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대생의 생리주기에 따른 피부 유ㆍ수분도 및 호르몬 변화

        한진화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2

        Menstruation is a physiological phenomenon that happens 300 to 400 times to mature and healthy women during the lifetime. In the first half of menstrual cycle, the follicle in the ovary starts to grow and secretes estrogen. When the follicle becomes mature and ovulates, the corpus luteum which was transformed from the mature follicle secretes progesteron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hormones, the menstrual cycle repeats its four phases, i.e. menstrual phase, follicular phase, ovulatory phase, and luteal phase. In each phase women also experience various physical changes in their bodies. Before the experiment was started, 120 college women were surveyed asking about the degrees of menstrual pain they feel. 30 women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ful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and were divided into 2 groups to have 15 each. The cramps group is a group of women who answered the menstrual pain is level 6 or higher out of 10, and the control group answered level 5 or lower. In each menstrual phase the state changes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carefully checked and recorded. The states include personal awareness of the changes of their skin conditions, the changes of moisture and sebum produced in the skin, and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in blo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btained in the experiment will be offered to the industries as preliminary data to help them develop new cosmetics and skin care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in each four different menstrual phases of women.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features, personal skin care methods, and the individual skin conditions during the four phases of menstrual cycle of college women. To measure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sebum in the skin that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degrees of cramps, the levels of sebum in the forehead, eyes, cheek, and chin were measured once in each phase. The levels of moisture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each phase and averaged. Serum tests were conducted for each person and analysed to measure the hormones during the follicular and luteal phases. The data gathered in the experiment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12.0. Frequency analysis for the general features and skin care behavior as well as t-test for the skin conditions that are based on self diagnosis,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sebum in the skin, and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in blood following the menstrual cycle were performed on cramps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experiment. 1. The general features, skin care behavior, and skin conditions based on self diagnosis Both cramps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n normal weight but were slightly th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kin were 4points and 4.46points out of 10 respectively.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participants' skin care activities such as packing, scrubbing and massaging are taken when they feel like to do or the skin becomes rough. They use face lotions, skin lotions and sun blocks regularly but essence creams and eye creams irregularly. The skin conditions based on self diagnosi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hase in the menstrual cycle were surveyed with the band score from 1 to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answering that the skin becomes rough and itching in the follicular phase with p<0.05, pimples break out on the cheeks and sebum secretion is increasing in ovulatory phase with p<0.05, sebum secretion is increasing in luteal phase, and the pores becomes wider in menstrual phase with p<0.05. 2. The changes of moisture and sebum in the skin following the menstrual cycle In cramp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bum of chin and moisture of forehead with p<0.05 following the menstrual cycle, where sebum measured in forehead and nose, and moisture in forehead, cheek and eyes show highest values in follicular phase. In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bum of nose and moisture of forehead with p<0.05 following the menstrual cycle, where sebum measured in forehead, nose and chin, and moisture in forehead, cheek and eyes show highest values in follicular phase during the menstrual cycle. 3. The changes of hormones following the menstrual cycle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hormones, i.e, progesterone and aldosteron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ramps(p<0.01, p<0.001) and control(p<0.05, p<0.01 ) groups. 여대생의 생리주기에 따른 피부 유ㆍ수분도 및 호르몬 변화 월경은 성숙기의 정상적인 여성에게 생기는 생리현상으로 성인여성은 일생을 통하여 300 ~ 400회의 월경을 경험하게 된다. 생리주기 전반에는 난소안의 여포가 발육하여 여포호르몬이 분비되고 여포가 성숙한 후 난소에서 배란이 되면 황체호르몬을 분비하게 된다. 생리주기는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월경기, 여포기, 배란기, 황체기의 4개의 사이클 주기를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여성은 생리주기별 신체적인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월경통정도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실험에 동의한 15명씩 30명을 선정, 월경통의 정도의 차이에 따라 6점 이상Cramps군과 5점 이하는 Control군으로 나누어 여성의 생리주기 4주기 동안의 주관적 피부변화, 피부 유ㆍ수분도 변화와 호르몬 농도변화를 조사하여 생리주기별 피부상태 변화에 따른 시기별 화장품 개발과 피부미용 산업현장에서 고객들의 생리주기에 적합한 피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피부관리실태는 1회, 주관적 피부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는 생리주기 변화에 따라 총 4회 실시하였으며, 여대생의 월경통 정도에 따른 대상자의 피부 유ㆍ수분도 측정은 생리주기 변화에 따라 여포기, 배란기, 황체기, 월경기로 나누어 피부유분도는 이마, 코, 볼, 턱을 매회 1회 측정 하였고, 피부 수분도는 이마, 눈, 볼, 턱을 매회 3회 측정한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생리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개인 월경력에 맞추어 여포기와 황체기에 호르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amps군, Control군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관리 행위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빈도분석을, 두 군 연구대상자의 생리주기에 따른 주관적 피부상태와 피부 유ㆍ수분도, 혈청 호르몬 농도를 살펴보기 위하여는 t-test를 실시하였다. 1. 여대생의 월경통 정도에 따른 일방적 특성, 피부관리 실태, 주관적 피부상태를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Cramps군, Control군 모두 정상 체중이면서 약간 마른 체형에 속하였고, 자신의 피부에 대한 주관적 피부만족도는 10점척도에서 Cramps군 4점, Control군 4.46점을 나타내었다. 조사대상자의 피부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두 그룹 모두 팩사용, 스크럽사용, 마사지행위는 생각날 때나 피부가 거칠어 질때 사용한다가 높게 나타났다. 화장수, 로션, 자외선 차단제 사용은 규칙적이었으나, 에센스, 아이크림은 불규칙적이었다. 생리주기 변화에 따른 주관적 피부상태를 5점 척도를 조사한 결과는 여포기에서는 피부가 거칠어진다. 피부가 가려워진다에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배란기에는 뾰루지가 생긴다. 피지분비가 증가한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황체기에서는 피지분비가 증가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월경기에서는 모공이 넓어진다에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2. 생리주기에 따른 Cramps군, Control군의 피부 유ㆍ수분도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ramps군의 생리주기에 따른 피부 유ㆍ수분도 변화에서는 턱 유분도와 이마 수분도가 생리주기 변화에 따른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고. 이마 유분도 코 유분도, 이마 수분도, 볼 수분도, 눈 수분도는 생리주기상 황체기에 가장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Control군의 생리주기에 따른 피부 유ㆍ수분도 변화에서는 코 유분도와 이마 수분도 생리주기 변화에 따른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고. 이마 유분도, 코 유분도, 턱 유분도, 이마 수분도, 볼 수분도, 눈 수분도는 생리주기상 황체기에 가장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3. 생리주기에 따른 Cramps군, Control군의 호르몬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ramps군에서는 프로게스테론, 알도스테론의 호르몬 농도가 생리주기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1, p<0.001)가 있었으며, Control군에서도 프로게스테론, 알도스테론의 호르몬 농도가 생리주기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5, p<0.01)가 있었다.

