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읽기동기 분석

        정선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이르는 9개 학년 학생들의 읽기동기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읽기동기 점수, 읽기동기 요인별 점수, 읽기동기 유형별 점수를 연구 대상 전체, 성별, 학년별로 제시하고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은 초등학생 146명(남학생 71명, 여학생 75명)과 중학생 96명(남학생 55명, 여학생 41명)으로 총 242명이었다. 읽기동기 측정을 위한 도구로 Guthrie와 Wigfield(1997)의 읽기동기 질문지(MRQ)를 번역 및 수정하여 36개 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읽기동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전체 집단의 읽기동기 점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할 때 67.13점 수준이었다. 9개 학년에 걸쳐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읽기동기 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읽기동기 점수 차이는 초등학생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지만, 중학생들에게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교 급이 올라감에 따라 성별의 영향은 적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7학년을 제외하고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읽기동기 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7학년은 학교 급이 바뀌는 환경적 변화에 의해 읽기동기가 일시적으로 증가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 대상 전체 집단은 읽기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성적 요인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요인은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었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보다는 가정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읽기동기가 더욱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기심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읽기동기 요인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몰두, 회피, 성적, 인정, 사회적 상호작용, 가족의 상호작용 등 6개 요인이었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읽기동기 요인의 점수는 7학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고, 학년에 따른 읽기동기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 전체 집단의 내재적 동기는 100점을 기준으로 할 때 67.48점 수준이었고, 외재적 동기는 66.78점 수준으로 내재적 동기가 약간 높았다.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에서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내재적 동기에서는 6학년, 외재적 동기에서는 2학년과 7학년을 제외하고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점수는 모두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학년에 따른 읽기동기 유형별 차이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9개 학년의 읽기동기 감소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이를 통해 학령기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읽기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꾸준히 인지적 영역의 지도와 함께 정의적 영역의 읽기동기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ading motivation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on the level of reading motivation were used to find the dimensions of the reading motivation and the types of reading motivation(intrinsic and extrinsic) according to the whole group, gender and grade. In this study, 146 elementary school students(71 boys, 75 girls) and 96 middle school students(55 boys, 41 girls) participated by answer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originally created by Guthrie & Wigfield in 1997, was adapted for this study and contained 36 questions that measured reading moti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reading motivation for the test group was 67.13. Overall, the girls averaged higher scores than the boys in every grad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gende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reading motivation tended to reduce in the 8 grades(except 7th grade) and continued to decline as students aged. Second, the concern for grades tend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ile social interaction was deemed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It should be noted that family interaction exerted more influence than social interac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were shown in the 6 factors: involvement, work avoidance, grades, recognition, social interaction and family interaction. Third, the average internal motivation level was 67.48% and the external motivation level was 66.78% for these test subjects. Also, the girls scored higher than the boys i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 scores had a tendency to reduce according to grades, except for 6th graders in intrinsic motivation, and 2nd and 7th graders in extrinsic motiv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grades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would be more beneficial to improve reading motivation in the lower grades that tends to unwearyingly reduce according to school years.

