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MVD를 진단받은 개에서 폐동맥과 폐정맥의 직경 비율을 측정하는 것의 진단적 가치

        김지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27

        본 연구는 MMVD로 진단된 개를 대상으로 심장초음파를 이용한 폐정맥과 폐동맥의 직경 비율 (PV/PA)을 측정하는 것이 진단적인 가치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전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한 보호자 소유의 반려견 총 75마리를 포함하였으며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개들은 통상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검사되었고 American College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지침에 따라 B1, B2 및 C 단계로 분류되었습니다. 추가로 PA/PV는 right parasternal long axis four chamber view에서 bi-dimensional 모드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각 그룹의 PV/PA: 대조군 (1.08 ± 0.22), B1 (1.32 ± 0.30), B2 (2.06 ± 0.72), C (2.94 ± 1.01)로서, One-way ANOVA 분석 (Bonferroni's adjustment)을 이용하여 MMVD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PV/PA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P < 0.001). 또한, PV/PA는 울혈성 심부전 증상이 없는 그룹과 비교했을 때 울혈성 심부전 그룹에서 의미있게 더 높았다 (P < 0.001). 한편, Pearson’s correlation method를 이용하여 동일 집단에 대해 PV/PA와 다른 진단수치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결과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 < 0.01). 결론적으로 MMVD에서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PV/PA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기존 지표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V/PA 측정법은 기존 심장초음파 지표에 비해 평가가 쉽고 이용하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무증상 MMVD로부터 울혈성 심부전을 감별하는 데에 기존 지표들와 동등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를 통제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의 신뢰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야 한다. To identify the diagnostic value of pulmonary vein to pulmonary artery ratio (PV/PA) measurement with echocardiography for dogs diagnosed as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 A total of 75 client-owned dogs examined at the Jeonbuk Animal Medical Center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ogs were examined using the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 and classified into B1, B2, and C according to the American College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2019 guideline. Additionally, the PA/PV was measured using bi-dimensional (2D) mode in the right parasternal long axis four chamber view. The PV/PA in each group : control (1.08 ± 0.22), stage B1 (1.32 ± 0.30), stage B2 (2.06 ± 0.72), stage C (2.94 ± 1.01). Using One-way ANOVA analysis (Bonferroni’s adjus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V/PA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MMVD stage progressed (P < 0.001). Additionally, PV/PA was higher in the congested heart failure (CHF)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no-CHF group (P < 0.001).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V/PA and other diagnostic values for the same groups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method (P < 0.01). In conclusion, as the severity of MMVD increased, PV/PA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ventional indicators. The PV/PA measurement has advantages of being easy and simple to evaluate compared to existing echocardiography indices. However, in order to be used to differentiate CHF from asymptomatic MMVD dogs on an equal basis with existing indicators, additional studies with various variables controlled are required, and more data should be accumulated to support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 흰쥐 신장에서 교감신경의 aquaporin-2 수분 통로 조절 기능

