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거 형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기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령화와 생산인구의 감소로 인해 노인 부양에 대한 부담은 가중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사적 부양을 제공하던 가족의 부양 기능은 약화되고 있다. 가족은 노인이 누릴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해주고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가족의 부양 약화는 노인의 우울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노인의 동거형태가 1인 가구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독거노인의 우울증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노인 우울 관련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동거 형태를 결정하는 두 주체인 배우자와 자녀와의 동거가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6~2016년 동안 노인의 동거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결혼 상태가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노인의 우울 사이의 관계에 결혼 상태가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들의 추이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의 비율은 40.8%에서 28.8%로 20.0%p 감소하여 동거가 빠르게 감소하는 추이가 확인되었다. 결혼 상태의 경우 유배우자인 노인의 비율은 65.22%에서 55.72%로 감소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인해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증가하였다.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결혼 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는 노인의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결혼 상태는 노인의 우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유배우자일수록 우울이 감소하였다. 둘째, 자녀와의 동거 여부와 노인의 우울 사이의 관계에 결혼 상태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합동(Pooled) OLS에서는 결혼 상태가 조절효과를 가졌으나, 고정효과모형을 실시하니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주로 세대구성에 따른 우울 수준 분석에 집중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족을 구성하는 두 가지 주요 주체인 배우자와 자녀가 미치는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노인의 동거 형태가 무작위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강 상태나 가족 구성원과의 친밀도와 같은 개인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정효과분석을 통해 누락변수로 인한 편의를 교정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가족을 통한 사적 부양, 그 중에서도 배우자의 역할이 노인의 우울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증가하는 노인에 대한 부양 부담은 어느 한 주체에게만 전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시장, 국가가 역할 분담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존에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제공되던 우울 관련 서비스를 무배우자 노인으로까지 확대하여 노인의 우울을 예방하고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강화해나가야 할 것이다. While the ageing and shrinking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is raising costs for the society to support its elderly citizens, the family is failing at sustaining its traditional role as the provider of support for its older members. The family provides the elderly with resources, and immediate assistance when necessary; When the family loses such functions that improve the mental conditions for the older adults, they can start experiencing levels of depression. As the form of living for the elderly is shifting from a multi-member combination to a single member entity, the society is facing severe problems regarding its senior members suffering from deteriorated psychological health. In order to design policies to address such issues,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a constituent of the older generation lives with his or her spouse or children and his or her level of depression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search and reveal how such forms of coresidence influence the rat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by using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for the years of 2006 to 2016.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Does living together with children affect depression levels among the elderly? Second, Does marital status affect depression levels among the elderly? Third, Does marital status have any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an older adult is living together with his or her children and his or her experience of depression? This study used panel regression analysis based upon the fixed effect model to investigate answers for the said questions. This research starts by following how key variables have changed during the examined period.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liv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40.8% to 28.8%. As for marital status, older adults with partners dropped from 65.22% to 55.72%; elderly persons without a partner increased as they went through divorce, death of a spouse, etc. The effect coresidence with children has on the degree of depression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whether the older adult lives with his or her childre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ravity of his or her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whether he or she has a spouse had an significant impact; if one had a partner, he or she suffered less from depression. Second, marital statu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habitation with children and the extent of depression. Though marital status was suggest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when data was processed with pooled OLS, it no longer proved to be significant under the fixed effect model. This paper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s of preceding works that had depended on living arrangements as main variables when analyzing level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d to present a more accurate explanation on the effect spouses and children have on depress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focused to eliminate omitted variable bias by applying the fixed-effect model, under consideration that coresidence status of the elderly is not randomly decided, but rather closely related to personal traits such as health conditions, intimacy with family members, etc. It has been examined that family support, in particular support from a spouse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The cost to support the ageing population should not be the burden of a single party; the family, market and state together needs to adjust their roles. In addition, the society needs to provide support services for depression to not only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ut also to those without a spouse to strengthen its ability in addressing depression in the older population.

