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이 유방암환자의 수술 전 혈압, 맥박, 수면만족 및 상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은혜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이 유방암환자의 수술 전 혈압, 맥박, 수면만족과 상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함이고, 연구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실험설계(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연구대상자는 H군 소재 C 대학병원 내분비외과 병동에 입원하여 유방절제술이 예정된 환자로 시험군 21명과 대조군 21명, 총 42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8월 11일부터 11월 15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 프로그램이었고, 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생리적 불안지표로서 혈압, 맥박, 수면만족도와 심리적 불안지표로서 상태불안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혈압과 맥박이 동시에 측정되는 전자식 자동혈압계를 이용하여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였고, 수면만족도는 입원 환자의 수면을 측정하기 위해 Snyder-Halpern과 Verran (1987)가 개발한 시각적 상사척도(Verran & Snyder-Halpern: VSH)를 강지연(1992)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불안은 Spielberger (1972)의 상태불안척도(State 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사전조사는 대상자의 수술 전날 오후 7~8시에 입원실에서 혈압과 맥박을 측정한 후, 수면만족도와 상태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시험군에게는 마취간호 정보를 담은 동영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마취정보를 제공하였다. 사후조사는 대상자의 수술 당일 회복실에서 수면만족도와 상태불안을 측정하였으며, 수술실에 입실 후 마취 유도직전에 대상자의 혈압, 맥박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독립표본 t-test, Mann-Whitney U test, Shapiro-Wilk test,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을 받은 시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리적 불안지표가 더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의 2가지 부가설을 검증하였다. 1) 부가설 1-1: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을 받은 시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혈압이 더 감소할 것이다’는 두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수축기 혈압: F= 0.54, p= .467; 이완기 혈압: F= 0.81, p= .374). 2) 부가설 1-2: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을 받은 시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맥박이 더 감소할 것이다’는 두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Z= -0.90, p= .370). 2. 제 2가설인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을 받은 시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만족이 더 높을 것이다’는 두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Z= 0.28, p= .782). 3. 제 3가설인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을 받은 시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리적 불안지표인 상태불안 점수가 더 감소할 것이다’ 는 두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Z=-1.97, p= .049).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은 유방암환자의 수술 전 혈압과 맥박의 감소 및 수면만족의 향상에 효과가 없었으나, 상태불안 감소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방암환자의 수술 전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취간호중재로서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은 마취간호실무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다른 암 환자의 수술 전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동영상을 이용한 마취간호 정보제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제언한다.

      •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최해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환자안전법 개정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높은 수준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간호사는 환자안전과 관련하여 직접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마취회복실 간호사는 마취 및 수술 중 자기방어능력이 없는 환자에게 발생가능 한 잠재적 위험과 합병증을 예측하고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판단과 수행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마취회복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관, 자기효능감, 환자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현재 마취회복실에서 근무하며 총 임상실무경험이 1년 이상인 간호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27±0.59점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은 평균 3.79±0.60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평균 4.45±0.59점이었다.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서 현재근무지 경력은 전문직관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근무환경 특성에서는 간호사 1인당 담당환자수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환자안전에 대한 교육빈도가 많고 적음에 따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점수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환자안전교육주기, 간호사 1인당 담당환자수, 자기효능감은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주기의 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토대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전략을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atient safety is required as a high level priority since the recent revision of the Patient Safety Act. Nurses play a direct and important role in patient safety. In particular, Post-Anesthesia Care Unit(PACU) nurses are required to predict and quickly respond to potential risks and complications in perioperative patients whom are without self-defense capabilities during anesthesia and surgery.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PACU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139 nurses who currently work at PACU and have more than 1 year of total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es in PACU was 3.27 points out of 5, the average self-efficacy was 3.79 points out of 5, and the averag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was 4.45 points out of 5. Th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of PACU nur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years of work experience in current war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CU nurse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per nurs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oreov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afety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Finally, the frequency of patient safety education,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per nurse,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PACU nurs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PACU nurses, it will be effective to adjust the safety education cycle and improve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a provision of an intervention strategy to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 음악 간호중재요법이 부분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미숙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03

