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조선총독부의 중등 역사교과서 정책과 조선사의 편제 변화

        허미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고에서는 조선총독부의 중등 역사교과서 정책과 일본사, 동양사 교과서 각기에 편제되었던 조선사 서술양상에 주목했다. 일제는 식민 지배의 안정과 제국주의 침략 정책을 합리화하기 위해 조선사를 활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중등 역사 교과서 정책은 일본 문부성의 교육 방침과 연결되면서도, 조선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변용되어 조선 사회에 적용되었다. 먼저 조선총독부는 1911년부터 1919년까지 대한제국기에 만들어진 교과서의 사용을 폐기하고, 역사 교과서에 직접 개입하여 조선사에 대한 인식을 조정하고자 했다. 조선총독부는 관‧공립 초등교육 기관에서의 역사교육을 폐지하며 중등교육 기관에서만 역사교육을 실시하였으나, 조선총독부의 입장이 반영된 교과서를 직접 편찬하지 못했다. 당시 문부성의 교수요목은 일본사 가운데 조선사를 편제시켰지만 조선총독부는 조선사 교육에 대한 방침을 명확히 규정하지 못했다. 이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에서 가르쳐야 할 역사 역사상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음을 의미한다. 1910년대 조선에서는 문부성의 교수요목이 적용되지 않았고, 조선총독부는 문부성 검정 역사교과서의 사용을 지양하였다. 문부성 검정교과서에서 사용된 ‘독립’과 ‘혁명’, ‘조선 정벌’ 등의 용어가 조선통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조선총독부는 대한제국기 학부 검정을 거쳐 발행한 『동양사교과서』를 활용하는 한편, 「교과용도서검정규정」을 개정하여 사립학교의 교과서 사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1913년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을 검정으로 발행하고, 1914년 『외국역사교과서』를 편찬하여, 조선총독부의 입장이 개입된 역사 교과서의 사용을 유도하였다. 또한 대한제국기에 만들어진 역사상 중 조선총독부 통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역사관은 소거시키고자 했다. 1919년부터 1931년에는 일본 내의 정치변동과 3.1운동 이후 조선사 교육의 확대 요구로 초등과 중등교육에서 일본사에 편제된 조선사 교육이 이루어졌다. 1920년 조선총독부 교과서 편집관료가 개입한 『대일본역사제요』를 조선총독부 검정교과서로 통과시켰고, 이때 조선사와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였다. 이 교과서는 1936년까지 수정‧발행되며 조선사와 관련된 사진과 삽화, 지도들이 수록되고 조선사의 역대 왕조를 포함하는 등 일본사 가운데 조선사를 위치시켜 나갔다. 그러나 1920년대 조선총독부는 조선사에 대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 시험제도를 유지하여 조선사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은 막고자 했다. 한편, 제2차 조선교육령 실시와 함께 조선과 일본의 학제가 통일되었다. 이에 따라 식민지 조선에서도 상급학교의 진학 기회가 확대되고 문부성의 검정교과서를 도입하는 변화가 있었다. 다만, 조선에서 문부성 검정교과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아야만 했다. 이때의 인가양상은 일본의 경우 ‘신고제’적 경향이 강했던 데 반하여, 식민지 조선에서는 ‘허가제’적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조선총독부는 조선 통치에 문제가 생길만한 구절이 있다면 인가에서 탈락시켜 교육현장에서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1931년부터 1937년에는 문부성의 중학교 교수요목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문부성 검정 일본사 교과서에서 조선사 서술 비중이 축소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문부성은 일본사와 관련 없는 내용을 일본사에서 제외시키고, 조선사의 일부 내용을 동양사에 편제시켰다. 그러나 식민통치의 안정을 위해 조선과 일본의 ‘연결’을 강조해야하는 조선총독부 입장에서는 우려할 수밖에 없는 조치였다. 조선총독부는 상대적으로 조선사 비중이 높은 저자의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켜 일본사 가운데 조선사 교육을 실시하는 입장을 이어나갔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의 교과서 개선안을 받아들여 ‘임시역사교과용도서조사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일본사와 동양사의 교수요목을 직접 제정하고, 나아가 조선총독부에서 직접 교과서를 발행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한편, 1935년 ‘천황기관설’ 이후 제기된 ‘국체명징운동’은 천황 중심 역사상의 재정립을 요구하였고, 1937년 대륙침략정책이 구상되면서 교수요목의 개정을 이끌었다. 이때 조선사는 만주와의 연결이 강조되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 개정으로 조선 내에서 고등보통학교규정과 중학교규정이 통일되었고 일본사에서 조선사를 교수한다는 방침은 폐기되었다. 일본사 교과서에서 조선사의 비중이 축소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동양사에서는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 한반도 북부지방과 관련된 역사서술은 증대되었다. 이것은 중국으로의 침략전쟁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조선사와 만주의 역사를 결합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시도는 식민 지배 이전부터 있어 왔지만, 중일전쟁 이후 교육 현장에서도 강화되어갔다. 침략전쟁이 확산되면서 물자 부족의 이유와 전쟁을 수행할 역사상 확립을 위해 조선총독부는 『중등국사 저학년용』을 편찬하였다. 이 책은 동양사 교과서와는 달리 일본과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남양’으로의 침략 정책을 뒷받침하고자 했다. 전황이 악화되는 가운데 문부성은 1943년 교수요목을 개정하고 ‘국사’를 ‘황국’으로 동양사와 서양사를 혼합하여 ‘동아 및 세계’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1944년 이후 일본과 조선에서 사용하는 교과서를 통일하였다. 조선사에 대한 방침은 ‘대동아사’에서는 지속해서 만주와의 연결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황국사’에서도 ‘만주사’와 연관성이 높았던 고구려, 발해가 또 한 번 주목되었고, 조선사의 편제 및 서술은 전황의 변화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며 일본의 침략 정책을 뒷받침하였다. 주제어: 조선총독부 역사교육, 문부성, 고등보통학교, 역사교과서, 교수요목, 조선사 교육, 검인정제도, 󰡔동양사교과서』, 『신찬대일본제국사략』, 『대일본역사제요』, 『중등국사』, 『중등역사』

      • 현대 일본 역사교육의 이념과 실천 : 마나부카이와 마나비샤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성광 연세대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この論文の目的は、学ぶ会という団体と学ぶ会が著述した学び舎教科書を通じて現代日本の歴史教育界ではどういう問題意識から実践が行われているのかを検討することである。よって、学ぶ会の設立背景、教科書の理論的基盤と叙述、教科書に対する評価及び批判について以下の通り集約される。 学ぶ会は、子どものための教科書をつくろうとする目的で、元教師や現職の教師が自発的に集まって設立されたのである。「つくる会」の出現とその躍進に対する危機感は学ぶ会の創立の直接的な動機であった。一方、学ぶ会は日本戦後に創設された歴史教育者協議会(歴教協)の民主主義と平和教育を支持し、多くの学ぶ会の会員は歴教協で積極的に研究を進んでいる。 学び舎教科書の製作には、学ぶ会の代表である安井俊夫の歴史教育理論が重要な役割を果たした。また、教科書製作は遠山茂樹の歴史教育論から大な影響を受けた。特に、遠山が强調した共有財産論、つまり歴史学界と歴史教育界の協力によって学び舎教科書が製作された。 学び舎教科書の叙述の特徴に関しては、まず学び舎教科書は学習者を顧慮する叙述の仕方をしている。学生が暗記を強いられる授業ではなく、学生が積極的に臨む授業ができるように仕組まれた。また、東アジア史、世界史の叙述を十分に加え、一国史を脱する広い歴史認識を持つことがてきるようにした。最後に、偉人ではなく民衆を中心とした叙述で民衆の一員である学生に民主主義の主体としての意識を促した。 歴史学界では、学び舎教科書の革新性は高く評価された。しかし、日本の戦争責任問題を日本の政府や軍部に限定し、日本民衆の戦争責任への追究には至らなかったことは学び舎教科書の限界である。 이 글은 마나부카이와 그들이 저술한 마나비샤 역사교과서를 통해 현대 일본의 역사교육계가 어떠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육실천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마나부카이의 설립배경, 교과서의 이론적 기반, 서술, 교과서에 대한 평가 및 비판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마나부카이는 아이들을 위한 교재를 만들자는 목적으로 전·현직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서 설립되었다. 새역모의 등장과 약진에 대한 위기감이 마나부카이 창설의 직접적 동기로 작용하였다. 마나부카이는 일본 전후에 설립된 민간단체인 역사교육자협의회가 제창하는 민주주의와 평화 교육을 지지하며, 회원들 중 다수가 역사교육자협의회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마나비샤 교과서의 제작에는 마나부카이의 대표인 야스이 도시오의 역사교육 이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도야먀 시게키의 역사교육론도 교과서 제작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그가 주장한 공유재산론, 즉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협업을 통해 교과서가 제작되었다. 마나비샤 교과서의 특징을 보면, 먼저 마나비샤 교과서는 학습자 위주의 서술을 통해 암기위주가 아닌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동아시아, 세계사 서술을 강화하여 일국사를 벗어난 넓은 역사인식을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중사 중심의 서술을 통해 위인 중심의 서술을 벗어나 민중의 일원인 학생들이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의식을 가지도록 하였다. 일본 역사학계에서는 마나비샤 교과서의 혁신성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전쟁책임 문제를 일본정부 및 군부에 한정하고 일본민중을 제외함으로써 전쟁책임에 대한 전면적인 성찰 교육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남북한 중학교 역사교과서 비교 연구 : 조선시대 수취제도를 중심으로

        김윤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re are large disparities between the reality of South Korea and that of the North, and there are great gaps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as well. It's necessary to narrow the gaps in preparation for future national unification, and the first step to do that seems to admit mutual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North Korean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in terms of description about taxation in the age of Joseon. I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the subject of history deals with the transition of our history, and the object of this subject is to teach students to learn that the Korean history is the product of the world's development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s life. In contrast,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is basically based on Kim Il-sung's These of socialist education. The North clearly states that the object of education is to foster competent Communist revolutionists, and that the object of history education is to ensure the success of Joseon revolution. Therefore North Korean students have to learn about the history of the people's struggle and the history of creation that ha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material wealth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ap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in