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Vinorelbine, Ifosfamide, Cisplatin복합화학요법

        김진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26

        연구배경: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은 대증요법이나 화학요법을 실시하게 되는데 최선의 대증요법보다는 Cisplatin을 주약제로 하는 복합화학요법이 환자의 삶의 질이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후 많은 환자들이 화학요법을 받고있으나 아직 표준화된 화학요법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최근 개발된 약제들 중 vinca alkaloid인 Vinorelbine(Navelbine)은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비소세포 폐암에서 치료반응이 12-32% 정도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fosfamide는 단독으로 사용시 치료반응이 20%가 넘는 약제로서 Cisplatin과 이들 두 가지 약제를 같이 사용할 경우 치료반응은 30-43%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Vinorelbine, Ifosfamide, Cisplatin(NIP) 화학요법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이에 저자는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NIP 화학요법 후의 부작용, 치료반응 및 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2월부터 1999년 6월까지 고신의대 부속 복음병원 내과에서 조직학적으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에서 TNM 병기 IIIb 및 IV기이며 2회 이상의 NIP요법을 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화학요법은 입원시킨 상태에서 Vinorelbine 25 mg/㎡, Cisplatin 50mg/㎡, Ifosfamide 3000mg/㎡를 첫째 날 수액요법, 제토제 및 Mesna를 같이 주사하였다. Vinorelbine은 8일째 nadir 상태의 혈액검사를 위해서 외래를 방문할 때 같은 양을 한번 더 주사하였다. 모든 치료는 3주 단위로 하였으나 혈액의 백혈구수나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치료를 일주일 정도 연기하여 회복된 것을 확인 후에 치료하였다. 매 화학요법 시행전 전신의 진찰, CBC, 신장, 간기능 및 전해질 검사를 하였고 , 흉부 X-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치료 반응의 평가는 3회의 치료를 받기 위해서 입원할 당시에 흉부 X-선 및 콤퓨터 단층 촬영를 하여 WHO의 판정기준에 따라 반응군(완전관해 및 부분관해)과 비반응군(불변 및 진행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결과: 1) 대상환자 51명중 치료효과의 판정이 불가능하였던 9명을 제외한 42명 중 치료반응은 17명(완전관해 1명, 부분관해 16명)으로 40.5%에서 있었고, 비반응군은 25명(불변 22명, 진행 3명)으로 59.5%에서는 반응이 없었다. 2) 대상환자 51명의 중앙생존기간은 41.6주(14-109주)였다. 반응군 17명의 중앙생존기간은 49.3주, 비반응군 25명은 37.7주, 반응을 평가할 수 없었던 9명은 31주였다. 반응군에서 생존기간이 더 길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3) 병기 Ⅲb기의 생존기간은 41.6주, 병기 Ⅳ기는 40.4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직형에 따른 생존기간 분석에서 선암 환자는 41.1주, 편평상피암 환자는 38.3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Vinorelbine, Ifosfamide, Cisplatin 3제의 복합화학요법은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치료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을 대상으로 새로 개발된 다른 약제들과의 비교 연구가 앞으로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espite recent advances in combined chemotherapy, the treatment rate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remains poor. And there is no standard chemotherapy modality established yet. There are some reports that the response rate of Vinorelbine, Ifosfamide and Cisplatin(NIP)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isplatin-based combined chemotherapy. This study was intended to assess the therapeutic effect of NIP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June 1999, 5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unresectable stage IIIb or IV non-small cell lung canc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Vinorelbine 25 mg/㎡ on day 1 and 8, Cisplatin 50 mg/㎡, and Ifosfamide 3000 mg/㎡ at three-week intervals. Before entering the third course of chemotherapy, all patients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response after chemotherapy by chest PA, chest CT and bronchoscopy. According to the WHO criteria, responder group(complete or partial response) and non-responder group(stable or progressive disease) were divided and their median survival time was assessed. Results: 1) 42 patients were eligible to assess the response. There noted one complete response and 16 partial responses. Stable disease in 25 patients, and progressive disease in 3 patients were noted. 2) The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41.6 weeks (range: 14-109 weeks). The median survival time of responder and non-responder was 49.3 weeks and 37.7 weeks respectively (P=0.143).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had shown no difference by the stage or tissue typ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bined NIP chemotherapy might be helpful and safe in improving survival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However large randomized prospective trials should be performed to establish the efficacy of the combined NIP chemotherapy.