      • 가족생활의 개인화와 친밀성의 탈제도화 - 이성애 청년 동거를 중심으로

        김희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연애, 결혼, 출산을 모두 포기하였다는 N포세대 담론이 청년들에게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친밀성을 유지하려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 경험의 여러 층위가 획일적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많은 청년들이 경제 위기 이후 취업난, 주거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친밀성의 영역이 모두 무너졌다고 하기에는 친밀성과 섹슈얼리티를 바탕으로 한 동거와 같은 가족 구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다양한 가족에 대한 상상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되었느냐 했을 때 사회적 인식 외에도 현재의 법체제는 이를 반영할 만한 충분한 질적 담론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개인은 사회에서 혼자서만 생활을 영위할 수 없으며 누군가와 돌봄과 부양의 책임을 함께 해야 하는 존재다. 이성애적 관계에서 동거는 그러한 돌봄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할 뿐 아니라 사회적 질서에 관한 생각, 정치적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경험이 되고 있으며 이는 청년들이 친밀성을 나름의 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통로가 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가족 구성의 근대적 형태가 아닌 새로운 친밀성의 방식이 추구되는 개인화라는 흐름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가족생활의 개인화와 친밀성의 탈제도화라는 새로운 친밀성의 방식을 추구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개인화란 개인의 일대기가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계획되고, 유연한 '이동성'을 요구받고 가부장적 가치에 기초한 근대적 가족 규범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사회적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밀성 유지를 위한 조건을 주로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환해버리는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20~30대 청년들의 실제 동거 계기, 경험, 동거를 통해 얻게 되는 결혼과 동거에 대한 인식을 심층면담하여 이들의 가족생활을 개인화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동거 계기는 모두 ‘그냥 자연스럽게’ 시작된 것으로 그 안에서 연구참여자들은 현실적 문제들과 갈등을 겪으며 친밀성에 관한 새로운 질서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개인화된 삶의 조건들 속에서도 두 사람이 함께 친밀성을 유지해 나가기 위한 성찰과 행동조율을 해 나가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인격적 어른됨을 습득하고 있었으며, 남성들의 경우 여성들의 삶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동거는 전통적 가족주의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탈제도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통적 가족주의란 유교적ㆍ권위주의적ㆍ가부장적인 가족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양가 가족이 삶에 개입하게 되는 결혼에 관한 큰 부담감을 안고 있었다. 한국에서 ‘결혼이 아닌’ 동거는 여전히 사회적 낙인 문제를 겪게 했지만, 이러한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생활을 자율적으로 조정하고 각자가 평등한 관계에서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동거 친밀성만의 특징은 이들이 관계를 지속해 나갈 수 있게 했다. 특기할 만한 지점은 이들의 관계가 나름의 결속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동거 과정에서 헤어짐을 염두하기보다 관계의 영속성을 기대하며 동거를 시작했으며, 동거 커플 특유의 긴장감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헤어짐이 쉬울 것이라는 기존의 인식과 달리 동거 관계는 실질적인 구속력을 상호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동거는 연구참여자들에게 대안적 생애과정으로서 동거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 주고 있었다. 이들에게 가족의 의미는 법률적 테두리 보다 대체적으로 친밀성 그 자체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결혼 계획 여부와 관계없이 앞으로의 삶의 기준점을 세우고 책임감을 갖게 하는 주체적 동기로 작용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독립성이 증대된 상황에서 친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생애과정을 계속해서 모색하게 하는 통로를 만들어주었다. 본 연구는 동거에 관한 질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괄호 속에 들어가 있는 청년들의 실제 친밀성과 관련한 경험들을 드러내고자 하였고, 개인화와 신자유주의적 변화 속에서 친밀성을 포기하지 않는 사례들을 통해 기존의 3포세대 담론 기각을 시도했다. 또한 개인화라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동거 연구는 가족생활에 대한 다양한 상상력을 갖게 해주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老人同居型 多家族世帶에 관한 住居 硏究

        김현배 조선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회구조의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우리 고유의 전통적 가족제도와 구조가 변하였다. 인간의 의식주에 의한 가족의 기본생활의 변화는 핵가족화를 낳게 되었고 그로 인한 노인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현 우리사회의 의식구조는 핵가족의 보편화로 인해 자녀교육의 부재, 윤리관 및 인내심 저하, 이기적 성향, 정서적 결핍, 세대간 연결성 결핍 등의 많은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경제력과 노동력이 없거나 신체적 장애들로 인해 노인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노인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복지정책이 '선가정보호 후사회보장'이라는 틀 속에 노인문제를 가족 내에서 자체 해결 할 수 있도록 하는 소극적 정책이 일관되었고, 복지의 대상도 저소득층에만 한정되어 시설 복지에 치중하여 왔었다. 그리고 기존의 주거개발은 가족형태의 구성이나 가족구성원들의 심리적·정서적·사회적·행동적 측면에 대한 배려 없이 생활의 기능적 편리성만이 계획시 중요시되어 왔고, 주거정책이 양적 측면에 집중되어 한국적 정서에 부합하지 못하는 주거문화가 형성되어 왔던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동거형 다가족세대'라는 키워드를 연구의 틀로 잡았다. 