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영성치유에 관한 연구 : -HJ천주천보수련원과 HJ매그놀리아국제병원의 영적치유사례를 중심으로-

        이규박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수련기관인 HJ천주천보수련원에서 이루어진 영성치유를, 정신질환에 대한 정신의학적 치료와 병행하면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문헌고찰을 중심한 사례연구를 통해 그 사실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영성치유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이미 기독교 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의 연구는 제한적이고, 영성치유에 대한 의학적이며 실증적인 관점에 집중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여 본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영성치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둘째, HJ천주천보수련원의 영적치유를 HJ매그놀리아국 제병원에서의 정신의학적 치료를 중심으로 정신질환자 14명의 사례를 소개 하고 도출된 분석관점으로 분석하였고, 셋째, 그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세 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발전적 영성치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영성치유는 사탄과 악령의 역사로 영적 혹은 육적 고통과 질병에 시달리는 인간이, 천지인참부모님의 신령과 진리의 역사로 사탄과 악령을 분립하여, 진리의 말씀 실체화를 통해 전인적 성장을 이루어 천지인참부모님을 닮은 참 인간의 모습을 되찾아, 본연의 건강한 영인체와 육신으로 회복되어가는 과정이다. 이 정의로부터 도출된 분석관점은 사탄과 악령의 역사로 인한 질병 발생, 신령과 진리의 역사로 인한 영 분립, 그리고 말씀 실체화와 전인적 성장을 통한 영육 회복이다. 그리고 세계 평화통일가정연합의 발전적 영성치유를 위해, 영적 질병과 정신건강의학적 진단, 정신질환 치료와 영성치유에 임하는 치료자의 자세, 정신질환과 영성 치유에 임하는 환자 및 보호자의 자세, 그리고 예방과 재발 방지라는 방안 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영성치유, 영적치유, 정신건강의학, HJ천주천보수련원, HJ매그놀리 아국제병원 This study assumes that better effects can be expected if spiritual healing conducted at HJ Heaven and Earth CheonBo Training Center, a training institute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FFWPU), is combined with psychiatric treatment for mental illness, and the study aims to reveal the facts through case studies centered on literature review. Although much academic research on spiritual healing has already been conducted in Christianity, research at FFWPU is limited, and research focusing on med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on spiritual healing is even more lacking, thus making this study necessa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provide a theoretical review of spiritual healing of FFWPU; second, to present and analyze 14 cases of psychiatric patients from the derived analytic perspective, who underwent spiritual healing at HJ Heaven and Earth CheonBo Training Center, with a focus on psychiatric treatment at HJ Magnolia International Medical Center; third,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al spiritual healing of FFWPU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spiritual healing of FFWPU separates Satan and evil spirits from humans suffering from spiritual or physical pain and illness due to the work of Satan and evil spirits,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ruth of the True Parents of Heaven, Earth and Humankind. It is a process of achieving holistic growth through substantializing the Word of Truth, regaining the true human from resembling the True Parents of Heaven, Earth and Humankind, and recovering the original healthy spirit and body. The analytical perspective derived from this definition is the occurrence of diseases due to the work of Satan and evil spirits, the separation of these spirits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Truth, and the recovery of spirit and bod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Word and holistic growth. For the progressive spiritual healing of FFWPU, medical diagnosis of spiritual illness and mental health, the therapist's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treatment and spiritual healing, the patient and guardian's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and spiritual healing, and the methods of preventions and a plan to prevent recurrence were proposed. Keywords: spiritual healing, divine healing, psychiatry, HJ Heaven and Earth CheonBo Training Center, HJ Magnolia International Medical Center

