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발독재 체제의 '조국 근대화'와 남성성 : 황석영, 최인호의 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정재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개발독재 체제가 추동한 ‘조국 근대화’가 한국 사회의 가부장제화 또는 남성 동성사회화 과정을 수반하였음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여러 남성성 및 남성 주체가 구성되는 메커니즘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성성 및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규정하고 그것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독재 시기의 이상적·규범적 남성성을 규정하는 관점은 크게 그것을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능력을 가져 핵가족 가정을 부양하는 가장됨으로 보는 관점, 군사적이거나 마초적인 육체의 능력 내지 이미지로 보는 관점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자 모두 남성성을 모종의 속성 또는 자질들의 목록으로서 규정하려 한다고 보았으며, 그와 달리 남성성을 자본주의-가부장제 사회 근저의 젠더·섹슈얼리티 구조 내의 위치이나 관계성으로서 규정하고자 하였다. 또, 서구의 남성성과는 구별되는, 한국의 개발독재 체제의 맥락에서의 남성성 구성에 영향을 미친 핵심적인 조건을 군사적 동원과 산업적 동원이 결합된 동원 체제 하에서의 피동원성에서 찾았다. 아울러, 선행연구들 전반에 걸쳐 개발독재 체제 하에서 남성 개인들이 (체제가 표방하는 바를 따라) ‘초남성화’되었다고 보는 관점과 (체제가 ‘강한 남성성’을 독점하고 남성 개인들을 억누름에 따라) 남성성의 약화를 겪거나 심지어는 ‘여성화’되었다고 보는 관점이 혼재되어 있었는데, 이와 같은 서로 상반된 테제를 종합하는 관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황석영의 1970년대 중단편 소설들이 일종의 ‘남자 되기’ 서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텍스트들을 해석함으로써 산업화로 인해 형성되고 공고해져 간 계급 구조가 남성 동성사회적인 것임을 살펴보았으며, ‘민중’으로 표상된 군사적·산업적 피동원자 남성 특유의 남성성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황석영과 최인호 각각의 거세 서사를 나란히 놓고 분석함으로써는 개발독재 체제의 노동자 또는 국민 만들기 과정이 남성성의 순치로서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포착하였다. 최인호의 초기 중단편 소설이 개발독재 체제의 미시 권력 및 통치성을 예민하게 포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산업 영역이 군사화되는 과정이 남성 개인들을 남성 동성사회화하는 과정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살펴보고, 개발독재가 지배적 남성성에 관한 욕망을 부추기면서도 남성성을 순치하는 이중의 ‘남자 만들기’ 전략을 구사하며 그에 따라 남성 주체가 분열적으로 구성되거나 주변화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텍스트 해석을 통해 고찰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독재 체제에 의해 추동된 근대화(반공적 군사주의에 의해 뒷받침된 산업화·자본주의화)는 계급 구조를 비롯한 사회의 공적 영역을 남성 동성사회화하고 그 과정에서 여성을 (이)성애적 대상으로 위치 짓는 식의 젠더·섹슈얼리티적 구조 형성을 필요로 했다. 둘째, 이는 남성 개인들에게는 남성으로 (재)주체화하는 과정이기도 했는데, 그러한 ‘남자 되기’는 (서구로부터 수입되어 모방적으로 담론화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달성하고 체득해나가는 과정만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다양한 방식의 비헤게모니적 남성성(본고의 용어로 하면 ‘경색된 남성성’) 구성 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헤게모니적 남성성들의 출현은 개발독재 체제의 ‘남자 만들기’의 젠더 정치의 실패 혹은 그에 대한 저항이 아니라, 체제가 남성 주체들을 군사적·산업적 피동원 주체로 구성하는 과정의 일환이자 남성 동성사회적 공적 영역을 위계화하는 과정의 일환이다. 넷째, 그렇지만 비규범적·비헤게모니적 남성성은 단지 지배 체제에 의해 일방적으로 구성되기만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는 대항담론의 생산자들이 스스로를 피동원적 존재로 내지는 ‘민중’으로 인식하고 재현하는 과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기도 하다. 다섯째, 그렇다 하더라도 개발독재 시기의 남성 ‘국민’/‘민중’들은 궁극적으로는 남성성과 남성 주체를 구성해내는 체제의 젠더적 전략의 영향력 내에 들어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전략이란, 한편으로 지배적 남성성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지 말 것을 종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 주체를 동원할 수 있도록 남성성을 길들이는 식으로 이중적인 힘을 발휘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그 모순적·이중적인 힘의 작용이 어떤 다른 요인들과 만나고, 주체들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각자 다른 방식의 남성성 구성이 이루어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national modernization” propelled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regime was accompanied by a process of patriarchalization or male homo¬socializ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examine the mechanisms by which multiple mas¬culinities and male subjects are constructed in the process. First, this study redefines (hegemonic) masculinity and shows its constitutive mecha-nisms. In previous studies, the perspective that defines ideal and normative masculinity in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period has been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that views masculinity as embodying social status and economic ability to support the nuclear family, and another as a militaristic or macho-like physical ability or image. This study claims that both perspectives attempt to define masculinity as a list of attributes or qualifications. In con¬trast, this paper tries to define masculinity as a position or relationality within the gender-sexuality structure underlying capitalist-patriarchal society. Moreover, this thesis argues that a key condition that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the South Korean context, distinct from Western notions of masculinity, is found in the combined mobilization system of military mobilization and industrial mobilization. Furthermore, throughout previous studies, the following perspectives coexisted: first perceives male individuals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regime as becoming “hypermasculinized” (as the regime promotes), and second perceives them as being emascu-lated or even “feminized” (as the regime monopolizes “strong” masculinity and suppresses male individuals). This study pursues develop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reconciles and syn¬thesizes these conflicting thes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Hwang Sok-yong’s 1970s short stories and novellas have a narrative of “becoming a man,” the analysis of these texts reveals that the class structure formed and consolidated by industrialization is a male homosocial one, and identifies the fea¬tures of masculinity peculiar to men represented as minjung[people/folk], “the moblized men” who are called up by the mil¬itary and the industry. By analyzing the respective “castration narratives” of Hwang Sok-yong and Choi In-ho, this thesis captures how the process of making laborers or kukmin[citizens of the nation]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possesses the character of taming masculinity. By noting how Choi In-ho’s early short stories and novellas sensitively detect and represent the micro-power and governmentality of the regim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rocess