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CCLESIOLOGY AND MEMBERSHIP TRENDS IN THE SOUTH KOREAN CHURCHES

        곽창대 The University of Stellenbosch 2000 해외박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최근 한국교회주1)의 수적 침체 이면에 있는 원인들을 조사하면서 한국교회의 성장 실태를 잘 해석하고 더 나아가서는 한국교회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한국교회이며 주제는 한국교회의 건강한 성장이다. 1990 년 이래로 한국교회의 수적 성장이 멈추고 있다는 여러 통계들이 보도되면서 한국교회 안에서는 그간의 급성장 이면에 내재하고 있었던 문제들을 반성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는 많은 글들이 발표되었다. 그러한 반성과 제안들이 신학적으로 충실하지 못함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이 제기하는 문제의 핵심이다. 본 논문의 중심 가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교회의 성장 실태를 보다 충실하게 분석하고 더 나아가 건강한 교회성장의 적합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충실하고 효과적인 실천신학적 방법론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그 방법론은 한국교회를 위한 보다 성경적이고 상황에 민감한 교회론(실천신학적 교회론)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본 논문의 제 2 장과 3 장은 실천신학적 교회론의 발전이 왜 한국교회에 시급히 필요한지 그 이유를 밝히기 위해 한국교회사를 통해 나타난 교회론과 교회성장신학의 주된 흐름을 추적한다. 제 4 장은 충실하고 효과적인 (균형잡힌) 실천신학적 교회론의 정립을 위해 실천신학적 방법론을 소개한다. 이 방법론에 따라 제 5 장부터 7 장까지 한국교회의 성장을 다시 묘사하고 해석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 주1) 본 논문에서 '한국교회'는 주로 남한의 개신교 교회들을 총칭하여 사용된다. 물론 문맥에 따라 카톨릭 교회를 포함하기도 한다.

      • 하비 콕스의 미래 교회론 연구

        정회승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1

        This research aims to highlight a comparatively unfamous theologian. He is a postmodern theologian who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character in the field of the Pentecostal movement. His name is Harvey Cox, a professor in Harvard Divinity School. Recent studies on his theology has focused on cultural theology or postmodern theology mainly. But various interests of his theology convergences to ecclesiology, especially to ecclesiology for the future, although he did not write a book which had a title with a word ecclesiology. Ecclesiology of Harvey Cox was influenced by the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Reinhold Niebuhr, and Paul Tillich. By these influences, Cox's interest converted a kind of individual pietism to the essence of religion and the responsibility in real worl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uman experiences made him concentrate to Pentecostal movement that the most rapidly growing church in the last century. This is reflected in his theological works, The Secular City, Fire from Heaven, The Future of Faith. In the light of Harvey Cox's brilliant insights on the works, his idea of the functions of church can be arranged by various perspectives. The Secular City shows the church as God's Avant-garde which has three functions, Kerygma, Diakonia, and Koinonia, and as Cultural Exorcist. Fire from Heaven also shows the church as a room of revival which revives the primitive language, the primitive faith, and the primitive hope. The Future of Faith expects the future of church, which experienced three periods historically, the Age of Faith, the Age of Belief, and the Age of Spirit. In contrast to traditional ecclesiology, Harvey Cox's ecclesiological ideas can be applicable to the picture of the church in 21C. The key words for the application are the Experience, the Practice, and the Revival. Each word corresponds three pictures, the Emerging Church,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South Church. The former of two is the concept that have emerged as a key to open the door of contemporary ecclesiology. The latter is adopted from the work of Philip Jenkins the historian, The Next Christendom. The beginning of Harvey Cox's ecclesiology is the social change. His point inclines to social relief, not individual salvation. This can be regarded as his weak point in the position of traditional view. Nevertheless, Cox's ecclesiology has to be the factor of future ecclesi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ity. Above all, pentecostal churches in Korea have to take lessons in his ecclesiological ideas as a block to build pentecostal systematic theology. In short, the ecclesiology of Harvey Cox can be served as a very important case for making new ecclesiology, suitable to new christianity. The ecclesiological lessons from Cox are available and present us practicable insights for renovation toward old fashioned church. A study on Cox takes a step forward at most. In order to achieve the Revival of church in 21 century, our continuous study and reflection are demanded.

      • G. C. 베르카우어 교회론 연구: 교회의 속성을 중심으로

        김대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940

        A Study of Ecclesiology of G. C. Berkouwer : Focused on the Attribute of Church DAE-WON KIM.(Seoul Bible Graduate School of Theology)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cclesiology of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theologian G. C. Berkouwer. In his book 『De Kerk』, Berkouwer interpreted the four attributes of church of Nicene-Constantinople Creed, developing his own ‘dynamic eccles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dynamic ecclesiology’ of Berkouwer properly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 saint and the church and further, to show how believers can restore the holiness of the church and contribute to the missionary tasks of the church. In detail, this study will be prog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Chapter 1 will deal with the motive, purpose, scope, and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will attempt to examine the four church attributes that follow Nicene-Constantinople Creed with the ecclesiology of Berkouwer, or in other words, the unity, universality, apostolicity, and holiness of the church. Chapter 3 will evaluate the ecclesiology of Berkouwer. It will state that a positive contribution of the ecclesiology of Berkouwer is that it is a dynamic church theory for the actual lives of believers and a church theory that obeys the gospel and the testimony of the Bible. In this article, the writer evaluates that the ecclesiology of Berkouwer is a theory that pursues church universality and attempts to provide positive evaluations that it is a ecclesiology for mission work. On the other hand, as the critical conditions of his ecclesiology should also be evaluated, the absence of actual proposals in the ‘anonymous Christian’ concept and church theory he adopted from Karl Rahner should be pointed out. Chapter 4 attempts to wrap up this study by providing a conclusion along with constructive proposals. Keyword: the Attribute of Church, Ecclesiology, G. C. Berkouwer, Unity, Catholicity, Apostolicity, Holiness.

