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연히 발견된 디지털 증거의 독립적 압수·수색제도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연희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형사소송법의 이념인 실체적 진실발견의 실현은 헌법상 대원칙과 적법절차의 준수에 의해 제한된다. 특히 우리 형사소송법은 제308조의2를 규정하여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는 원칙적으로 증거능력을 배제하여 증거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시대가 변하더라도 헌법과 형사소송법의 기본원칙은 크게 달라질 수 없다. 그러면서도 법률은 변해가는 사회상황을 반영하여야 하고 그에 맞게 제정·개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끊임없이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현재 디지털 증거에 대해서는 초기 압수·수색에서부터 증거의 이송, 보관, 분석, 증거조사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증거가 갖는 제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기존의 유체물에 관한 증거법칙을 원칙적으로 고수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E-discovery를 비롯하여 수사 및 공판정에서 디지털 증거가 갖는 비중은 기존의 유체물 증거를 능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증거 자체를 압수의 대상으로 할 수 있는지, 원칙적 선별압수·예외적 매체압수라는 디지털 증거의 압수방법은 타당한지, 별건증거에 대한 증거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은 현행 규정이 한계인지 등에 대하여 여전히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기존 유체물 증거와는 달리 디지털 증거의 경우 무체정보성, 매체독립성, 변조용이성, 전문성, 비가시성·비가독성, 대량성, 네트워크 관련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기기 자체 또는 무선방법 등을 통하여 간단한 명령어(실행코드)를 입력하여 방대한 자료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증거의 특성으로 인하여 증거인멸의 가능성은 유체물을 비롯한 다른 증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증거의 포괄적 압수·수색을 방지한다는 취지에서 관련성 요건을 규정하여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을 뿐, 영장주의 예외를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다. 실무상으로는 피의자 체포에 실패하게 되면 체포에 성공하는 경우보다 물적 증거의 인멸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고, 피의자가 도주한 경우에는 피의자의 연락이나 소문 등으로 인하여 공범이나 가족 등에 의한 증거인멸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디지털 증거는 특성상 원거리에서도 쉬운 방법으로 증거인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증거인멸로 인한 실체적 진실발견의 저해가 우려된다. 현행 형사소송법은 “긴급한 상황”이 인정되는 경우에 인신구속에 수반하는 압수·수색을 인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체포·구속에 수반되는 긴급 압수·수색제도가 인권보호를 이유로 수사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가 있지만 헌법과 형사소송법의 대원칙에 의하면 체포·구속에 수반되는 형식은 타당하다. 그렇다면 체포·구속에 수반되는 긴급 압수·수색 외에 독자적인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을 입법적 명문화를 통해 인정하는 것은 어떠할까? 예외적인 상황 하에서 일정한 전제 하에 독자적인 디지털 증거의 긴급 압수수색제도를 입법화 한다면 헌법과 형사소송법의 원칙하에 수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긴급한 상황에 효율적인 조치를 취하여 신속한 증거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증거인멸 가능성을 방지하고 실체적 진실발견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증거의 독립적 긴급압수제도에 관해 제언하는데 그치지만 디지털 증거의 제반특성을 고려한다면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에서 증거조사방식에 이르기까지 통합하는 취지의 가칭 ‘디지털증거법(Law of Digital evidence)’을 신설하여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for realization in finding substantial truth, ideology of Criminal Procedure Code, it should comply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due process and not be applicable to the Exclusionary Rule of Article 308, Regulation 2. Although consitution and priniciple of Criminal Procedure Codeare reasonable for now, it has constantly a difficulty in that law should reflect society and be enacted and revised accordingly. Actually, the revision is being continued for improvement of criminal code concerning existing material objects and other new evidences, but it cannot put an end over constant raising questions and dispute on view. Although digital evidence is meaningful more than existing evidence of material object for investigation and court including E-discovery (Electronic Discovery System) in modern society, to be commercialized for self-driving 5G, the problem is still persisted on whether digital evidence itself is to be confiscated, the method of confiscating digital evidence - principled seizure of selection, exceptional seizure of media - is appropriate, and the existing regulation is limited to method to obtain admissibility of evidence for unusual proof, etc. In investigating so as to obtain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court, it should not lose admissibility of evidence until there is a corrective measure and compliance for each procedure of collection, transfer, analysis, result report, and disuse of digital evidence and evidence is submitted in order to be approved credibility by judge in open court. In case of digital evidence unlike the existing evidence of material object, it may delete massive data by entering a simple command (executable code) via electronic device itself or wireless method, etc., due to property such as incorporeal informativeness, media independence, ease of modulation, expertise, invisibility·inreadability, mass, and relation to network, etc. Despite of relative high possibility of destruction of evidence, compared to other evidence including material object, it is applying strictly by defining the requirement of relation, to the effect of preventing comprehensive seize and search for digital evidence, owing to such property