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ynamics of Frustrated Secessions : Catalonia and Scotland

        김하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Pro-independence parties in Catalonia and Scotland have for years claimed their determination to hold a referendum on the political future of the regions. Their commitment to channel their secession demands through a referendum had been realized, yet their secession attempts were frustrated. Despite multiple commonalities between these two cases, including the fact that in neither case is there a constitutional right to decide, there is a striking difference: a state response. The Spanish government refused the Catalan government’s proposal to delegate powers for the holdings of the independence referendum and has forcefully reacted to the unconstitutional referendums held in 2014 and 2017, perpetuating its rigid and fierce position on referendums and independence. On the contrary, the UK government responded to a similar proposal cooperatively. The UK and Scottish governments agreed on the delegation of powers to hold a legally binding referendum on independence, thereby establishing the legal basis for the Scottish independence referendum held in 2014. Though regional governments run by pro-independence parties had proceeded with a similar procedure for the holdings of the referendum, what were the determinants to variations in state responses? I, therefore, seek to explain variations in state responses to the demands of an independence referendum by nationalist regional parties. With a focus on parties’ electoral logic of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referendum, I argue that the party strategies factor is the most crucial element explaining variations in state responses in Catalonia and Scotland. From case-centered empirical studies, I found that ruling party elites do behave strategically on the issue of the independence referendum for their own rational goals. In other words, ruling parties and party elites utilize the independence issue to retain further and expand their share of the vote in upcoming elections. 카탈루냐와 스코틀랜드의 분리주의 정당은 수 년간 자기 지역의 분리독립을 위해 노력해왔다. 그 결과 두 지역 모두 분리독립에 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데까지는 성공하지만, 결과적으로 독립에 실패하고 만다. 그런데 두 지역의 분리독립 시도가 좌절되기까지의 과정에는 매우 흥미로운 차이가 존재했다. 그 차이는 분리독립 시도에 대한 중앙정부들의 대응이었다. 기본적으로 카탈루냐 지역정부와 스코틀랜드 지역정부 모두 국민투표를 시행할 권한을 갖고 있지 않았다. 우선 카탈루냐 지역정부는 국민투표 시행 권한을 이전해줄 것을 스페인 중앙정부에 요구했으나 거부 당했다. 이에 카탈루냐 지역정부는 2014년, 2017년에 국민투표를 강행 했는데, 스페인 중앙정부는 이를 위헌이라고 비난하며 매우 강경한 태도로 대응했다. 이에 비해 스코틀랜드의 분리독립 시도에 대한 영국 중앙정부의 태도는 매우 온건한 것이었다. 영국 중앙정부는 스코틀랜드 정부가 합법적으로 국민투표를 시행할 수 있도록 법적인 근거를 마련해줌으로써 평화적으로 국민투표가 실시되도록 했다. 즉, 두 지역 모두 분리독립을 위한 국민투표를 시도했다가 실패했다는 점에서는 동일했지만, 그 과정에서 나타난 중앙정부의 대응은 매우 상이한 것이었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초래했을까? 무엇이 두 중앙정부로 하여금 분리독립에 대해 상이한 태도를 취하게 만들었을까? 본 연구는 ‘정당전략’이 그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두 지역에서 국민투표 추진부터 시행 이후까지의 정당행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면, 집권당과 정당 엘리트들이 득표 극대화라는 자신들의 합리적 목표 달성을 위해 전략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집권당과 정당 엘리트들은 이후 선거에서 유권자 득표를 극대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분리독립이라는 독립 투표 이슈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두 사례의 분리독립 시도와 과정을 비교 관점에서 두텁게 기술한다. 이를 통해 ‘정당전략’이 두 사례에서 중앙정부 대응의 차이를 불러온 주요한 원인이었다는 점을 증명한다.