of militarizing the industrial sphere is revealed as a process of male-homosocialization of individual men, and how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employs a dual “man-making” strategy which, while fueling desires for dominant masculinity, also tames masculinity as docil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male subjects as dualistic, disrupted, or marginalized. The observations mad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tex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odernization driven by developmental dictatorship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supported by anti-communist militarism) necessitated the establishment of gender-sexuality structures that male-homosocialized the public sphere and positioned women within the private sphere as objects of (hetero)sexual desire. Second, this process was also a process of (re)subjectivizing as men for individual men, whereby “becoming a man” did not appear as a process of achieving and acquiring hegemonic masculinity (imported from the West and mimicked into a discourse), but rather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various forms of non-hege¬monic masculinities (referred to in this study as “stagnant masculinities”). Third, the emergence of non-hegemonic masculinities is not a failure of the gender politics of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regime or resistance against it, but rather an integral part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ale subjects as “the mobilized” in the military and industrial spheres, as well as hierarchizing the male homosocial public sphere. Fourth, non-normative and non-hegemonic masculinities are not simply constructed by the regime, but are also, to some extent, shaped through the processes in which the producers of counter-discourses perceive and represent themselves as “the mobilized” or minjung. Fifth, even so, male “kukmin” or “minjung” are ultimately influenced by the gendered strategy of the regime that constitutes masculinity and male subjects. This strategy operates by simultaneously exerting dual, ambivalent forces: on the one hand, it exhorts men not to give up their desire for dominant masculinity, and on the other hand, it tames masculinity so that male subjects can be easily mobilized. Consequently, diverse forms of masculinity are constructed depending on how these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forces intersect with other factors and how the subjects receive and respond to the forces.

      • 한국판 청소년 남성성 의미 척도(K-MAMS)의 타당화

        이혜령 경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남자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남성 성역할 규범은 그들의 심리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남자 청소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남성성을 다루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판 청소년 남성성 의미 척도(Korean version Meanings of Adolescent Masculinity Scale; K-MAMS)를 타당화하여 청소년의 남성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였다. 원저자에 의해 개발된 27문항을 우리말로 번안하였고, 중학교 1~3학년 남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EFA)를 실시하여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4문항을 삭제하였다. 본조사에서는 중학교 1~3학년 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14문항이 확정되었다. K-MAMS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4요인(놀리기, 지속적 노력, 감정억압, 이성애주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K-MAMS의 내적 요인구조로 이중요인 모형(bi-factor model)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인 및 수렴 타당도는 K-MAMS와 남성 성역할 갈등, 공격성, 자아존중감, 상태불안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지지되었다. 또한 학년별 남성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과 Scheffe의 방법으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K-MAMS가 청소년의 남성성을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임을 확인하였다. K-MAMS는 남자 청소년이 내면화한 남성성이 그들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적 발달에 어떻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lthough conformity with traditional male gender role norms has been link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in adolescent boys, there exists few study in Korea dealing with adolescent masculinity. This study sought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s of Adolescent Masculinity Scale(MAMS), which had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for American boys. 27 items originally developed by Oransky and Fisher(2009) went through 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 to be adapted prior to data collection. The preliminary tests were administered to 202 seventh to ninth-grade boys and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4 items were eliminated. With a sample of 329 seventh to ninth-grade boys, descriptive statistics and EFA were conducted and 14 items were retained in the final scale.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the original scale: Social Teasing, Constant Effort, Emotional Restriction, and Heterosexism. Subscales derived from this analysis yielded good internal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confirmed that the bifactor model best fits the data. Concurren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support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MAMS and existing measures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aggression, self-esteem, and state anxiety. Also,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with Scheffe’s post-hoc tests, th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middle school boys’ masculin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K-MAMS is reliable and valid for assessing the endorsement of adolescent male gender role norms. The K-MAM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endorsement of male role norms both impedes and facilitates adaptiv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 males.