      • 가톨릭 신자의 영성과 사회복지의식과의 관계 : 원주교구 영동지구를 중심으로

        송미원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소도시의 가톨릭 신자를 대상으로 영성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회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하는 당위성과 영성적 실천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원주교구 영동지구 5개 본당 신자 중 289명을 표본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근거로서 영성의 개념 및 속성과 가톨릭 사회복지에 관하여 성경과 교회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방법은 분산분석(ANOVA)과 T검증을 통해 가톨릭 신자의 영성과 사회복지의식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영성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영성과 사회복지의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신자의 영성의 정도를 보면, 영성과 연령은 의미가 있었으며 그 중 50대 여성이 높았다. 직업별 영성의 정도는 학생들이 가장 낮았으며, 생활정도와 영성 간에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당 내에서 단체 활동을 하고 있는 신자들의 영성 측정 지표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가톨릭 신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의 정도는 40대~50대의 전업주부가 높았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과 사회복지의식 간에는 대체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종교적 특성과 사회복지의식 간에는 의미가 있었는데, 본당 내 단체 활동을 하는 등 신앙생활이 왕성할수록 사회복지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톨릭 신자의 영성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간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영성의 수직차원에 비하여 수평차원이 사회복지의식에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평적 차원은 삶에 대한 만족감과 삶의 의미와 목적에 관계되는 실존적 의미로서 자신, 이웃,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반영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가톨릭 신자의 영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복지의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가톨릭 신자의 영성과 사회복지의식과의 두 변수의 관계에서 영성이 높아질수록 사회복지의식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회 사회복지가 그리스도적 영성 실천이 되기 위하여 세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평신도의 영성 교육을 위한 체계적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과 개발이다. 둘째, 가톨릭 사회복지의 지침인 사회교리 교육을 전 신자 대상으로 본당차원에서 실시한다. 셋째, 본당 사회복지 활동을 위한 내부 및 외부 조직 체계 구축 및 전달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본당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영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으로의 연구는 평신도 영성의 차원을 고려한 전인적 관점의 영성측정도구 및 교육 개발의 적극적인 연구로써 모든 평신도들이 좀 더 성숙된 영성적 실천인 본당 사회복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대해본다.

      • 목회자의 영성 발달과 교회 성장 영향의 가능성

        한성수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major point on this study is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I recognize the fact that for authentic church growth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should be antecedent. In chapter one, as the motivation and the goal of this study, I address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in church growth. For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growth and the spirituality of a minister is considered, and I suggest that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is a core to revitalize Korean church and people. In chapter two, to understand what Christian spirituality is, this study discusses the general spirituality and its etymological concept. After that this study explains the misconceptions on spirituality, what is genuine spirituality, and the meaning of spirituality and relationship and hetro-centrique. Chapter three introduces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is to follow Jesus Christ, depicting the concept of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and emphasizes that the main operator of the ministry of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is the Holy Spirit and that it is impossible to accomplish spirituality development without intervention of the Holy Spirit. Finally, this chapter classifies five categories for spirituality development. In chapter four, elaborating the definition and qualification of ministers, I mention that a minister is not just a specialized labour but the ambassador of Christ, the preacher of the gospel, and the holy and divine character as a interpreter of the truth. And continually I cover the desirable spirituality of ministers, illustrating the sense of divine calling, personality, piety, morality, and leadership as characters of ministers. Chapter five elaborates the church growth and the spirituality of ministers. In this chapter, the definition of church growth,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foundation of church growth, and the principle and condition of church growth are expla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and the church growth is discussed. In chapter six,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tools for promoting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with specific tools for developing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spiritual domains. In conclusion, I consider the fact that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and the church growth have close relationship. The purpose, therefore, a minister pursues is a holistic spiritual development. This study closes with an emphasis of the fact that if the spirituality development of ministers be continually accomplished, the future ministry for the church will regain spiritual power, resulting in a real church growth.