      •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 연구 :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를 중심으로

        이장우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22

        독일의 현대신학자인 위르겐 몰트만은 잔혹한 전쟁의 참화 속에서의 주관적 체험을 오히려 희망의 신학으로 더욱 심화시켜 객관적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종말적 사상을 근거로 한 그의 메시아적 교회론은 개인의 구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던 개신교 종말론의 방향을 바꿔놓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교회론은 삼위일체의 신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거기에는 철저한 역사의식과 참여가 있으며 이것은 비단 교회뿐만 아니라 삼위일체이신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상호 역동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논자는 이러한 입장에서 몰트만 교회론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메시아적 교회론’이라는 제목을 붙이게 되었다.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중심이며,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것이 교회의 삶의 지평이라고 말하는 몰트만의 메시아적 교회론을 기본으로 하여 ‘위기’에 직면하여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는 당위성을 안고 있는 한국 교회를 위한 신학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지침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메시아적 교회론과 연관하여 본 몰트만의 생애와 신학적 배경을 살펴보면 셋이 한 쌍을 이루는 세 저서들인 「희망의 신학」,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에 나타나 있는 신학적인 사상들이 매우 중요하다.교회의 메시아적 본질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역사에 기초를 둔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는 선교하는 교회이며, 또한 일치를 추구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해방하는 통치를 드러내는 정치적 사명을 가진 교회의 모습이다. 이러한 참된 교회의 표지가 바로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이다.교회의 메시아적 사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십자가 위에서 죽음을 당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희생이 모든 제사장들의 직무를 넘어서는 것이며 교회를 넘어서 전 세계의 해방에 이르는 우주적인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예수 그리스도의 직무를 따라 교회는 십자가 아래에 있는 공동체의 모습을 가지며, 이 세계의 기존 질서의 희생자들과 함께 고난 받음으로 이 세계의 변혁에 봉사하게 된다.교회는 그리스도라는 중심에서 시작되며 하나님 나라라는 지평으로 전개되어 간다. 따라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포괄적 지평에서 이해되어지며, 미래의 힘으로서 하나님 나라는 역사의 현재 안으로 들어와 이 세계의 변혁 운동과 해방운동을 일으킨다. 변혁과 해방의 사명을 가진 교회는 삶의 모든 영역의 악순환의 고리들을 끊어버림으로, 모든 피조물이 해방되고 하나님께서 영광 받으시는 하나님 나라의 완성으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몰트만은 교회에 대한 성령의 실재적인 역할과 그 능력에 주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회에 대한 역할과 영향력에 따라는 삶의 양식까지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성령의 은사 공동체로서 교회는 일부 교역자의 교회가 아니라 백성의 교회가 되며, 목양적인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스스로 주체가 되는 성숙한 공동체가 된다는 것이다.이렇게 볼 때 몰트만의 교회론은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역사로부터 시작되는 관계적 교회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교회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기보다는 교회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관계들을 살피고 그 관계 속에서의 교회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는 그리스도와 이 세계에 관여하시는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역사 가운데서 하나님 나라의 미래를 향한 길 위에 있다. 몰트만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피조 세계의 변혁과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새 창조로 향하는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해방의 역사 가운데서 교회를 이해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카이로스에 의한 종말론적 교회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회 본래의 직무와 사명에 더욱 충실하여 교회의 참된 주인이시자 창설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더욱 집중하자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몰트만이 주장한 메시아적 교회론인 것이다. Jurgen Moltmann, a contemporary German theologian, developed a war torn subjective experiences into objective ones, with the theology of hope. His Messianic ecclesiology which was based on the eschatology is being credited for having dramatically overturned the direction of Protestant church which emphasizes on individual salvation. Moltmann's ecclesiastical theory, though based on trinitarianism, encompasses full and all-out historic awareness and participation and is built upon mutually dynamic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churches but with God, the Trinity.It is from this perspective that I, the author of this paper, have come up with the title ‘Messianic Ecclesiology' in order to bring Church of the Christ, a core part of Moltmann's ecclesiology, into focus. This study explores, theolog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on how Korean churches in crisis should reform on the basis of Moltman's Messianic ecclesiology, which professes that Jesus Christ is the center of the church and that the aiming for the Kingdom of God is the life of the church itself.When we look at Moltmann's life and theological background that are associated with his Messianic ecclesiology, one discovers a very important theological ideologies described in his trinitarian publications, namely, ‘Theology of Hope', ‘The Crucified God', and ‘The Church in the Power of the Spirit'.The church, which is built upon the integrity and the history of Jesus Christ as shown in the Messianic nature, is a missionary church proclaiming the Kingdom of God and, in pursuit of oneness, has a political mission to manifest God's emancipatory reign. The landmark of such a faithful church is a church which is holy, universal and apostolic.The most important point in ecclesiastic mission is the fact that the redemptive sacrifice by crucified Jesus is above the duties of every priest and, that it is universal, leading the entire world, beyond churches, to freedom and emancipation. And, in accordance with these duties of the Christ, churches have a feature of community under the Cross and serves global transformation by suffering together with those victims of the world's established order.The church begins from the center, which is the Christ, and develops into surface, which is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church is understood at a comprehensive surface of the Kingdom of God and, as a force of the future, the Kingdom of God enters into the present history and leads global reform and liberation movements. The church, which has a duty to reform and liberate the world, must break off rings of vicious circle and march onward to the completion of the Kingdom of God, where God is glorified and all creatures are liberated. We understand that Moltmann took note of the actual existence of the Holy Spirit within the church, its role and its power because he mentions modes of living in accordance with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church. According to Moltmann, the church, which is a community given by the Holy Spirit, is of the people rather than handful of priests; a mature community in which people are the main body rather than objects ready to be sheep-bred.In this respect, Moltmann's ecclesiastical theory may well be a relational one originating from the Trinitarian history. Rather than presenting a definition as to ‘What is a church?', he investigates concrete relationships that emerges from the church and grasps the meaning of it. Church stands on the road to the future Kingdom of God in the midst of the Trinitarian history that engages in this world. Moltmann understands chur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rinitarian liberation history, which stands facing towards transforming the world of creatures and eschatological new creation Jesus had originally begun. Moreover, Moltmann takes a step further from Kairos' eschatological ecclesiology towards a more faithful devotion to church's original duties and missions so as to concentrate more of our attention to Jesus Christ who is the genuine founder of the church. This is the true sense of the Messianic ecclesiology Moltmann claims.