      • 위기적 남성성 재현에 관한 연구 : 90년대 후반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이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한국 사회의 근대화 프로젝트 시기에 형성된 근대적 남성성이 97년도 IMF 금융 위기로 표상되는 ‘위기’ 국면을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화들에 나타난 남성성의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위기’를 겪은 남성들이 ‘남성’ 주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현실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남성 주체가 남성성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위기’ 전후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사회의 근대적 남성성이 현재까지 삶의 조건으로 융해되어 있는 특정 요인을 밝혀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사회의 근대적 남성성의 범주를 1)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삶의 지표로서의 측면, 2) 사적 영역인 가정에서의 관계 측면, 3) 여성에 대한 관계 구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 범주에 대해 1) <친구(2001)> 및 조폭 영화들, 2) <해피엔드(99)>, <플란다스의 개(2000)>, 3) <파이란(2001)>, <나쁜 남자(2001)>를 각각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영화들은 각 범주의 특징에 따라 1) <친구>와 같은 조폭 영화들이 아버지의 규범과 남성 연대를 준거로 하는 남성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근대적 남성성으로 복귀를 재현하고 있다는 점, 2) <플란다스의 개>와 <해피엔드>는 가정에서의 관계에서 부양자 지위의 상실에서 비롯된 남성성의 상실을 여성에 대한 단호한 처벌과 공적 영역에서의 퇴출로 회복하려 한다는 점, 3) <파이란>과 <나쁜 남자>는 여성에 대해 성별 관계의 변화의 지평을 무시하고 있는 부적응적인 현실의 남성성이 상상적 여성성을 구성함으로써 과거의 여성성에 대한 환상을 가진 유아적 남성성으로 퇴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렇듯 남성성은 90년대 들어서 근대 형성기와는 다른 속성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다가, 경제적 위기의 국면을 지나면서 다시 과거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욕망을 보여주는 등의 굴절을 겪게 된다. 근대 사회에서 주변적이었던 주체인 조직 폭력배를 호명하면서 강하게 남성들을 결집해 내는 중심을 세우고 여성과 여성 친화적인 주체들을 소거하는 남성 연대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근대의 주역이었던 남성 주체들은 근대로의 복귀가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깨닫지만 내재된 근대성으로 인해 변화된 지평에 적응력이 부재한 갈등을 겪는다. 그러나 이들의 선택도 역시 여성과 여성 친화적인 주체들에 대한 처벌로 회귀한다. 또한 남성 연대에서도 배제되고 여성과의 소통도 거부당한 남성은 지극히 폭력적으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유린하거나 여성을 탈역사화, 탈공간화시키면서 ‘현실의 여성들’이 아니라 ‘상상의 여성’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영화적으로 재현된 남성성의 위기 대응 방식은 과거로 복귀, 이분법적 성별 관계와 위치의 회복, 상상으로 퇴행이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은 200년대를 사는 현실의 남성들이 자아를 인식하고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딜레마와 연관된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근대적 성별 관계가 변화해 가는 흐름에서 남성들이 자기 정체성과 성별 관계에서의 딜레마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갖는다. 여성들이 자기 정체성을 탐구하고 그 의미와 지평을 확립해 가는 여성성에 대한 연구 못지않게 남성성을 대중문화에서 그리고 현실의 사회적 조건에서 연구하는 것은 중요할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types of masculinity representation in films in order to view how the modern masculinity in Korea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IMF crisis. It also analyzes how the men after the 'crisis' situation would restructure the reality. Here, its focus is on the difference of the men's attitude in accepting the changes of masculinity and gender relationship so that it can clarify how the modern masculinity in Korea has lasted up to now. In this thesis, modern masculinity in Korea would be divided into 1) the aspect as social relationship and conformity, 2) the aspect of each state in a family of the private sphere, and 3) the aspect of its formation of relations with women. For each category, following films are analyzed. 1) <Friend (2001)> and other Korean gangster films 2) <Happy End (1999)>, <A Higher Animal (2000)> 3) <Failan (2001)>, <Bad Guy (2001)> The category 1) deals with the Korean gangster films as the signals of a desire for social relations. These films form a the identity of men based on the rules of 'Father' and the solidarity among homogeneous men. Also, they represent men's return to modern masculinity in Korea. Men In the category 2) lost their state as family supporter. The loss of their state causes the loss of modern masculinity in his family, and they try to recover it by punishing women with own discretion and expelling women from the public sphere. The category 3) is focused on the degenerative men to an infantile one with fantasy of feminity of the past. In the films, unadaptable men to changed circumstances in feminity and gender relationship form women in fantasy. The masculinity forme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had showed a new aspect in 90's, but as it went through the economic crisis in late 90's, it then exposed a desire of returning to the past in a way. The desire makes the gangsters who were the outsiders of modern society the core of the men solidarity and gets rid of women from the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the men who were the main subject of modernization realizes that the return to the modern masculinity is impossible, but the embedded modern masculinity in themselves prevents them from being adapted to the reality. Anyhow, their choice is also the punishment. And the men who were excluded by men solidarity and refused by women become one-sided and violent. They trample down the female sexuality or expel women extremely from the real history, from the real space. After all, they don't form the 'women in reality' but the 'women in fantasy'. The responses of masculinity to a 'crisis' represented in the recent Korean films show the return to the past, to the recovery of gender relationship in modern way, and the degeneration to the fantasy. These can explain the present dilemmas of men living in Korean society and exemplify the ways they recognize who they are and the way they organize their own reality. This study is basically interested in how men can be adapted to changed circumstances and face the dilemmas in their identities and in the new gender relationship. It would be important to study not only feminity who has already searched and broadened their identity, but also masculinity in the mass media and in the social condition.