      • 4차원영성의 정통성과 현재성에 관한 연구

        홍성녕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영산 조용기 목사가 1979년 The Fourth Dimension, Volume 1을 출간함으로써 전세계에 소개한 4차원영성의 본질에 관하여 확장주의적 전략을 적용하여 서술한 개론이다. 영산의 ‘3대교리’ 가운데 ‘선행 2대교리’인 오중복음과 삼중축복은 영산 신학에 전유적으로 나타나는 변별적 요소라기보다는 차라리 기독교의 정수를 집약한 보편교리로서 인식되는 측면이 있는 반면 4차원영성은 성령의 영감하심 속에서 영산의 천재적 고안에 따라 이루어진 독특한 영적·신학적 구조물인 만큼 차별화된 관점의 적용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다른 교리들과 차별화된 4차원영성의 변별적 본질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첫째로 4차원영성의 세계관 지평을 다룰 것이다. 둘째로 4차원영성의 그리스도중심성과 성령지향성의 동시적 본질을 논구하기 위하여 적용된 기독-성령론(성령-기독론)의 관점으로부터 ‘드라마 신학’ 또는 ‘정경-언어적 신학 방법론’과 4차원영성 사이의 관계성을 진술할 것이다. 셋째로 4차원영성의 정통 영성체계로서의 본질과 그 현재적 효과에 관해 제시할 것이다. 넷째로 4차원영성과 영산 신학의 목회적 본질을 밝히기 위한 ‘미니멀리즘’ 개념이 도입·적용될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을 통해 영산 연구에 처음 소개되는 개념인 ‘3.5차원성’, ‘두 세계 모티프’는 4차원영성의 기독교적 정통성을 옹호하기 위하여, ‘미니멀리즘’은 영산의 신학과 그의 사역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불가결한 속성이다. 이 논문은 다소간 과소평가되어온 4차원영성의 본질을 재구성하여 그 기독교적 정통성과 현재성을 알림으로써 그 신학적·사역적 적용성을 확장하는 것을 그 첫째 목표로 한다.

