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행의 국제 전략기술 제휴에 관한 연구

        박희정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은행의 업무에 관련된 국제전략기술제휴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바젤 Ⅱ로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은행 국제전략기술제휴의 구조적 결정요인의 분석과 효율적 성과달성을 위한 전략과제를 도출하였다. 특히 국제전략제휴의 일반적 동기와 함께 유형별 동기를 규명하고, 기술혁신에 따른 국제전략제휴의 추세적 특성 변화를 규명하였다. 우리나라 은행의 전략적 기술제휴 사례의 검토를 통해 특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제 전략제휴의 장애요인과 성공요인들을 규명하여,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성공적인 국제전략제휴의 요건과 실행 가능한 관리전략을 학습이론 및 역량 자원 극대화의 관점에서 도출하여, 그에 대한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nhancement strategy through the accomplishment of goals such as the increased efficiency of domestic commercial banks, reduced risk, and pursuit of profits through diversification, we have tried to find out how the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customer management and partner management as well as the improvement in competitiveness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capability. To react the competitive advantage position in the financial markets faced with the globalized and infinite competition environment, the financial companies urgently need the capabilities of adapting themselves to changing environment along with the flexibility and bold entrepreneurship. The strategic alliances with other institutions does not necessarily need the coordination processes in terms of personnel and facilities and the initial investment. It is relatively easy to make the market access through the strategic alliances option so that the financial companies can flexibly adapt themselves to 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it has a lot of advantages. To find out the strategic views and dimensional features of the strategic alliances option, we have conducted the following analyses. In chapter 2, we review the concept and role, features, objectives and detailed goals of the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option and define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As well, we have analyzed the features and types of international technical alliances and defined the conditions of technological changes and 5 innovation processes as well as the types, kinds and motivation of international technical alliances. In Chapter 3, we identifie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customer management, the technical alliances, and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by the financial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background and features of customer management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concept and features of CRM and PRM, together with the necessity and transactional features of strategic technical alliances along with the strategic technical alliances cases. In Chapter 4, we identified the factors of failure and success in the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and derived the motivational inducement in the strategy of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and organization's learning factor along with management strategy in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to find out the motivational inducement and management strategy in international strategic alliances. In conclus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Capital Market Integration Act and the resulting opening of the capital market and increased competition, the commercial banks are required to actively plan the international technical alliances option as their top priority as a way to acquire the advanced financial technology related to the customer related management mechanism and other advanced management techniques.

      • 통신 산업에서의 전략적 제휴의 몰입 요인 분석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형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3310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기술, 마케팅 환경에 대응하는 통신분야의 하이테크 기업에 있어서 전략적 제휴가 점차 기업들의 생존과 경쟁우위 달성을 위한 핵심적 전략으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전략적 제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의 조직 몰입의 요인을 분석하고 이 몰입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몰입에 관한 연구에서는 전략적 제휴의 파트너들이 맺는 해당 제휴 조직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기업의 전략적, 관계적, 행동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 요인과 몰입과의 관계를 기존의 제휴의 주된 이론인 거래비용이론과 자원기반이론에 더하여 네트웍이론과 조직학습 그리고 산업조직이론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아울러 이러한 몰입의 동기적 요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지분정도를 조절효과로서 고려하여 성과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본 실증 분석은 데이터 통신 산업에 속한 통신 사업자 및 하부구조에 속하는 네트웍 사업자, 그리고 보안사업자들로 구성된 190여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총 81개 기업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채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기업의 전략적 요인으로서의 자원의 보완성, 기술 혁신 속도등이 조직 몰입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짐이 검증 되었고, 관계적 요인으로서의 의사결정의 공유등의 변수가 조직 몰입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도출 하였다.그러나 지분제휴와 더불어 환경적 요인인 수요불확실성은 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몰입과 성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지분정도를 조절 변수로서 투입했을 때 유의한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연구 결과 확인 되었다.본 연구는 기존의 전략적 제휴의 성과와 제휴의 관리적 차원에 관한 연구가 많은 상황에서, 전략적 제휴의 동기적 요인으로서의 몰입을 종속변수로 보고 그 유발요인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즉 종래의 경우 몰입을 제휴의 성공적 요인이나 성과의 부분으로 간주하였으나, 몰입을 유도하는 제휴상의 제반 요인에 대한 분석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 다뤄져 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또한 전략적 제휴의 연구대상도 통신산업에 국한하여 분석했기 때문에 표본으로서 이질적인 산업군들을 종합적으로 채택하여 분석 함으로서 산업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던 부분에 있어서 차별화 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의 몰입이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러한 긍정적 영향을 만드는 동인으로서의 몰입에 있어서, 환경적 외생변수의 불확실성보다는 기업 자체의 전략적 목적과 제휴 과정에 대한 충실도가 더욱 몰입에 긍정적으로 연관됨을 인식할 수 있다.