      • Healthy Deference in the Separation of Powers: Judicial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of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al Court

        이주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2

        The role of the judiciary has expanded globally, particularly following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s a large number of former authoritarian regimes transitioned to democracies. With this expansion, the courts have become more active in their decision-making. In many democracies, courts are no longer completely restrained by the sword (executive) or the purse (legislature), but they have rather established themselves as a significant, independent and balancing political actor. With this change, scholars have raised their concerns about judicial supremacy and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while questions about what determines independence in the judiciary and how to measure this independence still remain. In this regard, the central question has become how to balance judicial independence with accountability, as the two concepts appear incompatible. The co-existence of independence with the act of deference by the court to particular political actors reflects this incompatibility. While deference appears to be inherent in the understanding of independence, there lacks a concrete definition that resolves their contradictory existence.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se two concepts, this study introduces the idea of healthy deference, which is the court’s deference to the separation of powers rather than to any particular political actor or elite. The conditions of healthy deference require that there is generally no distinction between how the court renders its decision between social cases and those of political import. However, in cases involving both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that concern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court will take a moderate stance, thereby appear deferent. Yet, this deference is not to the will of one actor over the other. Rather, the decision rendered defers to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ensures that no actor, including the court itself, will gain more power than necessary for the balancing of power between the three primary branches of government. In order to better explain what healthy deference is and how it is compatible to judicial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South Korea. Following a long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South Korea had been grappling with judicial independence and how to delegate the powers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While the basis for the current constitutional court can be found in the previous republics of Korea, it was only in 1988, following the transition to democrac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the once nominal powers of the judiciary became substantive powers. Following this transition, scholars have positively viewed South Korea’s judicial independence. However,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that transitioned to democracies around the same time, such as those in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the case of South Korea has not been studied at great lengths. Therefore, in order to add to the literature on South Korean judicial independence as well as to the literature on judicial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395 major case decisions rendered by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al Court between 1988 and 2014,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discrepancy in the decision-making of the court between social and political cases. Then two particular cases that appeared in favor of the executive and were of national importance are also examined. The first case is the impeachment of the late former President Roh Moo Hyun, while the second is the dissolution of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Looking at these latter two cases, the application of healthy deference is then show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court has rendered more constitutional decisions than unconstitutional ones,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decision-making between social and political cases. Even among the handful of cases involving disputes between governmental actors, it does not appear that actors at one level of government are favored in the decision-making of the court over governmental actors at another level of government.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two nationally significant cases, it appears that the court rendered its decis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healthy deference rather than due to influence from undue external or internal pressures. Therefore, looking at the resul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of South Korea is judicially independent and defers to the separation of powers in its decision-making. Lastly, healthy deference also provides the basis for explaining why the executive and the legislature are willing to confer power to the judiciary when it means a decrease to their own powers. The court’s application of healthy deference in its decision making gives political actors the basis on which they can determine how their case will fare if filed for review. The court’s consistency in its decision-making and its deference to the separation of powers allows these political actors and elites to strategically behave and ensure the decision favours their interests.

