그 기능적 특성들이 EU ETS 지침 내 배출권 할당방식관련 몇 법률조항들과 반응하여 거래시장과 EU ETS내 회사들의 운영면에서 끼친 영향들을 알아보고 또한 유럽위원회가 확정한 탄소누출이 주는 영향 평가 시 사용하고 있는 변수들과 기준들을 분석함으로써 무상할당량이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라는 사실을 역시 분석, 증명한다. 배출권 거래제도 장려를 위해 회원국들과 기업들에게 할당된 무상 할당 배출권들은 참여국가와 기업체들의 지나친 이윤추구(무상 할당 배출권 다량확보 시도) 때문에 할당과정에서부터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회원국들은 자국 ETS 가입업체들의 타국동종업체에 대한 경쟁력확보를 위해 될 수 있는 한 많은 배출권(EUA)을 획득할 의도로 필요 이상의 배출권을 확보하려 한다. 유럽위원회에 의해 승인 할당된 무상 할당 배출권들은 재정적인 지원 성격을 갖고 유럽 연합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지침(EU ETS Directive)의 이월(banking), 신규업체(new entrants), 폐쇄(closure)그리고 다른 탄소감축 메커니즘과의 연계관련 법률조항들의 특성과 맞물려 거래시장뿐만 아니라 참여업체들의 운영, 생산, 투자 그리고 수익 등 여러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지침 중 하나인 이월은 사용되지 않은 할당 배출권들을 차기 거래기간 또는 동 거래기간의 차기 년도로 양도를 가능하게 한다. 시장으로의 배출권 공급을 더욱 가중시켜 가격을 하락시키지만 기업측면에선 재정적인 안정을 가져다 주며 새로운 투자, 생산 그리고 수익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생산을 통한 탄소배출 증가로 탄소감축 측면에서 악순환을 초래한다. 신규업체 관련 조항은 신규기업들에게 시장 진입 시 그리고 기존기업체들의 시설 확장 시 적정량의 배출권을 공급하여 경쟁력을 갖추게 하지만 무상지원 성격의 할당 배출권은 바로 가입기업체들의 탄소감축 노력 저하를 가져오며 심지어는 배출권을 매각하여 생산활동 증가를 위한 시설투자에 사용하기도 한다. 생산시설 폐쇄 관련 조항은 가입기업생산시설들이 폐쇄 시 이미 할당 받았던 배출권들을 기존 업체들에 매도 가능케 한다. 하지만 생산성이 아무리 미흡하더라도 가동만 하게 되면 할당되는 배출권들의 가치가 이러한 업체들의 제품생산 가치보다 높을 경우 계속 생산성이 낮은 기존업체를 운영하게 되면서 유럽연합 역내 산업발전 측면에선 부정적인 현상을 낳게 된다. 이러한 심각성을 가중시키는 또 하나의 조항은 바로 또 다른 온실가스 감축수단인 공동이행제도(JI)와 청정개발체제(CDM)에서 발급되는 크레디트들(ERU, CER)과 유럽연합 할당 배출권인 EUA와의 상호 교환성에 관한 조항이다. 가입 업체들은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타국가들에서 탄소감축 관련 생산활동을 하고 이를 통해 얻은 크레디트들을 유럽연합 할당 배출권과 교환하여 자국 내 생산활동을 계속하며 소모된 배출권을 대체한다. 유럽위원회는 무상할당방식이 주는 영향을 줄이는 방법 중의 하나로 경매의 단계적 확대시행을 장려한다. 하지만 무상 할당권과는 달리 기업체들은 지속적인 생산활동을 위해 배출권을 구입해야 하는 경매에 비용적인 부담을 느낀다. 이는 생산시설 이전의 부분적인 원인이 되는데 유럽위원회는 이 탄소누출 해결방안으로 가장 확실하고 실현 가능한 무상 할당 배출권 재공급을 확정하고 있다. 결국 유럽연합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의 기업체 참여와 가입장려를 목적으로 처음 무상 할당된 배출권들은 참여 기업들의 운영과 거래시장에 과잉공급 관련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후에 이를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유럽위원회는 경매(auctioning)를 실시, 확대하지만 그 경비부담으로 참여업체들은 탄소 누출이라는 산업전반에 걸친 또 다른 부작용을 초래하여 이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으로 다시 무상할당 배출권이 고려되고 있다. 이는 이 논문에서 보여주려고 하는 배출권 할당방식 차원에서의 탄소누출 해결방법 과정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큰 그림이다. 하지만 탄소누출의 가장 실행 가능한 해결방안인 이 무상 할당 배출권사용은 법률적 측면에서 문제를 갖게 되는데 바로 법률적인 근거가 취약하다는 점이다. 유럽공동체조약에는 국가 또는 산업부문에서 왜곡된 경쟁을 초래할 수 있는 국가지원을 금한다는 법률적인 조항이 있는데 무상 할당 배출권은 바로 이러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법률적인 입지가 확고히 된, 즉 합법적인 무상 할당 배출권의 재사용과 함께 탄소누출에 관한 가장 가능한 해결방안을 이 논문은 배출권 할당방식 중심으로 분석, 증명하고 있다. 즉 합법적인 무상할당 배출권 사용을 장려하되 과다한 공급을 과거 배출량 기준(historical emissions level)이 아닌 단일적 할당방식(grandfathering off)을 사용 할당차원에서 조절하고 수요공급 원칙을 따라 할당 배출권 양을 적정선에서 부족현상을 유지, 할당 배출권 가격형성과 거래를 가능케 하는 현재 실시 중인 경매와 벤치마킹의 단계적 확대를 강조한다, 그리고 또 다른 할당 배출권의 양적 조절 방안이라 할 수 있는 앞서 언급한 유럽연합의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지침 내 배출권 할당 관련 조항들의 적정선에서의 개정이 그 축을 이룬다. 이런 점에선 EU 역내의 탄소누출은 유럽연합 배출권 거래제도 내에서 배출권 할당 방식 차원에서 해결이 가능하다. 하지만 탄소누출의 성격은 현재 부재인 국제산업부문별 협약과 국가 간 탄소세 조정 접근의 중요성을 배출권 할당 방식차원이 아닌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고려하게 한다. The free allowances that were allocated to Member States and EU businesses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EU ETS have brought about negative effects even in the process of allocation due to their overly interest seeking behavior. Member States have sought to acquire more allowances than needs to offer their ETS covered-businesses competitiveness over the same sectors of different states. These allowances approved and allocated by the EC have a functional nature of free financial aid and have impacts on the trading market and ETS business as well in some aspects of economy such as operation, production, investment and profits when they are mingled with the allocation relevant provisions of the EU ETS Directive, Banking, New entrants, Closure and Linkage with the other CO2 emissions reducing mechanisms. The Banking related provision allowing the unused allowances to be transferred to the following year of the same period or to the following trading period causes the oversupply of the allowances into the trading market bringing down the value. On the other hand, the financial aid brings about the increase in investment, production and profits for ETS business but it increases CO2 emissions through the increased production creating a trigger of the vicious cycle. Although the provision regarding New entrants provides new entrants and the existing ETS covered businesses with competitiveness by giving them adequate amount of the free allowances when entering the market or expanding their capacity, the nature of the allowances, the