      • 성인 여성의 여드름 등급에 따른 피부 유ㆍ수분도와 남성 호르몬 조사

        김은경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27

        피부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질환인 여드름은 대개 사춘기 전후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모피지선 단위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한덕윤 2002). 청소년기의 꽃이라 일컫는 여드름은 꼭 사춘기 때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청소년만의 질환으로 잘 못 인식되어 왔지만, 20-30대 이후에 생겨서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메이크업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가 20대로 잘못된 제품의 지속적인 사용 등으로 성인성 여드름이 나타나기도 한다(대한의학협회지 2000). 피지분비 증가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Sansone G & Reisner 1971), 피지분비의 증가가 여드름 발생의 결정적인 요인이며(Lucky A 1995), 국내의 연구에서도 유의성을 입증하였다. 남성 호르몬이 여드름 병인에 관여 한다는 것은 생리적 여드름이 없는 사춘기 전 아동에게 남성호르몬을 투여 할 경우 여드름이 발생한다는 점, 혈중 남성호르몬수치가 급증하는 사춘기에 여드름이 주로 발생하며 남성호르몬은 투여에 의해 더욱 악화된다는 점, 남성 호르몬이 피지선분비를 자극한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여드름의 상태를 조사하여 4등급으로 나누어 그룹별 8명씩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식사 습관 및 간식태도, 여드름의 일반적 특성, 여드름의 관리형태, 여드름에 관한 인지도 등을 살펴보았다. 여드름 등급에 미치는 요인을 심층 연구하기 위하여 안면 피부 유ㆍ수분도와 혈중 남성 호르몬인 Testostero-ne과 Dihydrotestosterone(DHT)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여드름의 등급이 피부의 유ㆍ수분도와 혈중 남성 호르몬(Testosterone, DHT)의 농도, 생활습관, 여드름 관리 형태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들 요인들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남성 호르몬 농도와 안면 피부의 유ㆍ수분도 측정 수치가 여드름 등급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알아보고, 여드름 등급에 따른 전문적인 이해와 효율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1. 성인 여성의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건강상태, 식사습관 및 간식 태도, 피부 관리 형태, 여드름에 관한 인지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96.9%가 미혼이며, 68.9%가 직업을 가지고 있고, 65.6%가 음주를 하며, 56.3%의 절반 이상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4.4%는 식사습관이 불규칙하고, 93.7%는 외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71.9%는 섬유질 섭취에는 거의 신경 쓰지 않으며, 선호 육류로서는 돼지고기, 닭고기가 65.7%로 나타났다. 87.5%는 과일을 주 1-2회 이상은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간식으로는 65.6%가 밥, 빵류, 과자들 탄수화물을 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관리 형태를 보면 75%가 19세 이전에 여드름이 처음 발생했고, 65.6%가 10-15년 동안 여드름 진행기간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내 여드름 경험자를 보면 형제, 자매가 44.2%로 가장 높고, 어머니가 23.1%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경우는 9.6%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여드름 관리 형태를 보면 세안횟수는 1일 2번 87.5%로 나타났고, 세안제는 수성 세안제 41.5%, 유성 세안제 27.7%로 나타났고, 여드름 치료를 위해 찾는 곳은 40.6%, 여드름치료를 위해 찾고 싶은 곳도 피부과 병원이 59.4%로 피부과 병원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썬블록크림을 사용하는 대상자는 87.5%, 여름에만 사용하는 대상자도 42.9%로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에 관한 인지도에서는 관리지식 10문항 중 8문항에 대해서는 60%이상이 정답을 알고 있어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발생원인 7문항 중 5문항에서는 70%이상이 정답을 알고 있어 지식수준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 악화 요인 3문항 중 3문항 모두 오답을 알고 있는 대상자가 84%로 지식수준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성인 여성의 안면 피부 유ㆍ수분도 및 여드름 등급에 따른 안면 피부 유ㆍ수분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피부 부위별 유분도 조사 결과는 코>턱>이마>볼 순으로 나타났다. 1, 3등급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2등급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피부 부위별 수분도 조사결과는 눈 밑>이마>턱>볼 순으로 나타났다. 3. 성인 여성의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 및 여드름 등급에 따른 혈중 호르몬 농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남성 호르몬 평균 농도를 보면 Testosterone은 0.5975ng/ml로 기준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준치 안에서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드름 등급에 따라서는 1등급에서 0.6912n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등급에서 0.5337n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HT는 111.437pg/ml로 기준치 안에 포함되어 정상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드름 등급에 따라서는 1등급에서 114.6375p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 109.3375p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cne, which is the most common disease in the field of dermatology, starts to appear before or after adolescence and then, it is continued to the period of adults. It is a pilosebaceous chronic inflammable disease(Han, Deok-Yoon 2002). Acn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lower of adolescence, doesn't appear during adolescence only. It is misunderstood that it is a disease of teenagers' only, but an acne sometimes continues to appear in the ages of 20s-30s. In addition, most of women start to have makeup when they are in 20s so if wrong cosmetics are continuously used, adult acnes sometimes appear.