      • 三·一運動에 관한 海外言論의 認識 : 日本·中國·美國의 言論報道를 中心으로

        이은경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0

        19세기 후반 문호개방 이후 세계 각국과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국제적 질서 속에 편입된 한국이었기에, 삼일운동은 이미 한국만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을 통해 많은 이권을 가지고자 했던 일본, 중국, 미국에게도 큰 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특히 삼일운동에 대한 각국 언론들의 반응은 그후 한국문제에 대하여 직 · 간접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아주 중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일운동에 대한 각국 언론들의 기사를 삼일운동의 원인과 독립운동 방법, 삼일운동에 대한 평가, 그리고 일본의 대한정책으로 분류하여 각국 언론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한국 언론의 반응도 고찰하였다. 이로써 당시 각국의 언론들이 한국의 독립운동에 대해 어떠한 인식들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삼일운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찰 결과, 삼일운동에 대한 각국의 반응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일본 신문들은 객관적이고 공정한 태도로 독자들에게 사실을 보도해야하는 언론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망각한 채 한국을 자국의 식민지로 삼으려는 자국 정부의 정책에 호응하여 삼일운동에 대하여 왜곡된 보도를 일삼았다. 그리하여 삼일운동을 한국민들의 거족적인 민족운동이 아닌 '충동적으로 발생한 사건' 혹은 '사소한 사건'으로 과소평가하고, 한국민의 삼일운동에 대한 일본의 가혹한 탄압을 은폐하여 자국민들과 세계 여론의 이목이 한국으로 몰리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반면 중국 언론들은 당시 같은 약소국의 입장에서 한국의 삼일운동에 대해 '질서 있는 것', 또는 '절호한 계획'이라 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보다 객관적으로 한국 각지에서의 삼일운동 상황과 일본의 야만적 행동을 중국 국민에게 전달하였다. 그러나 중국지역에서의 한국민의 독립운동에 대해서는 일본과의 충돌을 우려해 철저히 경계하는 이중성도 보이는데, 여기서 자국의 안위를 우선시하는 중국을 엿볼 수 있다. 미국 언론의 경우 한국의 삼일운동을 '평화적 · 국민적 운동'이라 극찬하고, 삼일운동에 대해 왜곡된 보도를 일삼는 일본 언론을 비판하는 등 한국민들에 대해 동정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 일본정부를 지지하고 있는 미국 행정부와 반대되는 태도로, 언론기관으로서의 공정성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주목된다. 한국내 언론들은 조선총독부의 언론탄압에도 불구하고 삼일운동의 전개상황을 보도하여 한국민들의 독립의지를 고취시켰으며, 동시에 민족주의를 강화하여 한국민들간의 단결을 도모하고, 일본의 기만적인 정책에 속지 않도록 한국민들을 각성시키는 등의 항일논조를 펼치며 일제에 대항해 나갔다. After the open-door of the late 19th century, Korea was admitted in the international order, establishing relations with each nation. In this case, the 3 · 1 Independence Movement influenced upon not only Korea but also Japan, China, and America that hoped to acquire concessions from Korea. Especially the reaction of each country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very important because it had some effects on the Korea peninsula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reactions of the presses in Korea as well as in each country categorizing the articles of each press into the cause of the 3 · 1 Independence Movement; the methods of the independence; the evaluations on the Independence; and the Japanese policy against it. So, It is obviously seen what opinion each country had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helps to understand the 3 · 1. Independence Movement more deeply. As a result of study on the matter, i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most of the Japanese newspapers are the organs of public opinion which has to report the facts to the public with an objective and just attitude, they totally avoided and garbled the facts in cooperation with their own government policy to make Korea their own colony. As lowering the valu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suppressing the fact that the Movement was subject to great pressure so as to keep the sight of the world and their own citizen from paying attention on the 3 · 1 Independence Movement, they call it not 'The Great National Korean Movement' but 'An Impulsively Occurred Accident' or 'An Insignificant Thing'. Conversely, the Chinese presses, which had a positive viewpoint of the Movement, evaluated it as 'An Ordered Thing' or 'The Very Proper Project', reporting the circumstances of the Movement in every part of Korea as well as the barbaric acts of Japan more objectively to the Chinese people. But, China showed dual aspects being alert to possible dangers to cause big trouble with Japan. In this way, it revealed that China, above all, consider its own security The American presses not only lavished compliment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Peaceful and National Movement' but also showed a sympathetic attitude toward the Koreans, criticizing the Japanese Presses. In this case, the American Presses were contrary to their own government which supported the government of Japan and made efforts not to lose their justice. In spite of pressure from Chosun Chongdokbu, the domestic presses informed the developmental circumstanc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encourage the Koreans to have a strong will toward Independence. At the same time,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just reporters and also took the important part at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strengthening Democracy, making Koreans get together and aware of the Japanese mendacious policies so they couldn't get deceived.

      •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내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39

