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습 중심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현장 실습을 중심으로

        박정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기업에서 중국인 인재 취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대학교에서 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목적을 둘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과 중국의 급격한 경제 협력 증가를 고려했을 때, 한국 기업에 취업하고자 하는 4년제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직업 목적 수업을 진행해왔지만, 실제성이 있는 교육방안은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이러한 현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에 취업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고학년 학습자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현재 중국 사회가 요구하는 복합형 인재를 배양시키기 위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가 학부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사회에서 실제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 방안 개발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론과 실습’을 모두 지향하는 방향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여 타당성과 실제성을 고려한 현장 실습 중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고자 한다. 以中國四年制大學商務韓語學習者爲對象, 而進行的商務韓語教育是爲幫助高級學習者提高企業現場的職業技能和溝通能力。中國社會主張,應考慮商務韓語學習者的就業問題,營造出產學合作環境,活躍韓語教育領域。但實際上, 很少有研究將校內外連接起來。目前中國商務韓語教育主要以傳統授課方式進行, 因此, 很多學習者的實際業務執行能力和溝通能力存在侷限性。因此, 大部分學習者畢業後很難講所學的專業知識應用到企業現場。本研究爲了解決這些問題, 以及考慮到商務韓語學習者的實際性, 採用了"理論+實習"於一體的Capstone設計方法。因此, 本研究以中國四年制大學的商務韓語學習者爲對象, 利用Capstone設計的學習方法, 設計了以實習爲中心的課程。 首先,根據調查中國4年制大學商務韓語教育的現狀,发现了以下问题点。問題點如下,"缺少現場實習、不相應的教學目的、不相應的教學方法、缺少教學大綱"等問題。因此本文爲了解決這些問題, 採用了目前醫學或法學等多種其他學科領域具有教育效果的Capstone設計。因此,在2.2.中,爲了將Capstone設計有效地應用到商務韓語教育, 針對不同學者Capstone設計的意義和效果進行了探討。最終, 本研究採用柳永浩(2008)意義和效果。定義爲培養符合產業現場需求的創意性綜合設計教育項目。另外,採用強調現場實習的韓妍熙(2014)的實務型Capstone設計模型進行修改和補充,使其符合本研究的目的。第三章對中國四年制大學韓國語系三年級和四年級學生進行了需求調查以及教師深度訪談。從實施的問卷內容來看, 由 "學習者基礎信息、對現有職業目的商務韓語授課的評價、利用Capstone設計的商務教育的認識、利用Capstone設計的商務韓語教育的要求" 等4個領域構成。本研究教師訪談提問內容由八個問題組成。 學習者的問卷調查結果如下。高級學習者實際希望在韓國企業就業, 所有學習者不分彼此, 對大學畢業後就業的關注度最高。因此, 可以推測出商務韓語的重要性非常高。因爲目前中國商務韓語實習教育考慮到實用性的實習課程不多, 因此學習者對綜合"理論+實習"的課程非常關注。以下是從教師採訪結果來看, 對學習者來說, 連接學校和現場的課程迫在眉睫。本文,第4章以第2章和第3章討論的內容爲基礎,提出了利用Capstone設計的教學大綱設計原理和模型。另外, 在採用Capstone設計的多種模型中,選定了以現場爲中心的實務型Capstone設計模型, 並進行了修改。另外, 在金重燮(2017)以外的 "國際通用韓語標準教育課程" 中, 選擇了適合商務韓語學習者的商務韓語口語目標和內容。 本研究修改的實務型Capstone設計模型是由 "Capstone課程介紹、主題公告、課題計劃書制定、企業會議、提案書制定、問題解決、最終發表、評價" 等8個階段構成的模型。該模型以企業現場的實際問題爲課題, 由學習者主動解決的課題的15周教學大綱以前半部分(第1周-第7周)和後半部分(第8周-15周)組成。另外, 本研究考慮到校內外授課情況, 在去企業現場的前一階段, 讓學生提前制定課題計劃書, 提高對相關課題的理解度, 並與組員制定課題計劃書, 使學習者對課題有責任感。在去企業現場後, 通過 "企業會議" 明確核心課題之後, 學習者之後學到的專業知識爲基礎, 設計出了創意性想法。回到企業現場後, 階段按小組執行項目, 召開了最終發表大會。另外, 本研究在去企業現場之前、去企業現場後、回到企業現場後各階段中選定了其中一個主題作爲示範, 並提出了利用Capstone設計的授課指導案和商務韓語學習者在實際授課階段可以使用的Capstone設計課題計劃書、執行日誌、指導意見書、評價表。最後, 爲了確認以現場實習爲中心的教學大綱在實際教育現場使用的可能性及適合性, 對3名中國專業教師進行了採訪, 並得到了評價。 本研究意義可總結如下。第一,本文設計了以實習爲中心的頂點課程,讓學習者統整,分析,應用並深化其在學科領域之所學,使學習能夠穩固完成得整合課程。這也是大學生從教育到職業的轉折點。第二,本文根據學生調查問卷結果以及教師採訪結果所設計的教學大綱,滿足了學習者和教師的需求。第三,本研究考慮到校內外的授課情況 在去現場企業之前, 去現場企業後, 從企業回來後的各階段的課程中提供了可使用的學習資料,使負責這門課的教師減輕了負擔。 雖然本研究具有以上教育意義,但是本研究提出的利用頂點設計的教學大綱未能驗證實際授課得實際性,因此教學大綱存在一定的侷限性。另外,正如對中國四年制韓語系商務教師的採訪結果所表明的那樣,如何邀請現場指導專家到課程中,且是實際能否邀請成功等,是今後需要考慮的問題。

      •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윤상식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재양성의 중추적 책무를 가지고 있는 대학은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창의와 융합이 중요해지면서 산업현장의 실무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 등을 갖춘 창의·융합형 실무 인재 양성이 국가적으로 지향하는 인재양성의 방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링크플러스ㆍLINC+)등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 간의 산학협력기반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산학협력기반의 캡스톤디자인은 교육환경 변화에 적합한 방안으로 주목받으며 각 대학에서 다양하게 실행되고 있다. 캡스톤디자인은 학생이 산업현장에서 발행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인 종합설계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산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 진행과 스스로 결과물을 제작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산업현장이 요구하는 현장실무능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설계한 교육과정이다. 특히, 디자인분야는 인간의 총체적인 생활환경과 관련되어 있고 신기술의 접목을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와 학문 간의 융·복합이 매우 필요한 학문분야이므로 창의·융합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도가 매우 필요하다. 한편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교육 운영 사례를 분석한 결과, 산학연계의 중요성 및 가치에 대한 여러 긍정적인 부분이 보고되고 있지만, 산학협력에 대한 실효성과 진행 방법 등에 있어서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한 전공의 학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과 산업체 간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 운영 그리고 개선방안 및 시사점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는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운영 모습은 어떠한가? 셋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운영 결과는 어떠한가? 넷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운영을 통해 도출된 개선방안 및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설계를 위한 선행연구 및 사례조사,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의 효과 분석을 위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은 디자인씽킹 5단계를 기반으로 공감, 정의, 발상, 프로토타입, 적용 단계로 진행하였고, 총 15차시로 구성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산업디자인공학전공과 화장품공학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21명이며, 다학제적 팀구성으로 총7팀으로 구성하였다. 