        수술은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불안을 야기시킨다. 특히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받게 되는 부분마취 수술 환자의 경우는 그들의 주변 상황을 알게 되므로 더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생리적 · 심리적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수술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켜주고 안위를 도모하는 것은 간호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분마취 수술 환자의 수술 중 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서 음악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간호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설계는 유사 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03년 11월 10일부터 2004년 4월 21일까지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Y병원에서 부분마취로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정형외과 환자로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실시한 실험군 20명,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20명으로 총 40명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불안 측정도구 중 심리적 불안은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한 Spielberg(1972)의 상태불안(STAI)과 Cline, Herman, Shaw, Morton 등 (1992)의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으며, 생리적 불안은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수, 호흡수, 혈장 노에피네프린을 사용하였다. 실험도구인 음악 간호중재는 미리 제작되어진 5종류의 음악 CD중에서 1개를 대상자가 선택하게 한 후, 자동 반복되는 CD플레이어(SONY-Model No. D-2770)와 헤드폰(PHILIPS-SBC HP150)을 사용하여 수술 중에 듣게 하였다. 간호중재의 적용 시기는 부분마취를 시행하고 마취 정도 확인 후부터 수술이 끝날 때까지 음악 CD를 반복해서 듣게 하였다. 불안 감소 효과 측정은 간호중재 후 20분, 30분, 40분에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상태불안(STAI)은 수술직후 회복실에서 측정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제1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 보다 수축기 혈압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9.673, p= .004). 2) 제2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이완기 혈압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5.022, p= .031) 3) 제3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설험군은 대조군보다 맥박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F=2.132, p= .152). 4) 제4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설험군은 대조군보다 호흡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F= .018, p= .895). 5) 제5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혈장 노에피네프린 수치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839, p= .007). 6) 제6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VAS)이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F=2.191, p=.147). 7) 제7가설: "음악 간호중재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 직후 상태불안(STAI)이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3.471, p= .001). 결론적으로 음악 간호중재요법이 부분마취로 수술을 받는 환자의 불안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불안의 간호중재 방법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비침습적인 음악을 적극적으로 수술 환자 간호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Surgery produces anxiety in most patients. Especially, regional anesthesia which allows patients to be aware of their surroundings is more stressful and can cause physiological · psychological respons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role for nurses to reduce anxiety and enhance comfort of the patients undergoing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using music on anxiety during surgery for the patients under a regional anesthesia in the operating room in order to relieve anxiety and apply to the nursing practice.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for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0, 2003 to April 21, 2004. Study subjects were 40 pati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ose waiting for surgery and having met the requirements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osteo surgery department of the Y Hospital in Busan. Among them 20 pati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doing using music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and the other 20 pati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using music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For the anxiety measurement, the degrees of the patient's psychological anxiety were measured based on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hich was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translated by Kim & Shin(1978), the Visual Anologue Scale(VAS) which was developed by Cline et. al(1992).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and plasma norepinephrine level were applied to measurement of the physiological anxiety. The music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was offered their favorite musical CD, auto reverse CD player and head phone. The music was started after the fixing the anesthesia level.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was checked at 20 minutes, 30 minutes and 40 minutes after the fixing the anesthesia level and STAT was checked in the recovery room after surger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1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posthesis 1: "The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9.673, P= .004). 2) Hyposthesis 2: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5.022, P= .031). 3) Hyposthesis 3: "The pulse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F=2.132, P= .152). 4) Hyposthesis 4: "The respiration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F= .018, P= .895). 5) Hyposthesis 5: "The plasma norepinephrine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2.839, P= .007). 6) Hyposthesis 6: "The visual anologue scale(VA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F=2.191, P= .147). 7) Hyposthesis 7: "The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3.471, P= .001). In conclusion, music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is very effective in relieve anxiety in the patients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Therefore, music which is not expensive and non-invasive can be applied with the nursing intervention of anxiety to nursing for patients.

      • 지지적 간호중재가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양숙명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척추마취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지지적 간호중재가 상태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상실무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C 대학병원 척추마취 하 수술환자 100명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22일부터 2016년 3월 31일 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χ²-test, 독립표본 t 검정,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지지적 간호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낮을 것이다”는 실험군의 상태불안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져 지지되었다. 2. 제2가설: “지지적 간호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활력징후가 감소할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제1부가설: “지지적 간호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수축기 혈압이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제2부가설: “지지적 간호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이완기 혈압이 감소할 것이다” 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하게 감소하여 지지되었다. 제3부가설: “지지적 간호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맥박이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제4부가설: “지지적 간호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호흡이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지적 간호중재가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상태불안 및 이완기 혈압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척추마취 수술환자에게 지지적 간호중재의 적용이 가능하고 독자적인 간호중재의 한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is similar test study before& after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ast group intended to grasp the influence that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has on the symptom of anxiety & vitality of patient operated with spinal anesthesia in order to utilize the result in clinical practice. The subjects of study are 100 patients operated with spinal anesthesia in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2, 2015 to March 31, 2016. It was analyzed by using SPSS version 21.0 program and utilizing χ²- test, independent t test, paired t test.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The 1st hypothesis: “The anxiety mark of test group that provides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will be lower than that of contrast group” is supported, because mark of test group is significantly low statistically. 2. The 2nd hypothesis: “The vitality symptom of test group that provides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will be more reduced than that of contrast group.” is partially supported. The 1st hypothesis: “Systolic pressure of test group that provides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will be reduced than that of contrast group” is dismissed. The 2nd hypothesis: “Diastolic pressure of test group that provides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will be reduced than that of contrast group” is supported, because contrast group is more significantly reduced statistically than test group. The 3rd hypothesis: “Pulse of test group that provides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will be reduced than that of contrast group” is dismissed. The 4th hypothesis: “Respiration of test group that provides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will be reduced than that of contrast group” is dismissed. The above result confirmed that supportive nursing arbitra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anxiety and diastolic pressure of patient operated with spinal anesthesia.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can be positively utilized as a method of independent nursing arbitration applicable to patient operated with spinal anesthesia.