of digital evidence. It is real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destruct material evidence rather than to be arrested, if it fails to arrest a suspect, in practice, and when considering the case to be destructed evidence by accomplice or family, etc. due to contact or rumor of suspect, when a suspect makes a getaway. Also, it is feared the impediment of finding substantial truth owing to destruction of evidence in that it can destruct evidence by easy way at a distance due to property of digital evidence. Under existing which not accompanied to restriction of human body, if “urgent situation” is admitted. If so, how about admitting independent seizure and search of digital evidence via legislative stipulation, besides urgent seizure and search, which accompanied to arrest·imprisonment? If it legalizes the seizure and search system of independent digital evidence, I think that it is to be effective way to prevent the possibility for destruction of evidence when it cannot collect evidence rapidly, and to fulfill the finding of substantial truth, by taking effective action for urgent situation at the site of investigation, under constitution and principle of Criminal Procedure Code.

      • 통신비밀의 보호와 제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감청을 중심으로

        김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Protection and Restriction on Communication Secrets - Focused on the Wiretapping - While the nation has gone through a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information from many diverse fields is collecting, exchanging and affecting our daily lives much in various ways. Under these circumstances, a term which is call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ecame general. Especially in these days, the popularization of telephone and Internet caus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upheaval, and electronic devices like smart-phone and mobile computing atmosphere lead its explosive changes once agai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the number of newly evolved crimes are increasing and its techniques tend to became more diverse. Furthermore, a terrorism and serious levels of organized crimes are proliferating as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se days. Each nation provides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crimes or terrorism prevention; as seeking some kinds of legal mechanism that protect associated problems like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damages. Consequently, there are some new methods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 to handle prompt changes of social phenomena or its crime trends and the power or authority of investigation agencies tend to become more strengthen. However, all the state institutions cannot infringe upon its substance and cannot exceed the limit of restriction in the fundamental rights which are guaranteed to be in the Constitution. For these reasons, there should be some kind of sufficient control systems to prevent investigation agencies by abusing or misusing the criminal investigation methods and to guarantee th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moreover, those control systems should work practically and precisely. However, the underlay of maintenance law and a legislation system are not yet sufficient, active enough to improve. The wiretapping has been accepted by an inevitable method for criminal investigations or crime prevention when other methods are not qualified enough to use. Korea had conducted the extensive wiretapping for crime prevention or national security by intelligence agencies or investigation agencies without any clear legal basis or proper control system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s a law which created on a basis of unsavory experiences of our society happened in Analog Communication Era. The Act not only includes self-reflection on the illegal interception committed secretly but also considers practical demands for the necessity of wiretapping for the intelligence and criminal investigation for national interest. The wiretapping on the telecommunication has lawfully practiced following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1994. However, now the Act needs to have an overall reappraisal because it still has anachronistic contents. Due to the evolving of technologies and its crucial reality, ensur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communications secrets getting harder and harder to protect as it i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This harsh fact is the current address of Korea, as known as `Digital Powered Nation'. A series of events happened in last two years, revealed specific loopholes in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mainly in regard of the Internet wiretapping. For instance, it does not only search and confiscate e-mail storage in a hard disk but also monitoring the Internet line in real time