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적별 문화관광체험과 관광지 속성이 만족과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일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몇 년 동안 문화관광은 가장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관광 부문들 중의 하나이다. 특히 문화관광은 민족 고유문화의 보존·발굴은 물론 환경친화적이며 대안적인 관광형태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더해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관광관련논문들은 대부분 관광대상으로서의 시설 내지는 자연관광자원에 그 연구의 초점이 모아져 왔다. 그리고 문화관광자원관련 연구일지라도 특정지역의 문화관광 행태분석 정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서 국적별 비교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관광체험과 관광지 속성 그리고 만족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후속 연구에 있어 문화관광과 관련한 척도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관광체험과 관광지 속성이 만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관광체험 요인별 만족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셋째, 만족 정도가 선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국적별로 위의 제 영향들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은 다중 회귀분석,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분산분석, 카이스퀘어검정 등의 분석기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6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관광지 속성과 문화관광체험, 관광지 속성과 만족, 문화관광체험과 만족, 그리고 만족과 선택간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입증되었으며, 국적과 인구통계적 변수를 상황변수로 설정한 가설검증에서도 유의한 영향관계가 입증되었다. 한편, 가설검증결과의 핵심적인 내용을 국적별로 비교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관광객은 역사적인 장소를 찾거나 선조들의 아름다운 건축 양식을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적인 면을 겸한 여가의 일환으로 문화 관광을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물관을 즐겨 찾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 속성 가운데 심미성을 중시하며, 그 중에서도 역사적인 장소의 분위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광체험에서는 교육성 및 진정성 체험을 모두 중시하는데 특히 전통음식의 시식 등 이국적인 느낌을 체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인 관광객과 마찬가지로 박물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인 관광객은 관광지 속성 모두 큰 관심을 표명하지 않고 있으나 역사적인 장소의 분위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기회를 배움의 장이나 지식 획득 등으로 승화시키지는 못하고 있어 단순 방문형으로 끝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인 관광객과 한국인 관광객과는 달리 사찰을 즐겨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인 관광객은 관광지 속성 가운데 지속성을 중시하며, 그 중에서도 자연미가 수려한 장소 구경을 좋아했다. 문화관광체험에서는 진정성 체험을 중시하는데 특히 유명한 사찰 및 박물관을 방문하기 좋아했으며, 기념품과 청결성을 매우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인 관광객과 마찬가지로 사찰을 즐겨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cross-cultural tourism has shown one of the most remarkable growths in the field of tourism. Although cross cultural tourism contributes to the preservation and dis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and is environmental friendly and serves as an alternative type of tourism, the past tourism research has been neglecting this area of study, concentrating on natural tourism resources or tourism objects.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ultural tourism and no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nationalities has been found. Therefore, the following aims have been pursu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an effort has been made to set an index related to cultural tourism upon identifying cultural tourism experience,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Secondly, how cross-cultural experience and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affected satisfaction was observed. Based on this, an effort was made to promote satisfaction according to cultural tourism experience. Thirdl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choice of tourism destination and that of nationality on the above-mentioned factors was studied. In order to fulfill the objects of the study, analytical methods such as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scatter analysis were utilized. By testing six hypotheses set for this stud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and cultural tourism experience,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cultural tourism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nd choice. When nati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chosen as variables, hypotheses tested showed a significant level. The main results of the hypotheses tested according to nationalit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Korean tourists were shown to relate cultural tourism into an educational experience by visiting historic sites where they could enjoy the beautiful architecture of their ancestors. Thus, as leisure activity, they preferred visiting museums to other places. Secondly, American tourists placed importance on the aesthetic nature of tourism. They especially seemed to enjoy an atmosphere of historic nature. In terms of cultural tourism experience, they put emphasis on education and truthfulness, especially by tasting ethnic food and by experiencing the foreign atmosphere. Similar to Korean tourists, they enjoyed visiting museums. Thirdly, Japanese tourists did not care much about the attributes of tourism destination. They enjoyed the sceneries of historic sites. However, they failed to relate the experience into a learning one and simply took it as a leisurely trip. Unlike Korean and American tourists, they seemed to enjoy visiting temples. Fourthly, Chinese tourists considered continuity the most important among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They enjoyed visiting places of natural beauty. In terms of cross-cultural experience, importance was placed on truthful experience. They enjoyed visiting famous temples and museums and placed much emphasis on souvenirs and cleanliness. Like Japanese tourists, they enjoyed visiting temples.

