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학교 중학부 학생과의 통합 무용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일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통합교육의 관심이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 증진으로 옮겨가면서 장애학생과 통합활동을 한 경험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과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의 연구들이 계속되어 왔다. 특히 학령기 중 청소년기의 통합경험은 장애학생이 졸업 후 지역사회에서 통합하여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사회적 지원망을 형성하도록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회성 인식을 제공한다.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지역사회 안에서 통합·교류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실질적인 통합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의 통합경험이 없는 비장애학생이 인근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과 비언어적인 의사소통만으로도 가능한 통합 무용활동을 실행한 경험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B중학교 91명의 학생과 S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18명의 중학부 학생이다. 집단 구성은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과 통합 무용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30명과 일반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Ⅰ 31명, 특수학교에서 근로 자원봉사만 실시한 통제집단Ⅱ 30명이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처치는 일반 중학교 동아리활동 시간과 특수학교의 수업시간이 일치하는 격주 2시간으로 하여 1회기 40분씩 2회 연속으로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 통제Ⅰ, Ⅱ집단에게 사회적 인식척도를 평정하게 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장애학생과의 무용 통합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일반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며 무용 통합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Ⅰ과 특수학교에서 근로 자원봉사활동에만 참여한 통제집단Ⅱ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학생의 각 요인별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Ⅰ, 통제집단Ⅱ 간에 요인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요인 1(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요인 5(인간의 차이점에 대한 수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요인 2(대인관계에서의 원칙 수정), 요인 3(특수학교 학생으로 인한 어려움 인식), 요인 4(특수학교 학생과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과 통합 무용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비언어적인 방법을 포함한 상호작용을 경험함에 따라 사회적 인식을 증진시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 반면, 특수학교에 방문하여 근로 자원봉사만을 실시한 집단은 장애학생이 생활하는 공간에 함께 있었음에도 사회적 인식에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을 통합함에 있어 물리적인 통합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요인별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요인 1(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요인 5(인간의 차이점에 대한 수용)에서의 사전·사후검사 간 유의한 차이는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인 인성교육과 도덕교육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 향상과 인성교육 차원에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 협력 하에 지역사회에서의 통합의 기회를 늘리는 통합 프로그램 특히, 특수학교의 교육과정과 연관되어 있고 특수학교 교사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무용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며, 또한 통합경험이 부족한 특수학교 학생,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학교 학생의 통합 프로그램의 시도와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With the growing trend toward inclusion, attention has turn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given for the trend toward inclusive education is the social benefit for both groups of students.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xperience of an inclusive education, especially in adolescence, promotes non-disabled students' positive social perception and their building of social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with eight, 40-minute dancing sessions requiring being implemented in an inclusiv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inclusive dance program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ocial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1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attend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18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at a special school. The 91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ance activitie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 special school (n=30), the first control group of students stayed at their middle school with absolutely no contact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n=31), and the second control group of those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t the special school without direct contact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n=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social cognition after the inclusive dance activity. 2. The changes in Factor 1(positive self-image) and Factor 5(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others'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the mere physic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y not yield more social interaction, and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program in inclusive education is a inclusive dance program that increases soci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More work should be done to develop such program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대처경험

        이은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였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는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이다. 연구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면담 내용을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12개의 범주, 37개의 하위범주, 125개의 개념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가운데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은 6개의 범주, 18개의 하위범주, 59개의 개념으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대처경험은 6개의 범주, 19개의 하위범주, 66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범주로는 ‘특수학교 상담 지침이 없고, 장애학생을 상담할 준비가 안 됨’, ‘초임 교사와 같은 마음으로 고군분투를 시작함’, ‘특수학교 Wee 클래스 내담자를 알아가기 바쁨’, ‘장애학생과 소통하기 어려워 난처하거나 답답하고 힘듦’, ‘일부 비협조적인 내담자 관련인으로 인해 한계를 느낌’,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부정적 감정이 깊어짐’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을 대처하는 경험에 대한 범주로는 ‘나의 상담과 상담자로서 나를 돌아봄’,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로서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강화함’,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경계선을 설정하고 지원체계를 확대함’, ‘장애학생의 요구와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함’, ‘대처경험을 통해 장애학생의 변화와 자신의 성장을 발견함’, ‘특수학교 Wee클래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에 배치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대처경험의 전반적인 과정, 이러한 어려움을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거나 방해가 된 요소, 대처경험을 통한 전문상담교사의 변화 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장애학생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특수학교 화재안전 실효성 확보방안 연구 : 소방서 화재통보 방식 개선과 긴급 대피공간을 중심으로

