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thracycline과 taxane 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유방암에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구제요법의 치료 효과

        문지윤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926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icacy and toxicities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anthracyclins and taxanes pretreated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and methods: Twenty seven patients who had been proved as breast cancer and treated with gemcitabine and vinorelbine as second-line treatment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otal were enrolled into this test. Gemcitabine (1.000mg/m2) and Vinorelbine (25mg/m2) diluted with saline solution and 5% glucose water each were given on day 1 and 8 every 3 weeks. Results: All 27 patients were assessable for response and toxicity analysis. No one attained clinical CR and 10 patients(37%) did PR(overall response rate was 37%), whose median TTP was 14 months(95% CI. 5~23 months). Three patients(11%) attained stable disease. Median time to observation was 9 month(1 ~ 23 month) and median overall survival was not reached. Hematologic toxicities were common but not serious. Grade 3 and 4 neutropenia were observed in 18% of patients. Anorexia, nausea, vomitting and paralytic ileus were major non-hematologic toxicity. Conclusions: For the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who have failed in anthracyclins and taxanes, the combination chemotherapy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s an effective regimen with acceptable toxicity profile. 목적 : 전이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Gemcitabine과 Vinorelbine의 구제 복합화학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전이성 유방암 환자 중 1차 치료에 실패 하고2003년 1월 1일부터 2006년 8월 1일까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을 사용하여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제 1일과 치료 제 8일에 gemcitabine 1.000mg/m2과vinorelbine 25mg/m2 를 각각 생리식염수와 5% 포도당 용액에 희석하여 정맥 주사하였으며 3주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 27명의 환자중 3주기후의 반응 평가에 있어 완전 반응을 보인 환자는 없었으며 부분 반응은 총 10명에서 관찰되어 전체 반응은 37%를 차지하였다. 안전성 병변은 3명으로 11%였다. 추적 관찰기간의 중앙값은 9개월(1-23개월)이었으며 질병진행 기간의 중앙값은 14개월이었다.(95% CI. 5-23개월) 생존기간의 중앙값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혈액학적 독성이 일반적이었으나 대부분 경하였고, grade 3, 4의 중성구 감소증은 18%에서 나타났다. 비혈액학적 독성에서는 위장관계 독성이 흔하였으며 식욕부진이나 오심, 구토 장마비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결론: anthracyclins과 taxanes 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gemcitabine과 vinorelbine의 복합화확요법의 구제요법은 경미한 부작용과 비교적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 Anthracycline과 Taxane 계열 치료경험이 있는 HER-2 과발현 전이성 유방암환자에 있어 Vinorelbine과 Trastuzumab 치료의 임상연구 : Phase Ⅱ Study of Vinorelbine Plus Trastuzumab in Her-2-Overexpressing Metastatic Breast Cancer with Anthracycline and Taxane Pretreatments

        이유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895

        배경 :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있어서, 일차로 trastuzumab 기본으로 한 치료는 잘 정립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anthracycline 과 taxane 계열 치료경험이 있는 환자들 에게 vinorelbine 과 trastuzumab 병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시 그 효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설계 및 연구방법 : Anthracycline 과 taxane 계열 치료경험이 있는 HER-2 과발현 전이성 유방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에게 3주간격으로 하여 1일째와 8일째 25 mg/m2 vinorelbine 정주하였다. 그리고, trastuzumab 은 초기용량 4mg/kg으로 정주하였고 그 다음부터는 2mg/kg 으로 매주 정주하였다. 연구결과 : 환자들의 중앙나이는 53세(범위: 39-72세)였다. 총 반응률은 30.3%(10명, 95% 신뢰구간 [CI]: 23-57%). 병의 진행 평균시간은 2.1 개월(95% CI: 1.9 - 2.9 개월). 중앙 생존기간은 12.4개월(95% CI: 10.3 - 14.6 개월)였다. 총194 회 항암화학요법중, 중등도 이상의 호중구감소증과 빈혈 발생정도는 각각 7.2%, 1.0% 였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은 치료 3회에서 (1.5%)보였다. 비혈액학적 독성은 심하지 않았다. 경도 또는 경중도 오심, 구토는 환자의 15.2%, 그리고 경중도 신경병증은 환자의 6.1%에서 관찰되었다. 어떤 환자도 심각한 심장 독성을 보이지는 않았고, 항암화학요법과 연관된 사망 경우 없었다. 결론 : 이 연구결과는 vinorelbine 과 trastuzumab 병합화학요법이 anthracycline 과 taxane 치료경험이 있는 HER-2 과발현 전이성 유방암환자에게 있어 독성이 적고 적합한 치료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2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의 병합 요법의 효과