      •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수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읽기동기를 측정하여 연구 및 교육과 양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객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읽기동기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측정문항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셋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읽기동기의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읽기동기의 요인과 문항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델파이 전문가 집단 연구를 통해 읽기동기의 구성요인별 정의를 내리고 문항을 정리하여 척도 개발 단계와 타당화를 거치는 세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문가 집단 조사는 읽기 연구자, 초등교육 및 독서교육 현장전문가 등 전문가 패널 15명을 구성하여 2단계 수정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읽기동기의 범주 및 구성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수집된 의견을 반영하여 정리된 세 개의 범주와 13개의 가설적 구성요인에 대한 재조사와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경험적 내용을 바탕으로 고안된 총 172개의 측정문항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각 요인의 문항구성에 대한 의견수렴, 요인별 정의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세 개의 범주, 13개의 구성요인, 148개의 측정문항을 추출하였다. 이 후 이 문항들이 각 학년 학생에게 적합도와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고경력교사 7명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문항들을 학년별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수정하고, 학년별 수준에 맞는 적합한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3-6학년에 적합한 문항 총 108개, 1-2학년에 적합한 문항 79개의 1차 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 척도 개발 연구는 예비조사, 본 조사의 단계를 거쳐 실시하였다. 첫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이 응답하기 어려운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고, 3-6학년, 1-2학년 학생 대상의 4점 Likert식 척도로 초기 질문지를 각각 구성하였다. 두 번째, 경기도 한 곳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1-6학년 학생 142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항의 적절성과 조사 실시 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문항 수정하여 총 108개 문항의 2차 예비 척도를 구성하였다. 셋째, 본 조사에서는 전국 8개도의 11개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1,561명에게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3-6학년 학생 1,022명, 1-2학년 학생 513명의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와 이론적 구성개념을 토대로 3범주 17요인으로 3-6학년 학생용 87문항, 1-2학년 학생용 67문항의 읽기동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척도 타당화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정을 거쳐 개발한 척도의 실제 연구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측면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먼저, 내적 구조 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판별 타당도 분석한 결과, 개발한 측정도구의 모델 적합도 지수가 모두 양호하였고, 구성개념을 제대로 측정하는지를 평가하는 구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다른 변수와 관련한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공인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인타당도는 준거로 삼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초등학생용 읽기 태도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높은 수준의 공인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성별, 학년별, 지역별 집단의 교차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1-2학년 모형, 3-6학년 모형 모두 다른 집단에서 안정적으로 재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측정 결과와 관련한 결과타당도 분석을 위해 개발된 읽기동기 척도와 읽기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읽기동기와 읽기활동 간에 정적 상관을 보여주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여 개발된 문항들이 적절한 결과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읽기동기 검사는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한 읽기동기 척도를 단순 번안․수정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변화된 읽기 환경에 대한 내용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하위요인들이 이론적 근거에 입각하여 심리측정학적이고 다차원적으로 구성되지 못한 한계점을 지녔다. 그에 반해, 본 연구에서 개발 및 타당화한 초등학생용 읽기동기 척도는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적 상황과 문화적 특성에 맞고, 변화된 읽기매체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다차원적 심리측정학적인 측면을 반영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이 척도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읽기동기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읽기의 정의적 측면을 조기에 파악하여 읽기동기가 길러지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읽기동기 향상 지도방안

        김춘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적용하여 보고 초등학생의 읽기동기 향상 결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논의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동기의 본질과 읽기 동기를 이루는 요인을 알아보고, 각 요인이 학생들의 읽기동기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여 읽기동기 지도에서 교육연극이 어떤 교육적 효용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읽기동기 향상을 위한 선행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향상 지도방안은 학생들의 읽기동기 향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한다. 넷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향상 지도방안은 성별로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논한다. Ⅱ장에서는 읽기동기와 교육연극에 대한 이론적 기저를 살펴보고 읽기동기 지도를 위한 교육연극의 연결성을 살펴본 후 읽기동기 지도를 위한 교육연극의 의미와 효용성을 고찰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선행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Ⅳ장에서는 읽기동기 향상 지도를 위해 연구자가 구안한 프로그램으로 교수․학습과정안을 마련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 학생들에게 총 13주 동안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적용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분석은 김경성이 개발한 I-STATistic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종속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밝혀진 내용에 대해 확인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밝히기 위해 학습 후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심층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교육 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읽기동기를 향상시킨다. 둘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읽기동기를 이루는 구성요인 중 사회적요인과 회피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읽기동기는 성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도 그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남 여 모두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읽기동기를 향상시키는 시도로서, 앞으로 오랫동안 학창 시절을 보내야 하는 초등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읽기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다양한 교육연극의 방법 중 극히 제한적인 방법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학년과 특성을 지닌 학생들에게 알맞은 교육연극을 활용한 읽기동기 지도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여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학습자의 학습 양식에 따른 '읽기 동기 차이 연구'