description of taxation in the age of Jose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A South Korean textbook by Jihaksa regarded the Jikjeonbeop as a system by which the government tried to protect farmers against bureaucrats of the aristocratic class to eliminate the problems of the Kwajeonbeop in terms of its objects and payment regulations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textbook explained that the revision of tax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at era had been made in an effort to stabilize the agricultural society and ensure financi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textbook, the revision of taxation had seemingly served to lighten contemporary people's burden at first but had produced side effects with the lapse of time. Another history textbook by Miraeen was considered to be overly ideology-oriented since this textbook had the same problems as the early modern and modern history of Korea, and there were heated disputes on the description of this textbook. The contemporary government's efforts to protect farmers was overlooked in this textbook. The textbook didn't clearly state that the Kwajeonbeop had produced side effects and had been followed by the Jinjeonbeop to remove the side effects. The textbook also stated that contemporary farmers suffered hardship once again despite the reform of tax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cited the goods offered to the royal family and Kyeoljakmi as the reasons. In addition, the textbook included no mention about the uprising of contemporary farmers and the contemporary government's ensuing efforts to correct disorderly administration and miliary. It stated that the contemporary government didn't intend to seek after the fundamental reform of the Joseon society. Thus, there were marked gaps between the textbook by Jihaksa and the textbook by Miraeen. On the contrary, a North Korean textbook titled "Joseonryeoksa" described taxation as a feudal sweating system. It argued that the people who had been suppressed and exploited due to the Kwajeonbeop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had been bound to revolt against the upper classes. In relation to the revision of tax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it didn't mention the revision of taxation and military service. It stated that the Daedongbeop, which was the revision of the Gongnapje, was another way for the government to exploit the people to increase its finance, and that it naturally led to the uprising of farmers in Jinju in 1972, which was covered in the next unit. Thus, there were gap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even in the way of describing the same historical facts because of their own system and ideolog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re objective histor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nd that the authorized South Korean textbooks should take an objective approach, which will be the first step to do that. At the same time,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approve of mutual differences and embrace each other in terms of history education that is a vehicle of social integration. 남북의 현실적 상황에 차이가 있는 만큼 남북한 역사교과서에 서술된 내용도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일은 향후 통일을 대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은 상호 그 차이점을 인정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수취제도를 중심으로 남한 중학교 역사교과서와 북한 고등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역사’과목의 목표는 우리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다루고 이를 통해 한국사가 세계의 발전 과정 속에서 형성된 역사의 산물임을 파악하여 현재 한국인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반면 북한 역사교육의 목적은 김일성의 ‘사회주의 교육에 대한 테제’에서 드러난다. 공산주의 혁명인재를 키우는 것이 교육의 목적임을 분명히 하고 있고, 북한 역사교육의 목적은 조선혁명을 잘하는데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자주성을 위한 인민대중의 투쟁의 역사, 물질적 부를 생산하고 문화를 발전시켜 온 창조의 역사를 학습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조선시대 수취제도 서술에 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남한 지학사 교과서에서는 조선전기 과전법의 목적과 지급 규정, 그리고 과전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행된 직전법의 운영을 국가가 양반관료들로부터 농민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수취제도의 개편은 농촌 사회를 안정시키고 국가의 재정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으로, 시행 초기에는 부담이 줄어드는 것처럼 보였지만 시일이 흐르면서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서술하고 있다. 한편, 서술 내용이 지나치게 이념 편향적이라는 논쟁을 야기했던 『한국 근·현대사』의 문제점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주)미래엔『역사』교과서에서는 과전법의 부작용과 그 대안으로서 직전법을 실시했다는 내용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아 농민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을 간과하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수취제도 개혁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이 다시 어려워진 원인을 왕실에 상납하는 현물과 결작미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농민봉기 이후 이에 대한 정부의 시정 노력을 생략하고, 정부가 조선 사회의 근본적 개혁을 외면하였다고 서술하고 있어 지학사 교과서와 확연한 차이를 보여준다. 반면에 북한의『조선력사』에서는 수취제도를 봉건적 착취 과정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조선전기 과전법으로 인해 억압과 착취의 대상인 인민들이 봉기하여 계급투쟁을 전개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조선후기 수취제도의 개편에서는 조세와 군역의 개편은 생략되었고, 공납제의 개편인 대동법에 대해서도 국가가 재정을 늘리기 위해 착취의 방법을 바꾸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하여 자연스럽게 다음 단원인 1862년 진주농민폭동으로 연결시켜서 서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남북한의 역사교육은 각자의 체제와 이념을 반영하기 위해 동일한 역사적 사안에 대해서도 상이한 서술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객관적 역사교육 강화를 시사해주는 동시에 그것이 남한의 검인정 교과서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상기시켜 준다. 또한 남북한 사회통합 수단으로써의 역사교육은 먼저 이질성을 인정하고 서로를 포용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韓國·北韓·中國의 渤海史 敍述 比較 硏究 : 中等 歷史敎科書를 中心으로

        박경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역사교육의 목적이 역사교육을 통해 국가 간의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평화로운 공존공영의 미래를 건설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먼저 역사교과서의 내용과 성향에 민족주의적 자부심이나 배타주의적 편견이 팽배해 있지는 않는가에 대해 각국 스스로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한 나라의 역사는 다른 나라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자신만의 인식을 넘어서 타인을 배려하는 자세로 역사를 가르치려 한다면, 먼저 다른 나라의 역사교과서 내용과 성향을 검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검토의 이론적 토대로서 먼저 한국·북한·중국 역사학계의 발해사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후 본론으로서 한국·북한·중국의 중등교육과정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발해사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각각 분석·비교하였다. 한국·북한·중국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발해사 관련 서술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해의 건국자 대조영의 출자에 대한 한국·북한의 발해사 서술은 대체적으로 비슷하여, 발해가 한국사라는 인식에는 큰 이견이 없다.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에 의한 발해의 건국과정과 성립, 발해의 정치제도, 발해의 대외관계, 발해의 문화에서 세부적으로 일부 차이를 보이고도 있지만, 커다란 흐름으로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한국사의 일부라는 인식은 비슷하다. 중국교과서의 발해사는 중국의 소수민족중 하나인 속말말갈의 수령 대조영에 의해 건국된 말갈정권으로 인식하여 서술하였다. 둘째, 발해의 주민 구성에 대해서 한국은 발해의 주민 구성이 ‘지배층인 소수의 고구려인과 피지배층인 다수의 말갈족’이라는 입장이나, 북한은 주민들 대부분이 고구려 유민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중국 교과서는 중국의 소수민족인 말갈족으로 구성된 당의 지방정권으로 서술하였다. 셋째, 대외관계에 대한 서술의 특징은 한국의 역사교과서에는 당의 선진문화를 수용하여 고구려의 문화와 융합·발전한 것으로 서술하여 고구려를 계승한 한국사로 포함시키는 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북한 역사교과서의 발해사 서술에서 당의 존재는 투쟁의 대상일 뿐, 문화의 교류나 제도의 도입 등은 별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 중국의 역사교과서에서는 발해와 당과의 문화 교류에 있어서도 당의 지방정권으로 인식하고, 內地와의 교류로 서술하고 있다. 넷째, 고구려의 계승성에 대한 서술의 특징은, 한국·북한 교과서에는 공통적으로 발해의 고구려 계승성에 많은 비중을 두어 서술하고 있다. 