        본 연구는 바람직한 청소년의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성과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3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의 608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하였고, 분석은 상관분석과, 심리적 독립과 애착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진로태도성숙을 종속변인으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남학생은 아버지로부터의 독립이, 여학생은 어머니로부터의 독립이 진로태도성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중학생은 애착과 독립이 진로태도성숙과 고른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고등학생은 아버지애착 어머니애착이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심리적 독립은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태도적 독립에서만 진로태도성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남학생은 어머니애착과 아버지애착이 모두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학생은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년에 따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은 어머니애착이, 고등학생은 어머니애착과 아버지로부터의 독립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고루 영향을 미치나,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어머니와의 애착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계상에서 보여지는 설명력으로 볼 때,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진로태도성숙 전체를 예언하는 절대적 변인이라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성급한 면이 있다.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 이 두 변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과의 관련성과 혼재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한국적인 문화 상황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살펴보았지만, 점점 핵가족화 현상에서 오는 가족 상호간의 소외현상을 감안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을 고려함에 있어 현대 가족구조의 변화를 염두에 둔 여러 관련 변인들과의 복합적 관계를 밝혀 봄이 바람직함을 제언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자신의 진로 결정을 앞두고 방황하는 청소년들에게 부모와의 바람직한 관계 속에서 성숙한 진로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작은 길잡이가 되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attachment to par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 desirable career education of adolescents. Survey was conducted to 608 students in 3 middle schools and 3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which regard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as separation variables, career attitude maturity as dependence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consequence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 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independence from father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a significant status in statistics,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the same result in independence from mother.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even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attachment and independence. But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in attachment with parents, on the contrary,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was showed in attitudinal independence. Second, for male students,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from par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for female students, more attachment to mother than father influence on that. Thir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achment to mother influence 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from par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for high school students, attachment to mother and independence from father influence on that composit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from parents can attitudinal affect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the most attractive variables is attachment with mother. Judging from the explanation of analysis consequence, however, it's too hasty conclusion that children's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is essential as the variables predi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It's because that there's a possibility of mixture of other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is study,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korean cultural situations is surveyed. In following research, when modern family is getting more alienated because of nuclear family, it is recommendable to survey the complex relationship among other variables relevant changes in modern family structure considering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adolescence. In the end, I hope this research could be a little guidance in giving the basic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for forming the mature career attitude in hopefu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ce who are wandering before making their own career decision.

      •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허윤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ed materials for a decision making to be desired of College students, and to know how effects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to parents on their childre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And it purposed to be understand counselor considers the most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interviewee.Eight college students had interviewed, and completed three questionaire about Parent''s care attitude, attachement,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areer decision makings.For the study, we divided: firstly, the attachments into Security, Dis missing-Avoidance, Fearful-Avoidance and Preoccupation based on Bartholomew and Horowitz''s questionaire the; secondly, psychological separation into functional independence, attitudin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independence using Hoffman''s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family dysfunction, care, overprotection had negative effec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unctional independence but showed insignificant effect on male students. As for attitudinal independence care had negative effect to both gender. In emotional independence family dysfunction, overprotection had negative effects and care had positive effects in female students. The peculiar part of the results were that care and overprotection both had negative effect on functional and attitudinal independence. This result may be so because that Korean students depend on there parents for a long time.Results above show that parent''s care is a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childre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that females are effected multi-dimensionally from family than males i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areer decision making. Also peoples perceiving care and overprotection as the same thing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청년의 바람직한 진로결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진로상담에 있어서 상담자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내담자의 부모와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졌다.위의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8명의 기독교 신앙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 분석을 위한 근거론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심층면접에 앞서 약간의 가정배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설문을 하여 심층면접으로 이어져 세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질적 분석을 위해 면접자를 대상으로 Ainsworth의 세 애착 유형(안전애착, 불안정 회피애착, 불안정 저항 애착)과 최근에 분류된 불안정 혼돈 애착유형으로 대략 규정지어 봤으며, 심리적 독립은 Hoffman의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를 사용하여, 기능적 독립, 태도적 독립, 정서적 독립의 세 차원으로 나누었다. 이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4가지의 애착유형으로 분류해 보았을 때 대부분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심리적 독립이나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결과를 초래했다. 특히 불안정 혼돈 애착유형에서는 애착의 질이 얼마만큼 중요한가를 보여주었으며 관심과 애정도의 표현방식이 얼마만큼 적절하게 이루어졌을 때 그 영향이 미쳤는지를 볼 수 있었다.둘째, 심리적 독립의 분석결과, 남학생들의 경우 어머니와의 심리적 독립이 대체적으로 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남일 경우 그 영향이 더욱 컸다. 여학생의 경우는 남학생보다 심리적 독립이 정서적으로 발달되어 있지만 안전한 애착유형이 형성되지 않은 대상은 심리적 독립도 마찬가지로 힘들어하는 상황이었다.셋째,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이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을 때, 특히 여학생의 경우는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의 성숙도에 따라서 자녀들의 애착형성과 심리적 독립, 더 나아가 자신의 의사결정여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 되어졌다. 이 귀로에 서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목회적 진로상담의 효과적인 필요를 위해 본 연구의 한계와 목회상담적 제언이 논의되었다.