      • 농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종화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ravel tendency in modern times is now being generally changed from simply enjoying travel to motivating travel with maximizing the pleasure by participate or experiencing. As 5-day working system is becoming settled, traveler in family units and young travelers are expected to grow. Accordingly, demands on theme tours focusing on experienc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will become greater in siz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necessity of systematic study on experience tourism.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and strategy on how to vitalizing the experience tourism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ase-study both in and out of countries. 1. In a result of surveying the actual case study, make the theological system on concept,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travel in farmer' and fisher' land settled. 2. By reviewing the data and status-quo, studied on the scope and it's inducing factors of experience tourism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3. By classifying the experience tourism into 1) experience tourism in farmingvillage 2) experience in fishing village 3) experience tourism in ecology 4) experience tourism in culture 5) experience tourism in recreational sports,studied and analyzed the actual case study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ly. As a result of surve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ase study in this regard, I found there are some of insufficient factors in adventurous traveling to farming and fishing village. First of all, infra structure around tourist spot is not fully furnished. Secondly, supporting program to the tourism policy is not also fully established. Seriously, leading group or experts is in short of expecting level in field of experience tourism business. In addition, the most essential factor to strengthen the experience tourism is to develop the various program and event. Accordingly, this study is mostly concentrated on how to solve the obstacles toward experience tourism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nd on the effective strategy to develop the program and establishing marketing planning and to make the program in successful business. The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the comprehensive and theological system on experience toursim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nd to develop the program to the direction of specialized theme travel, of favorable to nature and humanity.

      • 레포츠체험관광 이용자 만족 연구

        김 준 기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products geared toward Jeju Island, to provide better experiential tourist services, to present strategies of gaining an competitive edge over other regions or foreign countries and attracting more tourists, and ultimately to bolster tourism in that region.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review theories on experiential tourism,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and tourist satisfaction, to analyze what factors could satisfy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customers, to offer better and satisfactory services, and suggest how to manage and dynamize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gaps between the expected and actual services, the customers investigated found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to be more effective at getting rid of stress than they expected. They considered employees to be more friendly than they expected as well. But price, employees' concern for customers, guidance and facilities fell short of their expectations. Contrary to their expectations,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programs couldn't be enjoyed by people of all ages. So providers of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programs should direct more efforts into setting up reasonable price strategies, improving better guidance services and relevant facilities, and offering experiential programs that could be enjoyed by people of all ages. Second, the way they looked at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hen the type of leports was taken into account, those who got on hot-air balloons put the lowest value on that experience, whereas those who attempted horse riding placed the highest value on their experience. The group that experienced horse riding had the lowest opinion on employees, while those who scubadived prized employees the best. By age group, those who were in their 20s valued employees better, and the older people had a higher opinion on atmosphere, facilities, price and other services. By gender, the men rated price and other services higher than the women, and the latter set a higher value on employees than the former. By marital status, the unmarried tourists thought more highly of atmosphere, facilities and employees than the married ones, and the latter had a higher opinion on the experience of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than the former. The income of the tourists made a difference to their view of atmosphere, facilities, the experience of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and employees. The larger income earners took a better view of those factor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ose who decided to be involved in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programs at their own option prized atmosphere and facilities higher, and those who did that through the advice of others didn't set a high value on the factors. The customer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s at their own option or as members of lover's clubs took a better view of employees. As to the impact of company, the family and group customers had a higher opinion on atmosphere and facilities, and those who were accompanied by friends set the lowest value on the experience of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The family tourists took a better view of it. Given the findings, people who are engaged in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should develop a wide variety of differentiated programs tailored to each group's needs.