특히 북한에서는 발해의 고구려 계승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발해의 고구려적인 문화요소와 당 문화의 교류 등 국제적인 성격의 문화 교류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지 않다. 반면에 중국교과서는 서술상의 오류는 있으나, 발해를 중국의 지방사로 완전히 귀속시키고 이를 중등 교육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If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build a peaceful future of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each nation itself should examine critically if there is a flood of ethical pride or exclusive prejudice. Since the history of one country has been built through interaction between countries, the most effective way to teach history considering other countries' interests, is through studying the contents and inclinations of the textbooks in those countries.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documentary research; beginning with study trends on Palhae history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and China, including methods of history description used in the respective countries'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recorded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s in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three count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ons of the nationality of Daejoyong, the founder of Palhae, are mostly alik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idea that the history of Palhae is included in Korean history. Even though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among three countries' textbooks about the foundation of Palhae by a Kokuryeo general Daejoyong, development of Palhae, political systems of Palhae, foreign relations of Palhae, and culture of Palhae mainstreams are similar in that Palhae belongs to Korean history. The history of Palhae in the textbooks of China describes Palhae as a minority group in China which was founded by Dajoyoung who came from Sokmalgal. Second, while South Korea insists that the population of Palhae was made up of a small number of Kokuryo people and a large number of Malgal people, North Korea emphasizes a large number of Kokuryo people. China describes the population of Palhae as being made up of a minority group of Malgals of the Tang Dynasty. Third, the three countries explain differently foreign relations and cultural character. While South Korea admits a number of influences of Tang's culture onto Palhae, North Korea denies the cultural continuation of Palhae with Tang for the purpose of stressing on the continuation with Kokuryo. China's textbooks describe Palhae as a regional regime of China in terms of exchanging culture. Fourth,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inuation with Kokuryo by Palhae, the textbooks of both Koreas emphasize in great description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ation with Kokuryo by Palhae. Especially, North Korea strongly emphasizes the continuation with Kokuryo, failing to mention the cultural exchanges that are influenced from Kokuryo and Tang. The textbooks of China, however, include the history of Palhae into Chinese history and teach it at the secondary school even though there are some descriptive errors.

      •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詳說日本史』(山川出版社)의 한국 식민지시기 서술에 대한 縱斷 硏究

        구연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本研究は、日本において戦後二度目となる高等学校歴史科目の大幅改変と学習指導要領の改訂、さらに、その学習指導要領に基づく新しい教科書の発行という状況を背景として、日韓両国の対立が一層深刻化する中で、日本の高等学校の自国史教科書が、日韓両国間において対立の要因となることが多い歴史的事象をどのように叙述し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調査にあたっては特に叙述の歴史的変遷に注目し、その様相を整理し検討した。本研究で調査対象として取り上げた教科書は、採択率が60%を上回る山川出版社の『詳説日本史』である。具体的には、『詳説日本史』の教科書叙述が、版を重ねる中でどのように変化してきたかを比較・分析した。 調査対象として取り上げた教科書は、日本の歴史教科書叙述問題が国際紛争に発展した1980年代から現在までのものである。この時期に出版された『詳説日本史』11冊を主な比較対象とした。分析対象とした教科書の近代史の叙述の中でも韓国の植民地時期に関連した7つの内容項目(①雲揚号事件と日朝修好条規、②日韓協約、③独島の日本領土編入、④安重根の義挙と日韓併呑、⑤朝鮮総督府設置及び1910年代の統治方式、⑥3・1独立運動及び1920年代の統治方式、⑦1930・1940年代の統治方式)に注目し、叙述の変遷を分析した。 その結果、次の三点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第一、『詳説日本史』の韓国植民地時期関連叙述は、後の時代となるほど、その量が確実に増していた。また、叙述の内容については、植民地化の過程での不平等と強圧、殖民地時代に韓国人が経験した苦痛と被害という観点からの叙述が強化されてきた。 第二、特に1993年に検定を通過した教科書の変化が最も著しかったことである。その理由としては、二つの事柄をあげることができる。①平成元年(1989)版学習指導要領において、高等学校社会科が廃止され、地理歴史科と公民科が新設され、歴史科目の再編が行われたことである。これにより、従来の《日本史》は、《日本史A》及び《日本史B》に分離・設置され、学習する範囲・内容・目的を異にする2つの科目に分かれた。《日本史B》は《日本史》より深化した科目であると表現できる。したがって、新しい科目に合わせて教科書を全体的に見直す必要が生じ、韓国に関する叙述についても量的・質的改善が行われることになった。②「近隣諸国条項」が持つ実質的な拘束力の拡大である。条項の新設は1982年の「歴史教科書問題」により急遽行われたものであり、短期間で教科書の内容を全面的に見直すことは現実的に不可能な状況であった。そのため、「歴史教科書問題」以降、約10年近くの時間を経て次第に影響力が拡大されてきたのである。 第三は、「不確実な部分」及び「政治的に敏感な事案」についての記述を回避する傾向が見られたことである。また、教科書本文全体において主観的な評価的叙述は抑制され、事実の伝達に徹する事実的叙述が目立つようになった。これは進歩的傾向と保守的傾向の間でバランスを取ろうとする試みの結果であり、『詳説日本史』教科書が学校現場で圧倒的な採択率を維持する代表的な理由の一つと考えられる。しかし、このような叙述の傾向は加害者として被害者に共感する面が足りないという点から批判される要因にもなっている。 もちろん、依然として改善が必要な部分は散見されるが、日本史科目において最も高いシェアを占めている教科書である『詳説日本史』が40年以上に渡る時間をかけて少しずつではあるが、着実に改善されてきたことについては十分な評価がな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これは日本の歴史教育・歴史教科書が時間の経過の中で決して後退したわけではないという証拠であり、それと共に日韓両国の歴史和解への可能性や希望を意味するからである。 本研究は主流の日本史教科書の1980年代以降出版されたすべての版を分析対象として長期的な視点から行われた点、中でも学習指導要領および教科書の叙述について原文に忠実な翻訳を提示することにより関連研究の言語的障壁を低めた点で意味があると期待する。しかし、7つの内容項目それぞれについて日本の学界の認識がどのように変化してきたのか、そしてそれが学習指導要領及び解説書の改訂にどのような影響を及ぼしたのかについては扱えなかった。今後さらに多くの研究者が本分野について関心を持つことで、関連研究が行われることを希望する。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Japa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described the various elements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o examine the patterns of changes in which they described the conflict. I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announcement of new ‘Course of Study (学習指導要領)’ and with the release of the newly written history textbooks in Japa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getting worse.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described in 『Detailed History of Japan (詳説日本史)』 published by Yamakawa Publishing Company, which more than 60% of Japanese high schools has been using as history textbooks. For this, the present study analyzed 11 textbooks published since the 1980s because in the 1980s the topics covered in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s triggered the issue of the international dispute. The 11 volumes of 『Detailed History of Japan』 published in this period were employed for comparing and analyzing. Among the content on modern history in the Japanese textbook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seven historic events during the colonial era of Korea: 1) the Unyo warship incident (Ganghwa Island incident) and the Korea–Japan Treaty of 1876, 2) the Korea–Japan Agreement of August 1904, the Treaty of 1905 and the Treaty of 1907, 3) the incorporation of Dokdo into Japanese territory, 4) the heroic act of Ahn Jung-geun and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5) the establish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and the governing methods of the 1910s, 6)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governing methods of the 1920s, and 7) the governing methods of the 1930s and 1940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d the changes in how the above-mentioned events were described. The thre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descriptions of the history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have been added on consistently and quantitatively in 『Detailed History of Japan』. In addition, the description highlighted the inequality, the coercion consistently in the colonizing process, and the suffering that Koreans faced from being colonized by Japan. Second, there was the dramatic change in description in the textbook published in 1993. Two main possible reasons were suggested for explaining this changes. The first one may reflect the revision in the cluster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based on the Course of Study in 1989. This revision separated the previous subject <Japanese History> into <Japanese History A> and <Japanese History B> and organized two subjects with different scopes, contents, and purposes of learning respectively. <Japanese History B> can be presented as more advanced subject than the previous <Japanese History>. Therefore the need to update the textbook entirely for aligning with the revision was raised, which simultaneously the quantitative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s to the descriptions relevant to Korea was made. The second reason concerns the extension of the actual binding power of the ‘Neighboring Country Clause (近隣諸国条項).’ The newly established clause was introduced abruptly due to the ‘history textbook issue’ in 1982 and it was practically impossible to thoroughly review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Hence, the influence on the descriptions of textbooks for the following 10 years since the ‘history textbook issue’ expanded over gradually. Third, there was a tendency to avoid describing the vague aspects and the politically sensitive matters. Subjective evaluations were restrained and superficial descriptions focusing on just delivery of facts were prevailed over throughout the textbooks. This was the outcome of an attempt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perspectives and it is one of the critical reasons for the dominant adoption rate of 『Detailed History of Japan』 in schools. However, such a historiographical tendency is also criticized for lacking empathy with the victims by Japan’s colony. Some aspects still remain to require improvement. However, credit should be given to 『Detailed History of Japan』, the primary textbook for Japanese history, in terms with making slow but steady improvements over the last 40 years. This is the supportive evidence that Japan's historical education and history textbooks have not retreated across the past. Furthermore, this also represents the potential possibility and the hope for a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However, the current study did not cover how the perceptions in Japanese academia have changed in each of the descriptions of the seven historic events and have an effect on revising the courses of study. Neverthl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has been conducted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argeting focusing on all main <Japanese History> and <Japanese History B> textbooks published since 1980s. Most of all, this study contributed to reducing the linguistic barrier by presenting a near translation of courses of study and textbook descriptions. 본 연구는 일본에서 戰後 두 번째로 시행되는 고등학교 역사과목의 대규모 개편과, 新학습지도요령의 발표 및 새롭게 집필된 역사교과서의 공개에 따른 한·일 양국의 대립 심화를 앞둔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일본 고등학교 자국사 교과서가 양국 사이에 존재하는 각종 갈등 요소에 관하여 어떻게 서술해 왔는지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60% 이상의 채택률을 점유하고 있는 「야마카와출판사(山川出版社)」의 『상설일본사(詳説日本史)』 계열을 주된 비교·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시기적으로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서술 문제가 국제 분쟁으로 발전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를 설정하여, 이 시기에 출판된 『상설일본사』 11권을 주된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대상 교과서의 근대사 서술 가운데서도 한국의 식민지시기와 관련된 7가지 내용 항목(①운요호사건과 조일수호조규, ②한일협약, ③독도의 일본 영토 편입, ④안중근의 의거와 한일병탄, ⑤조선총독부 설치 및 1910년대 통치 방식, ⑥3·1독립운동 및 1920년대 통치 방식, ⑦1930·1940년대 통치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서술의 변화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크게 다음의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상설일본사』의 한국 식민지시기 관련 서술은 양적 측면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꾸준히 추가되어 왔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도 식민지화 과정에서의 불평등과 강압, 식민지시기 동안 한국인이 겪은 고통과 피해의 관점이 강화되어 왔다. 둘째, 특히 1993년에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에서 변화의 정도가 컸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추측해 볼 수 있다. ①1989년판 학습지도요령에 따라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에서 이루어진 체제 개편의 영향이다. 해당 개편에 의해, 기존의 《일본사》는 《일본사A》 및 《일본사B》로 분리·설치되어 학습하는 범위·내용·목적을 달리 하게 되었다. 《일본사B》는 《일본사》보다 심화된 과목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과목에 맞추어 교과서를 전체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대두되었으며, 그와 함께 한국과 관련된 서술에서도 양적·질적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②‘근린제국조항’이 지니는 실질적인 구속력의 확대이다. 조항의 신설은 1982년의 ‘역사교과서 파동’에 의해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것으로, 짧은 기간 동안 교과서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역사교과서 파동’ 이후 약 10년 가까운 시간을 거치며 점차 그 영향력이 확대되어 왔던 것이다. 셋째, ‘불확실한 부분’ 및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한 서술은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과서 본문 전체에 걸쳐 주관 섞인 평가적 서술은 절제되고 사실의 전달에 집중하는 현상적 서술이 두드러졌다. 이는 진보적 성향과 보수적 성향 사이에서 균형을 취하려는 시도의 결과이며, 『상설일본사』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압도적인 채택률을 유지하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술 경향은 가해자로서의 공감적 측면이 부족하다는 관점에서 비판을 받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물론,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곳곳에 남아 있으나, 일본사 과목의 주류 교과서인 『상설일본사』가 40여 년에 걸친 시간 동안 조금씩, 그러나 꾸준히 개선되어 온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일본의 역사교육·역사교과서가 시간의 경과 속에서 결코 후퇴한 것은 아니라는 증거이며, 그와 함께 한일 양국의 역사 화해에 대한 가능성이자 희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주류 일본사 교과서의 1980년대 이후 출판된 모든 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장기적인 시점에서 진행하였다는 점, 그 가운데 학습지도요령 및 교과서 서술에 대하여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언어적 장벽을 낮추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7가지의 내용 항목 각각에 대하여 일본 학계의 인식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그리고 그것이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서의 개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자들이 본 분야에 대하여 관심을 가짐으로써, 관련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 베트남 중학교 『역사(Lich su)』교과서의 베트남사 서술분석

        한용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베트남은 현재 한국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실상 베트남에 대해 모르는 부분이 너무나 많다. 특히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전무하다시피 할 정도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의 역사교육과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와 함께, 베트남 역사교육목표에 비추어서 베트남 중학교 『역사(Lich su)』교과서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베트남의 학제는 초등교육 5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의 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교과서의 발행은 한국의 『국사』교과서와 마찬가지로 국정체제다. 베트남에서의 역사교육은 초등학교 2학년의 『자연과 사회』에서부터 시작되나 이때는 매우 초보적인 형태이며, 초등학교 4학년에 지리와 함께 운영되는 『지리와 역사』에서도 초보적인 형태의 역사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격적인 역사교육은 중학교의 『역사』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중학교 4년 과정을 통해 고대사에서부터 현대사까지의 세계사와 베트남사를 배우도록 되어 있으며, 고등학교 3년 과정을 통해 다시 한 번 고대부터 현대사까지의 세계사와 베트남사를 배우도록 되어 있다.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고등학교에서 심화하여 반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필자가 분석한 베트남 중학교 『역사』교과서는 6학년에서 고대사, 7학년에서 중세사, 8학년에서 근대사와 현대사, 9학년에서 현대사를 배우도록 되어 있으며, 각 학년의 교과서는 세계사와 베트남사의 합본으로 되어 있으나, 베트남사의 분량이 훨씬 많아서 베트남사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베트남 역사교육과정문서에 나타난 역사교육목표에서는 우선 교훈적인 역사를 강조하고 있었고, 둘째로 국제교류 및 개혁에 이바지하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셋째로 여러 민족을 하나의 베트남 민족으로 통합하기 위해 베트남민족주의를 지향하였고, 마지막으로 막스-레닌주의의 기준에 부합하는 전형적이고 중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베트남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 체제 중 특이한 점은 본문의 상황을 묘사하거나, 인물의 출생이나 성향, 됨됨이를 묘사하는 삽입문이 본문 사이사이에 많이 있고, 본문의 내용과 관련된 간단한 질문 역시 본문 사이사이에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자칫 지루해지기 쉬운 역사를 좀 더 생생하게 가르치기 위한 고민의 소산이라고 생각이 된다. 