교과 운영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교과 운영 완료 후에는 산학협력기반 융합 교과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조사하고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을 통해 도출된 개선방안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체계, 교수자의 역할, 참여 기업과의 연계 정도 등의 요인들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팀원들 간에 공동체의식을 형성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팀 내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한 경우, 이 과정을 통해 오히려 커뮤니케이션능력이 함양된 긍정적 경험을 하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끝까지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부정적 경험으로 남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교수자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서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관련한 강의를 담당 전공 교수들이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러나 강의의 목적이 비전공 학생의 기초지식 습득을 위함이 아니라 전공 학생에게 기초지식을 리뷰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서로의 전공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하고 있을 때 의사소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향후 동일한 과정을 운영할 때에는 비전공 학생들이 기초지식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강의의 내용과 수준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 수업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기는 하나, 학기 중에 실시되는 것에 대한 시간적·심적 부담감을 토로하였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 수업의 시수를 늘리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 따로 만나기 위해 시간을 조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교수자의 입장에서도 팀별 진행상황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이고 수업의 질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기반 융합 캡스톤디자인의 설계 및 운영을 통해 효과 및 향후 운영방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전공의 참여와 융합을 통해 교과를 운영하고,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진단을 설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 국제표준에 준거한 캡스톤 디자인교수모형 개발 : 공학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순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표준 ISO 10015:1999인 교육훈련 지침에 준거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의 핵심역량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을 기초로 국제표준 ISO 10015:1999의 품질경영-교육훈련 지침에 준거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최종안을 개발한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 및 사례연구,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 대상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캡스톤 디자인 핵심역량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의 초안을 구안한다. 캡스톤 디자인 핵심역량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의 초안에 대한 연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개별면담, Likert 5점 척도와 CVI평가를 실시하였고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기초로 국제표준에 준거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여 국제표준에 준거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절차에 따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 핵심역량은 모두 9가지로 지식, 기술과 태도의 범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지식범주는 자기주도, 의사소통, 팀워크 대인관계역량, 기술범주는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설계 및 개발, 통찰력 태도범주는 실행력, 윤리관, 앙트러프러너십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캡스톤 디자인의 교수모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전, 본 수업, 사후시기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캡스톤 디자인 교수절차를 1단계 캡스톤 디자인 이해 강좌수강, 2단계 문제인식하기, 3단계 팀빌딩하기, 4단계 문제원인 규명하기, 5단계 문제구조화하기, 6단계 해결안 도출하기, 7단계 최적의 해결안 선정하기, 8단계 산업체 조력 및 중간평가 받기, 9단계 프로토타입 설계 및 제작하기, 10단계 피드백받기, 11단계 결과물 시연 및 평가받기, 12단계 성과관리 및 모니터링하기로 구성되었다. 또한 각 단계별로 지원요소를 학교와 산업체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셋째, 국제표준 ISO 10015:1999인 교육훈련 지침에 준거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을 5단계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1단계는 대학과 산업체간의 요구인재의 역량의 차이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실행을 통한 학습에 기초한 교수모형 개발을 교육니즈로 정의하였다. 2단계는 교육설계 및 계획단계로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와 모니터링 방안을 수립하였다. 3단계는 교육프로그램 제공으로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의 초안을 바탕으로 12단계로 세분화하여 개발하였으며 각 단계별 Input(투입), Process(절차), Output(결과)를 정의하고 교수자, 학습자, 산업체 대상의 지원요소와 Record(기록물)을 개발하였다. 3단계 교육프로그램 제공은 사전, 본 수업, 사후로 시기를 구분하였고 사전시기는 사전준비하기, 본 수업은 캡스톤 디자인 이해강좌 수강하기→문제인식하기 → 팀빌딩하기 → 문제원인 규명하기 → 문제구조화하기 → 해결안 도출하기 → 최적의 해결안 도출하기 → 래피드 프로토타입 디자인하기 → 프로토타입 개발하기 → 피드백받기 → 결과물 시연 및 평가받기, 사후시기는 성과관리 및 성찰하기로 설계하였다. 4단계는 교육성과 평가단계로 학습자와 학습팀의 지식, 기술, 태도의 향상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발표회, 전후 역량평가 검증방법, 만족도 조사 등을 개발하였다. 5단계 교육프로그램 개선과 모니터링 단계는 각 단계별로 수집된 자료분석, 관찰지 및 컨설팅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점과 부적합사항을 도출할 수 있도록 개선사항 보고서(CQI)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캡스톤 디자인 핵심역량과 교수모형을 국제표준 ISO 10015:1999인 교육훈련 지침에 준거하여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교육운영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에게 지원요소인 도구와 안내지침을 제공하였고 관련 서식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표준화되고 교육현장에 활용도가 높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캡스톤 디자인을 운영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의 메타분석

        곽진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Future industri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manpower demand have changed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The role of universities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capstone design which is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ducation that can solve problems faced in practice and industrial sites from theory-oriented education. The need for research on systematic and effective capstone design has emerg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elements of capstone design curriculum through meta-analysis and synthesized the instructional design elements by major and type of capstone design to suggest factors that instructors should consider when designing capstone cours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key factors reveal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of capstone design research? Second, what are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reveal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of capstone design types?