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programs and their willingness of reusing the programs or recommending them to others. And it'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that their intention to reuse the programs and recommend them to others was under the biggest influence of atmosphere and facilities. Besides, satisfaction level with experiential leports tourism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willingness of reuse or recommendation. People concerned should put ceaseless efforts into developing various sorts of programs and reinvesting in facilities in order to give customers more satisfaction and encourage their revisit. That will make it possible to lure a great number of customers.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check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foreign customers and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regions. And more systematic and sustain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y taking all the possible influential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관광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레포츠체험관광상품을 개발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타지역 또는 타국가보다 비교우위를 위해 관광자만족을 통한 관광자확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첫째, 체험관광과 레포츠체험관광 그리고 관광자만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둘째, 레포츠체험관광의 관광자만족 요인을 분석하고, 셋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자만족을 이끌어 내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레포츠체험관광의 관광자만족경영전략과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기대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기대보다 우수하다고 한 서비스의 속성은 스트레스 해소, 종사원의 친절 등에서 우수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속성으로는 가격의 적정성, 종사원의 고객관심도, 안내 및 기타시설서비스, 남녀노소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레포츠체험관광 관계자들은 적정한 가격전략과 안내 및 기타시설서비스 부분 강화는 물론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지각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여레포츠 유형에서는 열기구 집단의 경우 경험요인에서 가장 낮게 인식하였고 반면 승마체험 집단은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승마체험 집단의 경우 종사원요인에서 가장 낮게 인식하였고 반면 스킨스쿠버 집단은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집단이 종사원요인에서 높게 인식하였고 나이가 많은 집단일수록 분위기 및 시설요인과 가격 및 기타서비스 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가격 및 기타서비스요인에서 높게 인식하였고 여자는 남자보다 종사원요인에서 더 높게 인식하였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분위기 및 시설요인과 종사원요인에서 더 높게 인식하였으며 반면 기혼이 미혼보다 경험요인에서 더 높게 인식하였다.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분위기 및 시설요인과 경험요인, 종사원요인의 차이가 있었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지각의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 횟수에 따라서는 분위기 및 시설요인과 종사원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시설장비와 종사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참여 동기에 따라서는 스스로 참여한 경우가 분위기 및 시설요인에서 높게 인식하였으며 주변의 소개로 참여한 경우는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스스로 참여하거나 동호회 참여의 경우가 종사원요인에서 높게 인식하였다. 동반자 여부에 따라서는 가족이나 모임 또는 단체집단이 분위기 및 시설요인에서 높게 인식하였다. 친구끼리 여행한 경우 경험요인이 가장 낮게 인식하였으며 가족끼리의 여행인 경우는 높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레포츠체험관광 관계자들은 각 집단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레포츠체험관광에 대한 만족도와 재이용/추천에 따른 회귀분석결과, 경험요인이 관광자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분위기 및 시설요인이 재이용과 추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레포츠체험관광만족도는 재이용/추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레포츠체험관광 관계자들은 지속적이고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에 대한 재투자에 적극적으로 임함으로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한 재방문을 유도하며 이와 더불어 추천을 통한 다수의 고객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만족도를 추가하고, 제주지역이 아니라 다른 지역과 비교연구를 하였으며 한다. 또한 측정변수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현존감이 관광체험과 체험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문화유산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이금실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재 관광 산업분야의 화두는 스마트 투어리즘의 구현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주목되는 스마트 기기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와 각 지자체 기관들은 스마트 투어리즘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의 전통역사 문화자원을 디지털 콘텐츠화 하는데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관광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학계와 현장에서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최근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전통역사 문화자원에 대한 관광객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향후 지속가능한 관광자원으로 변모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도구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라는 기술이 일회성 도구로 그치지 않고 우리의 문화유산자원을 보존 및 매력적인 관광자원으로 변모시키고, 이를 지속적으로 활용가능하게 하는 매체로써의 역할을 규명해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활용된 관광활동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기술과 사용자 간에 유발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기존의 해설 매체와는 차별적 특성을 갖고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과정의 인지적 · 심리적 측면에서의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문화유산지관광에서 강조하고 있는 ‘체험’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을 체험경제라는 이론적 틀 안에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유발하는 심리적 반응인 현존감에 주목하여 현존감과 관광객의 체험간의 영향 관계 및 관광활동 체험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주목하여 이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문화유산관광 