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0). It is known that increase in the secretion of sebaceous glands is closely related with a male hormone, androgen(Sansone G & Reisner 1971) and it is the decisive factor of appearance of acnes (Lucky A 1995), whose significance has been proved through the domestic researches. The insistence that a male hormone is a cause for the acnes is based on that: in case a male hormone is administered to the kids who are before adolescence, acnes appear; during adolescence when the value of male hormones in the bloods rapidly increases, acnes appear; the appearance of acnes is worsened by administration of male hormones; and male hormones stimulate secretion of sebaceous gland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ditions of acnes, targeting 32 female adults and classified the conditions into 4 grades, 8 people for each grade. then, it examined their health, eating habits of meals and snack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cnes, the status of acne care, and knowledge of the acnes. In order to study the main causes for the grade of acn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evel of sebum, moisture content of the facial skin, together with the concentration of male hormones in the bloods, Testosterone and Dihydrotestosterone(DHT). Thinking that the grade of the acnes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bum,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the concentration of male hormones(Testosterone, DHT) in the bloods, the life habits, and the type of acne care, this paper intended to investigate these causes from various viewpoints. This paper examined whether the level of sebum,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and the concentration of male hormon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ade of the acnes, and through this examination, it tried to providefundamental information for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the grade of acnes and for operation of skin care programs. 1.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dults, their life habits, health, eating habits, the status of acne care, and knowledge of the acnes showed the followings 96.9% of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ingles 68.9% were employed; 65.6% enjoyed drinking; and 56.5% had high stress; 84.4% of them had irregular eating habits; 93.7% often had meals out of home; 71.9% didn't care about intake of fibers 65.7% of them preferred pork and chicken; 87.5% had fruit over 1 or 2 times a week; 65.6% had carbohydrates as main meal such as rice, bread, and cookies; 75% had acnes first before they were 19 years old 65.6% had pimples for 10-15 years; 44.2% of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ir brothers and sisters had acnes too; 23.1% replied that their mothers had acnes; and the participants whose fathers had acnes were 9.5%. In relation to the type of skin care, 87.5% washed their faces twice a day; 41.5% used a washable cleaner; 27.7% used an oily cleaner; 40.6% used a skin clinic to cure the acnes and 59.4% wanted to go to a skin clinic to cure the acnes. In general, they showed high reliability of skin clinic centers. 87.5% used a sun-block cream and 42.9% used it only in summer.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the acnes, over 60% of the participants gave the correct answers to 8 questions out of total 10, which means that their knowledge of the acnes is quite high. Out of the total 7 questions regarding the causes for the acnes, over 70% knew the correct answers to 5 questions. However, regarding the causes for worsening the conditions of the acnes, 84% didn't give a correct answer to any of the total 3 questions. 2. Regarding the level of sebum, moisture of the epidermis of the facial skin based on the grade of the acnes, it was found that: the nose had the most oil content, which was followed by the chin, and then, the cheeks; The level of sebum was quite high in Grade Ⅰ and Grade Ⅱ, and it was lowest in Grade Ⅱ; the eye bottoms had the level of moisture most, which was followed by the brow, the chin, and then, the cheeks. 3.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ale hormones in the blood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estosterone of the participants was 0.5975ng/ml. It comes under the standard, but it is quite high. Grade Ⅰ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0.6912ng/ml while Grade Ⅳ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0.5337ng/m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DHT was 111.437pg/ml. It comes under the standard and it is normal. Grade Ⅰ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14.6375pg/ml while Grade Ⅲ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109.3375pg/ml.