이는 핵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한편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유형의 주거연구의 일환으로 기초적 연구의 방향을 설정키 위해 일차 문헌조사에 의한 연구방식을 도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동거 다가족세대를 위한 평면계획은 기존공간 구성에 관한 규범에서 벗어나 보다 창의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면 거실, 베란다, 현관, 부엌, 식당 등의 융통성 있게 재고). 2. 노인동거 다가족세대 간의 생활에서 가장 많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독립성의 결여에 따른 사생활 침해의 공간구조, 규모, 방 수, 수납공간 부족, 욕실·변소의 수 및 방음 등이 지적되었다. 3. 삼대가족형 아파트 내에 제공되어져야 할 주거유형은 수평부분 동거형, 수평 완전 동거, 수직부분 분리 동거, 수평 부분 분리 인거, 수직 분리 근거형으로 나타나고 있고, 4. 아파트의 경우 단지는 도심부 지역과 근교지역에 따른 규모와 평형의 모델제시가 필요하고 그에 따른 교외와의 연계성도 지적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는 노인문제의 1차적 해결을 가정에서 하는 방식을 전제로 하여 노인동거형 다가족세대의 주거공간에 관한 기초적 방안을 여러 측면에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단순히 양적 증가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향상을 위한 심도 있는 연구와 실행의 계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다음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사례조사와 실험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structure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social structure The changes of the family's basic life have brought in the formation of nuclear family and consequently it resulted in the problem of the aged. Therefore, the way of thinking in our society points out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children education, lowering of sense of ethic and endurance, egoistic trend, lack of emotion and connection among generations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nuclear family And these cause the problem of the aged because of the loss of their economic and working ability and physical handicaps. The problem of the aged in Korea has been treated by the negative policy for the old people's welfare which is to solve the problem within the family in the frame of 'protection of family first and social security last' and the object of welfare is limited to low-income class and the welfare of facilities. Existing housing developments have been focused on the functional convenience of life without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family and psychological, emotional, social and behavioral sides of family members and the residential culture which is not suitable to the Korean emotion has been made by the concentration of residential policy on the quantitative side Therefore, this study makes the key word of multiple family generati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the frame of the research because the problems due to the formation of nuclear family have been emerged In addition, this study accepts the research methods by literature surve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basic research on the residenc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lane planning for the multiple family generati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requires more original planning escaping from the norm of the composition of existing space. (That is, living room, veranda, entrance, kitchen and dining room should be considered flexibly) 2 It is pointed out that the stressors frequently felt in life of the multiple family generati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are the space structure, size and the number of rooms which violate the privacy due to the lack of spatial independence, lack of storage space, the number of bathrooms and toilets and sound-proof facilities 3 The types of residence for three-generation family type are horizontal type of living together, perfect horizontal type of living together, separate type of living together in vertical part, separate type from horizontal part and separate type from vertical part 4 In the apartment houses, the suggestion of model of size by downtown and suburban districts is required and the connection to the outskirts is suggested. In the reality which is faced with the aged society, the basic methods of residential space of multiple family generati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should be exami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imary solution of the problem of the aged should be made at home. Constant and positive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qualitative level and quantitative increase in solving the problem of the aged should be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will suggest the case studies and the need of experimental research.