      • 20대 한국 남성의 일상적 메이크업과 남성성의 변화

        정수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changing masculinity among South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through the practice of makeup. To accomplish this, I conducted anthropological research on participants recrui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KakaoTalk open chat rooms where men who wear makeup gather, and at makeup shops that offer services for men. The meaning and practice of makeup among male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were found to be expanding within close relationships with women, men, and adults in their surroundings. The study argues that their makeup is encompassed into modern Korean masculin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individuals of different genders and ages. South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desire makeup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neoliberalism, and feminism. The soft masculinity that emerged in the late 1990s spread rapidly through mass media, and the image projected by recent K-pop male idols narrows the gap between masculinity and makeup through female consumers. Meanwhile, the beauty market stimulates male grooming through self-care discourse. Male participants use makeup primarily to improve their impression, particularly for dating rather than work. Heterosexual male participants apply makeup to appear wellgroomed to potential female partners, aligning with the masculinity desired by women. Women exer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male participants' makeup practices. Men no longer consider women's makeup as obvious, influenced by the anti-corset movement. They view makeup as a courteous effort and engage in it to show respect to women. Women in the vicinity of male participants sometimes pressure them to start makeup and guide them toward what they consider appropriate. This reflects a feminine gaze from women in close proximity to men and makeup shop experts. Women not only provide material support but also serve as virtual presences to help men fulfill their makeup role, considering makeup as a representation of femininity. Women actively engage in facilitating men's adoption of makeup among South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Makeup initiated by women becomes entrenched in the peer groups of male participants. In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South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skincare rituals foster intimacy, expanding men's grooming concerns from the body to the face. While grooming for men used to focus on physique and fashion, contemporary South Korean men's interest in grooming extends to facial appearance, including makeup and plastic surgery. Makeup among men was once subject to ridicule within male relationships but is evolving into a skill to learn. Makeup acts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among men, shaping masculinity through negotiation. Men's makeup reshapes social significance through interactions not only with peers but also with authority figures such as bosses, teachers, and parents. A man's face with makeup can either stand out as a makeupwearing man or blend in. Given the coexistence of negative and positive perceptions of men grooming in modern South Korean society, male participants expand the acceptance of makeup-wearing men by adjusting the visibility of their makeup based on others' reactions. They employ strategic attitudes to carve out a space in society as makeup-wearing men. In conclusion, men's makeup becomes part of masculin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individuals of different genders and ages. Male participants demonstrated how masculinity is socially constructed through their direct makeup practic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apturing how everyday makeup among South Korean men in their twenties contributes to the evolution of masculinity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메이크업이 한국의 20대 남성들에게 실천되는 모습을 통해 변화하는 남성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메이크업을 하는 남성들이 모인 카카오톡 오픈채팅방과 남성 메이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이크업 샵에서 참여관찰을 하며 모집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인류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20대 남성 연구참여자들에게 메이크업의 의미와 실천은 주변 여성, 남성, 어른과의 밀접한 관계 내에서 확장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들의 메이크업이 서로 다른 젠더와 나이를 가진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대 한국 사회의 남성성으로 포섭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자는 20대 남성 연구참여자를 둘러싼 한국 사회, 주변의 여성, 이들이 속한 남성 집단, 일상적 공간에서 마주치는 어른들이라는 네 축으로 나누어 남성들의 일상적 메이크업을 통해 남성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나가는 방식을 살폈다. 현대 한국 사회의 20대 남성 연구참여자들은 한류와 신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남성성 속에서 메이크업을 원하게 된다. 1990년대 후반 등장한 부드러운 남성성은 대중매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최근 K-pop 남성 아이돌이 띠는 이미지는 여성 소비자를 경유해 남성성과 메이크업 간의 간격을 좁힌다. 한편 뷰티 시장은 자기관리 담론을 통해 남성이 외모관리에 필요를 느끼도록 부추긴다. 남성 연구참여자들은 메이크업을 통해 인상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은 직장보다는 연애이다. 이성애자 남성 연구참여자들은 잠재적 연애 대상인 여성에게 잘 보이기 위해 메이크업을 하고, 이는 여성이 원하는 남성성과 연결된다. 여성은 남성 연구참여자들의 메이크업 실천에 직간접적 영향을 행사한다. 남성들은 탈코르셋 운동의 영향으로 여성의 메이크업을 당연하지 않게 여기게 되었다. 메이크업 행위를 노력이 들어간 예의로 여기고, 자신 또한 여성에게 예의를 갖추기 위해 메이크업을 한다. 남성 연구참여자들의 주변 여성은 남성이 메이크업을 시작하도록 직접 압력을 넣기도 하고, 자신이 보기에 적절한 이미지를 띠도록 방향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는 남성과 가까운 위치의 여성, 메이크업 샵의 전문가를 통한 여성적 응시의 반영이다. 또한 여성은 남성 연구참여자들의 메이크업을 둘러싼 물질적 기반뿐만 아니라 이를 갖추기 위한 구실로써 가상의 존재로 도움이 되기도 한다. 