      • III/IV기 NK/T 세포 림프종에서 ifosfamide, methotrexate, etoposide, prednisone 및 L-asparaginase 복합항암화학요법의 치료성적

        김미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607

        Introductio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tage III/IV NK/T-cell lymphoma (NTCL) is extremely poor. Although L-asparaginase (L-asp) is effective for NTCL, its significance has not been clearly demonstrated. In addition, there are few studies comparing treatment outcomes in stage III/IV NTCL.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L-asp-based chemotherapy and prognostic factors in stage III/IV NTCL. Patients and Methods: Seventy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stage III/IV NTCL were enrolled between January 2000 and February 2013. Patients received ifosfamide, etoposide, methotrexate, and prednisolone (IMEP) plus L-asp (N=22) or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out L-asp (N=48) as a first-line treatment. Clinical prognostic factors,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After a median follow-up period of 12.8 months (range, 1.1-186.6 months), median overall survival (O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ere 11.3 months and 5.6 months, respectively. Treatment outcomes were superior in patients treated with IMEP plus L-asp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chemotherapy without L-asp (overall response rate 90.0% vs. 34.8%, P < 0.001; complete remission rate 65.0% vs. 21.7%, P = 0.001). The OS and PF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IMEP plus L-asp group compared with the chemotherapy without L-asp group. In a multivariate analysis, use of chemotherapy without L-asp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reduced OS (hazards ratio (HR) = 2.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4.40; P = 0.030) and PFS (HR = 2.29, 95% CI 1.22-4.29; P = 0.010). Conclusions: IMEP plus L-asp is active against stage III/IV NTCL, and it i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improved survival.