      • 노인의 동거형태와 정신건강의 관계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윤혜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의 동거형태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시 복지패널 2차 본조사(2010)의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1,27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동거형태는 독거가구, 부부가구, 부부와 자녀 동거가구, 노인 1인과 자녀 동거가구의 4가지 형태로 나누었고, 연구대상자를 성별에 따라 층화하여 삶의 만족도와 우울을 정신건강 지표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동거형태별 분포는 독거가구 257명(20.2%), 부부가구 535명(42.0%), 부부와 자녀 동거가구 277명(21.7%), 노인 1인과 자녀 동거가구 206명(16.2%)로 나타났다. 동거형태별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는 노인부부가구에 속하는 경우 남성과 여성노인 모두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제일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우울은 제일 낮았고, 독거가구 노인의 경우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은 제일 낮게 나온 반면, 우울 정도는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형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노인 모두 부부가구인 경우 부부/자녀동거형태의 노인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노인의 경우 고학력일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보유질환수가 적고 일상생활수행을 독립적으로 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여성노인의 경우 고학력일수록, 자가주택을 갖고 있는 경우, 현재 재산에 만족하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고, 일상생활수행을 독립적으로 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남, 여 모두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동거형태와 우울의 경우 남성 독거노인과 부부와 자녀가 함께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경우 부부가구 노인에 비해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노인은 재산만족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사회활동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 주택소유와 재산만족도, 건강상태, 사회적지지/참여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변화하고 있는 도시노인의 동거형태에 대한 가치관이 반영된 것으로 자녀와의 비동거가 노인의 자발적 선택이고, 이로 인해 노인의 정신건강이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과 비교할 때 나쁘지 않거나,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거노인 뿐 아니라 자녀와 동거하더라도 정신건강이 취약한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노인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해 주는 연구결과로써, 노인보건정책 수립 시 대상자 선정을 좀 더 폭넓게 고려하고, 노인의 다양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겠다. ……………………………………………………………………………… 주요어 : 동거형태, 여성노인, 남성노인, 삶의 만족도, 우울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rrangement of elderlies and their mental health, using the 2nd version of the 2010 Seoul Welfare Panel Study. The sample size of the study was 1,275, and the type of the living arrangement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a. Living Alone, b. Living with Spouse Only, c. Living with Spouse and Child, and d. Living with Child Only.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the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Scale was used, and samples were stratified by gender. Among the 1,275 samples, 257(21.7%) living alone, 535(42.0%) living with spouse only, 277(21.7%) living with spouse and child, and 206(16.2%) were living with child only. Older people living with spouse only showed the best mental health status among the four types of living arrangement while those who are living alone were the poorest.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oth older men and women living with spouse only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living with spouse and child. For older men, th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were high level of education, economic status, number of diseases they have and ADL. In other hand, high level of education, ownership of the house, asset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DL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for women. Social activities showed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in both older men and wome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rrangement and depression was analys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lderly men living alone and elderly women living with spouse and child showed a significance in the result. Asset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DL, social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 on both older men and women. However, for women, high level of education, ownership of the house, number of diseases and social support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 The study is depicting the dynamics of change in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living arrangement of elderly people in Korea. It became their voluntary choice to live separately from their children, and it is very possible for them to have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ho are living with children. Consequently,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o expand the scope of the beneficiaries of the elderly health programs since there could be elderlies who are vulnerable from poor mental health even though they are living with their own children. ……………………………………………………………………………… keyword : living arrangements, elderly women. elderly me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한 동거자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이희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tends to predict future family by investigating cohabitation, one of the diversified family life styles. Thus, it analyzed sense of value and sense of marriage of cohabitation, current cohabitation and predicted marriage life, relation between marriage disintegration and cohabitation in order to further clarify the life of cohabiting families through them.