      • 군용기 독자개발 및 공동개발에 관한 연구 : 전투기를 중심으로

        조성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295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are the factors of independent and joint development in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To this end, fighter development case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collected, and based on the newly proposed integrated factor analysis matrix, the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echnology, political, security, and economic factors through the development background and process of each mode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limit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velopment method to technical and economic factors, and mainly focused on joint development cases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This study considered political and security factors as well as technical and economic factors, and included cases of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in various countries. To present a new research analysis framework, independent and joint development factors suggest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revious studies were incorporated into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to derive components included in each factor by dividing them into technology, political, security, and economic factors. Based on this,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extremes were conceptually selected among components for each factor to be used in the research analysis framework. Through this, a research analysis framework was presented to classify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cases into a total of eight types, and by analyzing cases, it was possible to substitute them into this type, and to derive characteristics by country and type. Aeronautical technology-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Sweden and countries seeking defense policy autonomy wanted to accumulate technology by developing their own fighter jets based on their own technology, and to reduce the cost of introduction by developing state-of-the-art fighter jets directly and producing them in various derivatives such as ship-mounted aircraft and electronic electricity. When developing T-50s, Korea wanted to transfer insufficient technology by jointly developing it with the United States and reduce the cost of introducing it by sharing development costs. However, KF-21 fighter jets were developed to increase Korea's air power and target not only domestic but also overseas fighter markets such as Indonesia based on improved technology through T-50 development experience and R&D. In the case of fighter jets jointly developed by European countries, participants wanted to transfer insufficient technology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an alliance called the European Union, and to reduce the cost of introduction by sharing costs through joint develop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cases in major countries. First, each country develops military aircraft based on strategic judgment based on technical level, political and security environment, and aviation and defense industry conditions, and there are certain routes related to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France have independently developed the latest generational fighter jets, and some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have jointly developed fourth- and 4.5th-generation fighters, starting with third-generation fighters. In addition, each country develops fighter jets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its own country, but after successfully developing the system, it is showing a pattern of entering overseas market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political and diplomatic means, requests for foreign introduction, and economic benefits. This suggests that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is deeply influenced by the country's military strategy,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and domestic defense industry base beyond simple technical decisions. Second, Korea is pioneering its own path of development in the international fighter jet market. In the past, technology accumulation began by introducing, repairing, and license production of US fighter jets, but it is succeeding in the international export market through the joint development of T-50 with Lockheed Martin, and is seeking to enter the overseas marke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ts own fighter je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KF-21 fighter jets. Korea's step-by-step technological independence efforts and strategic market expansion differ from Japan's