      • 노인환자의 부위마취 수술 중 간호요구

        엄혜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87

        1. 노인환자의 부위마취 수술 중 간호요구의 평균은 3.08±0.38점이며, 영역별로는 교육적(3.47±0.50점), 영적(3.37±0.78점), 신체적(3.31±0.46점), 정서적(2.72±0.50점), 환경적(2.51±0.47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전체 간호요구는 성별, 종교, 배우자 유무,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신체적 영역에서는 성별, 연령, 종교, 학력, 배우자, 동거형태, 간호제공자, 직업, 월 용돈, 보유질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적 영역에서는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동거형태, 월 용돈, 보유질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정서적 요구에서는 종교 유무, 직업 유무, 월 용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경적 영역에서는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동거형태, 간호제공자, 직업유무, 월 용돈, 보유질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적 영역에서는 배우자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술관련 특성에 따른 전체 간호요구는 수술과, 수술시간,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적 영역에서는 수술과, 마취종류, 수술시간, 회복실 체류시간,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적 영역에서는 마취종류,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적 영역에서는 수술시간,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적 영역에서는 수술과, 마취종류,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적요구에서는 수술과, 수술시간,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척추마취 노인 수술환자의 회복실 간호요구

        임정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5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needs of elderly patients with spinal anesthesia in the recovery room. Method: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120 elderly patients had been operated with spinal anesthesia between from 28/12/2011 and 31/3/2012. The instrument was the descriptiv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Eun-Kyoung etc(2002).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Cronbach's alpha coefficient using the SSPS Window(versio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instrument was Cronbach's alpha .882. 2. Nursing needs of elderly patients with spinal anesthesia in the recovery room was 2.47±.82of a total possible score of 5. The score of nursing needs as follows: educational need(2.99±.80), physical need(2.62±.59), spiritual need(2.29±1.12), emotional need(2.08±.81), environmental need(1.71±.83). 3.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ing need were as follows: educational need significantly related to disease experiences(F=4.788, p=.004). Emotional nee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ender(t=-4.485, p=.000), education level(F=2.511, p=.046), marrital status(t=-3.421, p=.001), care giver(F=3.785, p=.026), operating department(F=2.834, p=.041). Spiritual nee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ender(t=-2.319, p=.022), religion(t=3.024, p=.003), operative experience(t=-2.041, p=.021), operating time(F=3.220, p=.044), injection of sedative drug during operation(t=2.683 p=.008). conclusion: Taking care of elderly patients in the recovery room after surgery, nurse should provid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surgery and anesthesia, observe the thirst and cold, and explain slowly in a loud voice. Spiritual care for the elderly patients in recovery room is also important.

      • 마취 전문간호사의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송수영 충남대학교 보건·바이오산업기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39

        This study was aimed to make the plan of the ways of effective work performance and elevating work satisfaction of nurse anesthetist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anesthetist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112 nurse anesthetists in Korea from April. 30, 2005 through Aug. 31 by giving them the questionnaires by mail. Based on the interaction model of the role of the nursing of Riehl and the device of nursing performance scale made by Yoo, Eun Kwang(1979), 35 items made by amendment by Park, Jung Soon(1993) was used as the measuring device for role performance and the measuring device for job satisfaction index made by Slavitt and others(1978) was used by 30 items prepared by Park, Jung Soon(1993) after complementing and amending the vocabluaries and items to be suitable to the situations of nurse anesthet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of anesthetic nurses showed average 3.96 and 4.29 in the area of doing the role of advocator under the index of Likert 5 points as the highest while the role of change agent the lowest by 3.50. 2.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nurse anesthetists was average 3.26 and 3.64 and in the area of interaction the highest while administration area the lowest by 2.89. 3.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anesthesia behavior relation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career and montly income(p <0.05). 4.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nesthesia behavior relation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nking and planning of nurse anesthetists(p <0.05). 5. Cor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 anesthetists showed low while the higher the performance point of the role of change abent, the higher the index of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point of interaction of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oint of role performance showi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ask requirements and the role of the facilitator(r=-.0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