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study subject and the primary stage of study theme, inmate was analyzed through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en male & female cohabiters were interviewed in-depth. Structure team and auditor also participated in study course to exclude the prejudice of researcher. The main outcome of inmate’s recognition and experience clarified by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iewing the participants’ sense of value of cohabitation, the definition of cohabitation recognized by them was the course of love. The prerequisite of cohabitation is found to be loving relation, economic capability to maintain life. The participants chose to live together for their desire to be with partner, mitigation of economic burden, psychological factor and convenience of date place. Viewing participants’ sense of marriage, they mostly intended to marry. Inmates rejected to marry due to the importance of self-development, fear of marriage, satisfaction in cohabitation, desire of free life, burdensome marriage cost. The definition of marriage they thought is officially/legally responsible relation, emotional combination. Participants said that prerequisite of marriage includes economic capability, consent of family, love. Inmates said that the motive of choosing marriage includes unexpected pregnancy, acquaintances who urge to marry, psychological stability. Participants mostly disclose cohabitation to specific person. They disclose it to original family, because original family inevitably is aware of cohabitation. Informed of the children’s cohabitation, original family is found to permit cohabitation, acknowledging cohabitation as a personal choice and the premise of marriage. When relation with original family or cohabitation is undisclosed after cohabitation, they show the aspect of interrupting relation with original family, maintaining constant relation with original family, rejecting relation with original family. It is found that the domains where experience in former cohabitation affects relation with partner have possibility of conflict. Second, viewing the reality of cohabitation, the domains of participants’ sharing economic life showed core ideas of single responsibility, common responsibility. They are found to share exclusive power, economic power on the power over economic life. Housework is usually done independently and core ideas are drawn, showing that conflict is settled during cohabitation with mutual acceptance and active solution. For affirmative aspect of cohabitation, core ideas such as understanding partner and improvement of rel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diminution of economic burden, convenience of date were drawn. For negative aspect, core ideas such as fear of pregnancy, acquaintances/partner who urge to marry, conflict in disclosing cohabitation, ambiguous performance of role, unfair division of housework, difference in life habit, difference in the culture with original family were drawn. The affirmative aspect of marriage life they predict shows the open and stately relation due to official-legal rel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guarantee of life in old age and supporting parents,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be parents. The negative aspect is found to be difficulty and burden in playing the role, burden of sacrificing for family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diminished personal life, burden of divorce. Third, viewing the relation between cohabitation recognized by participants and marriage disintegration, core ideas such as reduction of negative vision due to divorce, reduction of financial damage due to divorce were draw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urther extends the study based on the theme of cohabitation which is still in the primary level in the country. Based on this study, the suggestion for subsequent study is as follows. As cohabitation subject is quite limited for qualitative study, generalizing study outcome is subject to limit. Further, subsequent study considering age, experience in former marriage, etc. is necessary. Furthermore, cohabitation may be understood in-depth, if variables affecting the aspect of cohabitation are further investigated by expanding sense of cohabitation and actual life in the contents. 본 연구는 다양해진 가족생활 양식 중 하나인 동거생활을 살펴봄에 따라 미래가족을 예측하고자 했다. 따라서 동거자의 동거 가치관과 결혼관, 현재의 동거생활 및 예측되는 결혼생활, 결혼해체와 동거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동거가족의 삶을 좀 더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특수성, 연구주제가 초보적 단계임을 고려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 :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통해 동거자를 분석하였다. 남녀동거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연구팀과 감수자가 연구과정에 함께 참여하여 연구자의 편견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동거자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동거 가치관을 살펴보면, 그들이 인식하는 동거의 정의는 연애의 과정이었으며, 동거생활의 전제조건은 사랑하는 관계,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경제력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동거의 선택 동기는 파트너와 함께 있고 싶은 욕구, 경제적 부담완화, 심리적 요인, 데이트장소의 편의성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결혼관을 살펴보면, 그들은 대부분 결혼의향을 가지고 있었다. 동거자들의 결혼선택 거부이유는 자기개발의 중요성, 결혼에 대한 두려움, 동거관계 만족, 자유로운 생활에 대한 욕구, 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그들이 생각하는 결혼의 정의는 공식적, 법적인 책임 있는 관계, 정서적 결합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결혼의 전제조건에는 경제력, 가족의 동의, 사랑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동거자들은 결혼선택의 동기로는 예상치 못한 임신, 주변의 결혼독촉, 심리적 안정감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동거관계를 특정인에게 공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원가족에게 동거를 공개한 이유는 원가족이 동거를 알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자녀의 동거를 안 원가족은 동거를 개인의 선택으로 인정, 결혼의 전제로 인식하여 동거를 허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 후 원가족과의 관계 동거관계 미공개한 경우 원가족과 관계 단절, 원가족과 지속적 관계유지, 원가족의 관계 거부 양상을 띄었다. 이전동거 경험이 파트너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역에서는 갈등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거생활의 실제를 살펴보면 참여자들의 경제생활 분담정도 영역을 살펴보면 단독책임, 공동책임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경제생활에 권한 정도도 단독권한, 경제적 권한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분담정도는 단독수행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동거생활 중 갈등해결방식은 상호수용, 적극적 해결로 범주가 도출되었다. 동거의 긍적적 측면으로는 파트너에 대한 이해 및 관계향상, 심리적 안정감, 경제적 부담완화, 데이트의 편의성이 도출되었다. 부정적 측면은 임신에 대한 우려, 주변/ 파트너의 결혼 압박, 동거관계 공개 갈등, 역할 수행 모호, 불공평한 가사분담, 생활습관의 차이, 원가족과의 문화차이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들이 예측하는 결혼생활의 긍정적 측면은 공식적-법적 관계로 인한 관계의 당당함, 심리적 안정감, 노후생활보장 및 부모부양, 부모됨의 기회제공이 도출되었다. 부정적 측면은 역할 수행의 어려움 및 부담감, 가정에 대한 희생과 책임감에 대한 부담감, 개인생활의 축소, 이혼에 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이 인식한 동거와 결혼해체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이혼으로 인한 부정적 시각 감소, 이혼으로 인한 재정적 손해 감소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초보적 수준에 있던 동거를 주제로 한 연구를 좀 더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질적 연구로서 동거대상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음으로 연령별, 이전 결혼경험 등을 고려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연구내용면에서도 동거 가치관 및 실제 생활을 확대하여 동거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더 탐색한다면, 동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기독교 윤리로 보는 동거문화와 교회의 역할 : 동거문화를 중심으로