메이크업이 여성성을 대표하는 행위로 여겨져 온 만큼, 여성 범주는 20대 남성 연구참여자들이 메이크업에 도달하는 데에 적극 관여한다. 여성의 영향으로 시작된 메이크업은 남성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또래 집단 내에서 남성성으로 자리잡는다. 한국의 20대 남성이 필수로 거치는 군대에서는 얼굴 피부를 가꿈으로써 친밀감을 나누는 문화를 통해 남성의 외모관리 범위가 몸에서 얼굴로 확장된다. 이전에 남성이 꾸밈이 몸매와 패션에 머물렀다면, 메이크업과 성형 등 현대 한국 남성의 단장에 대한 관심은 얼굴로 향하고 있다. 남성 간 관계에서 메이크업은 주변적 남성성의 일환으로 놀림거리가 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선구적 행위로서 배우고 싶은 능력으로 의미가 바뀌어 나가고 있다. 남성 연구참여자들이 실천하는 구체적 메이크업 방법은 이성애자 남성성을 보존하는 규범적 방식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다른 남성과의 대화를 통한 협상에 열려있다. 이처럼 메이크업 행위는 남성들 간 소통을 거쳐 남성성으로 받아들여진다. 남성 연구참여자들은 또래뿐 아니라 직장 상사, 학교 선생님, 부모님 등 자신보다 높은 위치의 타인과 교류함으로써 남성의 메이크업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새롭게 구성한다. 메이크업을 한 남성 연구참여자의 얼굴 이미지는 메이크업을 한 남성으로 눈에 띄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현대 한국 사회에는 외모를 가꾸는 남성에 대한 인식은 젠더나 세대에 따라 다르기에, 남성 연구참여자는 타인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메이크업을 비/가시화함으로써 메이크업한 남성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위를 넓혀간다. 자신에 대한 고정관념을 미리 방지하거나 때로는 웃어넘기기도 하고, 스스로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을 주변 어른의 반응으로 깨기도 한다. 이렇게 남성 연구참여자들은 전략적 태도를 통해 자신이 메이크업한 남성으로서 사회에 설 자리를 만들어 나간다. 위와 같이 남성의 메이크업은 남성 당사자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젠더와 나이를 가진 주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남성성의 일부로 협상되고 있다. 남성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직접적인 메이크업 실천과 더불어 그를 둘러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통해 남성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20대 남성의 일상적 메이크업이 현대 한국 사회의 남성성 변화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지 포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남성성, 남성, 메이크업, 신자유주의, 페미니즘, 젠더 학 번 : 2020-24893

      • 20-30대 남성의 독서 행위와 남성성

        박정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독서 행위와 남성성의 관계 분석을 통해,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표상된 20-30대 남성의 이미지를 넘어 이들의 정체성 및 가치지향의 다양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대남은 반페미니즘 성향, 공정과 능력주의 등 특정 사회 문제에 있어 다른 세대 및 성별과는 다른 응답을 보인 20대 남성을 지칭하는데, 2018년 이들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언론과 정치권의 주목을 받으며 이대남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다. 이후 20대 남성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 및 설문조사가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20대 남성에 관한 사회적 이미지가 공고화되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20대 남성을 하나의 고정된 이미지로 가두거나 복합적이고 입체적인 개인을 하나의 집단으로 단순화하는 위험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20대 남성이 ‘이대남’이라 호명되고 문제시되는 집단으로 이미지가 공고화되면서 이대남 현상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20-30대 남성의 다양한 남성성을 제시하고자 독서 행위라는 틀을 통해 접근했다. 우선 독서 행위를 독서 목적, 독서 장르로 나누어 분석했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 행위를 유형화했다. 또한 20-30대 남성 내 다양성을 살펴보고자 20-30대 남성의 사회적 이미지를 만드는 데 영향을 준 사회 문제 중 양성평등/페미니즘, 여성할당제, 포괄적 차별금지법 등 젠더 의제를 선정하여 인식 정도에 따라 유형화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발견한 유형은 첫째, 연결 지향적 남성성, 둘째, 개인성장 지향적 남성성, 셋째, 절충적 남성성이다. 우선 첫째, ‘연결 지향적 남성성’은 정서/관계적 목적으로 인문 서적을 읽고 있으며, 양성평등/페미니즘, 여성할당제, 포괄적 차별금지법 등 젠더 의제에 대해 강하게 동의하며 사회적으로 표상된 20-30대 남성과는 대조적인 특성을 보였다. 이들의 독서 행위는 공감 능력, 타인에 대한 이해, 상상력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젠더 의제에 관한 강한 긍정으로 이어졌다. 또한 전통적인 남성성에 대해 비판적이며 사회가 정해놓은 틀에 순응하기보다 사회변화적인 가치가 담긴 미래를 지향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이상화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거부하고 사회변화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둘째, ‘개인성장 지향적 남성성’은 정보/인지적 목적으로 실용 서적을 읽고 있으며, 양성평등/페미니즘, 여성할당제, 포괄적 차별금지법 등 젠더 의제에 대해 강하게 부정했다. 이들의 독서 행위는 개인의 성장 및 변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는 젠더 의제에 관한 강한 부정으로 이어지며 개인의 자유, 공정, 능력을 중시하는 특성을 보였다. 이들은 전통적인 남성성을 긍정하며 개인의 성장 및 변화에 초점을 맞춘 미래를 그리고 있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이상화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부분적으로 긍정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셋째, ‘절충적 남성성’은 독서 목적과 장르가 복합적이었고, 양성평등/페미니즘, 여성할당제, 포괄적 차별금지법 등 전더 의제에 절충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독서 행위에는 개인의 성장과 사회 연결적인 가치가 공존했는데, 이는 젠더 의제에 관한 절충적 입장으로 이어졌다. 이들이 그리는 미래에는 마찬가지로 개인의 성장과 사회연결적인 가치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이상화된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부분적 긍정과 거부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세 유형의 분석을 통해 독서 행위와 남성성이 어떤 연관을 가지는지 탐색적인 수준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은 독서 행위와 남성성 간 관계를 발견했다는 점이다. 즉 독서 행위라는 일상적 소비 행위를 가치관 및 정체성과 연계해서 살펴보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남성성을 발견 및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20-30대 남성을 분류하는 방식은 반페미니즘과 공정, 능력주의를 기반으로 한 남성과 그렇지 않은 남성으로, 이분법적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포착되지 않았던 절충적인 유형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여러 설문조사와 연구를 통해 형성된 20-30대 남성의 이미지가 현실의 20-30대 남성과 일치하지 않으며, 20-30대 남성 내에도 다양한 남성이 존재한다는 걸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동질성이 아닌 다양성의 관점으로 20-30대 남성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중요한 건 이들을 특정한 이미지에 가두고 비판하기보다 변화의 가능성과 계기를 제공해 주는 일이다. 20-30대 남성 중 독서 행위에 참여하는 이들은 소수이기에 한계는 있지만, 고착화되고 있는 20-30대 남성의 이미지를 넘어, 이들 남성성의 다양성을 밝혀낸 것은 의미 있는 발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진행되며 면접 참가자의 다채로운 삶의 경험과 변화를 조명할 수 있었지만, 독서 행위를 유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는 10명이라는 표본은 부족했다. 이를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을 늘리거나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결합한 복합연구방법론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독서 행위와 남성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를 추가로 분석하며 더 세밀하게 살펴볼 것을 제시한다.