      • 사상체질과 안면피부의 유 수분 상태와의 관련성

        김경란 광주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00575

        최근 사상체질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어 건강, 피부, 체형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새롭게 접근되고 있다. 또한 피부 관리 현장에서도, 사상체질이나 오행배속에 따른 피부특성을 분류하고 있으며, 그에 적합한 피부 관리 방법을 응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령과 체질에 따른 안면피부와 유 ․ 수분유형, 피부문제, 피부상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체질에 따른 피부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현장에서 피부분석을 실시하는데 체질요인 판정기준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거주하는 20대 및 40대 여성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도구와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안면피부(顔面皮膚)의 유 ․ 수분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측정, t-test, x²-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안면부위별 수분과 유분측정값은 20대 연령군이 턱과 볼 부위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분 측정값은 두 연령군 모두 턱, 이마, 볼 순으로 나타났다. 자각하는 유 ․ 수분 유형은 20대 연령군에서 유분충분과 수분부족, 40대 연령군은 유분부족과 수분보통으로 인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각하는 유분유형과 객관적 측정에 의한 유분 값은 일치되었다. 피부상태는 20대 연령군이 40대 연령군에 비해 민감도, 피부 결, 모공의 상태가 좋지 않다고 호소하였고, 피부문제는 20대 연령군에서 여드름과 알레르기를 40대 연령군에서는 주름을 호소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체질과 안면 세 부위의 유분값은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값은 태음인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체질과 자각하는 유 ․ 수분유형은 태음인의 경우 수분충분과 유분보통, 소양인은 유 ․ 수분 보통, 소음인은 유분충분과 수분보통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보여 객관적 측정값과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체질에 따른 피부상태는 소양인이 피부조직이 얇고, 민감하며, 안색은 좋은 것으로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태음인은 피부 결이 거침을, 소음인은 모공이 넓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문제는 태음인이 여드름, 색조침착, 알레르기를 호소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고, 소양인은 모세혈관 확장, 주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체질에 따른 피부 측정값과 자각하는 피부유형이 일치된 결과를 보여 체질유형별 안면피부의 유 ․ 수분 상태를 좀 더 객관화된 자료로 제시할 수 있는데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 ․ 서양적 측면에서 피부유형을 분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항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여대생의 자각하는 유·수분 정도에 따른 피부상태 분석