        조영순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 양식에 따른 읽기 동기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그리하여 학습자 특성에 따른 독서 지도 방법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양식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읽기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성별과 학년 수준에 따라 읽기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 양식의 유형은 학년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습 양식의 유형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절차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H독서 문화 운동 본부 회원 362명을 대상으로 학습 양식 검사와 읽기 동기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WIN 10.0으로 첫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 방법(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둘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변량 분석 방법(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셋째와 넷째의 가설인 학년 및 성별에 따른 학습 양식 유형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독립성 검증(x^(2): Chi-Square)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양식의 유형에 따라 읽기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독립ㆍ협동ㆍ참여형의 읽기 동기 점수가 가장 높으며 의존ㆍ경쟁ㆍ회피형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자아 효능감, 내적동기, 사회적동기, 외적동기 등 읽기 동기 세부 항목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읽기 동기의 차이 검증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약간 높았으나 그 차이가 미미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학년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는 저학년의 읽기 동기가 고학년에 비해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과 학년 수준 변수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간에는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저학년은 남학생들의 읽기 동기가 높은 반면에 고학년은 여학생들의 읽기 동기가 높았다. 셋째, 학습 양식의 유형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학습 양식과 학년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양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학습 양식과 성별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읽기 지도 방법을 연구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양식에 따른 개별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motivation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data necessary for teaching them to rea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four hypotheses were developed. Firs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 Secon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grade level and gender. Thir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ir grade level. Fourth,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ir gender. 362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H' Reading Campaign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given Learning Style Inventory and Reading Attitude Survey. For analyses of data from the study, One-way ANOVA, Tow-way ANOVA, and Chi-Square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using a SPSS WIN 10.0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 Students who had a independentㆍcooperationㆍparticipation learning style and a dependence·competition·anvoidance learning style display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reading motivation,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veral subordinate constructs of reading motivation survey such as self-efficacy, social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Seco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lthough female students outperformed male students on the reading motivation surve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grade level, indicating the lower grade students hole more positive reading motivation than the higher grade student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grade level, indicating male students hold more positive reading attitude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did more positive reading attitude for the higher grade ones. Thir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ir grade level, indicating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heir grade level are independent each other. Fourth,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ir gender, indicating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heir gender are independent each oth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dividualized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a student learning style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teach them to read effectively.

      • 학업성취도에 대한 읽기동기와 독해력의 상관관계

        이혜경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에 대해서 읽기동기와 독해력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동기와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독해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대해 읽기동기와 독해력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ㄱ시의 ㄴ초등학교 3학년 학생 114명과 6학년 학생 121명, 총 2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업성취도와 읽기동기, 독해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Pearson's r)를 산출하고, 읽기동기와 독해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로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동기와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독해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학업성취도에 대해서 독해력은 15.4%, 읽기동기는 3.5%를 예언하였고, 두 변인이 연합하여 18.9%를 예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독해력이 읽기동기에 비해 학업성취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며, 이 두 변인이 연합하여 학업성취도를 의의 있게 설명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읽기 교육에 있어 인지적 측면과 더불어 정의적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reading motivat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The main hypotheses tested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 of reading motivation and that of reading comprehension on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sample of 114 third-grade students and 121 sixth-grade students in Kyungi province. Two reading measures were administered; Reading Motivation Test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Pearson's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see the correlations among academic achievement,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reading motivat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reading comprehension had stronger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reading motivation. Also, these two variables interacted and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이 독해력과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효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 인지 및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는 학습자의 능동적 역할, 구성적 인지 과정, 상위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정보를 파악하고 조직하는 등의 능동적인 역할을 담당할 때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의 중심을 학습자에 두고 상위 인지 전략으로서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을 통한 독해력 향상과 읽기 동기 형성을 위한 초등학교 5학년 읽기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가>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이 학습자의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나>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이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은 대구광역시 소재 D초등학교 5학년 1개반 35명(남 20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실험 처치 기간은 6주 동안 총 16차시에 걸쳐 질문 생성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사의 결과는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차시별 교수 학습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을 기초로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전체 프로그램은 현시적 교수 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은 학습자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은 학습자의 수준에 있어서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 독해력 향상의 효과가 컸으며 독해력의 하위 범주에 있어서는 ‘추론적 범주’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은 읽기 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이 읽기 동기 하위 요인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사회적 (상호작용)’, ’읽기 회피‘를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이 학습자의 독해력 향상과 읽기 동기 형성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 고등학생 읽기 동기에 관한 연구