        이성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주제를 “개혁주의 신학으로 본 동거문화와 대책”으로 정한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이다. 평소에 기독교윤리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졸업논문으로 이 주제로 하려고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러나 결혼을 전제조건으로 ‘동거생활’을 하던 한 쌍의 남녀가 심한 다툼으로 헤어진 후 다른 이성들과 동거생활을 시작하는 모습에서 충격을 받고 이 주제를 졸업논문주제로 정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우리 사회에서 동거는 경제적인 부담이나 부모의 반대 등의 어떤 이유로 인한 결혼을 미룬 ‘미혼 동거’가 주류였다면, 최근 대학가에서는 객지 생활의 외로움, 생활비 절약, 성적 호기심과 욕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한 동거의 형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연인들끼리 동거한다는 개념이 점점 희박해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동거사이트와 동거카페들이 생겨나 동거할 파트너들을 구하고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동거에 대한 젊은이들의 인식이 과거에 비해 얼마만큼 달라졌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경남정보대학이 2008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혼전동거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콤이 운영하는 인터넷통신 천리안(www.chollian.net)은 결혼시즌을 맞아 1만3천887명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혼전동거'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87%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2008년 10월 17일 밝혔다고 한다. 2010년을 살아가는 젊은 세대에게 ‘동거’는 더 이상 은밀한 소재가 아니다. 쉬쉬하고 감추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 달라진 세태를 반영한다. 동거가 단지 거주형태를 규정하는 단어에 그치지 않고, 현재 젊은이들의 사고와 행동, 생활 문화 등을 상징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사회의 여러 계층이 모여드는 교회는 어떤가? 교회 안에도 알게 모르게 동거하고 있는 청년 대학생들과 장년층 교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동거에 대하여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죄라고 생각하는 개념들이 사라져 가고 있다. 그리고 이혼과 함께 동거하다 서로 헤어질 때 생기는 교인들의 윤리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하나님 나라의 부흥이 가로막히고 있다. 그러므로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동거를 살펴보는 것과 윤리적인 문제인 동거문화에 대처하는 교회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은 시급한 문제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서 동거문화가 과연 무엇인지, 즉 용어 정의에서 시작해서 동거문화의 문제점들을 기독교윤리학의 기본전제들을 토대로 들여다 보고 한계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의 재무상태 및 재무행동 분석

        박혜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의 연령 집단별 부모와의 동거 비율은 20∼24세 72.0%, 25∼29세 64.8%, 30∼34세 57.4%, 35∼39세 50.3%로, 각 연령대에서 1인 가구를 형성한 미혼남녀의 비율보다 높았다(통계청, 2015). 또한 부모가 부양하는 성인자녀의 86.9%가 미혼이고, 이 중 취업자의 비율은 58.9%로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취업 상태인 미혼자녀를 부양하고 있다(김유경, 2018). 선행연구는 이러한 성인자녀를 ‘캥거루족’이라는 용어를 활용해 명명하였고, 성인자녀가 부모와 동거하는 것에 대해 성인기로의 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독립하지 않는 성인자녀로 인해 부모가 겪게 되는 경제적 부담을 지적하고, 고용불안, 저임금, 주거비용 상승 등의 사회경제적 원인을 논의하며, 이들의 독립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주로 모색해 왔다. 그러나 부모와 동거하는 성인자녀의 비율이 증가하고, 동거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소위 말하는 캥거루족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다. 소득활동을 하고 있지만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의 경우, 청년실업, 고용불안 등의 이유로 비자발적으로 캥거루족이 된 집단과는 분명히 다른 특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므로 물리적 동거 여부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녀 간의 다양한 교류 특성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득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고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들이 부모와 어떠한 사회·경제적 교류를 하고 있는지, 사회·경제적 교류 특성(사회인구학적 특성, 독립계획 여부, 부모에게 지급하는 생활비 유무)에 따라 그들의 재무상태, 재무적 자기효능감 및 재무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의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독립계획 및 생활비 지급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모와 동거 중이며, 일정한 소득이 있다고 응답한 20대와 30대 성인남녀 411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t-test, 교차분석(chi-square), 일원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교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녀의 평균 연령은 30.25세이며, 77.6%는 부모로부터 독립할 계획이 있으며, 독립 예상 평균 연령은 32.93세로 주로 30대에 독립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녀의 67.2%가 동거 중인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부모에게 생활비(현금)를 지급하는 비율은 60.3%, 부모가 자녀에게 용돈 등을 지급하는 비율은 10%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자산부채 상태와 재무건전성을 살펴보면, 자산 중 예·적금의 보유 비율이 92.2%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자산보유액 중에서는 부동산 자산보유액이 가장 많았다. 부채는 신용카드 부채 보유 비율이 22.4%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부채액은 주택마련을 위한 부채가 가장 많음을 확인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본 결과, 각 재무비율의 가이드라인 충족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가계수지지표 83.2%, 저축성향지표 35.8%, 금융자산비중지표 86.1%, 부채부담지표 77.6%로, 저축성향지표 가이드라인 충족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들이 그만큼 자신의 지출액과 저축 및 투자액의 경로 및 현황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독립계획 여부, 자녀가 부모에게 지급하는 생활비의 유무에 따라 재무상태(소득지출, 자산부채 상태, 재무건전성),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행동을 비교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의 경우, 여성은 남성보다 예·적금 보유액, 금융자산비중지표 값이 높았고, 남성은 여성에 비해 주식·채권·파생상품 보유액과 기타 부채액이 많았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신용과 부채관리 행동 수준이 높았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금융환경과 재무관리 의사결정 행동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통해 여성은 남성보다 안전 금융자산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으며, 낮은 신용도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거나 대출을 받는 상황에서 대출이나 신용카드 납부액은 연체하지 않고 제때 갚는 등의 재무행동을 통해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추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남성은 자동차 구입 등으로 인한 대출 및 할부 거래 등의 재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대의 경우, 30대가 20대에 비해 자산부채액(예·적금, 기타 자산보유액, 주택마련 대출액)이 대부분 유의하게 높았고, 20대가 30대에 비해 금융자산비중지표 값이 높았다. 