체험의 선행요인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현존감과 결과요인인 체험 후 평가요인을 선행연구로부터 도출하였으며,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로부터 도출된 조작적 정의를 토대로 온라인, 오프라인의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전 조사를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투어에 대한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또한 편의표본추출방법과 스노우볼 샘플링을 활용하여 서울, 경기, 경상도 지역의 문화유산관광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중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관광활동을 한 관광객 46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340부의 응답지를 수거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지나 이중 응답, 이상치가 있는 표본의 설문지를 제외한 247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탐색요인분석, 확인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항목을 정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관측변수와 잠재변수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유발되는 현존감의 유형은 객체적 현존감, 사회적 현존감으로 도출되었다. 객체적 현존감이 문화유산관광체험에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현존감은 문화유산관광 체험 가운데 엔터테인먼트적 체험과 이탈적 체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문화유산지 관광체험은 관광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엔터테인먼트적 체험, 교육적 체험 순으로 관광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탈적 체험은 관광만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관광체험과 관광객의 회상의도간의 관계에서 교육적 체험과 엔터테인먼트적 체험은 회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탈적 체험과 회상의도간의 영향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관광만족과 회상의도간의 관계에서는 관광만족이 회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도구가 관광체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현존감(presence)이라는 심리적 반응과 연관하여 이해해보고자 한 시도로써 학문적 · 실무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투어리즘 분야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관광객의 심리적 상호작용으로 유발되는 현존감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학문분야에 추가적 연구와 현재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개발하고자 하는 다수 관광지 및 지자체의 관련 실무자들에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에 대한 관광객 행동을 이해하는데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유발되는 The most-talked-about tourism in these days is smart tourism. To implement smart tourism effectively,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s are interested in the smartphone and its applications. Especially they focus on conversion of Korean tradition and history’s contents into digital ones, which are to be a wealth of information for local and international tourists. This innovative and new tool is the smartphone, which is expected a new medium to sustain Korean cultural heritage sites as a tourist attractions sustainably.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mart phone’s role in on-site experience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psychological interaction, that is presence, arised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 on cultural heritage site tou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martphone applications’ presence and to find out its effects on tourism experience. To derive a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s presence is based on Educat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ield related to midium presence and selected smartphone application’s presence factors. Also, conceptual definition of experience economy in tourism is based on Korean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s and selected tourism experience factors, and selected tourism satisfaction and recollection intention as a consequent factor. And this study selected hypotheses and a framework for research based on the theories in the related previous literatures and verified them empirically for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on tourism destination. For an empirical analysis, pretest and main survey have been performed on cultural heritage sites. And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April 22nd to 13rd May, 2012. Finally 247 valid data have been obtained. To analyze these data, SPSS 18.0 and AMOS 18.0 have been implement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conducted based on the items with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btained. From this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4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smartphone applications’ presence are objec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However, the social presence on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ourism experience which are entertainment and escapist realms. Second, there were 3 on-site experience realms in smartphone application tour: ‘education’, ‘entertainment’, ‘escapist’. Among these, ‘education’, ‘enter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ourists satisfaction, however, ‘escapist’ had a negative effect on tourists satisfaction. Third, 3 on-site experience realms in smartphone application tour: ‘education’, ‘entertainment’, ‘escapist’. Among these, ‘education’, ‘enter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ourists memory, however, ‘escapist’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memory. Forth, touris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memory. This study discussed an academic,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has academic suggestions in that it reflected the reality that the role of smartphone application is very important medium in Korea tourism industry that is currently focusing on implementing smart tourism. And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suggestions that government and government-related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the presence which are arised from smartphone applications with users for developing smartphone applications’ menu effectively.