      • 청년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이 독립의향에 미치는 영향 : 독립준비도의 매개효과

        윤지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39

        This study explored the benefits of independence perceived by young adults and elements of independence readines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independence on independence intention of young adults and verified whether the level of independence readiness mediates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independence on the independence inten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71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Costs and Benefits of Leaving home’, ‘Level of independence readiness Scale’ and ‘Independence Intention Scale’ with a demographic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independence readiness. Next,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using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tendency, the perceived benefits of independence was slightly higher than usual. In addition, the young adults showed general level of independence readiness and independence inten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level. Second, the young adults’ readiness for independence was composed of ‘health and safety readiness’, ‘economic readiness’ and ‘household readiness’.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s the independence is perceived as the benefits, the degree of independence intention is higher. Finally, the level of independence readiness of the young adults partly mediated between the perceived benefits of independence and independence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more the young adults judged the independence as the benefits, the higher the level of independence readiness. This, in turn, influences the increase of independence intention. Particularly,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health and safety readiness' and 'economic readiness' among independence readiness. 본 연구는 청년이 지각한 독립에 대한 편익을 확인하고, 독립준비도 수준의 구성요인을 검토하였다. 또한 청년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이 독립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고, 독립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대학원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중 부실 기재된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7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청년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Billari와 Liefbroer(2007)의 Costs and benefits of leaving home 척도를 사용하였다. 청년의 독립준비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Nollan과 동료들(2000)의 척도 등 자립준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문항들을 번안하고 33문항의 5점 척도로 재구성한 뒤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7문항을 활용하였다. 또한 향후 부모로부터의 독립의향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4점 척도로 평정하는 단일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변인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독립준비도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청년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이 독립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과 독립의향 사이에서 독립준비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 독립준비도 및 독립의향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청년들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은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며 독립준비도는 보통의 수준으로, 독립의향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의 독립준비도는 ‘건강·안전 준비도’, ‘경제적 준비도’, ‘가사 준비도’로 구성되었다. 셋째, 청년의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이 독립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독립을 이익으로 지각할수록 독립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년의 독립준비도 수준은 독립에 대한 편익 지각과 독립의향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청년이 독립을 이익으로 판단할수록 독립준비도 수준이 높았으며, 결국에는 독립의향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독립준비도의 하위영역 중 ‘건강·안전 준비도’, ‘경제적 준비도’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 재가장애인의 원가정으로부터 독립 의미 및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임상욱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939