      •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에 대한 연구 : 「생수의 강」을 중심으로

        김태오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treatise is studying the spirituality 「Streams of Living Water」in center of the Richard Foster. Today, the spirituality of the Richard Foster which is a master of the spirituality theology is actively developing his theology 'Renovare' in center. Especially, the feature of his spirituality appeared well in his book. The spiritual theology of the Richard Foster which appears in the 「Streams of Living Water」is classified with six kinds. These six kinds of the spirituality was rooted in spirituality of Jesus and was streamed. The Richard Foster classified these six kinds of spirituality into the tradition of the contemplation, the holiness, the charisma, the social justice, the evangelism and the spirituality of the incarnation. He suggests these six kinds of tradition with God love vertically and neighborhood love horizontally. He classified and balanced the God love and the neighborhood love which were the most basic frame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I researched in six kinds of spirituality appeared in the 「Streams of Living Water」of the Richard foster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I saw the vertical dimension which was the love of God as the tradition of the contemplation, the holiness, the charisma. And I researched in dividing by the tradition of the social justice, the evangelism, the spirituality of the incarn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Finally, these six kinds of the spirituality which the Richard foster mentions streamed from the spirituality of Jesus and was a various tradition. We know that the current of the spirituality which is divided by this is integrated and is balanced in Jesus Christ. The spirituality of the Richard Foster was accomplished in the frame of the Words of God. The background of these 6 kinds of spirituality is based on the spirituality of the Jesus, the quaike religion, the religious reform. Finally, the spirituality of the Richard foster is based on these 3 kinds of the spirituality. His spirituality considers seriously contemplation by being influenced the quaike religion which listens to the voice of God through silence. But his spirituality is based on the Word of God. The frame of his spirituality is rooted in the reformators in whom the Words of God is in center. The spirituality which appears in 「Streams of Living Water」of the Richard Foster says that it must be united and integrated in the spirituality of Jesus. Today, the spirituality training and the religious activity which is developed in the each religious community are taking a unique flowing of spirituality of themselves. Sometimes, the spiritual activity which is leaned at one side must be harmonized and balanced in the frame of the spirituality of Jesus. Especially, with standardizing of Words of God, the various spirituality activity is harmonizing and balancing and must be builded with the religious community . When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 is recovered from the vertical relationship which is love of God and the horizontal relationship which is neighborhood love, it will be builded in the balanced believer. 이 논문은 「생수의 강」을 중심으로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현대 영성신학의 대가인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은 그의 신학사상 '레노바레'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그의 영성의 특징은 그의 저서 「생수의 강」에 잘 나타나 있다. 「생수의 강」에 나타난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신학 사상은 6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 6가지 영성은 예수님의 영성에서 뿌리를 두고 흘러내려왔다. 리처드 포스터는 이 6가지 영성을 묵상의 전통, 성결의 전통, 카리스마의 전통, 사회정의 전통, 복음전도의 영성, 성육신의 전통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6가지 전통을 수직적으로 하나님 사랑과 수평적으로 이웃 사랑으로 구별하여 열거하였다. 기독교 영성의 가장 기본적인 틀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안에서 분류하여 균형을 이루고자 하였다. 리처드포스터의 「생수의 강」에 나타난 6가지 영성을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하나님의 사랑인 수직적 차원에서는 묵상의 전통, 성결의 전통, 카리스마의 전통으로 보았다. 그리고 수평적 차원에서는 사회정의의 전통, 복음전도의 전통, 성육신의 전통으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결국 리처드 포스터가 말하는 이 6가지 영성은 예수님이 가진 영성이 흘러 나와 다양한 전통을 이루었다. 이렇게 나뉘어진 영성의 흐름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통합되며 균형을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리처드 포스터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의 틀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 6가지 영성의 배경은 예수님의 영성과 퀘이커교의 영성, 종교개혁주의 영성에 기초한 것이다. 결국 리처드 포스트의 영성은 이러한 3가지 영성을 근거로 하고 있다. 그의 영성은 침묵을 통해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던 퀘이커교의 영향을 받아 묵상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영성은 하나님 말씀을 기초한 것이다. 그의 영성의 틀은 하나님의 말씀이 중심인 종교개혁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리처드 포스터의 「생수의 강」에 나타난 영성은 예수님의 영성에서 서로 연합되고 통합되어야 함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 각 신앙 공동체 안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영성훈련과 신앙활동은 각기 자신들이 가진 독특한 형태의 영성의 흐름을 취하고 있다. 때로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영성운동이 예수님의 영성의 틀 안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특히 하나님의 말씀이 기준이 되어 다양한 영성운동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건강하며 능력 있는 신앙 공동체로 세워져야 한다. 그리스도인의 영성이 하나님 사랑인 수직적 관계와 이웃사랑인 수평적 관계에서 회복될 때 균형적인 신앙인으로 세워질 수 있다.