      • 체험마케팅 요소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산시성 평요고성 중심으로

        HUO NING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사회발전에 따라 관광산업도 빠른 속조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종종원인으로 관광지의 동질화 문제도 있고 관광객들이 단순히 관광목적지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내재적인 욕구를 더 만족시킬 수 있도록 관광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마케팅만 사용하고 관광지를 운영하면 매력적인 관광지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관광지가 체험요소를 활용하면서 체험마케팅을 투입하고 있다. 체험마케팅을 통하여 여러 체험활동을 제공하면서 관광객들의 관광행동의도를 높게 해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평요고성을 중심으로 Schmitt의 전략적 체험모듈을 5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체험마케팅요소가 방문객 관광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방문객들의 특성과 행동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선행연구 검토와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체험마케팅의 5가지 요소가 두 개 요인으로 묶었으며 이 두 개 요인이 모두 관광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되었다. 특히 감각·감성·인지요인이 관광행동의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횟수와 체험활동횟수를 통제변수로 투입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방문횟수와 체험활동횟수가 많을수록 관광행동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토대로 현시대의 관광지와 같이 지나친 개발과 평요고성만의 고유함을 잃은 개발을 하지 말고 평요고성만의 고유함과 자연경관을 보존해야 하고, 재방문한 관광객에 대한 더 신경을 써야하고, 관광객들이 체험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유도를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t present, the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promote the deepening reform in the field of tourism. Due to some reasons the homogeneity problem between the tourist attractions is more and more obvious, so tourists are not only select the destination but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spiritual needs. Following the problem is that traditional marketing has been difficult to make the tourist attractions more attractive. Therefore, tourist attractions are mobilizing experience factors to implement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Experiential marketing makes visitors fully participate in all kinds of activities to enhanc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tourists. Takeing The Ancient City of Pingyao as a case , on the basis of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put forward by Schmitt,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on the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Verified by analysis of frequ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5 experience marketing factors as such relationship factor, behavioral factor, cognitive factor, sensory factor and emotional factor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particularly sensory factor, emotional factor and cognitive factor were most significant. And the number of visit and the number of doing experience program also have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So The Ancient City of Pingyao need to plan and develop the ancient city to keep the characteristic of the ancient city and regulate market order and guide tourists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정경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Experience tourism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ing issue in tourism study due to its importance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point of view. However, most studies have shown few limitations focusing on experience tourism only as a tool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level and economical effects that might bring to the local communities. Hence, in this study the role of experience tourism was stressed to show how it influences to touris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carried out using both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t defined the main components of the study such as experience tourism, tourist motivation, and tourist behavior. Based on this, it also developed study instruments to hypotheses and a study model were suggested. In the empirical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170 tourists who had visited Seokdoo Fishing Village in Hampyoung Provence from July 15th ~ August 30th in 2010 and the final samples of 152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d the collected data. Empirical studies hav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ested hypothe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esents that most tourists to this area achieve tourist information through their family and friends since 39.5% of the tourists were involved with family activities. Also, 46.1% of the tourists stayed for 2days along with strong seasonality. B&B(min-bak) was found as a major accommodation during their stay used by 54.6% of the tourists. 78.3% were shown as repeat visitors and 90.1% of the tourists provided their own transportation using a car. Second, it showed that experience, place, relaxation are major components for experiential tourist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efficient touristic facilities and pleasurable experienc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build positive tourist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both theocratical and marketing implication to the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further study can be carried out with other rural tourist destinations in order to define the fundamental components to experience tourism and extend its theocratical points. Further more, greater effort should be made paying closer att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udy instruments to test satisfactions in experience tourism.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및 관광행태의 다양화, 전문화, 세분화로 이어졌다. 