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189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eyword frequency analysis,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e following key elements from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literature: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are based on engineering; capstone design is a team-based project; cooperative learning and creativity are influenced by the curriculum; creativity is related to learners' individual interests; and capstone design enhance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in terms of capstone design elements by major, the importance of team learning with compan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opics for learne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importance of industry linkages and outcomes in arts and humanities, and the importance of diverse experiences and proper evaluation of major knowledge in medicine were found. Third,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for each type of capstone design, the importance of practical linkages with compani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was found in the company-linked type, the importance of practice in a specific social context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type, the importance of learners' initiative in selecting topics and creating an active environment in the creative type, and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individual capabilities are maximized and education on the law in the startup-linked ty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curriculum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ajors. Expanding capstone design to diverse majorsKey words: capstone design, curriculum, instructional design, meta-analysis Capstone design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majors, but it has not been developed and operated in non-engineering majors. Curriculum stud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ajors should be conducted to specifically explore major-specific factors. Second,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type of capstone design. There are four types of capstone designs: corporate, social problem-solving, creative, and entre- preneurship. A verification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instructors'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of each type and to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based on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Third, we need to find ways to support instructors in capstone design.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es are being run by instructors' personal experiences and capabilities, so efforts should be made at the school level to develop strategies to communicate with the corporate and social sectors and form networks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to instructors. Fourth, a system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major and type. A practical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is needed to select various topics.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communicate with potentially relevant companies. Capstone design should serve as a bridge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lifelong learning. 미래 산업발전과 인력수요의 변화는 대학의 교육시스템을 변화시켰고 평생학습사회에서 대학의 역할은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실무와 산업현장이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산학협력교육인 캡스톤 디자인의 요구가 증가하였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캡스톤 디자인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어떠한 요소들이 있는지 검토하고 캡스톤 디자인의 전공 및 유형별 교수설계 요소를 종합하여 교수자들의 교수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드러난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캡스톤 디자인 유형별 토픽모델링 분석으로 드러난 교수설계 요소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국내외 학술논문 189편을 수집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키워드 빈도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 방법을 수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수설계 문헌에서 나타난 핵심 요소로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과 교수설계가 공학의 측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 캡스톤 디자인은 팀이 구성되어 프로젝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협동학습과 창의력은 교육과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 창의력은 학습자 개인의 관심 영역과 관련이 있다는 점, 캡스톤 디자인은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공별 캡스톤 디자인 요소로 이공계열에서는 기업을 연계한 팀학습의 중요성, 인문사회계열에서는 학습자를 위한 주제 선정의 중요성, 예체능계열에서는 산업의 연계와 결과물의 중요성, 의약학계열에서는 전공지식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적절한 평가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요소로 기업연계형에서는 효과적인 교수설계를 위해서 기업과의 실질적인 연계의 중요성, 사회문제 해결형에서는 특정 사회 맥락에서의 실습의 중요성, 창의형은 학습자의 주도적인 주제 선정 및 능동적 환경 조성의 중요성, 창업연계형은 개인의 역량이 최대한 발휘되는 환경 조성과 법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학습자의 전공별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캡스톤 디자인이 다양한 전공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비공학계열에서는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어 오지 않았다. 학습자의 전공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연구를 통해 전공별 요소를 구체적으로 탐색해야 한다. 둘째, 캡스톤 디자인 유형별 교수설계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캡스톤 디자인에는 기업연계형, 사회문제 해결형, 창의형, 창업연계형의 유형이 존재한다. 교수자의 유형별 요소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체계적인 교수설계를 바탕으로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캡스톤 디자인에 대한 교수자의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교수설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교수자의 개인 경험이나 역량에 의해 수업이 운영되고 있어 기업 및 사회 분야와 소통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져 교수자에게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전공 및 유형에 맞는 산학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다양한 주제 선정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산학협력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잠재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기업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이어가야 한다. 캡스톤 디자인은 대학과 산업 간의 다리 역할로서 평생학습 확대에 기여해야 한다.