베트남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특징을 알기 위해서 민족관련 서술분석, 주요 인물 서술 분석, 사회주의 관련내용 서술분석을 행하였다. 민족관련 서술분석은 현재 베트남이 54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착안하여, 이러한 민족들이 교과서에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었는데, 분석결과 민족관련 서술들은 주로 베트남의 주요 민족인 낀족(비엣족)을 중심으로 내용을 서술하고 있었으며, 소수민족들과 관련된 내용들은 많지 않았다. 소수민족에 관한 내용이 간혹 등장한 경우에는 대부분 대외항쟁과 관련된 것이었으며, 대부분 베트남의 주민족인 낀족과 함께 일치단결하여 외세를 물리쳤다는 맥락 속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이는 ‘하나의 베트남인 만들기’라는 베트남 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인물서술 분석에서는 우선, 교과서에 등장한 인물들의 등장횟수와 관련영역을 살펴보았는데, 분석결과 주로 왕조의 개창이나 대외항쟁과 관련 있는 인물이 등장횟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호찌민(胡志明) : 공산주의 운동, 항미항불전쟁주도 - 75회>, <응우옌후에(阮惠):베트남 남북통일, 떠이썬 왕조개창 - 61회>, <레러이(黎利): 명나라로부터 독립, 레왕조 개창 - 28회). 또한 인물들에 대한 실제 서술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등장횟수가 가장 많은 인물 3인(호찌민, 응우옌후에, 레러이)의 서술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중이 있거나 강조하고 싶은 인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람의 출신지역이나 집안, 성향 등을 보충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으며, 둘째, 객관적 내용전개 이외에도 평가와 관련된 표현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그 인물에 대한 공식적인 역사학계의 판단을 알도록 하고, 인물을 자연스럽게 부각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주의 관련 내용 서술분석은 현재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5개국의 하나이면서도, 1986년 이후 도이모이(doi moi, 개혁)를 통해 자본주의화가 진행되고 있는 베트남이 사회주의에 대하여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분석을 행한 결과 고대사와 중세사부분을 다루는 6학년과 7학년 교과서에서는 사회주의 관련 내용들이 거의 등장하지 않고, 근대사와 현대사를 다루는 8학년과 9학년 교과서에서 사회주의 관련 내용들을 서술하고 있었다. 서술은 세계사의 경우에, 사회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서술하고 있었으며, 현재 개혁을 진행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 쿠바에 관심이 많아서, 베트남에서 진행중인 도이모이(doi moi)정책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베트남사의 경우에는 베트남 공산당 주도로 항미항불전쟁에 승리하면서 현재의 베트남 국가를 완성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어서 사회주의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분석들을 종합해 보면 베트남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베트남사 서술은 외세의 침략을 낀족을 중심으로 한 당시 베트남의 여러 구성원들이 일치단결하여 물리쳤음을 전달하기 위해서 매우 노력하고 있으며, 등장인물도 주로 외세의 침략을 물리친 인물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많이 등장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주의 국가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주의에 관해 긍정적으로 서술하면서도 동시에 중국이나 쿠바 등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lthough Vietnam and Korea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little has been known to Korea about Vietnam.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in particular, almost feels like a whole new world. Considering the fact, the thesis provided a general introduc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in Vietnam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Lich su textbook while carrying out a basic analysis on the book. The school system of Vietnam is consisted of 5 year of elementary school, 4 year of middle school, and 3 year of high school. The central government is in charge of publishing the school textbook as Korea does to 󰡔Korean history textbook󰡕. The first history education that Vietnamese students face with is conducted through a curriculum called 󰡔Nature and Society󰡕 in the second year of the primary school, which is considered to be very elementary. 󰡔Geography and History󰡕 which is studied along with the geography in the fourth grade of the same school also appeared to be quite primary. The real history education of Vietnam begins in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4 year of curriculum, the students learn the ancient history, the contemporary history, the world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ir own country. After entering the high school, they study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previous school in dep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thesi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of Vietnamese middle school study the ancient history in the 6th grade, the medieval history in the 7th grade, the modern history and the contemporary history in the 8th grade, and again, the rest of the contemporary history in the 9th grade. The textbook of each grade is consisted of the world history and the history of Vietnam, but still, since the latter appeared to take up more of the space, it was clearly indicated that Vietnam greatly concerns about teaching their own history. The goals of the history education which the book of Vietnam history educational curriculum described were first, to emphasize the lessons form the history itself to the younger generation, second, to contribute the teaching to the international exchanges and reformation, third, to support the nationalism of Vietnam by uniting the many various tribes in the country, and finally fourth, to educate the students with the most traditionally important events which satisfied the standards of Marxism and Leninism. What make Lich su textbook unique were the inserted comments and the questions which are often found anywhere in the book. The inserted comments explained situations what a content is actually talking about as well as births and personalities of historical figures. The questions, written in the book, were making sure that if the students followed well. All of these are thought to be a result of the consideration which was certainly performed through discussions over how to teach the history which would be very likely to be boring for the students. In order to see more of the particularities that 󰡔Lich su󰡕 textbook possessed, the paper carried out the descriptive analyses on the Vietnamese people, the major historical features, and the socialism. Based on the fact that Vietnam is the country of 54 different tribes, the descriptive analysis on the people was conducted to see how these peoples were described in the textbook. It eventually turned out that Kinh which is the biggest tribe in Vietnam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hile other minorities were hardly discussed about. The only parts that these minorities were shown up were the contents about the struggles with other countries which were usually developed as they and Kinh were tightly cooperated to defeat the enemies. This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attempts of Vietnamese government which has been working hard to "get all the tribes to unite with each other".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on the historical features,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 in the textbook and other relevant areas were looked into.