free financial aid weakens the will to reduce CO2 emission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cheme and some participants even sell the allowances and invest the finances in expanding their production facilities. The related provision on closure makes it possible for the participants with plan to close to transfer the allocated allowances to the existing ETS covered businesses when they close. But no matter how low the turnout rate is, a business under the ETS prefers keeping running the production facility to closing it as the worth of the free allowances it is offered for running the facility is higher than that of whole production that the facility with the low production rate produces. It no doubt makes for undesirable effects on EU economy on the whole. Another provision that increases the gravity of the problem is on the fungibility of the EUA (European Union Allowances) with other credits, ERU (Emission Reduction Units) from JI (Joint Implementation) and 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from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The ETS businesses do CO2 emissions reducing activities in other countries through the auxiliary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mechanisms produced under the Kyoto Protocol and substitute the EUA allowances that they have used up doing production activities inside their countries with the credits still allowing them to continue emitting CO2. The European Commission has encouraged the phase-in of auctioning in an effort to minimize the impacts of the free allocation. However, unlike the free allowances, the participants have had to bear the cost burden of the auctioning as they ought to purchase the allowances for continuing production which has been in part accountable for carbon leakage. The European Commission has confirmed the reuse of the free allowances which it believes as the most certain and practicable solution to carbon leakage. That is to say, the free allowances that were encouraged to induce EU business to participate in the EU ETS had over-supplied allowances relevant negative effects on the trading market and on the whole economy to some degree. Then, the European Commission with the aim of reducing the impacts decided to phase in the auctioning but as the method makes its way forward, the ETS covered businesses have begun to get burdened with the cost entailing carbon leakage. Subsequently, as one of the possible solutions to it, the use of the free allowances is again beginning to be encouraged. This cycle provides a better picture of the transition of allowances allocation towards the practicable solution to carbon leakage that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However, the free allocation, the most practicable and possible remedy to carbon leakage, has a weak legal ground for legitimate use since it constitutes the state aid. Any state aid causing distorted competition in industry is forbidden according to the EC Treaty. Accordingly, the free allocation or the free allowances of the nature of free financial aid constitute the state aid. Along with the legitimate use of the free allowances with more legally established status, this thesis analyzes and demonstrates the most practicable solution to carbon leakage with a focus on the allowances allocations That is to say, the paper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the free allowances with more preference of the grandfathering off to the current one that allocates allowances based on the current emissions level in terms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llowances in the phase of the allocation. The paper goes on to argue in a logical fashion that the phase-in of the auctioning and benchmarking currently in use ought to be further encouraged in terms of keeping the volume of the allowances short on the trading market so that the price setting and the trading would be more effectively decided following the most basic principle of economy,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And the modification of the allowances allocation relevant provisions of the ETS Directive to some degree, as another measure to adjust the volume of the allowances into the trading market, is another partial core of what this thesis argues. In that respec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ntra-EU carbon leakage should be resolved in the phase of the allowance allocation. However, the nature of carbon leakage leaves no choice but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need of international sectoral agreement and border adjustments as other possible solutions to carbon leakage other than the free al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