        김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spite of reading reinforcement of school and society, today's reading education is facing the fact that students don't like to read. In order to train life-long & self-readers which reading education sets as a goal, above all, it should be figured out what factors motivate reading itself. In other words, the factors which affect reading motivation need to be studied. Although reading motiv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d,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is hardly done. This thesis is trying to provide some teaching skills of self-motivated reading to high school students by searching for high school students' 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Hence, MRQ is conducted to 276 man and woman students of 2 high schools in A city, Kyungki Provence. As a consequence, reading motiv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made up of 8 factors: interest, acknowledgement-competition, challenge, athority, reading efficacy, social interaction, reading absorption, familiarity. As a result of analyzing reading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ity' & 'familiarity' are drew out as new ones which had not been seen in the preceded research. However, 'authority' is included to 'socail interation', and 'familiarity' to 'curiosity' or 'interest‘. That is, they only are differently named and don't go far out from the factors which Wigfield & Guthrie drew out. Reading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s of 8 to 11 factors and that for middle school students 5, but that for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s to again 8. The factors which disappeared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compliance, avoidance- don't reappear in the step of high school. Yet, reading motiv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specialized. Because 'authority' is same as 'social interaction' and 'familiarity' is 'interest'. Those factors are relevant to internal motivation and internal reading motivation is more sophisticated as middle school students become high school students. The 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ly correlate one another and there is no factors negatively correlate. As 'Interest' has relations to other factors mostly over .4, it is impl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stimulated by their interest in order to be motivated to read. As the differences of reading motivation among graders are verified, there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immersion factors between 2nd 3rd graders. As students get to the high school 3rd grade which is the peculiar period, they have limited time and psychological burden because of the Korean SAT. Therefore, it is restrained that high school 3 graders cannot help skipping what they should do while they repeat to read interesting books or read new ones. As it is checked what differences in reading motiv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the rest 7 factors except 'efficacy' showed th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gap in the factor 'efficacy', but female students were more motivated that male ones. The factors were not found which male students were more motivated that female ones. It was also verified that what differences of reading motivation factors students show according to their level of reading achievement, high-, mid-, low- level. High-level students showed higher motivation in every reading motivation factors than low-level ones, and in all the factors except 'acknowledgement-competition' factor than mid-level ones.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id- and low-level students in each factor. This thesis extracted reading motivation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preceded research for reading motivation factors. Moreover, it was drawn out how reading motivation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re develop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graders are compared according to classes. However,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more issues need to be studied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variety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reading motivation, or what factors should be noticed so as to give a positive change to reading motivation. In addition, it needs caution when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nalyzed because it was restrictively conduct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pecific region, and therefore, there is boundar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학교 및 사회의 독서 분위기 조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읽기 교육은 학생들이 글 읽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문제에 당면해 있다. 자발적인 독서를 유도하여 읽기 교육이 목표로 하는 평생 독서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어떤 요인들이 독서 행위를 촉발하는 자극제인가를 밝혀내야 한다. 즉, 읽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읽기 동기를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있어 왔으나, 아직 고등학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읽기 동기를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고등학생들이 보다 자발적으로 독서 행위를 일으킬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기도 A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2개교 남녀 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읽기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읽기 동기는 흥미, 인정-경쟁, 도전, 권위, 읽기 효능감, 사회적 상호작용, 읽기 몰입, 친숙 8개의 요인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생 읽기 동기 구성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선행 연구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읽기 동기 구성 요인으로 ‘권위’ 요인과 ‘친숙’ 요인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권위’ 요인은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 속에 포함되는 속성을 지녔고, ‘친숙’ 요인 또한 ‘호기심’ 또는 ‘흥미’ 요인에 포함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명명을 구분하였을 뿐 Wigfield와 Guthrie(1997)가 추출한 요인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는 않다. 