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e features were involved in foundations of kingdoms and the wars, more they were mentioned in the textbook (<Ho Chi Minh(胡志明) : communistic derive, anti-America and France war - appeared for 75 times>, <Nguyen Hue(阮惠): Vietnam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the foundation of Tây Sơn dynasty - 61 times>, <Le Loi(黎利): Independence from Ming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Le kingdom - 28 times). Add to this,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ose features were actually mentioned in the textbook, the descriptions about the three people(Ho Chi Minh, Nguyen Hue, and Le Loi) who were most frequently tlaked about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for the features who were considered to be very influential, birthplaces, family backgrounds, and their own personalities were additionally mentioned. Second, by offering some expressions which are related to evaluations about the features aside from the objective descriptions, the textbook lets the students eventually know about the official opinions for the features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while naturally emphasizing those features again. The descriptive analysis on the socialism was carried out to see how Vietnam explains the ideology at this moment that the country has progressed forward with the doi moi(reformation) since 1986. In fact, Vietnam is still one of the five countries which officially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ported that there hardly found anything about the socialism in the textbook for the 6th and the 7th graders which were supposed to cover the ancient history and the medieval history. However, the textbooks for the 8th and the 9th graders with the modern history and the contemporary history as the main topics mentioned the socialism-related events. Through the world history education, Vietnam appeared to be positive about the socialism, showing a profound interest in China and Cuba which are working on the reformation by themselves. This proved that Vietnam puts great stress on the doi moi policy which is being implemented at present. For the history of Vietnam, the textbook fully described how the present Vietnam was completed since the victory in the anti-America and France war. These are all indicating that Vietnam is doing its best to secure its identity as the socialist state. Judging from each of the analyses, the description of Vietnamese history by 󰡔Lich su󰡕 textbook tries very hard to make it sure that the tribes in Vietnam were never reluctant to help Kihn to defeat the enemies. In addition, Lich su textbook introduces heroic characters as many as possible who participated in the wars with the external invasions to the country, while making a positive assessment of those people. Even though the textbook gives a favorable description on the socialism in order to maintain its identity, it is also determined to have a great interest in the economic reforms of China and Cuba at the same time.

      • 『독일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 1945년 이후의 유럽과 세계』분석

        송종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t still remains the scars of the Second World War although Europe and Asia have made a fresh start since 1945. Relatively to Japan Germany had admitted their mistakes clearly and forgiven their crimes. Europeans have helped each other to reconstruct from the chaos of the ruins of nightmare and made friendly diplomatic relationships. But antagonism is getting deeper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because of the unjustly liquidation of the past after WWⅡ and the thoughtless words of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I take up the need of the new turning point in hitory education to solve the present problems of East Asia. I analyzed the textbook of France and Germany,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Geschichte, Europa und die Welt seit 1945, Leipzig, Ernst Klett Schulbuchwerlage, 2006; Histoire, L'Europe et le monde depuis 1945, Paris, Nathan, 2006) as a sample to promote the peace and prosperity of East Asia. I can arrange the good points of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below: First, it has the mutual understanding with approche crois´ee. Second, it is the book of frank self-examination. Third, it has the deep explanation of the system since 1945. Fourth, it is the textbook that weighs historical materials and data. Fifth, it is well edited with good skills for inducing the interest. Sixth, it is the official textbook of France and Germany. The other side it has weak points below: First, it attaches importance to the European history that weighs French and German one. Second, it has a fixed viewpoint of Europe. Third, the textbook is made up for political history to excess. Absolutely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is not the perfect textbook. But it would be the good model of our region's history textbook present day. Their strong efforts and wills between France and Germany have fought brutally for a long time to understand and forgive each other is carved into the textbook. Because the effort to chase building good historical consensus and mutual understanding in East Asia has been being carried out a few years ago by NGO, I hope the governments of East Asia would win the sympathy of common historical comprehension. Also I am eager for my poor work to promote making common history textbook of East Asia between its governments.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유럽과 아시아는 새 출발을 했지만 6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상흔은 아직까지 남아 있다. 유럽은 비교적 깨끗하게 과거 청산을 끝내고 전쟁 당사국간 상호 협력의 장으로 들어선 반면에 동아시아는 애매한 전후처리와 일본의 계속되는 망언으로 국가간의 대립이 심해지고 있다. 필자는 동아시아의 작금의 문제를 풀기 위해 상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공동의 역사인식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그 해소책으로 역사교육의 새로운 전환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에 도움이 되도록 그 예로써 독일과 프랑스의 과거사 청산과 협력의 산물인 『독일&#61598;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바를 정리하자면 『독일&#61598;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는 다음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교차적 시각을 가진 상호이해의 교과서이다. 둘째, 솔직한 반성의 교과서이다. 셋째는 1945년 이후의 체제에 대한 깊은 설명을 가지고 있다. 넷째는 사료와 자료 중심의 교과서이다. 다섯째는 흥미를 유발하는 훌륭한 편집체계를 가지고 있다. 여섯째는 독일과 프랑스의 정식 교과서인 점이다. 반면 아쉬운 점으로는 첫째 독불 중심의 유럽사에 치중해 있다. 두 번째는 유럽의 시각으로 고정되어 있다. 세 번째는 지나치게 정치사 중심이다. 네 번째는 교차시각을 갖추어졌지만 교차서술은 시도되지 못 했다. 고 분석하였다. 『독일&#61598;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는 완벽한 교과서는 아니다. 그렇지만 이 시대에 우리 지역, 즉 동아시아의 지역에 있어서는 귀감이 될만한 교과서이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독일&#61598;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가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수없이 치러냈던 독일과 프랑스가 과거를 반성하고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그 의지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사회 각계각층에서 바른 역사인식과 상호 이해를 추구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니 곧 정부간 공동역사인식이 세워지길 바란다. 조그만 연구이지만 『독일&#61598;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에 대한 분석이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교과서 제작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일본 사회의 일본군위안부 인식과 역사교과서 서술