        정균호 전남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580

        배경: 신장에서 교감신경이 aquaporin 2(AQP2) 수분 통로 발현을 조절하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Sprague-Dawley 숫쥐를 사용하였다. 신장신경을 제거하기 위해 마취하에 복부 정중선을 따라 피부를 절개한 후 복강을 통하여 좌측 신동맥을 노출시키고 그 주행경로 주위의 신경조직과 결합조직을 벗겨낸 뒤 혈관 주위에 10% phenol 용액을 발라 주었다. 수술 시행 사흘 뒤에 신경제거 신장과 반대쪽 신장을 취하였다. 화학적 교감신경절제를 위해서는 6-hydroxydopamine(1 mg/kg)을 꼬리정맥에에 주입한 뒤 이틀 뒤에 신장을 취하였다. 또한 한 쪽 신장신경을 제거한 흰쥐에서 7일 동안 마실 물을 제한함과 동시에 V2 수용체 길항제를 지속적으로 주입하고 나서 신경을 제거한 쪽과 반대쪽 신장을 각각 취하였다. 또 다른 실험 모델로서 신장신경 제거 또는 신장신경이 온전한 흰쥐에서 각각 deoxycorticosterone acetate (DOCA)-salt를 처리하여 2주 뒤에 신장을 취하였다. 이들 신장에서 AQP2 수분 통로 발현을 Western blot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결과: AQP2 단백 발현은 신경 제거 신장의 수질외대 및 수질내대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반대쪽 신장에서는 AQP2 단백 발현이 수질외대 및 수질내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면역조직화학소견에서도 신경제거 신장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AQP2 발현을 보였으며, 반대쪽에서는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6-Hydroxydopamine 처리에 의해 신장의 수질내대에서 AQP2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수분 섭취 제한 흰쥐에서 신장 신경이 온전한 신장에서 AQP2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신장신경 제거 신장에서는 도리어 감소하였다. DOCA-salt 흰쥐에서 고혈압의 정도는 신장 신경을 제거한 군에서 신경이 온전한 군에 비하여 낮았다. 이 때 DOCA-salt 흰쥐에서 신장 신경 제거군 및 온전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교하여 신장 수질내대의 AQP2 수분 통로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신장 신경 제거군에서 증가정도는 신장 신경을 제거하지 않은 DOCA-salt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약되었다. 결론: 이상의 실험 결과는 신장에서 교감신경계는 AQP2 수분 통로 단백 발현에 긴장성 자극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Whether there exists a sympathetic neural mechanism in the regulation of aquaporin-2 (AQP2) water channels in the kidney was examined.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ur different series of experiments were done. In the first series, the renal nerve was unilaterally denervated by stripping the nervous and connective tissues passing to and along the course of the renal artery and vein and painting these vessels with a solution of 10% phenol through a midline abdominal incision. Control rats received only a midline abdominal incision. They were kept for 3 days until sacrificed. In another series of experiment, chemical sympathectomy was achiev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6-hydroxydopamine (1 mg/kg). They were used 2 days later. In the third series, rats were unilaterally renal nerve-denervated and subjected to a water restriction which consisted of allowances to drink 10 ml of water for 3 days and 5 ml for 2 days followed by a total deprivation of water for 1 day. During the days of water restriction, the rats were intraperitoneally infused of V2 receptor antagonists (arginine vasopressin fragment 4-9, 5 ㎍/kg/day) through osmotic minipump. In the last series, deoxycorticosterone acetate (DOCA)-salt hypertension was induced in renal nerve-intact and denervated rats. The expression of AQP2 proteins was determined in the kidneys. Results. Following the denervation, the norepinephrine content in the denervated kidne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at in the contralateral kidney increased. Accordingly, the expression of AQP2 proteins was markedly decreased in the denervated kidney. The chemical sympathectomy with 6-hydroxydopamine marked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QP2 proteins in the kidney. Following the water-restriction, the expression of AQP2 channels increased, however, the magnitude of which was lower in the denervated than in the contralateral innervated kidney. The renal nerve denervation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development of DOCA-salt hypertension, along with a less increased expression of AQP2 proteins in the kidney.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has a tonic stimula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AQP2 water channels in the kidney.

      • 문맥압항진증에 의한 식도 정맥류와 울혈성 위병변에서 Inducible Nitric Oide Synthase의 발현양상에 관한 연구

        최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452

        목적 : 간경변증에 의한 문맥압항진증이 있는 환자들은 내장순환의 과역동상태에서 문맥계 측부순환의 발달로 식도정맥류와 울혈성 위령변이 흔히 관찰되며 이는 위장관 출혈의 gms한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Nitric oxide(NO)는 평활근 이완에 의한 측부세정맥의 확장을 유발시키는 Endothelium-drived relaxing factor(EDRF)로써 Nitric oxide synthase(NOS)에 의해 유도되는 물질이다. 최근에 NO가 문맥압항진증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역동 내장순환의 매개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NOS는 혈관내피 세포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생리적 자극에 의해 NO를 유도하는 constitutive form(cNOS)과 혈관내피세포, 간세포 및 대식세포 등에서 여러가지 내독소, cytokine 등의 자극에 의해 NO를 유도하는 inducible form(iNOS) 등 두가지 형대로 존재한다. 간경변증에 의한 문맥압항진증에서 내독소혈증은 흔히 관찰되며 이로인한 iNOS의 자극은 NO의 생성을 증가시켜 과역동 순환장애의 발생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설이 동물실험에서 제시된 바 있다. 대상 및 방법 : 문맥압항진증에 의한 식도정맥류 및 울혈성 위병변과 NO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식도정맥류와 울혈성 위병변이 같이있는 간경변증환자 16예에서 식도정맥류와 위병변에서 채취한 점막조직으로 부터 총 RNA를 분리한 후, 역전사증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시행하여 iNOS mRNA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과거에 식도정맥류에 대한 치료를 받았거나 감염증, 악성종양 등 간경변증 이외의 다른 전신적 질환이 있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정상대조군 10예에서 하부식도와 위체부의 점막조직을 채취하여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 정상대조군의 하부식도와 위체부에서 iNOS mRNA의 발현은 한 예도 없었다. iNOS mRNA는 16예의 식도정맥류증 9예(56.3%), 울혈성 위병변증 8예(50%)에서 발현되었다. 식도정맥류와 울혈성 위병변에서 발현된 iNOS mRNA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OS mRNA 발현유무에 따른 환자의 임상적, 내시경적 소견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식도정맥류와 울혈성 위병변에 있는 환자의 일부에서 iNOS mRNA의 발현이 관찰되어 NO가 문맥압항진증에 의한 혈류순환장애 및 출혈의 발생기전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다른 요인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Chronic portal hypertension is associated with hyperdynamic splanchnie circulation with reduced vascular resistance and increased blood flow, leading to collateralization of portal system and bleeding of gastrointestinal tracts. Among the suggested major vasoactive substances implicated in portal hypertension, nitric oxide (NO) induced by NO synthase (NOS) is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dilating terminal collateral venules by smooth muscle relaxation. Constitutive NOS (cNOS) is normally present in vascular endothelia and produces NO in response to physiologic stimuli, while inducible NOS (iNOS) is induced in response to bacterial endotoxins and cytokines in various cell types. Based on frequent observation of the endotoxemia in portal hypertension,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role of NO in hyperdynamic circulation and development of esophageal varix and congestive gastropathy in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by measuring the expression of iNOS mRNA. Methods: We compared the expression of iNOS mRNA in esophageal variceal and congestive gastric mucosa in 16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with that in distal esophageal and gastric mucosa in 10 normal controls. Those who were previously treated for varix or had systemic diseases except liver cirrhosi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In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after biopsied the ligated variceal and congestive gastric mucosa following varix control using endoscopic variceal ligation,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iNOS mRNA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using specific primer for iNOS gene in these biopsied specimens. Results: There were no expression of iNOS mRNA in distal esophageal and gastric mucosa of normal controls. In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iNOS mRNA of esophageal variceal and congestive gastric mucosa were expressed in 9(56.3%) and 8(50%) out of 16, respectively. Also Inducible NOS gene was concurrently expressed in both variceal and congestive gastric mucosa except one in portal hypertensive patients who expressed the iNOS mRNA.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chemical data and endoscopic finding between the patients with or without iNOS mRNA expression. Conclusions : iNOS mRNA was activated in some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and then NO induced by iNOS may be associated with hyperdynamic circulation and development of collaterals in these patients. In the future, other factors affecting the hyperdynamic circulation in portal hypertension may be investigated.