which is a new technique, so-called `Deep Packet Inspection', emerged as a serious and contradictory problem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was amended after all, then completed telecommunication followe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o find digital evidences. Moreov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also amended by including enhanced requirements of e-mail search and seizure. To sum up, all affairs and issue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argets and techniques of wiretapping are evolving from the traditional analogue methods to the digital environments. However, Korean legislation of law could not reflect this actuality to a real case. First, the existing of traditional wiretapping like an eavesdropping is reproducing its way; gradually tapping the Internet connection of a targeted line and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cooperation wholly conduct to inspect and collect all the information and recombine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Thu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does not overcome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analogue technology and the digital technology, which cannot be coped with the new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s. Secondly, under current control of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ts dichotomous structure of wiretapping and confiscation does not mean very much in the digital communications' era. The criteria of analogue division has become meaningless in the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because of its technical properties which makes no difference between the tapping and the confiscating. In addition,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collected through wiretapping or search and confiscation under the non-volatile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other words, there are no essential differences about corresponding a discriminatory control on the digital communications via wiretapping and search and confiscation. However, identical legislation were applied to completely different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the analogue communications' era and it can easily jeopardize the safety of the fundamental rights. Drastic changes in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emerging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NS) and web and mobile messaging services are obviously showing the limit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refore, the statutes should be urgently amended as a reflection of this convergence and integration era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ies. This treatise is primarily composed social issues and its legal factors to overcome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s defects in analogue environmental limits and properly reflected newly developed features of digital technologies. Especially,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changes which are mainly formed with the Internet like digital communications are mainly discussed. This may propose the measures to improve and apply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constitutionally under the constant developing technology environments.

      •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에 있어서 관련성 개념에 관한 연구 : 모바일 포렌식을 중심으로

        이무영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디지털 증거는 저장 매체의 대량화로 필연적으로 사건과 관련이 없는 다른 파일과 혼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2011년 형사소송법은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은 사건과 관련된 것에 한정하여 압수를 해야 한다고 개정되었다. 하지만, 현장에서 선별 압수수색한다는 것은 기술, 시간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형사소송법에서는 원본 압수를 할 수 있는 단서조항을 두었다. 디지털 증거 원본을 압수한 수사기관은 해당 증거물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영장에 의해 확보한 것이라고 착각을 하기 쉽다. 수사기관에서는 정당한 영장에 의해 압수수색한 디지털 증거에서 추가 범죄사실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더라도 추가 영장을 발부 받지 않고 그대로 증거로 사용하려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포괄압수수색 영장이 되는 것이고 헌법에 위배되는 사항이다. 위와 관련하여 대법원의 사건과 관련 없는 휴대폰 녹음파일에 대한 위법수집증거로 증거능력 배제한 사례가 있으며, 미국 수사실무 및 법원 역시 디지털 증거에서 다른 사건과 관련된 증거가 발견된 경우 법원에 추가로 영장을 청구해야 된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사례 및 최근 대법원의 입장을 우리나라 수사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압수수색 대상에 전자정보가 포함이 되어야 한다. 법 개정 전에 법원 및 수사기관이 추가 압수수색 영장 관련하여 세미나 등을 통하여 법의 미비점을 당분간 보완해야 할 것이다. 휴대폰(스마트폰)은 디지털포렌식의 금광으로 불린다. 그만큼 중요한 증거가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와 비례하여 개인의 사생활은 침해가 되고 있다. 휴대폰 압수 및 분석 과정에서 사건과 관련된 것에 한정하여 출력 및 사본을 하여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다른 증거와 달리 휴대폰에는 민감한 개인정보가 저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수사팀과 별도의 필터링팀에서 선별 작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기초로 수사의 효율성 및 개인의 인권보장 양 측면을 만족시키는 디지털 증거 수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디지털증거 관련 압수수색 현장에서 피압수자 참여 및 수색방법 개선방안