      • 재발 및 불응성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MINE 복합 화학 요법의 효과

        장성훈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603

        연구 배경 및 목적: 일차 치료에 실패하거나 치료 후 재발한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예후는 불량하다. 그동안 재발한 림프종에 유효한 많은 항암 화학 요법이 개발되었으나 치료 반응은 약 20%-60%이다. 재발한 림프종 환자가 새로운 항암 화학 요법에 반응을 하더라도 무진행 시간(time to disease progression)은 점차 짧아지고 결국은 약제에 저항하게 된다. 림프종 세포는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에 감수성이 있으나 림프종이 전신을 침범하는 병이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의 적응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응성 또는 재발성 비호지킨 림프종을 대상으로 3가지 화학 요법 제재로 구성된 MINE 치료의 유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95년 10월부터 2000년 8월까지 화학 요법의 전력이 있는 43명의 환자 (남자69.8%, 여자 30.2%)가 대상이었는데 연령의 중앙값은 56세였다. 이들 중 60.5%는 운동능력이 0-1이었고, 55.8%는 미만성 대세포성 림프종이었고 76.7%는 B세포성이었다. 대상군 중에서 22명(51.2%)은 이전 화학 요법으로 완전 관해가 된뒤 재발하였고, 5명(11.6%)은 부분 관해, 16명(37.2%)은 치료에 실패하였다. Ifosfamide 총 4 g/㎡를 3일간 나누어 정주하고, Mitoxantrone 8 mg/㎡를 제1일에 정주 하였고, Etoposide 65 mg/㎡/day를 3일간 정주 하였다. 상기약물은 3-4주 간격으로 투여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용량 조절은 하지 않았다. 총 138주기의 치료를 시행하였고 환자당 치료 횟수의 중앙값은 2주기(범위: 1-8)였다. 평균 상대 용량 강도는 87.2%이었다. 치료반응, 전체 생존 기간, 치료 실패까지의 기간을 분석하고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 하였다. 결과: 1) 9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 9명의 환자에서 부분 관해를 보여 총관해율은 41.8%이었다. 기타 10명은 크기 변화가 거의 없었고, 14명은 진행성이었다. 2) 중앙 생존기간은 6개월(95% 신뢰구간: 3-8개월)이었다. 완전 관해군의 중앙 생존 기간은23개월(95% 신뢰구간: 13-33개월)이었고, 비완전 관해군의 중앙 생존기간은 4개월(95% 신뢰구간: 1-6 개월)이었다(p=0.0009). 치료실패까지의 기간의 중앙값은 5개월이었다(범위:3-7개월). 완전 관해군의 치료실패까지의 기간은 12개월(95% 신뢰구간: 9-15개월)이었고, 비완전 관해군의 치료 실패까지의 기간은 3개월(95% 신뢰구간: 1-4개월)이었다(p=0.0026). 3) 이전 치료에 대한 완전 관해 여부와 혈청 β2-microglobulin 농도가 MINE 치료 후 완전관해 여부를 결정하는 유의한 인자였다(각각 p=0.0327, p=0.0504). 또한 이전 치료에 대한 완전 관해 여부와 혈청 β2-microglobulin 농도는 생존율(각각 p=0.0351, p=0.0028)과 치료 실패까지의 기간(각각 p=0.0371, p=0.0263)을 결정하는 유의한 인자였다. 4) MINE 치료의 주된 독성은 골수 억제였다. 결론: 이전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과 혈청 β2-microglobulin 농도가 MINE 치료의 예후인자였다. MINE 치료 후 완전 관해군에서 치료실패까지의 시간의 중앙치는 12개월에 불과하여, 완전관해 후 공고 요법으로 고용량 화학 요법 및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rognosis of non-Hodgkin's lymphoma (NHL) is disappointing for those patients who experience primary treatment failure or relapse after an initial response. Many cytostatic drugs have shown activity against relapsed NHL, but the response rates to salvage regimens range from 20% to 60%. Patients in relapse may respond again to chemotherapy, but time to disease progression (TTP) becomes shorter, and eventually the disease becomes resistant. Lymphoma cells are usually radiosensitive, but the disease is typically widespread,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conventional radio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MINE regime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NHL. Method: Forty-three pretreated patients (69.8%, men) with a median age of 56 years were enrolled onto the study between October 1995 and August 2000. Most patients (60.5%) had a performance status of 0 to 1, and diffuse large-cell histology (55.8%). Based on the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most of the patients had B-cell tumors (76.7%). Seventy-four percent of patients had stage III or IV disease at the start of MINE treatment. Twenty-two (51.2%) patients had complete response, 5 (11.6%) had partial response, and 16 (37.2%) had failed to prior therapy. Ifosfamide 4 g/㎡ was divided over 3 days and administered IV over 1 hour. Mitoxantrone 8 mg/㎡ was administered as a short IV infusion on day 1. Etoposide (65 mg/㎡/day) was infused over 1 hour on days 1 to 3. There were no adjustments to dose based on age. A total of 138 cycles was administered, with a median of 2 cycles per patient (range, one to eight). The mean relative dose intensity was 87.24%. Result: 1) Nine patients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nine patients achieved a partial response, resulting in an overall response rate of 41.8% for assessable patients. Ten patients had stable disease, and 14 patients had progressive disease. 2)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6 months (95% CI, 3 to 8 months), and the median time to failure was 5 months (95% CI, 3 to 7 month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omplete response rates was found for complete response to prior therapy and serum β2-microglobulin level (p=0.0327 and p=0.0504, respectively). The most significant pre-treatment factors for survival was prior complete response and serum β2-microglobulin (p=0.0351, p=0.0028, respectively). The most significant pre-treatment factors for time to failure was prior complete response and serum β2-microglobulin (p=0.0371, p=0.0263, respectively). 4) The main toxicity of MINE was myelosuppression. Conclusion: The response to prior chemotherapy and serum β2-microglobulin were both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s the median time to treatment failure for complete responses was 12 months, the best use of this regimen could be in a strategy that includes prompt consolidation of complete response with intense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hematopoietic stem cell resc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