      • 대학교원의 캡스톤 디자인 교수역량 모델 개발

        김종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교육을 위한 대학교원의 교수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분석과 함께 교원 10명과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여 캡스톤 디자인 교수역량 모델 초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초안을 활용하여 20명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설문을 통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잠정 모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잠정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4년제 대학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담당 교원 17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 교수역량 모델 초안은 5개 역량군, 14개 역량, 46개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둘째, 교수역량 모델 초안을 토대로 구성된 설문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와 캡스톤 디자인 수업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수역량모델을 수정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역량군과 14개 역량, 역량별 정의와 각 역량을 설명하는 총 43개 행동 지표로 구성된 캡스톤 디자인 교수역량 잠정 모델을 확정하였다. 셋째, 도출된 교수역량 잠정 모델의 모형적합도와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대학교원의 캡스톤 디자인 교수역량 모델을 확정하였다. 최종 모델은 두 개 역량으로 구성된 ‘현장 지향 전문성’ 역량군, 세 개 역량으로 구성된 ‘긍정적 교육 마인드’ 역량군, 세 개 역량으로 구성된 ‘과제수행지원 준비’, 네 개 역량으로 구성된 ‘팀 기반 과제수행 촉진’, 2개 역량으로 구성된 ‘평가 및 결과물 활용 코칭’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현장 연계’ 역량, ‘현장 과제 발굴 및 선정 코칭’ 역량, ‘결과물 활용 코칭’ 역량 등은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특징적으로 필요한 교수역량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university-level capstone design faculty. As a first step, following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faculties and 10 students to derive a draft of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capstone design courses. The draft model was then reviewed extensively through two review processes by twenty capstone design teaching experts to finalize the development of a tentative teaching competency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rived tentative model, the survey results of 173 university faculty members currently teaching capstone design cour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raft of capstone design teaching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with five competency groups, 14 competencies, and 46 components. Second, the draft was modified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data and opinions from the survey. As a result, the tentative teaching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consisting of 5 competency groups, 14 competencies with each definition, and a total of 43 behavioral indicators. Third,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university-level capstone design faculty was finalized by verifying the model fit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tentative model. The model was divided into ‘field-oriented professionalism’ group with two competencies, ‘positive educational mindset’ group with three competencies, ‘preparation for project performance support’ group with three competencies, ‘facilitating team-based task performance’ group with four competencies, and ‘evaluation and coaching students using their deliverables’ group with two competencies. This study showed specialized teaching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effectiveness of capstone design courses, such as ‘university-industry linkage’, ‘coaching discovery and selection of the problems’, and ‘coaching students using the deliverables’.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 K대학 사례연구

        도윤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 중인 산학협력 교육 중의 하나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확산이 COVID-19 사태로 인하여 온라인 학기로 진행되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 운영방안을 찾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단일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통제 가능한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4년제 대학교 K대로 선정하였다. 주된 연구자료는 면담자료이며, 면담참여자는 16명의 K대 캡스톤디자인의 행정 및 예산 지원을 하고 있는 행정 직원, 수강 학부생, 지도 교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학기중 캡스톤디자인실습 교과목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인적측면에서는 ‘상호 작용 및 의사소통 의 어려움’ 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 성과 측면에서는 ‘과제 완성도 낮아짐’ ‘예산 집행율 하락’, ‘현장 적용 불가능’이 있었다. 반면 온라인 학기 중 캡스톤디자인이 운영하며 새롭게 발견한 가능성도 있었다. ‘제약에서 벗어난 아이디어 도출’이 가능해졌으며 ‘홈페이지 시스템이 도입되며 비대면 캡스톤디자인 지원’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또한 온라인 강의로 학생들은 ‘복습’이 가능해졌으며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환경 구성’이 가능하여 자신의 역량에 따라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가능성에 미친 맥락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 특성으로 살펴보면 ‘자기주도 학습 태도’ 에 따라 온라인 학기 중 캡스톤디자인은 학생들에게 가능성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실무에 적용되는 과제 기회가 마련’되었다. 조직적 특성으로는 ‘노력하는 교수’ 와 ‘적극적인 행정 지원’으로 온라인 학기 중에도 효과적으로 캡스톤디자인이 운영 되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캡스톤디자인 전공 필수, 졸업 전제 조건 마련, 캡스톤디자인 홈페이지를 들 수 있다.