        배치헌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정보저장매체 속의 막대한 디지털증거들을 적법한 방법으로 적시에 압수ㆍ수색하는 것이 수사기관의 당면과제이나, 실제 현장에서는 압수수색에서 적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 연구는 압수수색 현장에서 디지털증거를 획득할 때 피의자 참여와 수색방법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압수수색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무적인 문제들을 선정한 후, 해당 문제들의 우선순위와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압수수색 현장에서 피의자 참여와 선별압수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후, 수렴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의 내용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2차 델파이 조사를 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미국 압수수색제도의 법리와 시사점에 대한 연구 : 플레인뷰 원칙과 독립적 긴급압수수색을 중심으로

        노승우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first source of law of criminal procedure is The Fourth Amendment and through the precedents for a long time, very detailed legal principles have been developed. Although the supreme court has a strong preference for the warrants requirement to protect the privacy interests of citizens from improper search and hurried judgment of a law enforcement officer, in reality, most searches fall within the categories of warrant requirement exceptions. To violate the privacy interests, there should be "trespass" into a constitutionally protected area. However, there have been changes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term "trespass".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e courts focused on whether the government has “actually physically” trespassed. However, some justices were beginning to recognize the threat posed by electronic surveillance devices which don't need to actually physically trespass. In the Katz v. United States(1967) case, the Court made its first real effort to come to grips with the problems presented by advancing technology in the search context, ruling that it is clear that the Fourth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protects persons and not areas from unreasonable searches and seizures. Any law enforcement is authorized to apply for a search warrant by taking an application for a search warrant to a magistrate authorized by law to issue warrants. The application must include an attachment of one or more written affidavits, in such affidavits, the affiant must have sworn under oath to facts sufficient to establish probable cause to believe both that the items to be listed for seizure in the warrant are in fact evidence of specified criminal activity, and that these items are presently located at the premises for which the search warrant is being sought. In the warrant requirement exceptions situation. the probable cause is also needed to search and seize. Comparing korean criminal procedure and U.S. criminal procedure law, we can find out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both countries. Warrant requirements of both laws look alike naturally. In the warrantless search, "search and seizure in the scene of arrest, confinement"((article 217-5-(1)(article 216-2)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and "search and seizure of the property of emergently arrested person"(article 217-1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ave the same legal principle with "search incident to arrest" of U.S. criminal procedure law. because these laws allow the police to search and seize the property without warrant when posing arrest and confinement. "Seizure by voluntary submission"(article 108 of korean law) and "seizure without warrant"(article 218 of korean law) are similar to the "consent search" of U.S. law. Finally, "search and seizure in the crime scene"(article 216-3 of korean law) is similar to the "plainview" of U.S. law. Both laws allow police to seize the property without arrest and warrant. The plainview is also similar to "the search and seizure with warrant" (article 215 of korean law). Because in plainview principle, the fact that the police may have a plainview of an item does not mean that they may necessarily seize that item as evidence. Unless the officer is already legally in a place where he can touch the item, the mere fact that he sees it will not despense with the need for a warrant to seize the item Plainview is the theory we are debating to bring into our law system. We call it "independent emergent search and seizure" as korean term. It can be defined as that when doing search and seizure pursuant to warrant, if the police see the incriminating item of other cases unrelated to the warrant or incriminating item which is not listed in the warrant, police can seize the item. Now in korea, such item is not admitted by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and the supreme court. because it violates the exclusionary rule(article 308-2 of korean law, enacted in 2007.6.1). That's why some scholars in the korean law field have opinions that "independent emergent search and seizure" should be legislated to raise investigation efficiency and let the