        The efforts to recognize and ensure th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rights have began when the UN CRPD was introduced. As the purpose of the UN CRPD is to ensure universal rights of all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started to provide policy support for th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fter ratifying the UN CRPD. But policy and social interests of th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only focus on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institutions for their deinstitutionalization. Meanwhile study and interests on the meaning of independence and support need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t home have not been highlighted. The reason that study on th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t home would be necessary is because now the time to notice the meaning and the process of their independence, and to discuss over what kinds of social and policy responses and welfare supports are required according to social situation of increasing numbe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and because they hav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deinstitutionalized persons with disabilitie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ir independence, to confirm changes after independence and to seek appropriate supports for independent living, and finally to identify the meaning of independence leaving from original famil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For this study, a general qualitative study method was appli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date was analyzed with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24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leaving from original family were invited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and, to take a balance of disability typ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disability categories such as eight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hysical and brain lesions disabilities), eight with sensory disabilities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and eight with mental disabilities (psychosocial and development disabilities). Data was analyzed with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and from the result of a thematic analysis, 6 major themes, 15 median categories, 38 main themes and 83 sub them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t home from original family show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from independence of deinstitiutionalize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t home shows specific and clear purpose and objective for self-realization, and independence process has been done in various routes. After independence, they experienced various changes, which lead for self-realization. As to support needs, they required practical and necessary supports to have influence directly on their life. And independence means self-decision, liberation, privacy and self-esteem from their perspective. Also they showed differences in background, process, change and support needs of independence depends on each disability type. For persons with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self-realization is the main reason of independence and in the process of independence, they were helped by family and friends.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enhancing self-esteem are changes after independence, and they asked housing and financial supports. Meanwhile,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began their independence with the purpose for self-defense from domestic violence and received helps from a public support system. After independenc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determination were improved and they asked job and economic supports. And differences in background, process and support system of independence according to a life cycl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t home come from the fact that independent living suppor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has been provided from 2010. As to the necessity and awareness of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tudy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welfare policies including a personal assistant service from in their 10s are different from study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who have grown up without receiving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ree discussion points are developed for th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t home. First, establishing new role of family which goes beyond a support system centered on family with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required; second, support policy considering multiple difficulties of disability and independence should be introduced; and third, the meaning of independence will be expanded and reinterpreted. Based on the discussion points,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 provision of hou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live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continuous and stable independence in the long run. And active preferential measures must be considered including providing a transition house, expanding a support house and conducting a house quota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econom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stable life after independen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lone and to expand beneficiaries of disability pension which is currently limited for low-income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ensure incom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Also, continuous and stable jobs should be provided for economic assistance for them. Third, supports for daily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is required such as a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an assista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a peer counselling service should also be provided to encourage their independence and to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regarding independence. Last but not least, awareness raising of the society and family is required. And finally, social discussion on disability should be created to recognize independ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universal rights and to protect human rights of them. 장애인 독립을 권리로 인식하고 보장하기 위한 노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의 제정되면서부터로 본 협약 목적은 모든 장애인의 보편적인 인권을 보장하는 것으로 본 협약을 비준하면서 우리나라도 장애인의 독립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장애인 독립의 정책과 사회적 관심은 거주시설장애인의 탈시설을 위한 자립생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 재가장애인의 독립 의미와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와 관심은 주목 받지 못하였다. 재가장애인 독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독립적으로 사는 장애인이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에 따른 재가장애인의 독립 의미와 그 과정에 주목하고 어떠한 사회 정책적 대응 및 복지지원이 필요한가에 관한 논의해야 할 시기로 탈시설장애인과는 구별된 특징이 존재한다는 데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목적은 재가장애인 독립의 배경과 과정을 알아보고, 독립 이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와 독립생활을 위한 지원은 무엇인가로서 궁극적으로 재가장애인의 원가정으로부터 독립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귀납적 주제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원가정에서 독립한 재가 장애인 24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장애유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신체적 장애(지체와 뇌병변장애) 8명, 감각적 장애(시각과 청각장애) 8명, 정신적 장애(정신과 발달장애) 8명으로 구성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귀납적 주제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주제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대주제 6개, 중위분류 15개, 상위주제 38개, 하위주제 8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가장애인의 원가정으로부터 독립은 탈시설장애인의 자립과는 확실히 구분되는 특징이 있었다. 재가장애인의 독립은 자아실현을 위한 구체적이고 뚜렷한 목적과 목표가 있고 독립 과정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독립 이후 다양한 변화를 겪었으며, 이는 자아실현으로 이어졌다. 지원욕구로는 직접 체감하고 실질적인 생활에 필요한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재가장애인의 관점에서 독립은 자기결정권, 해방, 사생활, 자존감을 뜻하고 독립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각 장애유형별로 독립 배경과 과정, 변화, 지원욕구에서 차이를 보였다. 신체적 장애인과 감각적 장애인은 자아실현이 독립의 주된 이유였으며, 독립 과정에서 가족과 지인의 도움을 받았다. 장애정체성 형성과 자존감 향상이 독립 이후 변하였고 주거와 경제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반면 정신적 장애인은 가정폭력으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독립을 시작하였고 공적지원체계의 지원을 받았다. 독립 이후 심리적 안정과 자기결정권이 향상되었고 일자리와 경제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이 밖에도 재가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라 독립의 배경, 과정, 지원체계 등이 차이가 나는 것은 우리나라 장애인 자립 지원정책이 2010년 이후부터 시작하는데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20∼30대 참여자들은 10대부터 장애인 활동지원과 같은 복지정책을 이용하면서 장애인의 독립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이 이러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성장한 40∼50대 참여자들과는 차이가 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가장애인의 독립을 위한 3가지 논의 사항을 정리하였다. 장애인 가족중심의 지원체계에서 벗어나는 가족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고, 장애와 독립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이 고려된 지원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독립 의미의 확대와 재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논의 사항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선 궁극적으로 장애인에게 생활할 수 있는 집을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재가장애인이 입주 가능한 체험홈, 지원 주택 확대와 주거 지원정책에서 일정 비율을 장애인에게 배정해주는 장애인할당제 같은 적극적 우대 조치도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독립 이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장애인 1인 가구의 특성을 반영한 기초생활수급제도의 개선과 독립한 재가장애인의 소득보존을 위해 현재 저소득 중증장애인으로 한정된 장애인연금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독립생활을 하는 재가장애인의 경제적 지원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안정된 장애인 일자리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독립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이 필요하다. 독립한 재가장애인의 일상 생활 지원을 위한 활동지원 및 장애학생도우미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독립에 필요한 정보를 받고 독립에 대한 지지와 지원을 해 줄 수 있는 장애인동료상담의 지원도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사회와 가족의 장애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장애인 독립을 보편적인 권리로 인식하고 인권보장을 위한 장애담론이 이루어져야 한다.