      • 위르겐 몰트만의 종말론적 교회

        윤광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859

        본 논문은 독일의 현대신학자 위르겐 몰트만의 신학사상을 조명하고 그 중에서 특별히 그의 종말론적 교회론에 대한 연구를 전개한다. 몰트만은 전쟁의 참화 속에서 죽음과 삶에 대한 극적인 경험과 고민을 갖고 그 안에서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는 신학적 사상을 펴나간다. 그는 '희망의 신학', '정치신학', '해방의 신학', '삼위일체론 신학'을 신학적 주된 테마로 형성하며 신학전반에 걸쳐 종말론적 기틀을 다져간다. 그의 신학은 종말적 사상 위에 서 있으며 그의 종말론은 영혼의 구원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독교 종말론의 기본적인 방향을 바꾸어 하나님의 오심은 불의한 세계와 혹암의 역사를 변화시키면서 새 세계를 건설하는 것과 깊이 연계되어 있음을 밝히고 십자가에 달리사 인류를 대신하여 죽기를 택하셨던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희망에서 시작하여 세상 끝에 다시 오셔서 약속을 이루실 것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다.나아가서 그 희망의 핵심이 역사를 변화시키는 것에서 그 범위가 우주적인 차원으로 넓어지면서 만유의 회복과 구원으로 확장한다. 몰트만은 바르트에게서 미완으로 남겨진 만인구원론의 문제를 만유화해론으로 답하며 그리스도의 은총에 모든 희망을 거는 신 중심적 종말론을 전개하며 구원의 대상을 만인에서 만유로 넓혀 종말론의 논의를 한층 더 심화시킨다. 몰트만은 교회가 하나님의 종말적 역사를 이 땅에 실현할 전진기지로 보며 그리스도의 교회는 그리스도의 부활의 근거 위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기대하고 이 기대에 의하여 그의 삶이 결정된 사람들의 공동체로 이해한다. 무엇보다도 종말적 기대에 의해서 교회를 모으고, 파견하며 공동체를 이루는 종말론적 구원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이 종말론적 기원은 설교와 성례전에서 볼 수 있다. 교회는 그 위에 서 있다. 교회는 또한 부활하신 주의 주권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십자가와 그 사건의 확장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즉, 세상을 위한 교회이며 세상에서 종말이 구체화되며 하나님의 섭리 아래 있도록 하나님의 화해라는 목적을 가능케 함으로 구원을 이루며 확장토록 한다. 종말론적 교회론의 새로운 점은 교회의 사회적 역할 즉, 사회에 있어서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새로운 강조이다. 세상 속에 희망의 씨앗을 심고 세계의 미래와 사명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교회의 사명이 된다. 몰트만은 종말론적 역할과 사명을 품은 교회는 메시야적 형태를 갖고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자기의 생명을 희생의 제물로 바치는 그리스도의 희생과 해방하는 그리스도의 주권에 대한 교회의 참여의 빛에서 교회의 존재와 과제를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십자가 아래서 십자가의 약속을 기억하며 다시 오실 하나님을 기다리는 종말적 세계관을 품은 교회가 바른 구조와 역할을 유지하며 주어진 사명을 올바르게 수행함으로 교회는 모든 시대에 교회의 위임된 상황과 목표를 분명히 할 수 있는 모습을 지녀야 하고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어 종말적 사명을 완수하는 교회여야 한다. This thesis enlightens on the theological ideas of Jurgen Moltmann, particularly unfolding his studies on eschatological ecclesiology. In the calamity of wars, Moltmann fell into a deep distress about life and death, but through it, he discovered a new hope on the sovereignty of God and started to develop his ideas based on it. He set as his main theological themes, "Theology of Hope", "Political Theology", "Theology of Liberation", "Theology of Trinitarianism" and built the frames around eschatology on almost all his theologies. His theology is built on eschatological ideas and his eschatological doctrine is a basic change of direction from the christian eschatology that focuses on spiritual salvation to the idea that the coming of God is deeply related to the fact that He will come to change the history of darkness and the immoral world, to construct a new world. His theology begins with the hope of God's love that chose to die on the cross for the world, and ends with the hope of His return to fulfill His promises at the end of the world. Furthermore, the core of this hope is developed from the idea that He will change the history of the world, but extends to a universal dimension to promise the salvation and revival of all creatures. Moltmann provides the answer for the issue of the "Theory of Salvation for All Mankind" that was left unaswered by Bart through his "Theory of Universal Reconciliation". He develops a God-centered eschatology which places all hope on the grace of Christ and deepens the dispute of eschatology by extending the object of salvation from all mankind to all creation. Moltmann sees the church as the battle base to fulfill God's eschatological plans in this world. The church of Christ anticipates the kingdom of God on the basis of Christ's resurrection, and it forms a community of people whose lives have been set up by this hope and anticipation. Above all, the church is a community of eschatological salvation, as it gathers, commissions and forms a community on the foundation of this eschatological hope. The eschatological origin of the church can be observed in surmons and holy ceremonies. The church is build on this foundation. The church exists not only for the sovereignty of the resurrected Lord, but also for the cross and the spreading of the crucifixion. Hence, the church exists for the world and eschatology is embodied in the world under the providence of God. Salvation is delivered and spread by enabling the purpose of God's reconciliation. The newness of eschatological ecclesiology is the new emphasis on the social role of the church, that is, the life of christians in society. The mission of the church is to plant the seed of hope in the world, and to carry out the mission and future of the world. Moltmann sees the church with an eschatological role and mission taking the form of the Messiah, and he tries to understand the existence and task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its participation on Christ's sovereignty and the sacrifice of His life as an offering for the redemption of all men. The church that holds an eschatological outlook by remembering the promise of the cross under the cross and awaiting the coming of God, maintains a proper structure and role. By carrying out its mission correctly, the church should know clearly the goals and conditions entrusted to it at all ages, to complete its eschatological mission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God.

      • 회칙『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교회론적 고찰 :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25항을 중심으로