      • 토마스 베리의 생태영성 연구와 한국 천주교 환경운동 방향 모색 : 토마스 베리의 우주론과 창조영성을 중심으로

        김정철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환경 문제를 신학적으로 접근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먼저 환경 문제를 다루는 시각이 신학에서 변화되었음을 밝혔고, 토마스 베리(T. Barry)의 사상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이어서 한국 가톨릭교회의 환경 운동 실태를 파악하고 그 방향성을 점검하였다. 환경 관련 신학을 개괄한 첫째 마당에서는 기존의 구원중심의 영성이 창조 중심의 영성을 통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인간의 구원을 추구하는 영성과 창조주 하느님을 기리는 영성을 통합한 생태 영성은 초월적이면서 내재적인 하느님을 부각시키고 그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의 지위와 소명을 적절히 일깨워준다. 둘째 마당에서는 생태영성의 대표 주자인 토마스 베리의 우주론과 창조 영성을 규명하였다. 그의 생태 사상은 쟘바티스타 비코(Giambattista Vico)의 거시적 역사관, 테야르 드 샤르뎅(Teilhard de Chardin)의 진화론적 세계관, 현대 과학 사상과 더불어 형성된 유기적인 세계관, 동양 종교의 자연 친화적 세계관 그리고 미주 대륙의 토착문화에 나타난 자연관 등을 바탕으로 한다. 베리에 따르면 하느님의 존재가 “전 우주를 포함하고 관통함으로써 우주의 구석구석이 하느님 안에 존재하지만, 이 존재는 우주보다 크고 우주에 의하여 소진되지 않는다.” 그는 인간만이 하느님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 공동체가 모두 하느님을 향하는 신성한 공동체를 이룬다고 한다. 베리는 인간 중심의 신생대가 끝나고 생태대로 접어들었다고 주장한다. 생태대는 우주가 생성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깨달은 시대요, 지구가 살아있는 생명체임을 깨달은 시대다. 그리스도께서 시작한 구원 사업은 인류에게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 지구와 우주 전체를 지향한다. 그의 사상은 과학적 지식과 역사적 경험 및 종교 심성을 잘 통합하여 생태 위기에 대응하는 신학을 제공한 반면에 구체적인 실천성이 결여된 약점을 지닌다. 셋째 마당에서는 한국천주교회의 환경 운동 현황을 고찰하였다. 각 단체별로 환경 보전에 대한 필요성을 자각하여 실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환경 운동이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각 단체별로 시행되는 운동들의 통일성과 연대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고, 생태 영성을 고취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청된다. 넷째 마당에서는 토마스 베리의 사상을 기반으로 사목적 교육적 대외 활동적 제언을 해 보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 안에서 개인적 이기주의를 벗어나 지구 공동체 전체의 거시적 안목과 실천방안을 생각하는 페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된 인간은 특히 오늘날 파괴되어 가는 생태계 안에서 고통 당하시는 하느님을 발견하고 자연을 가꾸고 지켜나가야 할 소명을 깨닫고 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이는 우리에게 깨어있기를 요청한다. 생태 영성을 사는 그리스도인은 성경과 성전을 통해 전해지는 하느님의 말씀을 깨닫고 배울 뿐만 아니라, 자연 안에서 하느님을 발견하고 사랑할 줄 알아야 하겠다. This manuscript tries to give the substitute which approach to the problem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the theology. Also, the manuscript reveals that the vision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changes in the theology and Thomas Berry's phenomenon intensively. Continuously Th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sorted as the document and we will look at the korean catholic church's actual condition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The first paragraph, which summarize the theory related with the environment, emphasizes the necessity that the existing spirituality stress on the salvation unifies the spirituality stress on the creation. The spirituality with the ecology which combines between the spirituality pursuit the human salvation and the spirituality praise for God, the creator, emboss transcendental and immanent god and makes aware of human's position and calling. The second paragraph finds out the Thomas Berry's cosmology and the creative spirituality. His ecological thought is based on the Giambattista Vico's macroscopic history view, the Teilhard de Chardin's evolution view of the world,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which are formed with the modern scientific thought, the eco-friendly from the oriental religions and the view of nature from the Native American's shamanism. According to the Berry's saying, The existence of God explains that "by include and pass through the whole universe, every universe is in God, but this existence of God is bigger than the universe and is not exhausted by the universe." He said not only the human go to God, also the universal community makes the divine community which points to God. Berry insist upon that the cenozoic era stress on the human being is over and we are in front of the ecozoic era. The ecozoic era tells us that universe i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the earth has life. The salvation, that is started from Jesus Christ, is not only for the human being, it also aims to the whole world and universe. His thought unified the scientific thought, historical experiment, and religious mentality well so he gives us the theology which can deal with the ecological crisis, but it cannot shows a concrete practice in the ecological crisis. Third paragraph considers Greenpeace conservation assembly in all Korean church's bearings. Their parts are making protect the environment because they are understood that the nature must have been conserved. But their efforts have been labored in vain. So environmental groups have to converse with each other to promote their unity and engagement. They request good education program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ecological spirituality to improve. In fourth paragraph, The pastoral theology with educational disposition on the Thomas Berry's spirituality suggests new vision. Most of all, It is asked not egotism but humanity that takes a broad view and exists a practicing Catholic. Also, Its spiritual change in education turns new paradigm and needs steady progression day by day. The human being based on God's image must find the Lord who is in the pain because of the destruction of the nature, and given order that we need to take care of the nature, so we can try to keep the natural integrity. This ask us awakened. The christians in the ecological spirituality realize and study the bible and God's word in the holy bible, so we can find God in the nature and love them.