and Taiwan's approach to acquiring and developing fighter jets, and in particular, the success of developing and exporting KF-21 fighter systems will give implications as a new development model for technology pursuers seeking to develop their own defense and aviation industr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ic partnership and continue investment to accumulate its own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technical complexity of future fighter development and the prolonged development period. As the generation of fighter jets increases,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developing fighter jet development technology tends to increase, and as a result, it may be difficult for countries that have continued to develop independently to maintain the existing development path.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fighter jets, each country will be able to solve complex technical challenges and build a sustainable defense industry ecosystem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while striving to accumulate its own technolog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research because it analyzed the development of specific generation fighter jets in some countries, such as Korea,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Sweden, among the 4th to 5th generation fighter jets. Follow-up studies, including cases of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in China and Russia, are needed to analyze more in-depth factors taking into account various countries' technologies, political and security, and economic environments.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future research will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strategic choices and priorities in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by identifying which of the technological, economic, political, and security factors ser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and comparing cases from each country. Finally, if data on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failure cases can be collected,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derive key factors for the success of military aircraft development strateg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success and failure, including them a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는 ‘군용기 개발에 있어 독자개발 및 공동개발의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가의 전투기 개발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새롭게 제시한 통합 요인분석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기종별 개발 배경 및 과정 등을 통해 기술, 정치·안보, 경제적 요인에 따라 유형화 및 분석했다. 군용기 개발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개발 방식을 결정하는 요인을 주로 기술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으로 한정하였으며, 국내와 주변국의 공동개발 사례에 주로 집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안보적 요인을 고려하고, 다양한 국가의 군용기 개발 사례를 포함하였다. 새로운 연구분석의 틀을 제시하기 위해 경영학 및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독자개발 및 공동개발 요인을 군용기 개발에 접목시켜, 기술, 정치·안보, 경제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연구분석의 틀에 활용할 각 요인별 구성요소 중 개념적으로 양극단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총 8개 유형으로 군용기 개발 사례들을 구분할 수 있는 연구분석의 틀을 제시하였으며,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이 유형에 대입시키고, 국가별, 유형별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미국, 프랑스, 스웨덴과 같은 항공 기술 선진국이자 국방정책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국가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기술을 바탕으로 전투기를 독자 개발함으로써 기술을 축적하고자 했으며, 최신예 전투기를 직접 개발하고, 제공 전투기뿐만 아니라 함재기, 전자전기 등 다양한 파생형으로 생산함으로써 도입 비용을 절감하고자 했다. 한국은 T-50 개발 시 미국과 공동 개발함으로써 부족한 기술을 이전받고, 개발비용 분담을 통해 도입 비용을 절감하고자 했지만, KF-21 전투기는 T-50 개발 경험과 연구개발을 통해 향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해외 전투기 시장 등을 겨냥하고자 했으며, 우리나라의 공군력 증강을 위해 개발했다. 유럽 국가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전투기 사례에서는 참여국들이 유럽 연합이라는 동맹이라는 기반으로, 참여국들은 서로 간의 부족한 기술을 이전받고자 했으며, 공동개발을 통해 비용을 분담함으로써 도입 비용을 절감하고자 했다. 주요 국가들의 군용기 개발 사례를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각 국가는 기술적 수준, 정치·안보적 환경, 항공 및 방위산업 여건 등을 기반으로 전략적 판단하에 군용기를 개발하며, 군용기 개발과 관련된 일정한 경로가 존재한다. 미국, 스웨덴, 프랑스는 전투기를 세대별 최신예 전투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했으며, 영국을 포함한 유럽 일부 국가들은 3세대 전투기를 시작으로 4세대, 4.5세대 전투기를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각 국가는 자국 도입을 목적으로 전투기를 개발하나, 체계개발에 성공한 이후 안보 환경변화와 정치·외교적 수단, 외국의 도입 요청, 경제적 이익 등을 고려하여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군용기 개발이 단순한 기술적 결정을 넘어 국가의 군사전략과 국제 정치적 상황, 국내 방위산업 기반에 의해 깊이 영향 받음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은 국제 전투기 시장에서 독자적인 발전 경로를 개척하고 있다. 과거 동맹국인 미국의 전투기를 도입하여 수리하고, 면허 생산하는 방식으로 기술 축적을 시작했지만, 록히드마틴과의 T-50 공동개발을 통해 국제 수출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KF-21 전투기 개발을 통해 독자적인 전투기 개발과 함께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의 단계적 기술 자립 노력과 전략적 시장 확대 양상은 일본, 대만의 전투기 획득 및 개발에 대한 접근과 차이를 보이며, 특히 KF-21 전투기 체계개발 및 수출 성공 여부는 독자적인 방위산업 및 항공산업 발전을 추구하는 기술 추격국들에게 새로운 발전 모델로서 시사점을 줄 것이다. 