        정찬환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859

        예수의 승천 이후 교회는 자신의 신원과 정체성에 관해 끊임없이 성찰하며 물어왔고, 또 앞으로도 항구히 그것을 찾아가며, 시대의 흐름과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이를 그리스도의 빛에 비추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 나아갈 것이다. 이처럼 교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세상 곳곳에 퍼져 나가고 있으며, 내적으로도 외적으로도 짧은 기간 큰 성장을 이루어 왔음에는 틀림없다. 또한 교회는 주님의 명령에 따라 세상 안에서 자신의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며 인류의 복음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과 넘쳐흐르는 다양한 이념과 사상들, 문화의 혁명과 더불어 진일보한 문명은 분명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하였지만 그로 인한 다양한 폐단들과 함께 인간적인 한계들 앞에서 교회 역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즉 세상 안에서 교회 역시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교회는 의도치 않게 자신의 본 모습을 잃어가거나 본분을 망각한 채 쉽게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을 경험하였다. 그렇다면 교회가 오늘날까지 존립할 수 있었던 이유와, 교회를 교회로서 존재하게 하는 그 본질이 무엇인지 본고에서는 다루어 보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새로운 교회론의 전망이나 제시를 하지 않았다. 반대로 끊임없이 교회가 이루어왔던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관하여 다루었으며, 이를 통하여 현대의 위기 안에서 교회의 모습을 진단하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전망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곧 회칙 안에서 드러나는 베네딕토 16세의 신학적 사상과 교회의 이해를 연구하여 그가 말하고자 하는 교회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회칙에 대한 교회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곧 베네딕토 16세의 신학적 사상에 영향을 주었던 성인들과 학자들을 우선적으로 살펴본 뒤, 회칙 안에서 드러나는 ‘사랑의 공동체로서의 교회관’을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본고에서 제일 주된 부분인 교회의 본분인 삼중 직무를 회칙 25항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오늘날 현대 교회의 다양한 위기 안에서 교회가 지녀야 할 모습에 대하여 이야기했으며,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는 기존의 교회론에 대한 회복을 언급하며, 앞으로 다가올 시대에 맞서는 교회의 참된 모습을 전망하였다. 이처럼 교회는 그 오랜 역사 속에서 그리고 세상 안에서 함께 숨 쉬고 공생하며 존속하였기에, 그만큼 교회가 처음 지니고 있던 순수성과 앞서 살펴본 그리스도교의 핵심이 왜곡되거나 그 색을 차츰 잃어 갔다. 그 결과 오늘에 이르러서 외형적으로는 어느 때보다 거대한 성장을 이룬 교회이지만, 그에 못지않은 병폐와 부패 역시 내부적으로 생겨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기에 ‘교회가 교회로서 존재할 수 있게끔 하는 그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을 지금에서 던지는 것은 그리 무모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이미 교회가 그리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교회의 본질을 다시금 재조명하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그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 Church has reflected and asked continuously about their own identity. Also in the future, it will find out that way eternally and verify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the Christ. Likewise, the Present Church is proliferating all over the world than any centuries and has improved in a very brief time, either internally and externally. Also the Church has made an effort in his inherent role to evangelization of Human Being, while working by order of the Lord in this world. Nevertheless the rapid stream of the ages, overflowing and various ideologies, thoughts, cultural revolutions, developed civilizations provided lots of benefits with humanity, but as a result of it, with this negative effects and human limitations, the Church couldn’t be free. In a word, the Church was affected by lots of negative things in this world, it had experienced to lose its inherent role or forget its own duty and exposure from these dangers. Thus, we ranged over ‘what’s the reasons to exist the Church until now’ and ‘what’s the essence to exist the Church as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That’s why, it didn’t present new vision of ecclesiology. On the contrast, it treated the ecclesiastical essence and vocation that has been achieved. And proposed the way which the Church have to go to the next step in a modern crisis. In Chapter 1, It focused the general understanding and study as to this encyclical. That is to say, we studied the theological ideology and ecclesiastical understanding of the Emeritus Pope Benedict XVI on the base of his encyclical, examined what he wanted to say about ecclesiology. In Chapter 2, It tried to ecclesiastical approach about this encyclical. Shortly, after we had looked back on the Saints and Scholars who had affected to the theological ideology of Benedict XVI, we studied ‘Ecclesiastical Perspective as a Community of Love’ on the basis of it, and we studied triple duties that is most important part in the Church in the view of this encyclical paragraph 25. In Chapter 3, we considered that ‘what’s the image and role will be presented in the Church’. It is the mention of the original ecclesiology and prospect the truthful image of the Church that will be confronted with becoming age. The Church has breathed and exist from the ancient history in the world. So the purity and the essential point was distorted and lost their colors. And even to this very day, the Church has grown up so developmentally then any centuries, but also it has social maladies and corruptions. So it is not the absurd question that we ask ‘what is the essence to exist the Church as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It is figured out as a great meaningful work that the Church illuminating what the Church and we already knew about it.

      •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의 현대적 재구성 :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으로