        손영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대상인 특수학교는 교육연구시설로 분류되고 있으며, 2018년 기준으로 175개의 특수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10년간 교육연구시설과 특수학교에서 발생한 화재를 살펴보면 평균 16건으로 전체 학교에서 발생한 화재의 0.72%로 화재발생 빈도는 적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안전취약계층이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 및 요양병원의 화재시에 대규모 인명피해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2018년 1월 밀양세종병원의 화재로 112명의 부상자와 47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총 159명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특수학교에서의 화재 발생빈도는 적으나 안전취약계층인 장애학생들이 있으며, 특히 전국 175개 특수학교에서 37개의 기숙사가 운영되고 있다. 특수학교 기숙사 화재시 야간에 상주하는 관리자 인원의 한계와 장애인의 특성상 능동적이고 자발적이지 못해 초기 대피 및 피난 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심각한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에 기숙사가 있는 경우에는 화재시 화재신호를 자동으로 관할소방서에 송신하도록 하여 소방대가 화재현장에 신속히 도착하도록 하여야 한다. 현행 소방법의 방염대상 특정소방대상물 중 교육연구시설은 합숙소가 유일하나, 특수학교 기숙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커튼류(블라인드 포함), 카펫, 벽지, 소파·의자 등도 방염대상으로 지정하여 실내 장식물 등에 대해 방염성능을 강화시켜야 한다. 긴급 대피공간은 기존의 특수학교에도 건축물 특성과 구조를 고려하여 피난용도의 경사로 또는 층별 공용 발코니의 설치를 소급적용하여야 한다. 3층 건물의 화재시 피난은 옥상과 1층으로 가능하겠으나 2층에는 긴급 대피공간을 설치하여 재실자가 신속한 피난을 실시하도록 하고, 이때 긴급 대피공간은 구조 장비와 구조 차량 등의 접근이 가능하여야 한다. 기존 건물 중 긴급 대피공간이 있는 경우 건축법령과 소방법령을 근거하여 출입문은 화재 등 비상시 자동으로 개방되는 KFI인정 비상문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Special schools subject to this study are classified as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and 175 special schools are operating as of 2018. In the past 10 years from 2009 to 2018, there have been an average of 16 fires at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and special schools, which account for 0.72 percent of all fires at schools, with less frequent fires. However, there were massive casualties in the fire at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and nursing hospitals, which have a vulnerable class. Typically, a fire at Miryang Sejong Hospital in January 2018 left 112 people injured and 47 dead, resulting in a total of 159 casualties. In special schools, there a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less frequent but less vulnerable to fire, and in particular, 37 dormitories are operated at 175 special schools nationwid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night-time resident managers in the event of a fire in a special school dormitory and the nature of the disabled, the initial evacuation and evacuation capacity is significantly insufficient, which can result in serious casualties. Therefore, if there is a dormitory in a special school, fire signals should be automatically sent to the relevant fire station in case of fire, so that the fire brigade can arrive at the fire site quickly. Education research facilities are the only ones subject to fire prevention under the current Fire Protection Act, but curtains (including blinds), carpets, wallpaper, sofas and chairs used in special school dormitories should also be designated as fire protection targets to enhance the anti-inflammatory performance of indoor ornaments. Emergency evacuation areas should be applied retroactively to existing special schoo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buildings and the installation of public balconies by floor or slope for evacuation purposes. Evacuation in the event of fire in a three-story building may be possible on the rooftop and the first floor, but emergency evacuation areas should be installed on the second floor to allow the retiree to quickly evacuate, and emergency evacuation areas should be accessible to rescue equipment and rescue vehicles. In the event that there is an emergency evacuation area in the existing building, the hatch shall be installed and managed based on the Building Act and the Fire Protection Act, which are automatically opened in case of fire or other emergency.