      • 남성성과 남성건강 : 한국 남성의 성역할규범 순응 유형 및 영향 탐색

        양준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2017년을 전후로 ‘절망으로 인한 죽음(deaths of despair)’이 보건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불평등에 대한 연구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A. Deaton이 주창한 개념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남성이 중독, 자살 등의 건강문제에 더 크게 노출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말이다. 그간 남성의 신체, 정신, 사회적 안녕을 탐구하는 남성건강 연구는 남성의 의료이용이 적어 중재 필요성이 덜하고, 이미 남성 중심의 학문인 생의학이 존재하기에 별도로 탐구될 필요가 없다는 인식 속에서 그 중요성이 간과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건강은 사회적 현상으로서 소득, 직종, 민족성 등으로 치환되지 않는 젠더 관계의 특성을 반영한다. 남성의 불건강은 사회의 돌봄 부담을 늘리고, 종종 남성 폭력의 원인으로 이어져 다른 성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젠더 사이뿐만 아니라 남성 젠더 내부에서도 개인 및 집단이 남성성을 추구하는 방식에 따라 건강행태 및 건강결과의 불평등이 나타난다. 특히 한국사회는 사망원인을 위시한 건강결과와 음주·흡연 등의 건강관련행동 차원에서 젠더와 연관된 건강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게 관측되고 있다. 따라서 젠더 관계 관점을 견지하는 비판적인 남성건강 연구는 일부 남성 집단뿐만이 아니라, 인구의 보편적인 건강증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현 시점 남성건강 연구의 진전을 가로막고 있는 주요한 학문적 과제는 남성성과 남성건강에 대한 통합된 이론틀의 미비이다. 남성건강 이론의 빈곤은 남성의 건강은 어떠해야 한다는 전제로부터 결과 해석을 곧장 도출하는 구조주의적 오류와, 그 반향으로 일반화된 이론적 가정 자체를 포기하는 최소주의적 한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고는 생물학적 성을 중심으로 여성과 남성의 건강을 단순 대비시키기보다, 남성 내부의 건강 격차가 발생하는 중범위 차원의 기전에 천착함으로써 이론적 정교화를 꾀했다. 그 과정에서 대표적인 젠더 관계 이론으로 비판적 남성건강 연구를 촉발시킨 Raewyn Connell의 ‘헤게모니적 남성성’ 개념에 주목하여, 남성성이 사회규범의 형태로 개인에게 수용되는 과정에서 규범 순응 양상이 구분되며, 이는 남성성 자본 축적 행동 및 심리적 긴장 등의 차이로 이어져 남성 내부의 건강 격차를 발생시킨다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런 격차는 특히 남성성 규범에 극단적으로 비순응하는 유형에서 두드러져 해당 유형이 유독 나쁜 건강결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별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1~2월 중 전국의 만 19세 이상 70세 미만 성인 1,3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이용해 “성역할과 건강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수집된 남성 사례 897개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먼저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 분류를 위해 절대적 지시적 규범으로서 남성 성역할, 상대적 지시적 규범으로서 전통적 성역할태도, 기술적 남성규범 변수를 이용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각종 적합도 및 분류의 질 확인 결과 4개 집단으로 규범 순응 유형이 분류되었다. 각 유형의 특성에 따라 4개 유형을 적극 순응(극단적 순응) 유형, 소극 순응 유형, 혼합 유형, 무관심(극단적 비순응)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인구사회 변수를 살폈을 때 무관심 유형(m=39.90)과 혼합 유형(m=37.24)이 다른 두 유형에 비해 평균 연령이 7~10세가량 낮았다. 또한 무관심 유형의 가구소득(약 300만원)은 나머지 유형에 비해 70만원 정도 적었다. 남성성 규범 순응과 건강관련행동 사이의 관계는 음주행동 및 음주관련변수를 중심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살폈다. 음주관련변수로는 단체참여와 친한 이웃 수, 충동성을 선정하였다. 유형간 음주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자 소극 순응 유형이 혼합 유형에 비해 음주빈도와 총 음주량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경로분석 결과 적극 순응 유형은 단체참여와 친한 이웃 수가 높아 음주량이 많은 반면, 무관심 유형은 높은 충동성이 음주량을 늘리고 있었다. 연간음주자 남성만을 따로 뽑아 남성성 규범 순응과 고위험음주와의 관계를 살폈을 때는, 무관심 유형의 충동적 음주 행태가 고위험음주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에 따라 건강위험행동 패턴에 차이가 있다는 가정에 부합하는 것이다. 남성성 규범 순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이 일반신뢰의 차이로 이어지고, 일반신뢰는 공격적으로 맞서기 대처양식을 거쳐 우울로 귀결되는 이중매개모형을 구성하였다. 취약집단으로 지목된 무관심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미하게 일반신뢰가 낮은 반면, 공격적으로 맞서기 대처양식과 우울은 높게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중매개모형을 구성하며 상정한 모든 상관관계가 신뢰수준 95%에서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남성성 규범 무관심 유형 더미는 일반신뢰와 극단적으로 맞서기 대처양식 각각을 매개로 우울을 악화시켰으며, 두 매개변수를 모두 거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존재할 개연성이 있었다. 남성성 규범 순응과 신체건강의 연관성은 주관적 건강상태 변수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이환된 만성질환, 스트레스, 운동참여, 총 음주량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과 주관적 불건강 더미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살폈다. 공분산분석 및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각종 인구사회변수 및 건강관련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무관심 유형이 다른 규범 순응 유형에 비해 주관적 불건강이 높았다. 이는 남성성 규범 순응이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되나, 심각한 신체건강 저하가 남성의 자신감을 떨어트려 각종 남성 성역할규범에 대한 순응도를 낮춘 결과일 확률도 있다. 한편 탐색적 분석 결과 적극 순응 유형이 지닌 자부심이 자신의 건강 문제를 과소 보고하는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유형 별로 연구결과를 정리하자면 남성성 규범 적극 순응 유형은 평균 연령이 높은 집단으로 권위적 남성성의 특성을 나타냈다. 이들은 남성성 자본을 많이 축적하여 사교적 음주를 하고 음주량이 많다.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가지며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결과가 양호하다. 다만 자기 자신에 대한 자부심으로 인해 건강 수준을 과잉 보고할 개연성이 있다. 역시 평균 이상 연령에 집중되어 있는 소극 순응 유형은 공모적 남성성의 특성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띨 것으로 추측된다. 적극 순응 유형만큼은 아니나 남성성 자본이 많은 한편으로, 초남성적 행태로서 공격적으로 맞서기와 충동성 수준 또한 낮지 않은 편이다. 두 특성이 결합되어 음주 등 위험행동을 많이 하게 되나, 적절히 남성성 자본을 소비하여 완충효과를 누리는 덕에 건강을 유지한다. 한편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고, 남성 성역할엔 긍정적이나 전통적 성역할태도는 거부하는 혼합 유형은 저항적·초국적 기업가적 남성성의 모습이 비교적 크게 나타난다. 남성성 자본은 적으나 음주 행동이나 공격적으로 맞서기 등 ‘남성다운’ 위험행동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어 건강이 양호하다. 또 다른 저연령 유형인 무관심 유형은 주변화 될 위험이 있는 유형으로 남성성 규범 극단적 비순응 집단에 속한다. 이 집단은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고 남성성 자본도 쌓지 않으며 성공에 대한 기대나 희망이 적다. 다른 유형에 비해 강한 초남성적 특성을 드러내어 스트레스에 공격적으로 대처한다. 그 결과 무관심형은 충동적 음주패턴을 보이는 한편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역시 가장 나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횡단면자료를 이용하여 변수 간 인과성 추론에 어려움이 있고, 장기간에 걸친 남성성 규범의 영향을 포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사용한 도구가 남성성 규범 순응 이론에 맞춰 개발된 것이 아닌 까닭에 그 타당도와 신뢰도가 충분히 검증되지 못한 점 또한 미흡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남성 내 건강 격차의 원인 중 하나임을 밝히고 있으며, 비판적 접근법을 택하여 젠더 관계 측면에서 한국 남성의 남성성과 남성건강의 기전을 분석하여 희소성이 있다. 연구 결과 남성성 혹은 남성다움에 부합하는 행동을 할수록 건강이 악화된다는 전통적인 가정을 벗어나는 양상이 관측된 점 또한 특기할 만하다.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는 남성성 규범과 남성건강에 대한 보다 일반화된 가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남성성 규범 순응 유형의 분류를 통해 상이한 남성성 규범 변수들을 패턴화하여 통계 분석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분석 모형 없이 여러 연관 변수의 영향을 산발적으로 관찰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보다 정교한 모형을 지닌 남성건강 경험 연구의 자리를 예비한 것이다. 그리고 남성건강 연구에 남성성의 사회관계 측면을 고려하는 방안으로써 남성성 자본 개념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그 외에도 이론적 근거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남성건강 측정도구들과 연관 변수들의 의미를 선행연구들로부터 찾아내 명시하였으며, 경험 연구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구체적인 문제들을 예시하고 해결책을 제의하였다. 종합하자면 이론과 방법론 양 쪽에서 향후 더욱 정합적이고 치밀한 비판적 남성건강 연구의 가능성을 개진한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젠더 관계 안에서 남성은 단일한 집단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보다 중심적인 집단과 주변화된 집단이 구분될 수 있음을 재확인한다. 더 이상 결정권자로서 가장의 지위를 약속받지 못하는, 열악한 사회경제적 조건에 놓인 청년 남성들은 가계 부양이나 성공 지향과 같은 전통적 남성성 규범들로부터 도피한다. 