이는 30대가 20대에 비해 취업 시장에 오래 있었던 것만큼 금융자산 외에 비금융자산에도 투자하는 등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다양한 투자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독립 예상 연령 중 30대의 비중(70.2%)이 높은 것을 토대로 볼 때 앞으로의 경제적, 주거적 자립 등을 위한 30대의 주택마련 대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수준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이하보다 대학원 이상인 경우, 소득지출(월평균 소득, 월평균 저축투자액), 자산부채액(예·적금, 펀드, 주식·채권·파생상품 보유액, 학자금 대출액)이 대부분 유의하게 높았으며,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의 경우, 대부분 타 직업군에 비해 전문·관리직이거나 사무직인 경우, 소득지출(월평균 소득, 월평균 저축투자액), 자산(예·적금 보유액), 재무건전성(저축성향지표) 수준이 대부분 유의하게 높았으며, 재무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독립계획이 있는 경우, 금융환경과 재무관리 의사결정 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이를 통해 독립계획이 있는 조사대상자는 금융환경 변화에 관심을 갖고 평소 자신의 재무상황을 점검하며 시기에 맞는 재무목표를 갖고 있으며, 계획적으로 재무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녀가 부모에게 생활비를 지급하는 경우, 저축투자액, 예·적금 보유액이 유의하게 많았고, 수입과 지출관리 행동, 위험관리와 보험 행동 수준이 높았다. 이에 따라 자녀가 부모에게 생활비를 지급하는 경우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잘 관리하고, 소비지출 내역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등의 재무행동을 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또한 재산상의 위험 등에 대비해 자신의 재무상황을 파악하고 미리 계획을 세우는 등 재무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직업이 사무직인 경우, 독립계획이 있는 경우, 재무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경우, 총자산, 월평균 저축투자액이 많은 경우 재무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이 독립계획 여부와 자녀가 지급하는 생활비 유무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독립계획에 의해 사무직과 자영업의 재무행동 수준이 조절되었다. 즉, 사무직과 자영업자의 재무행동 수준은 독립계획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가지며, 독립계획이 있는 경우 이들의 재무행동 수준이 더 강화된다는 것이다. 생활비 지급 여부에 의해 교육수준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 부채를 보유한 경우의 재무행동 수준이 조절되었다. 즉, 교육수준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와 부채를 보유한 경우에 재무행동 수준은 생활비 지급 집단과 미지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지닌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는 20-30대 미혼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이들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 부모와의 교류 특성, 재무상태와 재무적 자기효능감 및 재무행동, 나아가 경제적 자립의 가능성 등을 파악함으로써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이들의 경제적 자립 준비도와 재무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unmarried young people living with their parents is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such people by age group was 72.0% at the age of 20-24, 64.8% at the age of 25-29, 57.4% at the age of 30-34, and 50.3% at the age of 35-39,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men and women living alone at each age group (Statistics Korea, 2015). In addition, 86.9% of adults supported by their parents are single, of which 58.9% are employed which means that more than half of the unmarried subjects living with their parents are employed (Kim Yoo-kyung, 2018). Previous studies have coined the term "kangaroo people" to describe the unmarried adults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they were often seen as people who have not properly made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The economic burden on parents due to such "kangaroo people" has been pointed out, socioeconomic causes such as employment insecurity, low wages, and rising housing costs have been discussed, and the focus was mainly on ways to promote their independence.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unmarried adults living with parents increases and the duration of dependent living increases, the so-called kangaroo types are diversifying. Among them, the group that participates in income activities differentiate from the group who involuntarily depend on their parents due to you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judge economic independence of "kangaroo people" by considering not only their cohabitation but also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financial status,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behavior of unmarried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al and economic exchanges(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ce plan, and living expenses paid to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financial behavior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lanning their independence and paying their living expenses. The following cor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elf-written surveys of 411 adult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with their parents who answered they are employ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unmarried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with their paren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is 30.25, 77.6% plan to becom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nd the expected average future age of when they will become independent is 32.93, mainly in their 30s. 67.2% of them were found to be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60.3% of them pay their parents for the living expenses(cash), and 10% of them receive money from their parents. Second, findings on the asset debt status and financial soundness of the survey subjects are as follows. Among assets, the ratio of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was the highest at 92.2%, and among average asset holdings, real estate asset holdings were the highest. As for liabilities, the credit card debt holding ratio was the highest at 22.4%, and the average debt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debt for housing. The following are ratios of those meeting the standards for each financial ratio derived from examining the financial soundness of the survey subjects. Household balance indicators 83.2%, savings propensity indicators 35.8%, financial asset share indicators 86.1%, and debt burden indicators 77.6%, indicating that the ratio of those meeting the standards for savings propensity indicators was relatively low. This shows that unmarried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with their parents are not aware of the exact path and status of their expenditures, savings, and investments. Third, the following are the core findings of analysis that compared financial status,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survey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lan to become independent, and contributions towards living expenses.