justice prevail. They also say that the contingency and emergency requirements should be added to "independent emergent search and seizure" to prevent the violation of privacy interest. However, this thesis opposes the introduction of “independent emergent search and seizure” because there are critical differences between circumstances of the two countries’ investigations and the principles of law of both countries come from such a different environment respectively. First, the Korean rules are stricter of the two countries as to warrant requirements. Second, U.S. law allows the police to search and seize in much more broad field of the exceptions to search warrant requirement than the korean police’s investigation field. Third, unlike the korean police’s working condition, U.S. police are on the duty on more dangerous condition, facing the threat of weapons, especially guns by suspects, I guess, which may have been letting the U.S. courts develop the theories on many exceptions to search warrant requirements. In this situation, adopting the “independent emergent search and seizure” may cause the warrant to be the general warrant

      • 가상화폐 압수수색 표준절차 및 정족수다중서명을 이용한 압수물관리방안 제안

        최훈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다크웹을 통한 악성코드 구매, 음란동영상 판매, 랜섬웨어 복호화 대금 지급, 가상화폐 투자를 미끼로 하는 유사수신, 거래소 해킹으로 인한 가상화폐 유출 등 가상화폐를 이용한 범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더해 2018년 5월 국내 최초로 범죄수익금에 해당하는 가상화폐의 몰수가 정당하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옴에 따라 수사과정에서 범죄수익에 대한 가상화폐 압수수색은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증거의 압수와 처리를 다루는 디지털포렌식 표준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아직까지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하는 표준화된 압수절차 및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절차적 안정성을 기반으로 하는 표준화된 압수절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경찰, FBI, 유로폴, 유엔마약범죄사무소, 대검찰청 등 각 수사기관의 압수절차를 살펴보면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용 지갑을 생성하고 압수대상 가상화폐를 수사기관 주소로 전송하는 기본적인 압수절차는 동일하다. 하지만 압수용 지갑의 종류 및 설치 위치, 압수수색에 필요한 전용장비 준비 여부, 피의자의 협조 범위에 따른 대응방안 등 세부적인 압수방법이 서로 상이하고,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도 있어 각 기관별 절차적인 미비점을 보완하고 통합할 수 있는 표준절차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수사기관의 압수절차는 압수단계에서의 절차만을 설명하고 압수 후 관리적 요소에 대한 고려는 없어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압수된 가상화폐의 관리를 위해서는 개인키 또는 지갑파일의 분실과 훼손, 유출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수사기관의 압수물은 경찰, 특사경의 검찰 송치단계에서의 이동, 검찰 내부의 검사실, 압수물 관리부서의 이동, 환부 시 수사기관에서 원 소유자에 이동 등 다양한 이동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저장매체의 파손이나 지갑파일의 훼손 위험이 있고, 파일 보관 과정에서 유출의 가능성도 있다. 이런 유출과 훼손을 막기 위해 단순히 다수의 지갑파일 사본을 생성한다면 훼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겠지만 유출의 위험성은 더 커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압수수색의 절차적‧관리적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절차적인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수사기관의 압수절차를 종합하여 국내 실정에 맞도록 사전 준비사항과 피압수자의 협조범위에 따른 상황별 절차를 정리하고 피압수자의 협조가 불가능한 상황을 대비하여 현장에서 대응해야 할 사항을 정리 하여 가상화폐 압수수색 표준절차 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관리적인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갑 관리 시 사람의 접근과 지갑파일의 사본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지털 증거물 처리와 같이 접근통제 되는 중앙화된 시스템의 지갑관리 및 주소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별도의 관리부서에서 가상화폐 RPC RPC(Remote Procedure Call, 원격 프로시저 호출) 를 위한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를 이용해 가상화폐 관리용 중앙시스템을 구축하여 지갑파일 생성, 관리, 압수용 주소발급 등을 담당하고, 압수용 주소가 필요한 수사관은 중앙시스템에 주소생성을 요청하여 발급 받은 주소를 통해 압수를 하는 방식이다. 셋째, 압수물 처분 보관에 따른 법적 쟁점을 줄이고 압수물을 안전하게 보관‧관리하기 위해 정족수다중서명을 이용한 지갑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비트코인의 내부 기능으로 구현되어 있는 다중서명을 이용해 M-of-N의 형태로 N개의 키를 생성하고 M개의 서명이 있어야 거래가 가능하도록 키를 생성하면 M개의 키를 모두 분실‧유출하지 않는 이상 압수물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에도 한 개의 키를 위탁‧보관하게 하면 보안뿐만 아니라 관리상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수사절차상 압수ㆍ수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roblem of seizure and search conducted to find out the substantive truth, one of the ideas of criminal action in terms of practices and statutes and present its improvements. Seizure and search as legal disposition in substitutes has a strong aspect of encroaching on the individual's basic rights such as the freedom of residence, the freedom of privacy and the freedom of communications and the like. Accordingly, seizure and search not only have the need to reinforce their judicial prior screening but also need to be examined in terms of preventing their abuse and misuse by the will of the investigative agency. Therefore, the clause 12 of the Korean Constitution states the principle of the warrant by presenting the warrant issued by the judge in conducting seizure and search as well as the arrest and imprisonment of the human body.