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영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심만섭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요약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영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있어서 최근까지 인간의 행동과 정신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영성(spirituality)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종교적인 부분으로 전락시켜 비과학적이며 객관적인 검증이 어렵다는 이유로 도외시되어 왔다. 다행히 최근 영성(spirituality)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인간의 다양한 초월경험과 신비한 종교체험, 직관능력을 아우르는 영적 경험들이 존중되고 있으며 이제 영성(spirituality)은 신학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보건과 심리학, 정치 경제학, 경영학에 이르기 까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영성(spirituality)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이며, 독립변수는 영성(spirituality)이며, 통제변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다. 연구방법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경기 북부지역 동두천, 양주 소재의 사회복지시설의 시설관리자와 일반사회복지시설종사자(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생활지도사, 보육사, 간호조무사 포함)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가톨릭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가톨릭 수도사들과 가톨릭 수녀들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종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특정 종교를 초월하여 기독교 불교 및 비종교인이 운영하는 시설 및 시설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계속 사용해온 영성 척도와 직무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통제변수로 설정한 변수들을 투입하여 SPSS 분석을 통하여 영성이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결과는 영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인이 비종교인보다 영성의 정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기독교가 불교보다 영성과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여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영성(spirituality)”의 이해와 개발 및 활용의 필요성이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특정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비종교인까지 포함시켜 영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켰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영성의 정도와 직무만족에 대한 측정을 자기기입식으로 하였으므로 긍정적 응답 오류의 가능성이 있으며, 선행연구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직무만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변수들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한데 대한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평가를 측정하지 못하고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판단을 기준으로 삼았으므로 클이언트의 평가에 대한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는 점이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문교육 컬리큐럼과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 직무교육 과정에 기독교 영성훈련과정 도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수나 환경의 개선보다 더 시급한 것은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영성’개발과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다. 셋째, 클라이언트를 위한 신체적 돌봄과 물질적 보조 및 심리치료서비스에만 안주할 것이 아니라 ‘영성’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넷째, 영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영성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영성, 직무만족 Abstract Although the understanding and studies has been processed until now about the behavior and spirit of human beings in social welfare practical fields in South Korea, those of spirituality has been ignored because of non-scientific characteristics and the difficulty of objective tests of religious fields. Fortunately, spirituality is treated nowadays as very important element from theological field to psychology, political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regard to various transcendental and holy religious experience and intuition ability of human beings.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variables relationship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irituality of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is used for collecting data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is the managers and work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Dongducheon and Yangju city of Northern Gyeonggi-Province. Existed literature is restricted in the specific religion by Catholic monks and nun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operated by Catholic churches, but this study treats with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workers indifferently with specific religion, included in Christians, Buddhists, and Atheists.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higher the spirituality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s; the spirituality of religious people are higher than that of non-religious people; and,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s is higher than that of Buddhists. Key words: Spirituality, Job satisfaction