        이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891

        Backgroud.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s in Korea and moreover it is increasing. Higher response rates, decreased toxicity and improved performance status of first-line treatment have resulted in an increased number of patients'' becoming candidates for second-line therapy. Several new antineoplastic agents, including gemcitabine, docetaxel and paclitaxel, have recently demonstrated second-line activity. This phase II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combin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NSCLC as second-line treatment. Methods. Sixty response-evaluable patients were enrolled from December 2000 to July 2003. We conducted a phase II study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combination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NSCLC, stage IIIB and IV at the time of diagnosis that had progressed on or relapsed after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They were treated with gemcitabine 1000mg/m2 intravenously and vinorelbine 25mg/m2 intravenously on day 1 and 8. Chemotherapy was repeated every 3 weeks. Results. A total of 215 cycles of treatment were given, with a mean of 3.6 cycles. All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he toxicity profile. The response rate was 10% by WHO criteria. The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was 3.8 months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10.1 months. The 1-year survival rate was 32.9%. Grade III and IV neutropenia were seen in 20(33.3%) and in 7(11.7%)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s active and well tolerated as second-line therapy for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Vinorelbine과 Carboplatin 복합화학요법

        김봉석 단국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862

        심전도상 심근허혈을 예측하는 인자로서 ST절, QT 간격등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들은 측정시 간편하지 않고 재현성이 적다. Kors 등의 연구에서 T 전기축이 심근허혈의 예측자로서, 알려진 심혈관위험인자처럼 독립적인 위험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만약 T 전기축이 급성 심근 허혈시에더 심근의 허혈ㅇ르 잘 반영한다면 허혈성 심장질환의 관리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단국대학병원에서 흉통으로 내원하여 관동맥조영술을 시행받은 환자 147명의 첫 방문시 심전도 소견을 분석하여, Kors등의 연구에서 분류한 T 전기축에 따라 T 전기축을 정상군, 경계군, 비정상군으로 분류하였고, 각 T 전기축군에서 심혈관 위험인자들과 심전도 상의 기타 허 혈진단소견들 및 관동맥조영결과 간의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관동맥 조영결과를 황금기준(Gold Standard)으로 하였을 대 'T 전기축 비정상'의 심근허혈에 대한 민감도는 26.7%, 특이도는 86.9% 였고, 양성예측도는 81.8%, 음성예측도는 35.1%였다. 관동맥 조영상 양성군과 음성군에서 'T 전기축의 분포'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 전기축과 심전도상 다른 허혈진단지표들간의 관계에서는 'ST절 하강'이 비정상군에서 27.3%, 정상군에서 8.2%, 경계군에서 6.9%로 유의한 차이(P=0.016)를 보였다. T 전기축은 심전도상 ST절 변화를 제외하고 다른 심근허혈 소견들과의 연관성이 없으며 심혈관계 위험요인과이 연관성도 없었다. 또한 민감도가 26.7%로 심근허혈의 예측인자로 그 가치가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Electrocardiographic variables such as changes in the ST-T segment, and increased QT interval have been foun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myocardial ischemia. But disadvantages of most of these variables have poor reproducibility and require analysis of all ECG leads. If electrocardiographic T axis properly predicts myocardial ischemia, it is a useful marker of diagnosing myocardial ischemia in primary practice. We selected 147 persons, who visited emergency room or OPD because of chest pain, and performed coronary angiography. We reviewed all medical records. Electrocardiographic T axis was classified as normal, borderline and abnormal T axis. We indentified the relation betwee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electrocardiographic T axis, also the relation between ischemic electrocardiographic variables and T axis. We examined between the relation coronary angiographic results and electrocardiographic T axi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lelctrocardiographic T axis was 26.7% and 86.9%.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1.8% and 35.1%. The proportion of hypertension was 41.2% in normal T axis group, 65.5% in borderline T axis group, 34.4% in abnormal T axis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32). The relation between coronary angiographic results and electrocardiographic T ax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ubjects with abnormal T axis were associated with ST depression (P=0.016). Teh electrocardiographic T axis is not a useful marker of myocardial ischemia.

      •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이차 치료로서 Gemcitabine과 Vinorelbine 혼합 요법의 효과

        장필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636

        Background :Both gemcitabine and vinorelbine are effective anticancer drug that have mild toxicity in the therapy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monotherapy of those were the effective as second-line chemotherapy. Our trial aimed to assess the response and toxicity of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edicine. Conferred in February 2005. Material and Method : 24 patients, initial stage Ⅲ A/B, Ⅳ and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ium and taxane based regimens,were enrolled from June 2000 to August 2004 .Regimen consisted of vinorelbine 25mg/㎡ followed by infusion of gemcitabine 1000mg/㎡ on day 1 and day 8 every three week. This course was repeated more than twice. Results : Twenty-four patients were analyzed for the response, survival and toxici ties. The overall response was 17% with CR rate 4%. The median time-to progres sion (TTP) was 3.1 months,and survival rate was 8.2 months. Grade 3/4 toxicities were neutropenia(12.5%), anemia(0%), thrombocytopenia (0%). Non -hematologi cal 3/4 toxicities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vinorelbin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is relatively good response rate, low toxicity profile in patients of previously trea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