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he warrant principle is to make effort to guarantee human rights by involving the judge guaranteed his or her position by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l power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putting restrictions on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Changes in the judicial environment such as this enhance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nd the trial-centrism require a paradigmatic shift to a new way of investigation, and accordingly the investigative agency shows the tendency to acquire the objective and material evidence rather than the testimony-based evidence. But in spite of this importance, the academic circles have not engaged in energetic discussion over the seizure and search closely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he evidence in the practices of investigation. In the meanwhile,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normative power of the Constitution declaring the due process of seizure and search and the mainstay of the warrant principle shall be maintained in relation to seizure and search in the case of the violation of the Public Office Election Law relating to Jeju governor. And it ruled that the norms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establishing the specific criterion for seizure and search should be maintained to realize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evidence and the ideology of protecting the individual's rights in a harmonious way. In addition, it is prescribed that the evidence collected without following the procedure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cannot be used as the evidence for pleading guilty in principle as it does not follow the due process prescribed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Further, the clause 308-2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stipulated the law of excluding the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by requiring that ’the evidence collected without following the due process can be adopted as the evidence'.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create the most effective model of seizure and 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through harmonizing the propositions such as the efficiency of investigation and the guarantee of the human rights of the accused. First of all,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 theory of critique for the monopoly of the authority to apply for the warrant by the public prosecutor in relation to the warrant principle, the basic principle of restrictions on legal disposition, and a theory of legislation surrounding whether to accept an appeal against the dismission of the warrant. In turn, it attempted to present the institutional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after mak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blem of seizure and search by dividing it into the problem of investigative practices and the problem of statutes in a broad sense. Especially, it attempted to present the need for a special form of seizure and search and the theory of its legislation widely used as one of investigative techniques and recently emerging as a major point at issue though there may not be substantive enactment for seizure and search of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telephone evidence, and deposit credits such as damages induced by wire fraud. Specifically, ⅰ) this study attempted to acquire the efficiency of investigation by presenting a theory of legislation that should admit the exception of the warrant principle only for the item of whether the financial bank account of a particular person exists or not at least. And it discussed the types of money laundering largely found in investigative practices,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to be pursued, the scope of the effect of a seizure and search warrant. the urgent seizure of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s, establishment of the search system, the scope of consolidated accounts before and after seizure and search, and so forth. ⅱ)It attempted to present whether deposit credits such as damages from electronic information or wire fraud can be subject to seizure and search as well as the theory of its legislation. Further, it attempted to examined the plain view theory, the open field theory and the abandonment theory and the like and present a theory of its legislation in linkage with the problem of the so-called independent urgent seizure and search in relation to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seize and search the evidence additionally discovered in the place whether seizure and search was legally conducted by an investigative agency. 본 논문은 형사소송의 이념 중 하나인 실체적 진실발견을 위하여 실시하는 압수ㆍ수색의 문제점을 실무적인 측면과 법규상 측면에서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물적 강제처분으로서의 압수ㆍ수색은 주거의 자유, 사생활의 자유, 통신의 자유 등 개인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압수ㆍ수색은 사법적 사전심사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사기관의 자의에 의한 남용과 오용방지라는 측면에서 검토되어야만 한다. 