      • 미국 국립기록청의 이메일 관리 연구

        정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재 우리나라에는 공공기관의 이메일 기록 관리를 위한 법령이나 실무 지침이 마련되어있지 않다. 업무상 이메일 활용도는 70% 이상이며, 공직자통합메일은 2015년부터 모바일 서비스도 시작되었으나 여전히 공무용 이메일은 공공기록법상의 기록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이메일이 이관대상 기록물에 포함된다면 어떠한 이메일을 중요 기록으로 선별할 것인지 난관에 봉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보존대상 이메일의 선별기준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미국은 이메일을 기록으로 간주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이메일의 선별 및 보존 기간의 산정에 대한 실무 지침을 개발하였다. 2013년 9월 국립기록청이 제정?고시한 캡스톤 접근법에서는 고위직의 이메일 계정을 중심으로 주요 기록을 선별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2015년 4월에 제정한 이메일 기록관리를 위한 공통처분일정표를 통하여 이메일의 보유기간을 산정한다. 이메일 선별의 기준으로는 ‘직위’와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이메일의 보유기간도 다소 짧게 설정한 점이 눈에 띈다. 한국은 공공기관의 이메일 관리에 관하여 법령상의 근거는 마련되어있지 않으나 실무상으로는 정보보호 조치에 의하여 이메일의 관리가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망분리 사업에 의하여 상용메일의 업무상 사용이 금지되고 업무망 외부로 나가는 이메일에 대해서는 부서장 이상의 결재를 맡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이메일 기록은 부서장에게 집적되므로 캡스톤 접근법에서 제시하였듯 부서장 이상을 캡스톤으로 선정하여 그에게 집적된 이메일을 보존 관리하는 것은, 이메일 선별 관리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겠다.

      •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지원도구 개발

        전연홍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o help instructors at engineering colleges plan and operate capstone design lectures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To that end, this study develops a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an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o help instructors prepare and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ed model. This study us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and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Firstly, the researcher developed a draft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improved on the model based on expert review results to develop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Then, the primary instructional support tools in the printout forma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an additional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instructors’ needs, followed by a review of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s by experts and users. The secondary instructional support tools were developed in the website format based on the review results, and the aids were reviewed by users to identify possible improvements. Based on the identified improvements, the researcher improved on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o complete the final versions of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he instructional model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s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ages: preparation, orientation, definition of problems, ideating, solution development, final presentation, and follow-up activities. This instructional model provides for stage-specific activities and guidelines, and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industrial experts. The design thinking activities included in the model include: empathizing and describing problems (definition of problems); developing creative ideas (ideation); and prototype development and repeated tests by prototype users. The develope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provide guidance on stage-specific activities and supporting elements for each activity to facilitate instructors’ preparation and operation of le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al model. The supporting elements included in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s includ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activity, activity forms, checklists, materials for distribution to industrial experts, materials for distribution to learners, and additional explanatory materials. The tools include websites to help instructors identify the supporting elements for the required activities. The website menus consist of a user guide, a guide on the instructional model, a guide on class preparation, and a guide on class operation.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is tool are three types of capstone design classes(the in-depth learning type, the practical problem solving type, and the free problem solving type), a summary of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industry experts at each stage, and detailed guidance of learners' self-directed team learning activities, summarized guide materials for beginner professors. And, a strategy to induc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 strategy to prevent free riders were suggested to help instructors operate capstone design lectur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specific procedures for Capstone Design lectur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develope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hat provide for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industrial experts, forms required for lectures, distributed materials, and additional materials, to provide instructors at engineering colleges looking for ways to apply design thinking to capstone design lectures.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자인사고를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업모형에 따라 교수자의 수업 준비 및 운영 활동을 돕는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개발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세부 연구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절차를 기술하는 수업모형 개발을 위해 문헌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하였다. 다음으로 문헌분석 및 교수자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한 인쇄물 형태의 1차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한 후 전문가 및 사용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후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웹사이트 형태의 2차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용자 검토 결과를 반영한 최종 수업지원도구를 완성하였다. 수업지원도구 개발을 위한 수업모형은 수업준비, 오리엔테이션, 문제정의, 해결안 발상, 해결안 개발, 발표 및 후속 활동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별 세부 활동 및 지침, 교수자와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 등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디자인사고의 요소를 반영하는데, 문제정의 단계의 공감과 문제기술서 작성, 해결안 발상 단계의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프로토타입 개발 및 반복적인 프로토타입 사용자 테스트 활동 등을 포함한다. 개발된 수업지원도구는 교수자가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준비 및 운영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수업단계별 활동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수업활동별 지원요소를 제공한다. 도구는 활동별 상세 설명, 활동 양식, 체크리스트, 산업체 전문가 배포자료, 학습자 배포자료, 추가 설명자료 등을 지원요소로 포함한다. 이 도구는 교수자가 필요한 활동의 지원요소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웹사이트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웹사이트는 사용안내, 수업모형, 수업준비 활동안내, 수업운영 메뉴로 구성된다. 이 도구는 특징적으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별 수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 및 지원한다. 또한, 각 단계별 교수자 및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팀 학습 활동을 안내하며, 참여동기 유발 전략과 무임승차자 방지 전략 등 수업에 필요한 여러 전략들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세부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 세부절차별 교수자 및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 수업 운영에 필요한 양식, 배포자료, 추가자료 등을 제공하는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공과대학 교수자가 수업준비 및 운영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김신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5