초등학생의 읽기 동기는 8~11개의 요인으로 구성되고, 중학생은 5개 요인으로 구성되지만, 고등학생의 읽기 동기 요인은 다시 8개로 늘어난다.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단계로 넘어올 때 사라졌던 요인들-순응, 회피 요인-이 다시 고등학교 단계에서 살아난 것은 아니며, 다만 중학생의 읽기 동기 요인이 보다 세분화되고 있었다. ‘권위’ 요인은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과 맥락이 같으며, ‘친숙’ 요인 또한 ‘흥미’ 요인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요인은 모두 인간의 내적 동기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중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성장하면서 읽기 동기의 내적인 동기 부분이 더욱 정교하게 세분화됨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 읽기 동기의 요인들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흥미는 다른 요인과의 상관 관계가 대부분 .4 이상으로 나타나, 고등학생에게는 무엇보다도 흥미 요소를 우선적으로 동기화시켜 책을 읽도록 교육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읽기 동기 구성 요인이 학년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2학년과 3학년 사이에서 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교 3학년이라는 특수한 학령기에 이르면, 입시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면서 심적인 여유를 가지기가 힘들고, 학업에 쫓김에 따라 읽기를 즐길 시간이 없어진다. 따라서 고3시기에 재미있는 책을 반복해서 읽거나 책을 읽다가 해야 할 일을 못한다든가 하는 행동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읽기 동기 구성 요인이 남녀 학생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 효능감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요인에서 성별 차이를 보였다. 효능감 요인에서는 남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나머지 7개 요인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동기를 보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동기를 나타내는 요인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읽기 성취 수준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읽기 동기 요인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도 확인하였다. 상 집단은 하 집단보다 모든 읽기 동기 요인에서 높은 동기를 보였으며, 중 집단과 비교했을 때는 인정-경쟁 요인, 권위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은 동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 집단과 하 집단 간에는 읽기 동기 요인별로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읽기 동기 구성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을 추출해내었다. 또한 선행 연구와의 연결 고리 속에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이 어떻게 발전해 가는지를 추적하였고, 남녀 및 학년 차이, 읽기 성취 수준별 차이도 학교급별로 비교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고등학생의 경우,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읽기 동기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읽기 동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에 주목해야 하는가 등등의 문제들이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온라인 북토크를 활용한 독서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읽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정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읽기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 현장의 읽기 교육에서는 읽기동기 향상을 위한 접근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독서 교육의 목표인 평생 독서자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읽기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북토크를 활용한 독서클럽 활동이 읽기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읽기동기(전체, 하위영역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학년에 따른 학생의 읽기동기(전체, 하위영역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성별에 따른 학생의 읽기동기(전체, 하위영역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읽기동기의 개념을 알아보고 읽기동기의 요인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온라인 북토크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읽기동기 향상 프로그램으로서 질문생성 전략을 토대로 ‘온라인 북토크’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시흥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학년 별로 1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사전·사후에 읽기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정된 자료 읽기 – 질문생성 전략에 따라 질문 만들기 – 온라인 북토크하기’의 3단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8주 총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은 중학생의 읽기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이 자료(글)를 읽은 뒤 북토크를 활발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질문생성 전략에 따른 질문을 만들고 귀가해서 온라인 북토크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이 읽기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읽기동기의 하위 영역 별로 보면, 사회적 상호작용, 읽기 효능감, 흥미 등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총 5개 하위 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 읽기 효능감, 흥미, 인정-중요성, 몰입 중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읽기 효능감, 흥미’ 등 세 부분에서 읽기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읽기동기의 변화를 학년으로 나눠 살펴봤을 때, 2학년의 경우, 읽기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2학년의 경우, 읽기동기 하위 요인인 ‘사회적 상호작용, 인정-중요성, 읽기 효능감과 흥미’ 등 네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3학년의 경우 통계적으로 전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3학년에게는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읽기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다. 셋째, 읽기동기의 변화를 성별로 나눠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의 경우 읽기동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요인의 경우에도 ‘사회적 상호작용, 인정-중요성, 읽기 효능감, 흥미, 몰입’ 등의 5개 모든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읽기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여학생은 하위 요인 중 ‘사회적 상호작용’ 면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남학생에게는 전반적으로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여학생에게는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읽기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다. 온라인 북토크 활동 이후에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문항을 ‘온라인 북토크에 대한 참여도, 북토크 활동의 수준의 적절성, 읽기자료의 수준 면, 북토크 활동의 흥미 여부, 책 읽기 선호도, 질문 만들기의 영향, 글에 대한 몰입도, 온라인 북토크의 유익 여부, 읽기동기 자극 여부, 온라인 북토크 활동에 추천 여부’ 등으로 만들어 설문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80%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주었다. 또한 온라인 북토크 활동을 통해 독서 후 상호작용하는 것이 재미있었고 책 읽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기술을 하였다. 즉, 온라인 북토크 활동으로 말미암아 글 읽기가 즐거워졌으며 친구들과 독서 대화를 함으로써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 흥미로웠으며 사고가 깊어졌다는 반응을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읽기동기 향상에 기여하는 한 교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온라인 북토크 독서클럽 활동이 독서 교육 현장에서 읽기동기 향상의 방법적 개선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온라인 북토크, 읽기동기, 독서클럽 활동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 approach to improvement of reading motivation is lacking in reading education in actual education field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posi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be a lifelong reader,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reading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club activities using middle school students online book talk on reading motivation.