이에 우리 헌법 제12조는 인신의 체포ㆍ구속 뿐만 아니라 압수ㆍ수색을 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게 함으로써 영장주의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영장주의의 헌법상 의의는 사법권 독립에 의하여 그 신분이 보장되는 법관을 인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수사과정에 참여시킴으로써 인권보장에 만전을 기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인권의식의 고양과 공판중심주의라는 사법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수사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사기관은 진술증거 보다는 객관적ㆍ물적 증거의 확보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계는 물론 수사실무에서도 증거의 확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압수ㆍ수색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던 중 우리 대법원은 제주도지사 공직선거법위반 사건에서 ‘기본적 인권보장을 위하여 압수ㆍ수색에 관한 적법절차와 영장주의의 근간을 선언한 헌법의 규범력이 유지되어야 함은 물론, 실체적 진실규명과 개인의 권리보호 이념을 조화롭게 실현할 수 있도록 압수ㆍ수색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형사소송범의 규범도 유지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아울러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기본적 인권보장을 위해 마련한 적법절차를 따르지 않은 것으로 원칙적으로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하였다. 나아가 개정 형사소송법도 제308조의 2에서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할 수 없다’고 하면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명문화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사의 효율성과 피의자의 인권보장이라는 명제의 조화를 통하여 실체적 진실발견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압수ㆍ수색의 모델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강제처분 제한의 기본원칙인 영장주의와 관련하여 검사의 영장신청권 독점에 대한 비판론, 영장기각에 대한 항고 인정 여부를 둘러 싼 입법론 등에 검토하여 보았다. 다음으로 압수ㆍ수색의 문제점을 수사실무상 문제점과 법규정상 문제점으로 대별하여 심층 분석한 후 제도적ㆍ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특히 금융거래정보, 전자증거, 전화사기 피해금과 같은 예금채권에 대한 압수ㆍ수색 등 명문 규정은 없지만 수사기법의 하나로 널리 활용되며 최근에 주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특수한 형태의 압수ㆍ수색에 대하여 그 필요성과 입법론을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ⅰ)최소한 특정인의 금융계좌개설 존부에 관한 사항만이라도 영장주의의 예외를 인정해야 한다는 입법론을 제시하여 수사의 효율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무상 주로 나타나는 자금세탁유형, 추적할 금융거래정보, 압수ㆍ수색영장의 효력범위, 금융거래정보에 대한 긴급압수ㆍ수색 제도 신설, 직전ㆍ직후 연결계좌의 범위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ⅱ)전자정보나 전화금융사기 피해금과 같은 예금채권이 압수ㆍ수색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그 입법론도 제시해 보았다. 나아가 수사기관이 적법하게 압수ㆍ수색을 실시한 장소에서 추가로 발견한 다른 범죄의 증거물을 영장 없이 압수ㆍ수색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이른바 독립적 긴급압수ㆍ수색의 문제와 연계하여 Plain View 이론, Open Field 이론, Abandonment 이론 등을 검토한 후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과정에서 원격 참여를 통한 참여권 보장

        송행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수사기관은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함에 있어 피압수자의 참여권을 보장해야 하며 압수의 목적물이 유체물이 아닌 디지털 증거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디지털 증거의 특성상 현장에서 유관정보만을 선별하여 압수하기는 어려우며 많은 경우 원본 저장매체를 반출하여 수사기관 사무실에서 탐색 복제 작업을 하게 된다. 현장을 이동하여 전자정보를 탐색 복제하는 작업 또한 압수·수색 절차의 일환이며 이런 일련의 과정에 피압수자의 참여권은 보장되어야 한다. 피압수자는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수사기관 사무실로 출석해야 하는데 원거리 이동으로 인한 과다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로 인해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제약으로 인해 피압수자가 참여권을 포기해야 한다면 충분한 참여권을 보장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과정에 피압수자가 원격으로 참여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여 충분한 참여권을 보장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수사기관에서도 피압수자에게 물리적인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소요되는 노력을 덜어 수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investigating agency shall guarante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execution of the seizure and search warrant, and the same applies even when the object of seizure is digital evidence, not material objects.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evidence, it is difficult to select and confiscate only relevant information in the field, and in many cases, the original storage medium is taken out and the investigation and duplication work is performed at the office of the investigative agency. The search and duplic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by moving the site is also part of the seizure and search process, and the right of the confiscated person to participate in such a series of processes must be guaranteed. The confiscated person must attend the office of the investigative agenc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seizure and search for digital evidence, but if the right to participate due to such space constraints has to be waived, it cannot be said that the confiscated person has sufficient right to participat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guarantee sufficient right to participate by overcoming spatial constraints by remotely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seizure and search for digital evidence. Through this, the investigative agency will also be 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on by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to ensure the participation to the seizure and search process of the confiscated person.