        국문 요약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과거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화두가 ‘생산’과 ‘기술’이었다면, 현 시대를 대표하는 화두는 ‘창조’와‘융합’이다. 디자인은 21세기 새로운 시대 환경에 발맞춰 영역 간의 통합 프로세스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타 영역에 비해 디자인의 변화속도가 빠르고 많은 아이디어가 요구되는 패션디자인 영역에서는 전공분야에 튼튼한 기초지식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와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융합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패션디자이너의 육성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과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육정책 핵심 방향은 학벌이나 이력보다는 개개인의 역량과 성장 가능성을 우선시하는 사회를 구현하는데 있다. 캡스톤 디자인은 학문 분야 별로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학생들 스스로 설계, 제작, 평가하는 실천적 교과이다. 그러므로 융합과 창의시대에 협업과 함께 진정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패션분야에서 실무역량과 실질적인 협업능력을 가진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조사로 융합의 개념과 유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NCS의 개념과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체계를 고찰해보았으며, NCS 문제점을 도출했다. 또한 캡스톤 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례분석방법은 패션제품 라이프사이클 관리계획(2014)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기획, 디자인 개발, 기술, 생산, 마케팅에 맞추어 해외대학 패션디자인전공 교과목과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 대학의 패션전공 교과목과 NCS 패션디자인 학습 모듈의 과목비중을 비교 분석하여 NCS 학습모듈의 보완해야할 내용들을 규명하였다. 심층면접조사 방법은 사례분석으로 도출된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위해 3그룹의 전문가 면접을 진행했다. 심층면접내용은 NCS의 패션디자인 교육시간의 비중과 평가 방법 및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었으며, 캡스톤 디자인의 운영체계와 융합패션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정량조사를 위한 1차 실험은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패션디자인수업을 진행하기 위하여 캡스톤 디자인 참여 학생과 기업을 선정하였다.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NCS 학습모듈을 교재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통제집단 대상으로 선정하고, 수업의 전과 후의 창의 인성과 지식, 기술, 태도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하여 수업의 전과후의 핵심역량을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캡스톤 디자인의 성과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2차 실험은 2017년 6월부터 11월까지 융합패션프로그램을 NCS기반으로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1차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캡스톤 디자인의 효과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두 집단 간의 효과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이원배치분산법과 T-검증을 사용하여 퉁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 패션디자인 교육은 미래지향적인 하이테크 기술보다는 전통적인 방식의 수공예적인 기술측면의 학습모듈 비중이 높고, 디자인 개발 부분의 학습모듈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편으로 교과목간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파운데이션 과정은 폭넓은 학제적 접근을 통한 종합적 사고와 창조적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적 이해를 유도하기 때문에 중요한데, 파운데이션 학습모듈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화된 학습법 개발이 시급하므로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융합패션디자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NCS 패션디자인 학습모듈에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가장 큰 장점은 학생들이 실무 프로세스를 경험함으로써 주어진 과제물이나 문제를 종합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배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와 협업을 통하여 실용적인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었으며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과 문제인식을 통하여 폭넓은 종합적 사고로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의 창의성, 직무능력 즉 지식, 기술, 태도에 실질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NCS 패션디자인 기반 캡스톤 디자인 적용은 패션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직무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셋째, 융합패션디자인 교육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패션전공 교과목에 IT, 전자기술을 융합하여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과정을 진행하고 교육의 전과후의 핵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사이의 변화 중 창의인성 하위요인 자기 확신, 개방성 등의 역량이 증가되었으며, 지식차원에서는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의 핵심역량이 증가되었다. 기술차원에서는 정보기술 활용능력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으며, 변화대처능력 등이 높아졌다. 태도차원에서는 추진력, 도전정신, 경험 개방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학습모형을 제안하였다. 학제적 교역지대의 깊이와 넓이가 모두 중요한 전문기술과 의사소통, 창의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학습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적용과 팀티칭, 팀빌딩, 네트워킹 지원 및 패션산업필드트랩을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 그리고 현장문제해결에 대한 능력을 신장시키고 on/off 라인이 결합된 스마트 러닝전략으로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금까지 융합교육은 물리적 형태의 융합은 이루어져 왔으나 보다 본질적인 융합교육의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성 증명에 대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므로 이 연구에서 현실적인 융합교육의 모습을 근거로 해서 구체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산업형 융합인재육성을 위한 학습모형은 실제 경험 근거 기반으로 탐색하여 융합패션디자인 교육의 초석을 마련하였으므로 인문학을 포함한 타 영역 융합교육에도 융통성 있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설계 및 실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Eduaction program development applying capstone design for convergence talent development in the fashion field kim, shin woo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If the topics representing the past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Production" and "Technology", those representing the modern world are "Creation" and "Convergence". Design is pursuing the process integrated between the specialties to fit into the new era of the 21st century. An area of specific designs is evolving fur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area of general design has changed into an era of design activities integrating the visual aspects, the products, the environment, and the multimedia. To