        서경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1997년도와 2002년도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서술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여 그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가 일본 사회의 일본군위안부 인식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1997년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일본군위안부 기술이 일제히 등장하게 된 것은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연구 성과와 일본 정부가 위안부 범죄를 일부 인정하는 것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그 기술 내용이 지극히 간결하게 표현됨으로써, 일본군위안부의 본질과 핵심을 올바르게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었다. 그렇지만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실리게 되어 일본군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은 일본인의 역사인식이 한 단계 진보했음을, 또 진보할 가능성을 얻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2002년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는 정치적 산물인『새 역사교과서』가 새로이 출현하였고, 기존의 7개社의 일본군위안부 관련 서술 내용이 대폭 축소·삭제되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서술한 것은 8개社 중 日本書籍, 淸水書院, 帝國書院 등 3社뿐이다. 그 내용에 있어서도 日本書籍만이 유일하게 강제연행 사실을 인정하고, 전후보상 문제를 다루는 등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해 충실한 기술을 하고 있다. 그러나 淸水書院, 帝國書院은 '위안시설', '위안시설에 보내진 사람'이라는 부적절하고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는 등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기술을 하고는 있지만 1997년 교과서보다 후퇴한 기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삭제한 4社의 교과서 시장 점유율이 80% 가까이 되고 있어 역사교육을 통해 일본 중학생들에게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가르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줄었다. 또한 일본군위안부에 대해 가장 충실하게 기술한 일본서적의 교과서 채택율이 13.7%에서 5.9%로 크게 감소함으로써 2005년에 검정을 하게 되는 교과서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기술 전망도 밝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것은 중학교 역사교과서를 출판한 7개社가 정부·문부과학성이나 정치가들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삭제 압력과 '만드는 모임'측 등 우익세력의 '교과서공격'의 영향을 받아 자주규제를 행한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최근 일본의 역사왜곡에 의한 극우화 경향은 패전 후 중단됐던 국기 게양 및 국가 제창을 법적으로 부활시키고, 극우세력에 의해 편집된 역사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키는 등, 조직화되고, 제도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일부 우익세력에 의한 간헐적인 망언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또한 이번 교과서 왜곡은 과거와 다르게 전후세대에 의해, 시민단체 운동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그리고 냉전체제 해체하의 국가유동화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풍조가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격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고, 그 결과로 나타난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변화는 일본 사회가 더욱 더 우경화 되어가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과거의 역사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지금도 문서 발굴 작업, 증언 채록 작업, 세계 인권기구를 향한 호소, 법적 투쟁 따위로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현재의 역사이다. 더구나 일본이 일본군위안부를 부정하는 것은 한국에 대한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과 전쟁 책임을 부정하는 것이요, 일본군위안부로 강제 동원되어 만신창이가 된 前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권을 다시 유린하는 범죄행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자라나는 세대에게 인권 및 평등·평화의식·건전한 성윤리 등의 교육에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교과서 기술 부활을 일본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나아가 교과서 기술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도 불충분한 진상규명과 1993년 일본정부의 2차 조사 발표 이후에 밝혀진 사실의 공유를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또한 前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이 고령임을 감안하여 학문적으로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lose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changes of the descriptions in Japanese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schools published between 1997 and 2002 about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and finding relationship of the changes and Japanese awareness of the comfort women. Thanks to researches and partial acceptance by Japanese government of the criminality involved with the forced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as put in Japanes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ll at once in 1997. Although the description was too brief to sufficiently reveal the truth of the matter, publishing of the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in Japanese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schools meant that Japanese finally accepted the existence of 'comfort women' and so their historical awareness advanced by a step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awareness can advance further. In 'New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seven publishers in 2002 for Japanese middle schools, however, description of the comfort women drastically reduced or deleted as a result of strifes between political parties. Among the eight textbook publishers, only three publishers, Nihon Shoseki, Shimizu Shoin and Teikoku Shoin, put the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in textbook. In details of the description, Nihon Shoseki only described the problems involved with comfort women in detail, including the forced mobilization of the women to comfort soldiers and problems involved with the compensation for the women after World War Ⅱ. In contrast to it, Shimizu Shoin and Teikoku Shoin described the matter using improper and ambiguous terms, such as 'comfort facilities' or 'the women sent to comfort facilities', thus going backward from the description of 1997. To make matters worse, textbooks of the four publishers that deleted the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share 80% of the textbook market, thus taking away the opportunity of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 to learn about the truth of comfort women at their history classes. The fact that adoption of the textbook that described the matter in an honest way dropped to 5.9% from 13.7% foretells that the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would be poor and limited in textbooks for 2005. Submission of the seven textbook publishers to the pressure from office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politicians to delete the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and the so-called 'textbook attack' maneuvered by right-wing organizations, such as "Forming Organization", appears to have deteriorated the situation. Recent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and turning to the right show organized and systematic aspects, essentially different from occasional absurd remarks of right-wings in the past, as shown in examples such as recent legislation for the raising of its national flag that had been suspended since its defeat in the World War Ⅱ and the approval of the history textbook edited by right-wings. The seriousness of recent distortion of history books is that differently from the past, it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drifting of the state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by NGO's composed of postwar generation under widespread supports. This current of the times, which brought about heated discussion about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and history textbooks, and the consequential revision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clearly show that Japan is increasingly turning to the right.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is not the matter of the past, but continues to exist, as shown in the efforts for solution, such as further finding out of relevant documents, recording of interviews with victims, petitions to international human right organizations and legal actions. To deny the forced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is to deny repenting of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and responsibility for the provoking of the war, and commit again the crime of infringing upon human rights of the comfort women who ruined their lives due to the forced mobilization.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will als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about human rights, equality, peace and sound sexual morals. In the context, Korea should keep on asking Japan to put the description about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in their history textbooks. In addition, we should ask Japanese government to look into the truth of matters that have not been disclosed yet, and disclose truth that they have found after their second presentation in 1993. Given the fact that the former comfort women are advanced in age, researches on the former comfort women should be hastened.