        김성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681

        [국문초록]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의 현대적 재구성 -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으로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조직·문화신학 전공 김성수 ‘교회’는 그 역사적 전개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신앙공동체로서,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삶의 정황과 당대의 사회 및 문화, 사상 및 역사적 배경, 세계관 등에 의거하여 교회의 정체성을 이해해 왔다. 그러므로 교회론은 결코 고정 불변의 교리를 반복하여 전달하는 것일 수 없으며, 애초에 그럴 수도 없다. 왜냐하면 삶의 구체적 정황 속에서 공동체의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끊임없이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맺게 되는 결실인 까닭이다. 하여, 오늘 우리는 다시 ‘교회’를 묻는다. 아니, ‘교회’에 대해서 물어야 한다. 특별히 오늘날 한국교회—특히 개신교—의 위기에 대한 분석과 성찰, 변화와 갱신의 요구는 전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최근 일련의 한국종교에 관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한국교회가 사회로부터 가장 많은 지탄과 멸시, 사회적 불신과 냉소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확인한다. 이는 오늘날 사회가 한국교회를 바라보는 보편적 시선이 어떠한가를 암시한다. 온갖 부정적 이미지에서 드러나듯, 현재 한국교회는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생태적 위기의 현실에서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한 근원적인 반성과 성찰을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 교회 안팎에서 다양한 반성과 성찰의 시도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단연 핵심을 이루는 주제는 ‘공공성’에 대한 문제이다. 여기서 ‘공공성’이라는 화두가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서는 시대적 요구임을 직시할 때, “교회가 세상을 향해 건강한 방향과 비전을 어떻게 제시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으로 촉발되어 사회와 교회의 견실한 공공성 담론의 확장이라는 과제에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회의 상업화와 사유화에 대한 사회 전반의 우려 및 경고와 비판”의 차원에서 반성적으로 등장하였다는 매우 안타까운 현실을 우리는 결코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현실은 교회가 세상을 염려하기보다는 오히려 세상이 교회를 염려하는 현실의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때문이고, 세상의 복음화 이전에 교회의 복음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회의 복음화의 우선성 및 필연성이 매우 설득력을 얻을 수밖에 없는 서글픈 이유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전술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러므로 다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교회는 왜, 그리고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교회는 응당 합리적 공공성(rational publicness)에 기초해야 하며, 합리적 공공성으로만 환원되지 않고 그것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religious performativity)을 근간으로 나아가는 ‘하나님의 백성’이고, ‘그리스도의 몸’이며, ‘성령의 공동체’이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본 논문의 부제인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으로”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이는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합리성’에 기초한 ‘공공성’의 실현을 넘어, ‘종교성’에 근거한 ‘수행성’의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즉, 교회의 존재 근거 자체가 사회의 체계내적 합리성을 넘어서는 ‘사랑’에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다. 고로, 합리성에 기초한 공공성 실현의 회복이 ‘합리적 공공성’을 의미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체계내적 합리성을 넘어 보다 철저하게 타자를 향한 전적인 사랑의 실천 및 수행이 종교성에 근거한 수행성, 곧 ‘종교적 수행성’을 뜻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는 사회적 의사소통마저 불가능할 정도로 상식적 지성과 합리적 공공성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타락한 한국교회의 비극적이고 암울한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직시하면서 합리적 공공성에 정초한 ‘공공성’이라는 핵심어를 통해, 신앙공동체라면 마땅히 종교적 수행성으로 나아가야 할 지금/여기에서의 한국교회를 위한 대안적인 교회론의 방법과 내용을 모색한다. 특별히 현대적 담론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교회론의 방법과 내용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교회가 ‘고통 이후의 고통’, ‘민주화 이후의 민주화’, ‘세계화 이후의 세계화’라는 문제적 현실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한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려는 바, ‘이후’는 그 심각성과 중요성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통 이후의 고통’은 고통 이후에도 만연한 고통과 깊은 절망의 시대에 제대로 응답하지 못하는 교회의 현실을 가리키고, ‘민주화 이후의 민주화’는 이미 도래한 가치다원적 민주화 시대에 다름에 대한 존중은 고사하고 오히려 다름을 향해 혐오를 조장하고 폭력을 서슴치 않는 교회의 현실을 암시하며, ‘세계화 이후의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세계화를 넘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자본의 영향력이 극대화된 신자유주의의 세계화라는 현실에서 급속하게 진행된 상업화되고 사유화된 교회의 현실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각각의 문제적 현실이 함축하는 의미가 모두 각기 다른 결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공통적으로 얽히고설킨 문제임을 감안하면서, 그 핵심을 관통하고 있는 근본 원인이 ‘공공성의 상실 및 붕괴’에 있다고 파악한다. 앞서 강조했듯, 한국교회 위기의 문제적 현실이 상호 간에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공공성의 상실 및 붕괴의 현실에 맞서 공공성의 회복 및 재건을 위한 공동체성을 위해 교회론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그 이유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을 위해서는 교회론의 역사적, 신학적 고찰이 반드시 요구되는 까닭이다. 교회론의 변천사를 살펴보면서 교회론의 개념과 형성 및 역사적 전개, 그리고 교회론의 신학적 이해와 성찰을 무엇보다 ‘공공성’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교회는 항상 공공성을 견지해 왔으며, 공공성은 교회의 존재 근거로서 타자를 향한 사랑에 기초해 있음을, 나아가 교회의 핵심적인 특징임을 밝힌다. 그리하여 지금/여기에서 한국교회의 대안적인 교회론을 재구성하기 위한 화두로 ‘합리적 공공성(rational publicness)’을 넘어 ‘종교적 수행성(religious performativity)’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의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방법론적 탐구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신학 외부에서 신학적 자원을 풍부하게 활용하여 비평적, 이론적 작업을 폭넓게 진전시키면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대표적인 현대적 사상가들—슬라보예 지젝(Slavoj Žižek)과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를 중심으로—의 사유와 개념 및 담론을 활용한다. 신학 외부에서 신학적 전회의 가능성을 깊게 함의하는 바, 그렇기에 오히려 적극적으로 그들의 사유와 사상을 통한 신학적 성찰의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교회론의 전통적인 은유를 의도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하나님의 백성(people of God)’이라는 교회론의 전통적 은유와 지젝의 ‘사라지는 매개자(vanishing mediator)’ 개념을 병치시켜 읽음으로써 근대성으로부터 기인하는 다양한 오늘의 위기적 상황에서 교회의 ‘주체’의 문제와 ‘주체화’의 의미를 조명하며 분석한다. 그리하여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는’, 나아가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기를 자처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를 주장한다. 두 번째로, ‘그리스도의 몸(body of Christ)’이라는 교회론의 전통적 은유와 버틀러의 ‘취약성/수행성(vulnerability/performativity)’ 개념을 병치시켜 읽음으로써 그리스도의 몸으로부터 출발하는 취약성과 그리스도의 몸을 향하는 수행성을 통해, ‘종교적 수행성’의 내용으로서의 ‘윤리’와 형식으로서의 ‘연대성’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하여 예수의 일관되고 중심된 사역인 ‘약자에 대한 사랑’을 중심으로 사회 도처의 연약하고 취약한 이들이 ‘연대’할 수 있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를 주장한다. 세 번째로, ‘성령의 공동체(community of the Spirit)’라는 교회론의 전통적 은유와 지젝을 통해 새롭게 이해한 ‘성령의 공동체’를 병치시켜 읽음으로써 억압적 질서와 굴레의 체제를 전복시킬 수 있는 혁명적 공동체의 가능성을 품은 교회의 의미를 분석하고 재구성한다. 특히 지젝과 아감벤이 주목하는 바울의 유보의 방법인 ‘마치 아닌듯한 태도(as-if-not)’를 통해, 오늘날의 대안적인 삶을 살아내기 위한 공동체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지닌 세상 속에서 세상을 넘는 성령의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주장한다. 교회는 사회적 부조리를 극복하는 질서 유지 차원을 넘어, 사회를 향한 자기희생과 자기비움의 십자가의 길을 걷고자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사회적 부조리를 극복하기 위한 ‘합리적 공공성’을 넘어, 사회를 향한 자기희생과 자기비움의 십자가의 길을 걷기 위한 ‘종교적 수행성’을 견지해야만 한다. 그리하여 교회는 끊임없이 개인에서 타자로, 타자에서 공동체로, 점차 그 경계를 넓혀 합리적 공공성을 토대로, 그 공공성을 끊임없이 수행하고자 하는 수행성으로 나아가야만 한다. 이러한 교회의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교회는 고통에서 고통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하지 않고 결단하기를 머뭇거리지 않으며, 이 시대 고통의 현장에서 모든 약한 이들의 ‘곁’이 되는 해방과 구원의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 핵심되는 말 : 교회, 공동체, 교회론, 합리적 공공성, 공공성, 종교적 수행성, 수행성 [Abstract] A Study on Post-Modern Reconstructions of Ecclesiology for the Recovery of the Church’s Public presence - Beyond Rational Publicness toward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Sung-soo Kim Systematic Theology/Theology of Culture Th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ity Historically, Christians have identified themselve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in their life, such as social, cultural, id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So, it is necessary for Ecclesiology to confess faith in the church’s particular situation and incessantly rethink the essence and mission of the church. Ecclesiology is not about repeating and delivering “fixed” doctrines. Recently, there have not been many self-reflective efforts on behalf of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in which the core issue has addressed the church’s “public presence.” However,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discourse of church’s public presence did not emerge from the intention of its constructive expansion, questioning that “how should the church suggest sound vision and direction for the world.” Instead, it resulted from “social concern and criticism over the church’s commercialization and privatization.” This study begins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y, and how, should the church exist? The church should be not only based on rational publicness, but also, beyond that, the people of God, the body of Christ, and the community of the Spirit, pursuing religious performativity. While the rational publicness means publicness based on reason,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means praxis of the absolute love toward the other, founded on religiosity beyond reason. Are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practicing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beyond the rational publicness? This study is about answering this question. The second chapter will examine the situation of Korean churches which confront despair in the era of suffering.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undergoing suffering after suffering, democratization after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after globalization. However, Korean churches have not properly coped with those issues. 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essential cause of this problem lies in the collapse of the Korean church’s publicness. The third chapter will focus on ecclesiology for recovery and reconstruction of church’s publicness.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 essence and mission of the church,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mprehension of ecclesiology is required. Various aspects of ecclesiology – its notion, foundation, historical development, theological understanding – will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reveal that the church has always adhered to the publicness, and that the publicness, as the cause of church’s existence, is the core of the church. This fact will be the foundation of my thesis that the church should pursue religious performativity over rational publicness for reconstructing an alternative ecclesiology for Korean church. The forth chapter will discuss Post-Modern Reconstruction of Ecclesiology for the Recovery of the Church’s Public presence by juxtaposing the traditional metaphors of ecclesiology and thoughts, concepts, and discourses of Slavoj Žižek and Judith Butler. First, by reading “people of God” the ecclesiological metaphor, and “vanishing mediator” of Žižek together,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ubject” and “subjectification” of church in the face of a diversely critical situation emerging from modernity, which suggests that the church, as the people of God, “denies themselves daily”, and becomes a “vanishing mediator.” Second, by reading comparatively the ecclesiological “body of Christ” and “vulnerability/performativity” of Butler, this study will explore the meanings of “ethic” as a content, and of “solidarity” as a mode of religious performativity through the vulnerability departing from the body of Christ and the performativity heading over the body of the body of Christ. Based on this, this study will argue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love-centered for the marginalized, should practice solidarity with those who are marginalized and suffering. Thirdly, by re-reading ecclesiology as the community of the Spirit in the lenses of Žižek, this study will analyze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church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a revolutionary community to overthrow oppressed orders and systems.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cept of St. Paul’s “as-if-not” to which Žižek and Giorgio Agamben pay attention, this study will proclaim the church of the Spiritual community that has a way of communal life to live out as an alternative. The last chapter will emphasize again that the church is the Christian community which not just only overcomes social irrationality and observes social order, but also follows the path of the cross of self-denial, that is, kenosis. The church should go beyond rational publicness for overcoming social irrationality and adhere to the religious performativity of walking the path of self-sacrifice and self-denial toward society.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cclesiology, the church should not hesitate or fear to proceed toward suffering but become the liberating and salvific community as “being-with” the marginalized in the place of suffering. [Keywords] Ecclesiology, Rational publicness, Religious performativity, Publicness, Performativity, people of God, body of Christ, community of the Spirit, suffering, being-with.