      • 울혈성 비장기능 항진증에 대한 비장절제 수술의 효과에 대한 고찰

        최은영 全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375

        저자는 1982년 1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약 4년간 전북의대 부속병원과 전주예수병원에 입원한 이차성 울혈성 비장기능항진증 환자 19예에서 비장절제수술을 받은 후 수술 받기 전과 수술 후 임상경과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여 비율은 남자 8명, 여자 11명으로 총 19예였고, 연령은 11세부터 53세 까지로 평균 37세였다. 2) 원인별 질환은 간경변증이 16예(84%), 비정맥 혈전증 1예, 문정맥 혈전증 2예였다. 3) 16예의 간경변증 환자의 수술전 상태를 보면 Child class B와 C가 13예(81%)였고, 식도정맥류를 동반한 예는 12예(75%)였으며, 그 중 7예(58%)가 정맥류 출혈을 하는 환자로서 전신상태가 대단히 불량하였다. 4) 상기와 같이 수술전의 임상상태가 불량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장절제수술을 받은 후 단 2예만이 수술 직후 사망하였으며, 16예는 1개월부터 36개월까지 추적기간 중 현재 생존해 있으며, 1예는 추적 46개월째에 사망하였다. 5) 수술후 저명한 호전을 보인 검사결과는 백혈구 혈소판 혈색소 및 헤마토크리트치로서, 백혈구는 2274±272에서 8858±1018(/㎣)로, 혈소판은 65.7±606에서 291.8±39.5(×10³/㎣)로, 혈색소는 9.3±0.5에서 12.1±0.3(gm/dℓ)로, 헤마토크리트치는 27.6±1.4(%)에서 36.7±0.9(%)로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증가를 보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 식도정맥류 및 출혈이 있으며 Child class B, C에 속한다 할지라도, 이차성 비장기능항진증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비장절제수술을 함으로써 환자의 임상경과를 양호하게 하는 반증을 제시해 주고 있다. Since there are many patients of liver cirrhosis in Korea, We have frequently encountered secondary congestive hypersplenism due to portal hypertension, most of which are accompanied by esophageal varices with or without bleeding. Unfortunately no specific medical or surgical treatment has been established yet. In this report, the effect of splenectomy was reviewed on 19 patients of secondary congestive hypersplenism who was admitted t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1982 to 1985.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ale to female ratio was 8:11, and mean age of 19 patients with congestive hypersplenism was 37, ranging from 11 to 53. 2. Underlying diseases of secondary congestive hypersplenism were as follows. 16 cases of liver cirhosis, 2 cases of portal vein thrombosis, and 1 case of splenic vein thrombosis. 3. Preoperative general conditions of 16 patients of liver cirrhosis were very poor; not only 13 cases (81%) of them were included in the child's class H or C, but 12 cases (75%) had esophageal varices 7 cases of which were accompanied by bleeding. 4. In spite of a very poor preoperative condition only 2 patients died in the perioperative period, remaining others (16 pts) were still well during the follow-up period 1st to 36 months except one expired at 46th month of post-operation. 5. The data improved remarkably after splenectomy were WHC counts, Platelet Counts, hemoglobin, and hematocrit; WBC counts were from 2274±272 to 8858±1018(/mm³), Platelet counts from 65.7±6.6 to 291.8±39.5(x10³/mm³), hemoglobin from 9.30±0.5 to 12.1±3(gm/㎗), and hemoglobin from 27.6±1.4 to 36.7±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