cultivate the designers who can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the area of fashion design which has changed faster than other areas and in which many ideas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key policy direction of education in Korea is to realize the society which gives priority to the capacity and growth potential of individuals rather than academic background or history. Professionals in the area of fashion design meeting the demand of the age are those with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along with the job skills (knowledge, skills, attitudes) of NCS standards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Therefore, it is needed more than ever to provide the model for the method of fashion design job training enhancing the practical capability, practical collaboration ability, and expertise requiring the true expertise as well as collaboration in the time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has provided a solution by applying a program combining the training method of capstone design and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ith an approach to enhancement of practical application capabil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of the students. An experiment combined with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interview was conducted for research, which is as follows. Firstly, concept and importance of capstone design have been explored and its creativity and convergence have been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e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 and composition of NCS have been explored and the learning modules of NCS in the area of fashion have been examined. The fist method of case analysis is based on the standard which PJ Jakovljevic(2014) of Technology Evaluation centers provided for the process of management plan on the life cycle of fashion products, which is classified as the major subject for fashion design in the universities home and abroad in response to planning, design development, technologies, production, marketing. Based on this, the contents to be supplement have been generated by provid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dule for fashion design of NCS and of the subject for fashion design in the universities home and abroad. Second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design thinking technique by personal visits made by a group of professors who had an experience in teaching the classes based on NCS from February to April 2017 in order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issues discovered from a variety of case analyses.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 were about the proportion of NCS fashion design training hours and its evaluation metho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supplement this issue. Thirdly, with a consultative committee, in the first place, held for developing the process in order to get the advices about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capstone design, the relevance with NCS, the validity regarding the scope of research and to apply them to the study, and with the students and companies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nd their roles designed, the classes of fashion design applying capstone design have been offered. To do this, the first survey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ore competencies for the students who had been trained by NCS learning modules from January to May 2017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re-measure the creative personality, knowledge, skills, attitudes, etc. after finishing the classes by applying capstone design and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capstone desig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capstone design was shown to be the fact that students, by experiencing practical processes, are able to acquire the ability to reach comprehensive and creative solutions to given tasks of problems. The capstone design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creativity, practical competencies, task performance abilities, and cooperative abilities that are at work in an actual working setting.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omote actual changes in the work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apstone design by having students systematically plan and experience NCS-based practical fashion design, and examine the results of such experience in terms of knowledge, technique, and attitudes. Also, it was possible through collaboration with industry to acquire useful knowledge and know-hows, and foster broad and creative thinking through new ideas and problem awareness. This demonstrates that the capstone design with NCS is a viable option for job training of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Regarding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fashion design eudcation programs which are able to create new value from creative problem-solving and convergence, overseas universities have been found to employ a variety of pedagogical concepts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to administer specialized education, focused on a variety of areas such as artistic freedom, marketing, design or perfecting of technique, depending on the school. In overseas universities, diversity of curricula across schools makes for a competitive system wherein the competencies of students can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student aptitudes. Also, the knowledge acquired in coursework and in the process of self-initiated problem solving led to creative thinking. It was found that students attended cross-discipline convergence courses and developed creative thinking habi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existing foundation course learning module for NCS fashion design education. Foundation courses, rather than being a foundation for major-related studies, encourage multi-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is, they encompass both practical skills and theory through a broad variety of subjects ranging from sociocultural studies, art, design theory, basic design education, design research methodologies, and design-related writing, centering on English. A critical and historical foundation relating to the arts and design can be said to be extremely important. This is because through such foundation courses, students are able to build a basis