또한 관광대상도 내륙중심관광에서 어촌체험관광 및 해양체험관광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체험관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체험관광이 갖는 다양한 편익은 실무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차원에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어촌체험관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을 통한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과 관광개발 이후의 지역 파급효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그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의 주요 특성이며, 지속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어촌체험관광지에서의 체험을 중심으로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체험관광에서의 체험관광동기에 초점을 두고 요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여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검정과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검정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측정척도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literature study)를 실시하였고, 이를 검정하기 위해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서적, 논문 및 기타자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구성변수인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여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에 사용될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항목들을 토대로 수행된 실증연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함평 석두어촌체험마을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70부를 배포하여 152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응답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8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 152부(89.4% 회수율)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설문문항을 관광학과 학생들 40명과 일반인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예비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5일부터 2010년 7월 20일까지(16일간)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요인분석 및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 후 본 조사는 2010년 7월 29일부터 2010년 8월 30일까지(30일간) 이루어졌다.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방문한 체험관광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대가 가장 많이 체험에 참여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20대와 50대 순이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의 참여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생과 회사원이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에 흥미를 보였다. 소득의 수준에서는 100만원 이하와 200만원 이상과 300만원 미만의 집단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관광동기의 18개 측정문항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일탈성, 자기개발성,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 등의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관광만족도의 4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는 관광만족도 1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행동의도의 5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등의 총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자기개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여부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일탈성, 교육성,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요인 중 자기개발성과 경관

      • 체험경제(4Es)이론을 적용한 관광체험이 지각된 가치와 장소애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장소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타나카아야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Currently, the tourism industry is recognized as a growth-driven industry that can contribute to national development, such as improving understanding, strengthening external cooperation, and increasing employment among countries. However, the tourism industry is an unstable industry that is likely to be affected by various external variables such as the global economic situation and political relations. This trend can also be seen as a sharp drop in the number of tourists from both countries due to the trade war between Korea and Japan in 2019, and the incident has hit local cities in both countries hard. Inorder to solv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local areas as differentiated and special areas, rather than viewing tourist destinations as national units.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ourism experiences (4Es), perceived values, place attachments, and behavioral intentions on mutual tourists between Busan, Korea and Fukuoka, Japan, and see if place attachment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mutual tourists between Busan and Fukuoka who had visited each region for one year in 2019, and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15 days from January 10 to January 25, 2021, and the survey method was online and SNS. A total of 359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but a total of 32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tourists visiting Fukuoka, esthetic,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s among the sub-factors of tourism experi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s. Meanwhile, in the case of Japanese tourists visiting Busan,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s. Second,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in both region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Third,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in both region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Fourth, the place attachment of tourists in both region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ifth, the place attachment of tourists from both regions have been shown to play a part in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which factors affect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in each reg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 tourism experience. We also identifi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s,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demonstrated that Korean tourists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Japanese tourists,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mutual tourists from each reg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develop tourism resources and product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experiential factors that are important to tourists in each region. In addition, building a place attachment to a particular area is expected to help alleviate the damage caused by political issues, which seems to require strengthening tourism strategies to build an attachment to a particular area.