      • KARL BARTH'S RECEPTION IN KOREA : FOCUSING ON ECCLESIOLOGY IN RELATION TO KOREAN CHRISTIAN THOUGHT

        김영관 McGILL UNIVERSITY, MOTREAL 2001 해외박사

        RANK : 267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reception of Karl Barth's theology in Korea by focusing specifically on his doctrine of the Church. This he describes as the gathering, upbuilding and send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His work, Church Dogmatics, will be examined, and then an attempt will be made to identify how Barth's Christocentric ecclesiology was indigenized and is still received in Korea by examining Korean Christian thought. This will include an investigation of Sung-bum Yun's theology of Sung.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thesis is: (1) the description of a uniqu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because Korean Confucianism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the explosive growth of the Christian community and provided a basic foundation for the reception of Barth's theology in Korea; (2) the inquiry whether Barth's ecclesiology, especially his theology of mission (the send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pays sufficient attention to different cultures and religions; and consequently (3) the justification that the indigenization of Barth's Christocentric theology was, and is, genuinely possible with Korean Confucianism, though Barth's theology is typically conf"med within the European context. This thesis will be divided into three chapters. Chapter One is designed as a brief sketch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rly Korean Protestantism and its impact on cultural and religious changes in Korea. This will include a detailed introduction to Korean Confucianism and its community concept and structure.In the second chapter, an analysis of Barth's ecclesiology is presented by providinga discussion of what constitutes the true church, the upbuild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and the missionary task of the Christian community. Chapter Three indicates why Barth's Christocentric ecclesiology can still make an impact on contemporary Korean ecclesiological theology and practice, by exploring a specific overview of the Korean reception of Barth's theology. On this basis, this chapter critically examines and analyzes Sung-bum Yun's appropriation and misappropriation of Barth's theology.

      • 한국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론 연구 : 서남동과 안병무의 민중신학적 교회론을 중심으로