      • 서울특별시 공립 특수학교의 교육 여건 분석 연구 : 정신적 장애 영역을 중심으로

        임찬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수교육은 특수학교나 특수학급과 같은 장소적 개념에 앞서 일반교육의 모든 조건에 더하여 장애로 인한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를 스스로 채워갈 수 있도록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1977년「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시행된 이래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제도적으로 많은 발전을 보였고, 특수교육에 대한 수요도 적극성을 보이면서 그 대상이 다양화되고 양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특수교육을 책임져야 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극히 일부분에 한정된 역할에 머물러 있을 뿐, 대부분의 특수교육은 영세한 사립학교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시대 흐름에 맞추어 특수교육에 대한 공공기관의 책임 있는 역할과 개선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설립한 공립 특수학교는 서울정진학교를 시작으로 1990년대 중반에 계획되어 약 7년간의 기간을 거쳐 2000년대 초에 대부분 마무리되었고, 이후 10년이 지난 현재까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유휴교실을 활용한 특수학급 증설을 특수교육기관 수용계획의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 수의 지속적인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는 오히려 완만한 증가를 유지하고 있고, 통합교육의 취지에 밀려 특수학교는 교육-직업-보호의 측면들을 모두 간직한 채 분리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위협받고 있다. 공립 특수학교의 교육여건을 조사한 결과, 물리적인 교육환경은 최초 설립 당시부터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대부분 교지면적이 기준에 미달하였고 체육장을 확보한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2시간 이상의 장거리 통학에 따른 통학 버스 내 잦은 사고와 골목길 진입에 따른 대형버스 운행의 어려움이 개선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학생의 증가를 학생수용시설이 따라가지 못해 급당 수용인원이 법정 수용지표를 초과하는 경우가 상급학교로 갈수록 증가하고 초·중등교육과정과는 별개로 설치된 직업준비를 위한 전공과 과정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반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과정의 경우 학생 수가 대부분 급당정원에 미달하는 등 특수학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학교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 대상자 배치 기준과 통학구역을 명확히 하는 한편 통합교육의 취지를 살려 학습능력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유치원이나 초등과정의 경우 일반 학교 내 병설하고, 중·고등학교 이상의 과정을 전공과와 연계하여 특수학교에서 운영하는 등 좀 더 적극적인 특수교육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아울러 학생들의 통합교육에 앞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는 통합적 교육지도 활동이 시도되어야 하며, 최근 계속되는 도시정비사업과 더불어 우수한 교육환경 확보를 위한 계획적인 노력과 함께, 특수교육도 그 가운데 자연스럽게 교육여건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일반학교에서 특수학교로의 전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중국의 청각장애학생을 중심으로

        양초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학교로 전학을 한 7명의 중국 중·고등학교 청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 생활과 특수학교에서의 학교생활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 청각장애학생이 경험한 두 환경의 다른 점을 비교해 보며, 청각장애학생이 생각하는 즐거운 학교생활을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이며, 통합교육 대한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의 일반학교에서의 학교생활 경험으로 청각장애학생들은 일반학교에서 학습활동을 이어가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한 후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적 지원 서비스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청인학생 중심의 수업활동이 이루어지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청각장애학생들이 일반학교에서의 교우관계 역시 학생들의 전학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학급의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야 학교생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청각장애학생의 특수학교에서의 학교생활 경험으로 일반학교와 비교해 보면 크게 친구들과의 관계, 교사들과의 관계가 확연하게 차이가 났다. 그들은 친구와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관계를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었다. 특수학교에서의 친구 관계는 어떤 상황에서도 나를 도와주는 친절한 학우였고, 교사들도 인내심을 갖고 나를 배려해 주는 친절한 교사로 표현되었다. 또한 청각장애학생들은 수업시간을 무척 즐거워했고,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있었다. 그리고 특수학교에 다니는 현재가 행복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청각장애학생이 생각하는 즐거운 학교생활에는 어떤 요인이 필요한지에 대한 내용으로 교사와 긍정적 관계 형성,친구와 긍정적 관계,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경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청각장애학생들은 늘 교사와 호흡하기를 원했고, 그러한 환경에서 공부하고 즐거움을 느끼게 되면 학습적인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좋은 교우관계를 통해 청각장애학생들은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청각장애학생과 청인학생 간의 교류를 촉진하고 상호 이해 및 여유 있는 분위기 속에서 친분을 쌓을 수 있다면 즐거운 학교생활을 하기에 좋은 조건임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통합교육에 대한 견해로는 대부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취사선택해야 한다고 했으며, 학습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일반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 더 많은 지식을 배울 수 있고, 다양한 친구들과 교우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했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수업 내용을 듣는데 어려움이 있고, 수업 참여하는데 한계가 있어 특수학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seven hearing-impair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who transferred from the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of general schools to the special learning environment of special schools,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nvironments experienced by hearing-impaired studen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earing-impaired students thought were necessary for a pleasant school life and their opinions about inclusive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school life at general schools, it is very difficult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o continue their learning activities at general schools. This is particularly because it is not easy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under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class activities are centered on normally hearing students when special educational support service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are hardly provided after their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s. In addition, hearing-impaired students' friendships at general schools were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d students’ intentions to transfer, which indicated that the students could have a smooth school life only when they got along well with their classmates. Second, a comparison of hearing-impaired students’ experiences at special and general schools exhibited clear differenc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They were able to have an emotionally stable school life through positive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They described their friends at special schools as kind classmates who helped them in any situations, and teachers as kind teachers who cared for them with patience. In addition, hearing-impaired students highly enjoyed their class hours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Moreover, they were content with their school life enough to express that they were happy with their present life of going to a special school. Third, the factors that hearing-impaired students thought were necessary for an enjoyable school life included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as well as the alleviation of academic stress. Hearing-impaired students always wanted to interact with teachers, which suggested that their learning and feeling a pleasure in such an environment were likely to generate positive effects even in academic aspects. In addition, hearing-impaired students could gain confidence through good friendships, and therefore, if interactions between hearing-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students are facilitated and they can build friendships in a relaxed atmosphere of mutual understanding, it can become good conditions for a pleasant school life. In terms of inclusive education,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should make their own decisions on it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In consideration of academic aspects, they stated that they could learn more knowledge and build friendships with various friends at general schools. However, they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ir lessons due to practical issues and had limitations in class participation, and thus preferred special schools.