        이미경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67791

        Skin moisture and skin oil are two of the major factors to affect the functionality of the skin, 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kin depend on the amount of moisture and oil. Besides, people's choice of cosmetics and skin care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own awareness of the amount of skin moisture and oi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bjective aware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state of the moisture and oil of their facial skin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efficient skin care programs and quality cosmetics. It's specifically meant to check the skin cond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each part of the face using a non-invasive measurement metho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eir subjective state of skin moisture and oil to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female students at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subjective state of skin moisture and oil from November 26 to December 7, 2012. And a non-invasive method was used to test their moisture, oil, pH, melanin and erythema for each part of the facial skin. The answer sheets from 218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9.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subjective state of moisture and oil, they got 7.60±3.07 in the state of moisture, which indicated they found their skin to be oily enough. They got 6.86±3.65 in the state of moisture, which implied that they found their skin to lack moisture.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mount of oil and the measured value of i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orehead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10%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regard about eye rims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as well.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mount of oil and the measured value of moist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hin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10% level of significance.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mount of oil and the measured value of melani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orehead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Third,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mount of moisture and the measured value of melani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hin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ubjective awareness of the amount of their facial skin moisture and oil with the measured values of the two,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ir self-rated amount of skin oil and the measured value of it,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mount of skin moisture. It was assumed that subjective awareness of skin moisture would be affected by the amount of skin moistur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moisture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awareness. In other words, they found their skin to lack moisture or considered their lack of moisture to be above average, though there were no actual differences in content of water.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at and the other measured values of skin condition. Accordingly, it seems that subjective awareness of moisture might be under the large influence of other factors than the amount of skin moisture,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at. To ensure the right skin care and the right choice of cosmetics, it's require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skin condition using a scientific and accurate non-invasive method instead of merely relying on one's own subjective judgment. This will be one of sure ways to lower the side effects of improper skin care or of the wrong choice of cosmetics. Keywords: the state of moisture and oil, each part of the face, skin condition. 건강한 피부의 수분량과 유분량은 피부의 정상적 기능에 있어서 중요하며, 함유량에 따라 생리적 특성이 달라진다. 또한 피부의 수분량과 유분량을 자각하는 것은 피부 화장품 선택 및 피부관리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자각하는 안면 유·수분 상태를 파악하고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안면 부위별 유분, 수분, pH, 멜라닌, 홍반의 피부상태를 조사하여 자각하는 유·수분 상태와 측정값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 및 화장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재학 중인 여대생으로 2012년 11월 26일부터 12월 7일까지 자각하는 유·수분 상태를 설문조사하였으며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안면 피부의 부위별 유분, 수분, pH, 멜라닌, 홍반을 측정하여 218부을 최종분석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각하는 유·수분 정도에 따른 유분 상태는 7.60±3.07, 유분 충분으로 자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상태는 6.83±3.65, 수분 부족으로 자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각하는 유분 정도에 따른 유분 측정값은 두 집단 간의 이마 부위에서는 10%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눈가 부위에서도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각하는 유분 정도에 따른 수분 측정값은 두 집단 간의 턱 부위에서 10%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각하는 유분 정도에 따른 멜라닌 측정값은 두 집단 간의 이마 부위에서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자각하는 수분 정도에 따른 멜라닌 측정값은 두 집단 간의 턱 부위에서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여대생의 안면 피부의 자각하는 유·수분을 피부상태 측정 값과 비교한 결과 유분량과 영향이 있었으나, 수분을 자각하는 것은 피부상태 측정결과 수분량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각하는 수분의 경우 피부의 수분량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자각하는 정도에 따른 수분의양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수분의 함유량은 차이가 있지 않음에도 수분 부족이나 보통 이상으로 자각하고 있었으며 다른 피부 상태 측정값과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수분을 자각하는 것은 피부의 수분량 외에 다른 요인이 많이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올바른 피부 관리와 화장품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자각하는 것만으로 피부 상태를 파악할 것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정확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피부 상태를 파악하여야 이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유·수분 상태, 안면 부위별, 피부상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