        이근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650

        This thesis is aiming to explore ways to restore the publicity of Korean churches through the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ogy of Seo Namdong and Ahn Byungmu. In this study, by analyzing sociological research data, the fundamental problem of Korean churches is the loss of publicity. In addition, the problem caused by the loss of publicity in Korean churches is analyzed as a growth-focused ideology that deepens clericalism, local churchism, and mammonism oriented towards capitalist values. Minjung theologians Seo Namdong and Ahn Byungmu, equally criticized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in the era of Covid-19 and presented the true church. Through this the Minjung theogical Ecclesiology can help restore the publicity of Korean churches today. First, Seo Namdong constitutes the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gy based on the social economic history interpretation method and the pneumatological interpretation method. Ahn Byungmu constructs the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ogy based on his methodology, “theology of event.” The researcher composed the church of Minjung, the church of the Holy Spirit, and the eschatological church by responding to the clericalism, local churchism, and mammonism respectively in the Ecclesiology of Seo Namdong and Ahn Byungmu. Through this, it shows that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ogy presents an appropriate response to the problem of Korean churches and the model of the true church. Therefore, in today's era of criticism of Korean churches, which has lost its publicity and voices of self-reflection, it will be a necessary task to find an alternative through the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ogy of Seo Namdong and Ahn Byungmu. Finally, by synthesizing the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ogy of Seo Namdong and Ahn Byungmu, criticism of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non-eschatology of the church, ― which is the core of Minjung theological Ecclesiology ― is reviewed. Through two key criticisms, it is discussed that the church model that Korean churches should aim for after Covid19 is the restor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the apocalypse. First, the model of the church recovering the consciousness of the end times is presented from the standpoints of Seo NamDong and Ahn ByeongMu. second, it is presented through the ‘Small-church movement’ of today's Korean churches. Through this, I hope that Korean churches will restore publicity and become a church that participates in God's mission(Missio Dei).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공공성을 회복할 방안을 서남동과 안병무의 민중신학적 교회론을 통해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학적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교회의 근본적인 문제가 공공성 상실이라고 분석한다. 또한, 한국교회의 공공성 상실이 발생시킨 문제를 성직주의와 개교회주의를 심화시킨 성장주의 그리고 자본주의적 가치를 지향하는 맘모니즘으로 분석한다. 코로나 시대 한국교회 현실에서 나타난 문제에 대하여 민중신학자 서남동과 안병무가 앞선 시대에 동일하게 비판하며 참된 교회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음을 통해 민중신학적 교회론이 오늘날 한국교회의 공공성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먼저, 서남동은 사회경제사적 해석방법과 성령론적 해석방법을 바탕으로 하는 민중신학적 교회론을 구성한다. 안병무는 그의 방법론인 ‘사건의 신학’을 바탕으로 민중신학적 교회론을 구성한다. 연구자는 서남동과 안병무의 교회론을 성직주의, 개교회주의, 맘모니즘에 대하여 각각 대응시켜 민중의 교회, 성령의 교회, 종말론적 교회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민중신학적 교회론이 한국교회 문제에 적절한 응답과 참된 교회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오늘날 공공성을 상실한 한국교회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시기에 서남동과 안병무의 민중신학적 교회론을 통해 대안을 찾는 것은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남동과 안병무의 민중신학적 교회론을 종합하며 민중신학적 교회론의 핵심인 교회의 제도화와 비종말화에 대한 비판을 살펴본다. 두 가지 핵심 비판을 통해 코로나 이후 한국교회가 지향해야 하는 교회상이 종말의식의 회복에 있음을 논한다. 종말의식을 회복하는 교회의 모습을 먼저, 서남동과 안병무의 입장에서 제시하고 오늘날 한국교회의 작은교회 운동을 통해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한국교회가 공공성을 회복하여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참여하는 교회가 되기를 바란다.

      •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과 영국 성공회의 '선교형 교회' :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나성권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632