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ustainable tourism strategies in each region to promote tourist attractions continuously, and to promote tourism between regions. 현재 관광산업은 국가 간의 이해증진과 대외협력의 강화, 고용증대 등 국가발전에 공헌 가능한 성장주도 산업으로 인식을 받고 있다. 그러나 관광산업은 세계경제의 상황과 정치적 관계 등 다양한 외부변수에 영향을 받기 쉬운 불안정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2019년에 발생한 한국과 일본 간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양국관광객 급감 형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양 국가 지방도시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광목적지를 국가 단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지방지역을 차별화된 특별한 지역으로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부산과 일본 후쿠오카 간 상호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체험(4Es), 지각된 가치, 장소애착,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지각된 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장소애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의 실증 조사 대상은 2019년 1년간에 각 지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부산-후쿠오카 간 상호관광객으로 하였으며, 설문 기간은 2021년 1월 10일부터 1월 25일까지 15일 동안 실시하였고, 설문 방법은 온라인 및 SNS를 이용하였다. 총 35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그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여 총 329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쿠오카를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의 경우, 관광체험 하위요인 중, 심미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이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산을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오락적 체험과 일탈적 체험이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 지역 관광객들이 공통적으로 지각된 가치가 장소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 지역 관광객들이 공통적으로 지각된 가치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 지역 관광객들이 공통적으로 장소애착이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양 지역 관광객들이 공통적으로 장소애착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지역의 관광객들이 관광체험 하위요인 중, 어떤 요인이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혔다. 또한 지각된 가치와 장소애착, 행동의도 간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장소애착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일본인 관광객보다 한국인 관광객이 더 큰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각 지역의 상호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각 지역 관광객들이 중요시하는 체험 요인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관광자원 및 상품 개발을 전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특정 지역에 대한 장소애착을 구축하는 것은 정치적 이슈로 인한 타격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어 특정지역에 대한 애착을 구축시키는 관광전략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각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관광전략을 세워 계속한 관광지 홍보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간의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중국 농촌관광동기가 관광체험, 관광몰입, 만족 그리고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진념창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세계 경제 발전과 관광 욕구 다변화에 따른 여가 생활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농촌은 새로운 관광목적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즉, 도시민의 관광 욕구로서 농촌체험, 웰빙, 여가 향유, 자연경관, 전통체험 및 문화 등 을 충족시키며 농촌관광은 특히 중국에서 농촌지역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등 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요 약하면 농촌관광동기과 농촌관광체험에 대한 관광몰입, 방문만족의 차별 화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농촌관광동기와 농촌관광체험에 부합하는 농촌관광 트렌드에 관한 기초자료로 전체적인 경쟁력제고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 방문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농촌관광동 기, 농촌관광체험, 관광몰입, 만족 그리고 재방문 의도간의 어떤 구조적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들의 영향관계를 실 증 분석하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에 대한 농촌관광동기 중 상품안전동기, 자연환경동기, 전원생활동기, 유대추구동기, 미디어 매체 재현동기는 농촌관광체험에 정 (+)의 유의적인 영향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농촌관광체험은 관광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농촌관광체험은 관광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넷째, 농촌관광객의 관광몰입은 관광객 만족에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촌관광에 대한 농촌관광객의 관 광몰입은 관광객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여섯째, 농촌관광객의 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농촌관광동기, 농촌관광체험, 관광몰입, 만족, 재 방문 의도 등의 영향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 적용되어 있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되어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 지역 주민의 농촌관광객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농촌관광동기(상품안전동기, 자연경관동기, 전원생활동기, 유대 추구동기, 미디어 매체 재현동기)중에서 농촌관광체험에 큰 영향을 미친 상품안전동기 그리고 전원생활동기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둘째, 농촌관광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이다. 왜냐하면, 중국내의 농촌관 광객들은 농촌관광을 체험함으로써 긍정적 몰입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밝 혀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중국인으로서 농촌관광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벤트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문화 및 역사적 가치가 있는 농촌지역의 자원을 농촌관광자원화 로 변신해야 할 것이다. 