셋째, 미래 전투기 개발의 기술적 복잡성 및 개발기간의 장기화를 고려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과 자체 기술 축적을 위한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 전투기 세대가 올라갈수록 전투기 개발 기술의 복잡성과 개발 난이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독자개발을 지속 추진해왔던 국가들 또한 기존 개발 경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미래 전투기 개발을 위해 각 국가는 자체적 기술 축적을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국제적 협력을 바탕으로, 복잡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4~5세대 전투기 중 한국, 미국, 프랑스, 스웨덴 등 일부 국가들의 특정 세대 전투기 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에 연구의 제한성을 갖는다. 다양한 국가별 기술, 정치·안보, 경제적 환경 등을 고려한 보다 심도있는 요인분석을 위해 중국, 러시아 등의 군용기 개발 사례들을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정량적 분석기법을 바탕으로 기술, 경제, 정치·안보적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는지를 파악하고, 각 국가별 사례들을 비교함으로써 군용기 개발에 있어 국가의 전략적 선택과 우선순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군용기 개발 실패 사례에 대한 자료가 수집 가능하다면, 연구 대상으로 포함하여 성공과 실패의 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군용기 개발 전략의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회생기업의 전략적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흥수 부산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33294

        본 연구는 채무자회생법에 기한 회생절차를 통해 부실기업에서 정상기업으로 탈바꿈한 기업을 대상으로 회생절차 기간 중 추진하였던 전략적 활동이 회생절차 종결 이후의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당해 기업이 선택하는 전략적 활동의 상대적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가 시행됨으로써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부실기업이 회생절차에서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보다 실효성 있는 실무 방안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나아가 회생기업의 전략적 노력 중 어떤 내용이 기업의 경쟁 우위와 생존력을 강화할 수 있는지 또는 회생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회생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전국 법원에 2006년부터 2018년까지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하여 성공적인 회생 종결을 판결 받아 대법원 전자관보에 공시된 자료 중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에 필요한 표본기업 총 236개사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회생절차를 성공한 기업의 다양한 전략적 활동을 크게 내부운영전략과 외부협력활용전략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내부운영전략의 하부 요소로 기술혁신, CEO 교체, 기업분할, 자산매각 등의 요인들을 고려하였으며, 외부협력활용전략의 하부 요소로는 전략적 제휴, M&A, 증자, 신규자금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전략적 활동들이 재무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검증을 위해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으로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 t검정에 의한 차이 검증, 그리고 회귀모형에 의해 인과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특히, 회귀모형은 실증 분석 결과의 신뢰성 등 설득력 확보를 위해서 풀링(pooling) 회귀분석, Fama and MacBeth(1973)의 횡단면 회귀분석, 패널 회귀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가설 검증은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시계열 자료(Time-Series Data)와 횡단면 자료(Cross-Section Data)를 하나로 통합하여 경영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패널 회귀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생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전략적 활동의 영향력은 대체적으로 미미하였지만, 기술혁신과 전략적 제휴의 경우 타 활동에 비해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회귀계수 1%의 높은 수준에서 유의적인 정(+)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혁신 또는 전략적 활동이 있는 기업의 경우 경영성과가 증가한다는 결과이고, 회생기업의 경우 기술혁신을 위한 전략적 제휴가 가장 효과적인 전략적 활동이 될 수 있다고 추정한다. 둘째, 자산매각(업무용・비업무용)의 경우에는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인 부(-)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산매각을 하였던 회생기업은 지속적으로 경영성과가 악화된다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불가피하게 업무용 등 자산을 매각하여 채무를 상환해야 하는 기업의 어려운 경영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되어 회생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부실상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신규자금, 기업분할 및 M&A의 경우에는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가설을 지지하는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신규자금의 경우 캠코나 중진공에서 기업 당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의 한도가 적고 시행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아 전략적 활동으로서의 레버리지 효과가 크지 않음을 밝힌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2006년 채무자회생법이 시행된 이후 회생기업에 대한 연구가 종종 이루어지고 있으나, 회생절차 종결 기업들에 대한 표본을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증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갖고 있는 표본 기업 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회생기업에 대한 실질적 연구가 많이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법원의 회생절차에 들어간 회생기업을 상대로 다각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여, 정상기업으로서의 경쟁우위와 생존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어떠한 회생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가장 큰 학술적 의의가 있고 본 연구의 공헌점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