        이 연구는 선교 상황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신학을 탐구하기 위하여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과 영국 성공회의 교회 개척 보고서 『선교형 교회』를 접맥하려는 데에 있다. 뉴비긴 신학의 중심 질문은 ‘기독교왕국이후’의 선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로 요약할 수 있다. 교회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지 않게 된 시대에 할 수 있는 방법은 정면 돌파밖에 없다. 기관이나 제도나 힘보다는 회중 하나하나가 사람들에게 복음의 호소력을 지녀야 한다. ‘새로운 표현들fresh expressions’이란 교회로부터 멀리 있는 사람들 속에 심어진 회중들 또는 작은 교회들이다. 새로운 표현들의 다양한 사례들과 신학들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 경험과 신학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모티브, 즉 선교와 복음 증거와 회중 등을 추적하여 보면, 현재의 새로운 선교적 시도들에 도움이 될 하나의 흐름을 발견하게 된다. 한국 기독교의 선교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때에 이러한 맥락적 이해, 교회론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한국 교회의 상황을 배경으로, 기독교왕국 해체 후 서구의 선교적 교회에 대한 신학의 자취를 뉴비긴과 ‘선교형 교회’를 연결하여 발견하고자 한다. 뉴비긴 신학의 주제는 크게 선교, 세계, 교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뉴비긴의 선교 이해는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된 세속화의 물결 속에서 크게 변화하였다. 이 시기에 선교를 교회의 부가물로 보아서는 안되며 교회는 선교의 대행자가 아니라는 자각이 일어났다. 선교 신학의 출발점이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 자신에게서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뉴비긴의 교회관은 1962년을 전후로 크게 전환을 이루는데, 기존의 배타적이고 교회 중심적 선교관에서 삼위일체 신앙에 기반한 선교학으로 나아간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뉴비긴의 새로운 교회관은 성경을 읽어가면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첫째는 구약에서 세속적인 사회의 순례자였던 아브라함의 생애에 대한 묵상이었고, 둘째는 신약에서 예수의 제자 파송에 관한 묵상이었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일하고 생활하는 각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것이 세속 사회의 선교에서 요구된다고 하였다. 뉴비긴은 세속적인 세상에 순례자로 부름받은 공동체, 세속적인 세상 속으로 나아가도록 보냄받은 공동체로서 회중을 교회의 원형으로 묘사하였다. 그는 외적 원리에 기반을 둔 선교보다는 자립적이고 생명력 있는 회중들을 광범하게 시작하는 내적 원칙을 추구하였다. 2004년의 보고서 선교형 교회는 영국 사회의 변화, 영국 성공회의 교회 개척의 개괄, 국내 선교의 신학과 교회론, 새로운 표현들, 방법론들과 구체적 제안들을 담고 있다. 『선교형 교회』보다 선행한 보고서 『새땅 열기』의 공헌은 온건한 어조로 개척교회들을 정당화해 준 데에 있다. 마을에 건강한 회중 공동체를 세우는 뉴비긴의 실천은, 지역, 이웃, 문화, 네트웍들 가운데 회중을 세우려는 교회 개척과 새로운 표현과 같은 맥락에 있다. 교회 개척이란 목표가 되는 지역, 이웃, 문화, 네트웍 속으로 모체가 될 작은 회중을 이동시켜서, 마치 묘목에서 커다란 나무가 나오듯이, 그 토양에 뿌리 내린 회중을 성장시켜 내는 과정이다. 이것은 보내는 교회를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 속에 씨앗이 썩어서 없어지고 새로운 나무가 자라는 것과 같은 복음의 토착화 과정이며, ‘선교형 교회’는 뉴비긴의 선교 과정에 대한 통찰을 인용하고 있다. 새로운 표현은 교회들로부터 멀리 있는 사람들을 향한 보다 적극적인 선교 행위이며, 넘어야 할 장벽이 많이 있기에 더욱 훈련된 개척 팀이 필요하다. 새로운 표현의 선구자들은 신앙과 불신앙의 장벽을 넘어 더 멀리 나아가게 된다. 이것은 ‘우리에게 오라’라는 미온적인 방법으로 접촉할 수 있는 사람들의 수가 협소해진 선교 상황에 절실히 요구되는 선교적 실천이다. 『선교형 교회』는 뉴비긴을 네 번 인용하였는데 그 첫 번째는 하나님 나라가 교단의 교회 전통보다 우선한다는 것, 네트웍 사이에 생긴 구멍들을 메우고 수많은 공동체들이 접근할 수 잇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 가운데 인용하였다. 두 번째 인용은 교회개척의 원칙은 토착화이며, 그것은 목표 지역, 이웃, 문화, 네트웍의 상황을 무시하고 기존 교회들을 복제해 내는 과정이 아니라는 문맥에서였다. 세 번째는 교회론에 관한 것이었는데, 교회는 세속 사회 속에 순례하였던 아브라함과 같이, 세상 사람들이 하나님과 화해하도록 호소하고 마지막에는 모든 것을 모으시는 주님을 뵙기 위하여 나아가는 선교적 종말론적 공동체라는 인용이었다. 네 번째 인용은 교회 개척이 바울 선교의 핵심이었다는 뉴비긴의 주석이었다. 이 인용들을 보았을 때 보고서의 선교와 교회와 교회 개척에 관한 중요한 사상들에 뉴비긴이 공헌한 것을 볼 수 있다. 뉴비긴은 기독교왕국이 끝나고, 기독교가 사회의 주류에서 비주류로 밀려나고, 그간 교회가 누렸던 특권들이 사라진 상황을, 새로운 거듭남의 계기로 이해하였다. 초대 교회의 선교하는 공동체, 복음의 증인된 삶을 사는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회복할 계기로 여겼던 것이다. 뉴비긴은 건강한 작은 공동체로부터 새로운 선교 상황에 대처하는 원동력을 얻으려 하였다. 또한 교회가 내부에만 몰입해 있어서는 안 되며, 진정한 교회의 역할은 그 교회가 일할 자리인 세상을 통하여 계속 재정립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영국 성공회의 교회개척 이론과 실천은 뉴비긴이 제시한 ‘복음을 새롭게 증언하는 회중의 공동체’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다른 것이 있다면, 회중이라는 단어보다 더 유연성의 여지를 둔 ‘새로운 표현’이라는 개념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예전보다 더 많고 다양한 교회 개척과 새로운 표현의 경험들이 축적되고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선교의 본질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길은 세상 속에 증언하는 작은 공동체이다. 새로운 표현은 레슬리 뉴비긴이 씨름하였던 선교적 교회에 대한 신학과 동일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복음을 오늘의 맥락에 맞게 표현하는 것이 새로운 표현이라고 한다면, 이 선교적 흐름은 오늘 한국 기독교가 새로워지기 위하여 주력해야할 이론과 실천의 분야이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the Missional Ecclesiology of Lesslie Newbigin and the Mission-shaped Church. The main theme of Newbigin theology could be summarized as an exploration of ecclesiology in post-Christendom ear. This is time when Christianity is in a society where it has no control. He suggests a missional and eschatological congregation to cross the challenges of post-modern or pluralist society. The ‘Mission-shaped Church’ is a report of the Church of England focusing on church plating or fresh expressions of Church in a network or consumerist society. It also focuses on what is a church? It shows a dynamic of planting a seed into a soil to grow a tree. The planting team looses the identity the sending church and born again in the culture of the target group or network to grow as a new church or an expression. They both emphasize the locality or the indigenous culture. This ecclesiology is dissolution of ideal of Church, which may be mold or cloned to be a same type of churches. Newbigin has served as the bishop of the city of Madras in South India. He has designed the structure of a diocese and defined about the role of bishop, council, and committees. He has been involved in many social projects of WCC to help churches suffering from poverty. His concern has been always on the communities, villages and small congregations. It has been from his conviction that ‘the health of the whole depends on the health of the smallest unit’. The Mission-shaped Church support it with the ‘homogeneous unit theory’ to respect the context in church planting. Conversion without leaving village or culture is more preferred when people become Christians. It is better way to approach the people who are in their context than to ask them to leave their context to join in a Christian culture. The report adopts church planting and fresh expressions as a mission strategy to fill the holes in mobile and layered networks in the post-modern society. The report cites Newbigin four times when it describes theological bases of ecclesiology and church plating: 1) Kingdom of God is the essence of traditions of the Church; 2) enculturation as a principle of church planting; 3) pilgrimage Abraham as a model of Christian congregations and 4) Paul as a church planter. Four articles about Newbigin are examined. Nikolajsen notes Newbigin as a post-Christendom theologian who has describe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ristendom and the need to be a missional community for mission today. Weston refers Newbigin as a post-modern theologian who has shown a way to be faithful to the story of salvation while refusing meta-narrative or neutral facts. Darrell of the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 describes the Christendom as the reductionist way of being church and recognize the contribution of Newbigin to the missional theology. Chung Seung-Hyon explores four theologians; Kraemer, Hoekendijk, Bosch, and Newbigin who have seek ways of mission in a context where Christians are surrounded by other competing faiths and religions. They point up the role of Church as a sacred model for the world rather than a safe refuge out of the world. They highly regard the ministry of lay to proclaim gospel in their daily life to manifest God’s love. There were a series of reports and articles in UK which represents denominations to be changed for mission: Breaking New Ground, A Church without Walls, Mission-shaped Church; From Anecdote to Evidence and Mission-shaped Methodism and Fresh Expressions. They share the idea of mi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hurch, and not to be excluded out of border of the Christendom. Christianity in the era of post-Christendom is at a margin. They are no longer at the center of the society. Fresh expressions and church planting is approaching the marginalized across the border of faithful and unfaithful. It is mission out of a margin to the margin. It is both challenge and chance to loose canopy, which protected the Christian communities. The two ideas of Newbigin and the report Mission-shaped Church forms a missional ecclesiology focusing congregations, which are emerging out of the context and witnessing gospel in the society. They are all in a watershed as Rowan has written in the preface of the report. The population of Christians in Korea shows they form one of mainstream in the society. Korean churches have not experienced Christendom yet, but some styles of them are to be close to the ‘come-to-us’ approach. The missional ecclesiology shows the mysterious process of change of the seed and the soil. There is neither matter nor form. They are to be transformed. The theology, worship and practice of churches are to be prepared to be melt down or dissolved and to give more spaces and grounds for healthy churches or expressions to be evolved, expecting strangeness from the new churches and expressions of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