      • 디지털증거 압수수색 과정에서 피압수자 동의 참여 범위

        이규봉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숨진 서울동부지검 수사관 소유의 휴대전화 디지털포렌식’,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의 국회 CCTV 압수(임의제출)’, ‘변사자의 유류물로 압수한 휴대전화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과정에 피압수자 등의 참여 범위와 관련한 다툼이 있었다. 일반 물건과 달리 디지털 증거를 압수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저장매체 자체를 압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저장매체 자체 또는 하드카피 이미지를 반출하여 현장 외의 장소에서 전자정보를 탐색, 복제 및 출력하는 전체 과정에도 피압수자 등의 참여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①현장 및 현장 외의 장소에서 압수․수색이 계속되는 경우 참여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영장집행 단계별 참여권자가 누구이고 참여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 ②피압수자 등에게 디지털포렌식 과정의 참여를 보장하는 취지가 무엇인지, ③임의제출 받은 디지털 저장매체 자체에 기억된 범죄와 관련 전자정보를 탐색․추출하는 과정에도 피압수자 등의 참여권이 보장 되어야 하는지 등을 국내․외 법령, 관련 판례, 논문, 현장 사례 등을 중심으로 검토를 하고, 최근 피압수자 등의 참여가 문제 된 사안에서 수사기관이 적절하게 참여를 보장했는지 확인하고 관련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디지털 증거의 압수 수색 절차에 관한 연구

        김동훈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정보화 사회의 진입은 오늘날 기업과 개인 모든 사람의 활동이 정보화 되어 각종 디지털 매체를 통하여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증거의 압수 수색에 대한 영장 청구는 장소와 품목을 자세히 명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디지털 증거 수사에도 동일한 영장 규칙을 적용한다. 형사소송법 제106조(압수) 1항에서 “법원은 필요한 때에는 피고사건과 관계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것에 한정하여 증거물 또는 몰수할 것으로 사료하는 물건을 압수할 수 있다. 단, 법률에 다른 규정이 있는 때에는 예외로 한다.” 라는 조항은 압수․수색의 대상은 ‘증거물 또는 압수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실무적으로 수사과정에서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이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형사소송법 개정을 통한 전자정보의 압수․수색 대상성을 가능케 하려는 움직임과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상의 디지털 증거들은 일반적인 형사절차 및 수사 시에 증거로 사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많이 보이고 있다. 기존에 고수하고 있던 형사소송법상의 기본 원칙을 이용하여 수사를 진행할 시 그대로 디지털증거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논문에서는 디지털증거의 유형과 절차를 검토한 후 디지털 증거를 압수수사 시 직면하는 기술적, 법률적인 문제점을 짚어나가며 압수수색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체압수를 진행하기 전에 선별압수의 필요성과 디지털증거라는 특성을 적용하여 수색 시 Plain View가 적용될 범위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