for comprehensiv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through a broad, inter-disciplinary approach. Education in varius aspect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in association with design, when administered through major courses, may lead to creative fashion design that revives national identity. Also, to supplement the uniform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and learning hours of the NCS fashion design module, pedagogical methods such as flipped learning or blended learning need to be applied toward achieving enhanced learning results in specialized fashion design education. Lastly,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include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subjects covering big data in the 4thIndustrial Revolution age, IOT,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NCS subjects to foster the ability in students to take on newly generated industries. Based on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attempt capstone designs that comprise of 1) basic design education based on research methods and contextual elements, which constitute the basic steps toward creative fashion design education and 2) a balance between multi-disciplinary theoretical education and creative education, and which promote the assoc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and to develop design process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NCS learning module. The signifi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that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odules and pedagogical methods for the creation of new ideas and the fostering of free-thinking, convergence-minded talent will play a role in supplementing not only education but other practical skills-cenetered education as well. The NCS learning module will function as a watersh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job education key word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apstone design, Convergence

      • 자기결정성 이론 적용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설계원리 개발

        박나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5

        There are currently a various capstone design is actively operated at the university. However, in the existing Capstone Project classes have problems with result-oriented processe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earners’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a Capstone project class design principles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emphasizing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apstone Project design princip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which can be efficiently used by faculties in high education. Self-Determination is emphasized a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intrinsic motivation to explain and predict human behavior through the satisfac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s, called basic psychological needs. Research questions were to (1) to develop the a capstone project design princip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higher education, and (2) to examine the valid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 principle by expert review and responses from instructors and learners. The final design principles of capstone project learning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the principle of proactivity, empathic communication, positive support, openness, purposefulness, appropriacy, personalized, practical context, contextual connectivity, intellectual achievement, efficiency, collective intelligence, elaboration, gradualness, holistic. The design principle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design at each stage of capstone project learning to motivat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er can participate actively in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specific guidelines. Recommendations for design principle field utilization and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대학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적용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설계원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기존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결과 중심의 프로세스, 일관성없는 교육방식, 개별 학습자의 활동 및 경험 이해 부족 등을 이유로 효과적인 수업 운영에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학습자의 내적 동기에 주목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설계원리를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 교육환경에서 자기결정성 이론을 적용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원리와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고, 둘째, 전문가 검토와 교수자 반응 평가를 통해 개발된 수업설계원리 및 지침의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을 통해 설계원리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설계원리 개발을 위해 설계원리 개발과 설계원리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계원리 개발 연구에서는 문헌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 자기결정성 이론과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요소와 설계원리를 수집하고, 이들의 공통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자기결정성 이론을 적용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의 예비검토를 거쳐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설계원리 타당화 연구에서는 개발된 설계원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적 타당화를 위해 2회의 교수설계 전문가 검토와 대학 초보 교수자의 반응 평가를 진행하였다. 외적 타당화를 위해 이 연구에서 개발된 설계원리를 실제 대학의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에 적용하여 운영한 후,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예비검토를 포함하여 전문가 검토, 교수자 반응 평가와 학습자 반응 평가 결과에서 설계원리에 대한 의견과 수정·보완사항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하여 대학 교육에서 자기결정성 이론을 적용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설계원리를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된 자기결정성 이론을 적용한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설계원리는 ‘학습환경’과 관련하여 주도성의 원리, 공감적 소통의 원리, 긍정적 관계성의 원리, 개방성의 원리가 도출되었고, ‘스캐폴딩’과 관련하여 합목적성의 원리, 적절성의 원리, 개별화의 원리가 도출되었다. ‘창의·융합 주제’와 관련하여 실제적 맥락의 원리, 맥락적 연결성의 원리, 지적 성취의 원리를, ‘문제해결활동’과 관련하여 효율성의 원리, 집단지성의 원리, 정교화의 원리가,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하여 점진성의 원리와 총체성의 원리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계원리는 교수자가 캡스톤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는데 프로젝트 수업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끌어낼 수 있도록 설계의 지향점을 제시해주고, 이를 위한 학습환경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지침을 수립하는데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긍정적인 학습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