      • 한, 중, 일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내용 분석 : 청,일 전쟁을 중심으로

        이연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가 속한 동아시아는 점차 한·중·일 세 나라를 중심으로 하나의 세력권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세 나라의 이해와 공존을 위해서는 다른 나라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보다도 필요할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 교육을 받는 동안 자국사 교과서의 외국 관계 기사를 통해 자기 나라와 역사적으로 관계가 깊었던 외국에 대하여 기초적인 지식을 얻게 되고 그것을 토대로 상대국에 대한 일정한 인식의 틀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각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다각적인 비교·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일 세 나라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청·일 전쟁이라는 하나의 역사적 사건에 대하여 어떠한 시각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러한 서술의 특성과 서로 다른 서술이 나타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청·일 전쟁은 1894-1895년 간 조선의 지배를 둘러싸고 청과 일본간에 벌어진 전쟁으로서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가 끝나게 되고 그 대신 신흥 일본을 이 지역의 패자로 등장시킨 전쟁이었다. 또한 당시 아시아에서 각축하고 있던 영국과 러시아 등 제국주의 열강간의 제국주의적 영토분할경쟁을 촉발시킨 계기로 세계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뿌리 깊은 청국의 종주권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일본제국주의의 침략대상으로 바뀌어 인적, 물적으로 전례 없는 수난을 당하였다. 이렇게 동아시아의 근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청·일 전쟁에 관하여 세 나라는 서로 다른 역사 연구의 전통과 교과서 집필의 배경에 의해 교과서 서술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근·현대사 교과서에서 청·일 전쟁에 관한 서술은 독립된 단원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동학 농민 운동이나 갑오개혁과 관련된 부분에서 서술되고 있다. 이는 청·일 전쟁에 관한 연구가 동학 농민 운동과 함께 이루어져 온 때문이다. 또한, 한국 근현대사가 독립된 교과로 자리 잡았으나 이전의 6차 국사교과서의 근현대사 단원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때문이기도 하다. 내용 면에서는 청·일 전쟁의 원인과 경과 등에 대해서는 자세히 서술하고 있으나, 청·일 전쟁이 가지는 동아시아적 의의는 소홀히 다루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의 교과서는 애국주의 교육 정책에 따라 청일전쟁을 중국 내부의 전쟁 상황 전개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청일전쟁에서 영웅적으로 투쟁한 중국인과 항일 투쟁을 강조하는 모습이며, 청·일 전쟁과 시모노세키 조약이 가지는 동아시아적 의미는 간과하고 있다. 일본의 교과서는 일본이 먼저 개전한 사실을 부인하고 있지 않으나, 전쟁의 불가피성을 은연중에 강조하며, 일본의 승리와 대륙으로의 진출에 초점을 두고 서술하고 있다. 일본의 동아시아에 대한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려는 황국사관이 여전히 교과서 서술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일 전쟁에 관한 한·중·일 세 나라의 서로 다른 서술은 세 나라가 서로에 대해 바로 이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교과서에서의 다른 나라와 관련한 내용은 학생들의 의식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청·일 전쟁에 관한 서술의 차이점을 좁혀 나가지 못한다면 한·중·일 세 나라가 동아시아의 공존과 협력을 추구하는 데 있어 커다란 문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역사 교과서를 검토하고 역사 기억에 대한 차이를 줄이려는 노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적 시각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합리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이전부터 지속되어 온 세 나라간의 교류는 더욱 확대시켜야 한다. 또한 한·중·일 세 나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역사 서술에 있어 주요 쟁점들에 대한 권고안을 만들어야 한다. 지속적인 보완연구와 대화 및 신뢰구축을 통해 서로간의 견해차를 근본적으로 좁혀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한·중·일 세 나라는 역사 교과서를 통해 서로에 대해 바로 이해함으로써 더욱 우호적이고 발전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ast Asia is forming one sphere of power based on the three countries, that is, Korea, China and Japan. To understand the three countries and assure of coexistence, correct understanding of other country is firstly demanded. Students can get basic knowledge on foreign countries that had close historical relations with their country by learning foreign relation articles of their country textbooks, when they are taught at school: Based on the knowledge, they can make a certain cognition frame regarding other country. First of all, therefore, the textbooks of which each country makes use need to be investigated in multilateral way. The Sino-Japanese War was waged by both China (the Qing Dynasty) and Japan in 1894 - 1895 to govern Korea (the Chosun Dynasty): When the war was over, China-centered world order in East Asia expired and instead Japan became new power of the region. In addition, the war triggered a territorial division competition among the imperialist Great Powers such as the UK and Russia, etc to be important in the world history. The three countries described textbooks of the war, which is thought to be important at modern history of East Asia, in much different way. The modern history textbooks of Korea described the causes and progress of the war in detail, and neglected the importance of the war in East Asia. The textbooks of China mainly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war situation in China in accordance with the country's patriotism education policy. They put an emphasis on the Chinese people's heroic resistance to the Japanese Imperialists at the war. The textbooks of Japan did not deny Japan's wage of the war against China, but emphasized an inevitable war, and focused on Japan's victory and entry into the Continent. The Japanese view of history that made efforts to justify imperialists invasion of East Asia still had influence upon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s. Different description of the war among the three countries may have an absolute influence upon the students. If the three countries cannot reduce the difference, they may produce great problems when looking for the coexistence of East Asia. Therefore, they are demanded to make active efforts to inspect the history textbooks and reduce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memory. To reduce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viewpoints, the three countries are asked to take reasonable actions after establishing mid and long term plan and to expand information exchanges among them. In addition, they are demanded to make systematic frame for improved textbooks and to recruit experts. The three countries can establish friendly and developed relations when they understand correctly each other through history textbooks.

      • 교류사적 관점에 근거한 초등 역사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분석?

        최태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역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정한 방향에서 역사에 접근하면 편협한 역사관을 갖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역사교과서는 타 국가와의 교류를 항쟁과 정치 위주로 서술하여 학생들이 편협한 역사관을 갖게 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2015 개정교육과정의 역사교육이 한학기로 축소됨에 따라 이러한 위험성은 더욱 커졌다. 교류사 교육을 통하여 다른 민족과 국가에 대해 개방적이며 평등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역사를 살펴볼 수 있으며, 다문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개방된 역사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역사교과서에서 교류사의 서술 비중을 확대하기 위하여 교류사의 관점에서 역사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류사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역사교과서를 구성하기 위해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역사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교류사 교육의 의미를 정의하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생활・문화 위주의 교류사 내용을 선정하였다. 셋째,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역사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으며, 교류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사 교육이란 기존의 학생들에게 가르치던 교역에 중점을 맞춘 교류, 국가 간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한 정치사 중심의 교류를 넘어서 각 문화가 상호 쌍방적 관점에서 교류하였던 교류를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항쟁사, 정치사, 민족사 서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역사관을 갖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류사 교육은 필요하다. 셋째,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소재들을 교류사 교육의 주제로서 제시하였다. 물품, 의복, 생활 풍습 등 쉽게 접하는 것을 교류사 교육 소재로 제안하였다. 넷째, 현재 역사교과서는 민족사, 국가사, 정치사 위주로 서술되어 있으며 교과서에는 7개 주제만 교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었다. 다섯째, 7개의 주제 중에서 생활・문화 관련 교류는 3개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항쟁 위주의 교류로 서술되었다. 여섯째, 시대별 교류사 서술이 불균형하였다. 생활・문화 교류사는 삼국시대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고려 시대 이후에는 항쟁사 위주의 교류가 서술되었다. 일곱째, 2009 개정교육과정에 비해 교류사 관련 내용이 축소하였다. 4개 주제에서 증가하였으며, 6개 주제에서 감소하였다. 교사용 지도서도 역사교과서 분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학습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역사교과서에서 교류사 관련 내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며, 다른 민족과 국가에 대해 개방적인 관점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에 다양한 교류사 소재가 제시되어 교사가 재량권을 펼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다양한 주제의 교류사를 역사교과서에 서술하기 어렵다면 교사용 지도서에라도 서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생활・문화 관련 교류사 분량 확대의 필요성이 높다. 학생의 생활세계 및 경험에서 출발하는 역사교육이 되기 위함이다.  초등 역사교육에서 교류사는 민족사, 항쟁사, 정치사 위주의 서술 한계를 극복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볼 수 있어 역사 교과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차후, 교류사 교육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되어 교류사 교육이 더욱 확대되길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