이들에게 건강을 위해 과거의 권위적 남성성 모델을 따르라고 강요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뿐더러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기존의 남성성 규범이 여러 건강위험행동을 남성성의 핵심으로 규정할 뿐만 아니라, 순응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적 압력과 긴장이 불건강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젠더를 포괄하는 보편적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건강을 중시하는, 보다 젠더 평등한 대안적 남성성의 구축이 함께해야 한다. 건강 자체를 인간의 권리로 여겨 서로가 서로의 건강을 지탱하는 행동방식이자 관계로서 ‘돌보는 남성성’ 등 새로운 남성에 대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생물학적 남성을 넘어 사회관계로서 젠더에 주목하는 남성건강 연구의 활성화가 현 시점에 더욱 절실한 이유이다. Around 2017, "deaths of despair" is drawing attention from the academic community. This is a concept advocated by A. Deaton, who received the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his research on inequality, pointing out that men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exposed to health problems such as addiction and suicide. Until now, men’s health research that explores men's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has been overlooked. However, healt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relationships that are not substituted for income, occupation, and ethnicity as a social phenomenon. Men’s health increases the burden of care in society and causes violence in men, affecting the well-being of other genders. Not only among genders but also within male genders, inequality in health appears depending on the pattern of individuals and groups pursuing masculinity. Therefore, critical male health research is essential for universal health promotion across the population beyond some men. It is more timely in Korean society where health gaps are clearly observed inside and outside gender. The main problem that is blocking the progress of men’s health research at this point is the lack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ole of masculinity in men’s health. Defects in the theory of men’s health are causing structural errors that directly derive the results from the premise that men’s health should be, and give up the theoretical assumptions themselves generalized by their repercussions. This paper attempted theoretical elaboration by focusing on the mid-range mechanism in which the health gap within men occurs, rather than simply preparing for the health of biological women and men. In the process,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cept of hegemonic masculinity, which triggered critical research on men’s health. The differences of attitudes within types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leading to variances in masculinity capital accumul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tension. In addition, this gap wa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type of extreme non-conform with masculinity norms,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type would show particularly poor health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oretical assumptions. In January-February 2022, "gender role and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1,331 adults aged 19 to 70 across the country, and 897 male cases collected were analyzed.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ender roles as an absolute injunctive norm,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s a relative injunctive norm, and descriptive norm variables to classify the type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uality of various suitability and classification, conform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four types were named as active conformity (extremely conform) type, passive conformity type, mixed type, and indifference (extreme non-conform) type. When looking at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the average age of the indifference type (m=39.90) and the mixed type (m=37.24) was about 7 to 10 years lower than the other two types. In addition, household income (about 3 million won) of the indifference type was about 700,000 won less than that of the other typ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health-related behavior was examined by conducting a path analysis focusing on drinking behavior and drinking-related variables. Group participation, the number of close neighbors, and impulsiveness were selected as drinking-related variables. When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drinking behavior between types, the frequency of drinking and the total amount of dr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ssive conformity type than in the mixed type.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the active compliance type had a high number of neighbors who were close to group participation, while the indifference type had a high amount of alcohol, which increased the amount of alcohol.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nd high-risk alcohol use, it was found that impulsive drinking behavior of the type of indifference increased high-risk alcohol using. This is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treme non-conform type and the extreme conform type of health risk behavio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on mental health, a dual-mediated model was constructed in which the conformity type led to differences in general trust, and general trust resulted in depression through aggressive coping styles. The type of indifference pointed out as a vulnerabl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general trust than other types, while the aggressive coping style and depression were higher.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ll correlations assumed by double mediation model showed significant values at the confidence level of 95%. The indifference type dummy exacerbated depression through each of the coping styles of extreme confrontation with general trust, and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a dual mediating effect that went through both parameters would also exi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nd physical health was confirmed using self-rated health(SRH) variables. Even in situations where affected chronic diseases, stress, exercise participation, and total alcohol consumption variables related to SRH were controlled,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nd subjective poor health. As a result of covariance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ven in situations where various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were controlled, the type of indifference was higher in subjective poor health than other types of conformity. This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affecting physical health,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rious physical health deterioration is the result of lowering male confidence and lowering conformity to various male gender role norms. Meanwhile,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de of the active conformity type was the motivation to underreport one's health problem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by conformity type, the type of active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was a group with a high average age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tative masculinity. By accumulating a lot of masculine capital, they drink alcohol socially and drink a lot. It has a multilateral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and has good mental and physical health.