      • 한국판 영성 척도의 개발 및 영성과 이타성 간 연민의 매개효과 연구

        윤미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resent study proposes spirituality as a resource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or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e current context, in which solitary activities such as solitary eating and drinking within sharply growing single-person households are increasing, and in which emotional deprivation caused by family disintegration leads to worseni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to society pathologies such as the spread of selfishness, an increased rate of suicide, and lone death. Spirituality has been found to influence not only sense of personal well-being but also altruistic behavior, and thus it affects the welfare of others. This is because people who seek spirituality try to contribute to the greater good, as they feel that their transcendental experienc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spiritual reality is linked with others such as neighbors. Based on this knowledge and research on Koreans’ spirit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pirituality scal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truism and spirituality. Most spirituality scal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in other countries. Most spiritual scales used in Korea have limitations since they are adaptations of measure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and applied to assess Koreans’ spiritual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and its developmental influences and explores the concept of spirituality in Koreans. In this study, spirituality is defined as “the transcendental emotional experience on the premise of understanding of sacredness, a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is tested based on the definition”.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Koreans’ spirituality. Scale items were derived based on data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s’ spirituality obtained using a survey with open-ended questions and spirituality scales used in previous studies.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ity Scale was completed, consisting of a single factor with twelve items that addressed transcendental experi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spiritual reality, sense of connectedness, and meaning of life. The Spirituality Scale was validated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Spiritua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nse of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had a low correlation with social desirability, and had influence on sense of spiritual well-being beyond sense of religion; the scale was high on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valid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scale is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spirituality. To determine the effect of spiritualit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ity Scale, Study 2 empirically tests the relationship among spirituality, compassion, and altruism by hypothesizing compassion as a factor that influences altruism. In the study, a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compassion, and altruism was conducted with study participants in early, middle, and later adultho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altruism, a partial mediated model was adopted as a final model.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pirit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compassion, and the higher the compassion level, the more frequent the altruistic behavior. In addition, spirituality influenced altruism; however, the influence was stronger when participants experienced compassion. This study found that Koreans’ spirituality measured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ity Scale was a “divinity-centered spirituality” of seeking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focusing on the close relationship and sense of connection with spiritual reality. Moreo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spirituality influences compassion and altruism—purposeful self-sacrificing help behavior that benefits others and transcends selfish motives—and is thus a resource that has influence on the happiness of others, in groups and society as a whole.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최근 1인가구가 급증하면서 혼밥, 혼술, 1인 주택 등이 증가하고, 가족의 해체로 인한 정서적 결핍은 정신건강의 악화와 삶의 질을 떨어뜨려 이기주의 확산, 자살율의 증가, 고독사 등의 사회 병리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개인과 사회의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 및 심리 치료의 자원으로 영성을 제안한다. 영성은 개인의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타적 행동에 영향을 미쳐 타인의 복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되어 왔는데 이는 영성을 추구할수록 사람들은 영적 실재와의 충만한 관계적 경험을 통해 타인, 자연, 우주의 모든 생명체가 서로 연결됨을 깨닫게 되고 자기중심성을 넘어 더 큰 선(善)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영성척도 개발을 통해 영성과 이타성 간에 연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영성 척도들은 외국에서 번안하여 타당화 한 척도들이어서 한국인의 영성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영성의 정의, 영성의 특성, 영성의 영향을 연구하고 한국인의 영성 개념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성을 성스러움(sacred)의 인식을 전제로 초월적인 정서적 경험이라고 정의하고, 한국인의 영성 개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1의 목적은 한국인의 영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영성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통해 한국인의 영성에 관한 개념과 특성에 관한 직접적 자료와 선행연구의 영성척도를 토대로 문항을 추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2문항 단일요인의 한국판 영성 척도를 완성하였으며, 영성척도는 영적 실재와의 관계성, 연결감, 삶의 의미에 관한 초월적 경험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영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영성은 영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사회적 바람직성과 낮은 정적 상관이, 영적 안녕감에 대해 종교성을 넘어선 영향력이 나타나 수렴타당도, 준거타당도, 증분타당도를 확인했으며 문항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여 영성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는 앞서 개발된 한국판 영성척도를 사용하여 영성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타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연민을 상정하여 영성, 연민, 이타성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초기 성인기 부터 중노년기를 대상으로 영성과 연민, 이타성 간의 관계에 관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성과 이타성 간 연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최종 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영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연민을 느끼는 수준이 높아지고, 연민을 느끼는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타적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이 높아질수록 이타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연민을 느낄 때 이타적 행동이 더 많이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영성척도에 나타난 한국인의 영성은 신성을 가진 영적 실재와의 긴밀한 관계와 연결감을 중심으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신성(神聖) 중심의 영성’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또한 영성이 높아질수록 연민을 느껴 이기적 동기를 초월해 타인을 이롭게 하려는 의도적인 자기희생적 도움행동인 이타성이 높아져 타인과 집단, 사회의 행복을 위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원임을 경험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 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