      • 외부감사인의 비감사서비스 동시제공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 실질적 독립성과 외관상 독립성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다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38

        This paper examined the impact of the simultaneous provision of non-audit services by external auditors on audit quality by dividing them into aspects of independence-in-fact and independence-in-appearance. The preceding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provision of non-audit services on independence-in-fact and independence-in-appearance respectively but this paper noted that the possible effects on the independence of the two aspects may be different so that demonstrated whether there is a gap between practical and apparent independence in the simultaneous provision of non-audit services. From 2015 to 2019,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ERC) was measured for listed companies and the impact of non-audit service provision on their apparent independence was analyzed first, and the actual independence measured as a result of quality control supervision was added to the interaction variables to confirm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dependence of the two sides. In addition, we looked at whether the expansion of regulations on non-audit servic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since May 2018 affects the previously verified relationship.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simultaneous provision of non-audit service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in appearance. Second, when providing non-audit services at the same tim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tual and outward independence of auditors. Market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would have been impaired if the scale of non-audit services increased even if quality control monitoring determined that they had high practical independence. Third, even after the expansion of regulations, external stakeholders' negative perception of the provision of non-audit services continued but weakened somewhat. Fourth, after the expansion of regulations, the gap between actual and apparent independence from the provision of non-audit services was mitigated.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able to improve investors, regulatory authorities, etc. perception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differences in market participants' assessment of auditors' independence (independence-in-appearance) and independence-in-fact, and to help the authorities when revising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외부감사인의 비감사서비스 동시제공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 독립성과 외관상 독립성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은 비감사서비스 동시제공이 실질적 독립성과 외관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연구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그 두 측면의 독립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각기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비감사서비스 동시제공시 실질적 독립성과 외관상 독립성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증검증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이익반응계수(ERC)를 측정하여 비감사서비스 동시제공이 외관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 분석한 후 품질관리감리결과로 측정된 실질적 독립성을 상호작용변수에 추가하여 두 측면의 독립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검증하였다. 아울러 2018년 5월 이후 시행된 비감사서비스에 대한 규제확대가 앞서 검증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비감사서비스의 동시제공은 감사인의 외관상 독립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감사서비스를 동시제공할 때 감사인의 실질적 독립성과 외관상 독립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관리감리 결과 실질적 독립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비감사서비스의 규모가 증가할 경우 시장 참여자들은 감사인의 독립성이 훼손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셋째, 규제확대 이후에도 비감사서비스 동시제공에 대한 외부 이해관계인의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기는 하였으나 다소 약화되었다. 넷째, 규제확대 이후 비감사서비스 제공에 따른 실질적 독립성과 외관상 독립성의 괴리가 완화되었다. 본 연구는 감사인의 독립성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평가(외관상 독립성)와 실질적 독립성은 상이할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처음으로 제시하여 투자자, 규제당국 등의 인식을 개선하고, 향후 관련 법령 개정 등 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