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y affect the read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ies on students’ motivation to read according to their grade level? Third, what is the effect of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ies on students’ motivation to read according to gen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reading motivation and to examine 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online book talk and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using ‘online book talk’ based on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as a reading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second and third-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iheung, Gyeonggi-do. Two classes of each grade were chos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 performed the reading motivation test.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three-step process of reading selected materials, creat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and online book talk.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s were tested eight tim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reading motivation sub-factors such as social interaction, reading efficacy, and interes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ies.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interaction, recognition-importance, reading efficacy and reading motivation total score in the second grade students. Therefore,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third grade, so the third grad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ies. Fourth, mal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gicant difference in reading motivation sub-factors such as social interaction, recognition-importance, reading efficacy, and interest. However,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re was a signigicant difference only in the social interaction among sub-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So overall, for boys, the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but the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y did not seem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emale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nline book talk reading club activity could be a teaching learning method that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 read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eading motivation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Keywords : Online Booktalk, Reading Motivation, Reading Club Activity.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읽기동기와 가정문해환경 : 자녀에 대한 인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

        김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유아의 읽기능력과 올바른 독서습관 및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가정문해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07명이다. 어머니의 읽기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Schutte와 Malouff(2007)가 개발한 ‘성인 읽기동기’ 척도(Adult Motivation for Reading Scale)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인지적 자녀기대감을 측정하기 위해 박은희(2003)가 개발한 자녀기대감 척도 중 인지적 역량기대와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문해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황선희(2004)와 이미란(2007)의 연구를 기반으로 전춘애, 최정희, 황미경(2010)이 재구성한 가정 독서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의 alpha값을 산출하고,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읽기동기(내재적 읽기동기, 외재적 읽기동기), 자녀에 대한 인지적 기대감과 가정문해환경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읽기동기(내재적 읽기동기, 외재적 읽기동기)와 가정문해환경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인지적 자녀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읽기동기가 어머니의 인지적 자녀기대감을 매개로 하여 가정문해환경에 미치는 유의도를 보다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문해환경은 내재적 읽기동기와 외재적 읽기동기 그리고 인지적 자녀기대감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내·외재적 읽기동기와 자녀기대감 또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내재적, 외재적 읽기동기와 가정문해환경간의 관계에서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적 기대감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읽기동기가 가정문해환경의 인적환경을 조성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적 기대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가정문해환경의 선행요인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인 읽기동기가 가정문해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또 다른 심리적 변인인 인지적 자녀기대감간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가정문해환경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유아의 읽기능력과 올바른 독서습관 및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가정문해환경 조성을 위한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regarding home literacy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cultivate reading skills as well as reading habits and attitud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reading motivation (intrinsic and extrinsic) and their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children. Also, the role of cognitive expectation towards their childre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explo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7 mothers having a four- or five-year-old child. To measure mothers’ reading motivation, ‘the Adult Motivation for Reading Scale’ developed by Schutte and Malouff (2007) was employed, and to measure mothers’ cognitive expectation for children,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Scale of Expectation for Children’ developed by Pak Eun-hui (2003) was employed. Lastly, to measure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Home Reading Environment Scale’ developed by Hwang Seon-hui (2004) and Lee Mi-ran (2007) and then reorganized by Jeon Chun-ae, Choi Jeong-hui, and Hwang Mi-gyeong (2010) was employed here. First, home literacy environment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intrinsic and extrinsic reading motivation and cognitive expectation for children as well. Second, in correlation between mothers’ intrinsic and extrinsic reading motivation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mothers’ cognitive expectation for children has partially mediating roles. In other words, mothers’ high reading motivation has direct influence on forming enriche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also has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mediation of mothers’ cognitive expectation for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amined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e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in mothers having a child in early childhood, influences the creation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also create home literacy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cultivate their reading skills as well as reading habits and attitudes righte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