      • 특수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와 조직 몰입,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최희경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특수 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와 조직 몰입, 교사 효능 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를 검증하고 특수 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직무 스트레스 조절 방법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래서 특수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직 몰입과 교사 효능 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설문 조사에서 부족한 특수 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원인과 감소 방안을 보완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제시하였다. 설문 조사에서 예비 조사는 50 부를 분석하였고, 본 조사에서 337 부를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은 대상자를 확보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특수 학교 교사 5명을 1회 또는 2회에 걸쳐 대면 과 비 대면 으로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 전사,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복 적 비교 분석 법을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는 조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특수 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는 교사 효능 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특수 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는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특수 학교 교사의 조직 몰입은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 시킨다. 다섯째, 특수 학교 교사의 교사 효능 감은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특수 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와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직 몰입을 통해서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 되었다. 일곱째, 특수 학교 교사의 일의 의미와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 감은 유의한 매개 효과가 없었다. 심층 면담을 통해서 얻은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 학교 교사는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원인으로 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으로 인한 행정 관계자 또는 학 부모님과 갈등이나 대립, 보호 장치 제도 미흡, 업무 과부하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 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감소 방안으로 부모 교육과 대체 인력 충원, 교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과도한 업무 분산, 전문적인 심리상담프로그램의 도입 등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제시한 변인들 중 특수 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변수는 조직 몰입이라는 점과 심층 면담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과 방안을 밝힐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연구이다.

      •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학부모들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류동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학부모들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학부모 8명을 선정하였고,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자녀의 교육기관 선택 시 주된 상담 대상과 주요 결정요인,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의 장·단점, 통합교육과 관련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인식 등으로 구성하였다. 학부모 개별 면담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학생 학부모가 자녀의 교육기관 선택과 관련하여 주로 상담한 대상은 장애자녀를 가진 동료 부모, 친·인척, 특수교육 관련 기관, 특수교육 전문가 등이다. 그러나 일부 학부모는 자녀 장애의 중증화로 인해 특별한 상담 과정 없이 특수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당연하게 인식하였다. 학부모가 자녀의 특수학교 진학을 선택하는 것에 있어서 가장 주요하게 작용한 요인은 자녀가 가진 장애의 중도·중복화이다. 둘째, 장애학생 학부모가 생각하는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일반학교의 장점은 사회성의 향상, 관찰학습, 또래 모방, 비장애학생들과 어울림 등 교육적인 부분과 학교 접근의 용이성과 같은 환경적인 부분이 있다. 일반학교의 단점은 일반교사의 전문성 결여, 문제행동 중재의 어려움,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 심리 스트레스에 대한 사항을 지적하였다. 반면 특수학교의 장점은 학부모 및 장애자녀가 가지는 심리적인 안정감과 특수학교가 제공하는 전문적인 교육 서비스라고 하였다. 특수학교의 단점은 통학의 거리가 멀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과 다른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자녀가 모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장애학생 학부모는 특수학교의 단점에 대해 크게 생각해본 적이 없으며, 특수학교의 전문적인 교육 환경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인식은 단순히 물리적인 환경의 통합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의 통합까지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사회적인 통합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점을 다양하게 비판하였다. 학부모가 생각하는 통합교육의 문제점은 일반교사와 비장애학생들이 가지는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 일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수의 부족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참여한 학부모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증원과 전일제 특수학급 운영의 보편화를 요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