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omen had higher deposit and installment savings and financial asset share indicators than men, while men had higher stock, bond, and derivatives holdings and other liabilities than women. In addition, women had higher levels of credit and debt management behavior than men, and men had higher levels of financial environ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decision-making behavior than women. Through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prefer safe financial assets than men, and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pursue stable financial conditions through financial actions such as paying back loans or credit card payments on time without overdue loan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men are likely to show financial behavior such as loans and installment transactions due to car purchases. Regarding outcomes of different age groups, most of the asset li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30s than in their 20s, and the financial asset share index was higher in their 20s. As the age rises, people showed more variety of investment behaviors, such as investing in non-financial assets as well as financial assets, as those in their 30s have been in the job market longer than those in their 20s. A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are expected to become independent in their 30s(70.2%),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oportion of home mortgage loan is high in people in their 30s for their future financial independence and independent living. In terms of education level, income expenditure(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savings investment), asset liabilities(deposit, installment savings, funds, student loans, etc.) were mostly significantly higher, and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behavi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st occupations, the level of income expenditure(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savings investment), assets(deposit and installment savings holdings), and financial soundness(savings propensity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specialized jobs and office jobs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The survey subjects with an independent plan showed higher level of financial environ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decision-making behavior and were more interested in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checked their financial situation more, and had financial goals. The survey subjects who paid living expenses to their par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avings investment,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reserves, and showed higher income and expenditure management behavior,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behavior level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when they contribute towards living expenses, they are more likely to perform good financial actions such as managing their income and expenditure well and checking consumption expenditure details carefully. In addition, they show better financial behaviors, such as identifying one's financial situation and planning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property risk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nancial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 was higher when they had office jobs, when the level of financial self-efficacy was high, and when the average monthly savings investment was high. Finally, a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interaction term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nancial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was controlled by independent planning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ributions towards living expen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 of offic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was affected by the independent pla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s of offic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independent plans. Their level of financial behavior is further strengthened when there is an independent plan.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 was affec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make contributions towards living expenses when the education level was graduate school or higher and when they had debt. In other words, in cases of people with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level and people with deb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 paying living expenses and the group not paying living expenses. In conclusion, as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number of unmarried young people who are employed but living with their parents,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view on economic independence of young people by providing preliminary data on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exchanges with their parents, financial status, financial self-efficacy, financial behavior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economic independence. It is also expected to help identify their economic independence readiness and financial capabilities and help find ways to strengthe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