넷째, 농촌지역주민(특히 체험 인솔자)의 해박한 농촌관광에 대한 지식 등이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economy and the diversification of tourism demand,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and the countrysid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new tourist destination. In other words, the tourism needs of urban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rural experience, healthy living, leisure enjoyment, natural landscape, traditional experience and culture, etc. Rural tourism has become a new source of income in rural areas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ural tourism. In addi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rural tourism based on the information on rural tourism trends that are in line with rural tourism motivation and rural tourism experience. This research takes Chinese tourists visiting rural tourism as the objects, and examines the structural influence of rural tourism motivation, rural tourism experience, tourism immers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their influence relationships i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rural tourism motives of rural tourism, commodity safety motives, natural environment motives, pastoral life motives, ties-seeking motives, and media reproduction motives have a "positive (+)" impact on the rural tourism experience. Second, rural tourism experience has a "positive (+)" impact on tourism immersion. Third, the rural tourism exper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Fourth, the sightseeing immersion of rural tourists has a "positive (+)"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Fifth, rural tourists' immersion in rural tourism has a positive (+) impact on tourists' intention to visit again. Sixth, the satisfaction of rural tourists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to visit agai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fluence relationships of rural tourism motivation, rural tourism experience, sightseeing immers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re meaningful.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causality between the variables applicable to this study is also very hig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enlightenments are put forward. First, residents in rural areas have high requirements for a friendly attitude towards rural tourists. There for commodity safety motivation and pastoral life motivation are more important impact on the rural tourism experience than any other motivation. So the two motivations should be not ignored. Second, experience program for rural tourism in china should be intensively developed. Third, the resources of rural areas with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 should be transformed into resources of rural tourism poroducts. Fourth,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rofound rural tourism knowledge for educating especially experience leaders.

      • 메타버스 관광체험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관광지역 호기심, 현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천선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관광산업에 유례없는 침체기를 가져왔다. 이에 관광업계는 비대면 관광으로의 모색을 활발하게 제시했는데 그 중 자구책이었던 메타버스로의 접근이 오히려 새로운 관광방식으로 재조명되었다. 그런데 팬데믹이 엔데믹 상황으로 진행되고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대면 관광활동은 활발해졌으나 메타버스관광은 하루 1명 접속이라는 불명예를 안을 만큼 위축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메타버스관광을 경험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관광체험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나 관광지역 호기심으로 발전하는지 또 이를 통해 실제 관광지 방문의도로 이어지는지를 살펴 메타버스관광과 기존 관광산업이 공존해 갈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관광체험,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관광지역 호기심, 현지 방문의도 간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모형화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해 메타버스관광을 경험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설문지를 구성한 후, 표본 총 300부를 2023년 1월 9일부터 약 2주간 전문 조사업체에 의뢰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6.0,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변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SPSS 프로세스 매크로를 통한 부트스트랩(Bootstrap) 검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설 검정 결과 첫째, 메타버스관광의 오락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관광의 교육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버스관광의 심미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타버스관광의 일탈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메타버스관광의 오락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관광지역 호기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메타버스관광의 교육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관광지역 호기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메타버스관광의 심미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관광지역 호기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메타버스관광의 일탈적 체험요소는 관광객의 관광지역 호기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관계에 있지 않았다. 아홉 번째, 메타버스관광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관광객의 관광지역 호기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메타버스관광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현지 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 번째, 메타버스관광에 대한 관광지역 호기심은 현지 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오락적 체험요소는 현지 방문의도에 통계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세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교육적 체험요소는 현지 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네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심미적 체험요소는 현지 방문의도에 통계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다섯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일탈적 체험요소는 현지 방문의도에 통계적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여섯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오락적 체험요소와 현지 방문의도 사이에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지역 호기심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일곱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교육적 체험요소와 현지 방문의도 사이에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지역 호기심은 매개역할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여덟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심미적 체험요소와 현지 방문의도 사이에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지역 호기심은 매개역할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아홉 번째, 메타버스관광의 일탈적 체험요소와 현지 방문의도 사이에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관광지역 호기심은 매개역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메타버스 관광체험을 통한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관광지역 호기심, 그리고 현지 방문의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를 토대로 거리두기 해제 후 메타버스관광과 실제 관광산업의 공생관계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