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reporting health levels due to pride. It is estimated that the passive conformity type, which is also concentrated in high age, will have relatively strong characteristics of complicit masculinity. Although not as much as the type of active conformity, there is a lot of masculine capital, while aggressive confrontation and impulsiveness are not low as hypermasculine behavior. Although the two characteristics meet and are amplifi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isk behavior such as drinking,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are good thanks to the buffering effect of masculine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mixed type, which is relatively low in age and reject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shows a relatively large appearance of resistant and transnational business masculinity. Although there is little masculine capital, mental and physical health are good because they tend to avoid risk behaviors such as drinking behavior or aggressive confrontation. Another low-age type, the indifference type, is a type with a risk of marginalized, and belongs to the masculine norm extreme non-conform type. This group has relatively low income and very little masculine capital. They respond aggressively to stress by showing hyper-masculin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indifference type showed an impulsive drinking pattern, whil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were also the wors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fer causality between variables using cross-sectional data, and it is difficult to capture the influence of masculinity norms over a long period of time. Since the tool used was not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the lack of sufficient validity and reliability is also insufficient. Nevertheless, this paper reveals that hegemonic masculinity is one of the causes of the health gap within men. It is also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refute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health deteriorates as you act in accordance with masculinity. This study theoretically suggests a more generalized assumption of masculinity norms and men’s health, and methodically suggests that different masculinity norm variables are pattern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classification of types of conformity to masculinity norms. This is not just sporadic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several associated variables without sophisticated theoretical backgrounds or analysis models, but rather a place for men’s health research with a more sophisticated model. In addition, the meanings of men’s health measurement tools and related concepts, which are often used without theoretical background or basis, were found and specified from previous studies, and specific problems that may arise during the experience study were exemplified and solutions were proposed. In summary, both theory and methodology are significant in this paper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more consistent and sophisticated critical research on men’s health in the future. This study reaffirms that men do not exist as a single group within a gender relationship, and that a more central group and a marginalized group can be distinguished. Young men in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who are no longer promised the status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flee from traditional masculinity norms such as household support and success orientation. Forcing them to follow the authoritative masculinity model of the past for their health is not realistic and cannot be a solution. This is because existing masculinity norms not only define various health risk behaviors as the core of masculinity, but also social pressure and tension that occur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formity are causing health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universal health that encompasses all genders, the establishment of a more gender-equal alternative masculinity that values health must be accompanied. Considering health itself as a human right, it is necessary to have an imagination of new men, such as “caring masculinity," as a way of behavior and relationships that support each other's health. This is why it is more urgent to revitalize male health research that focuses on gender as a social relationship beyond biological men.

      • 남성군인의 남성성에 대한 수용자 해석 연구 : 채널A <강철부대>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뷰잉 앤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윤상호 고려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채널A <강철부대 시즌2>에서 재현하는 우리 사회의 남성성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코넬(Connell)이 제시한 지배적 남성성에 대한 개념과 멀비(Mulvey)의 시선에 대한 논의를 활용했다. 남성성은 그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며,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남성성이 지배적 남성성의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한다. 우리 사회의 남성성 역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전통적인 남성성은 강하고 마초적인 형태였다면, 현대적인 남성성은 부드러운 모습을 보인다. 미디어 역시 이렇게 변화하는 남성성에 대한 담론에 맞추어 남성을 재현한다. 본 연구는 강한 남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군대를 배경으로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해석할 수 있는 남성성에 대한 담론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뷰잉앤 인터뷰(Focus Group Viewing and Interview)를 진행했다. 인터뷰를 통해 미디어에서 재현하는 군인의 모습과 현 시대의 지배적 남성성에 대한 담론을 이해하고 군인정신과 남성성의 맥락을 해석하고자 했다. 나아가 군인의 몸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군인의 남성성은 우리 사회의 남성성과 비슷하게 조금 더 따뜻하고, 덜 마초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군인정신은 지배적 남성성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우리 사회에서도 이러한 군인정신을 개인들에게 요구하는 측면이 있었다. 특히 인터뷰 참여자들은 군인정신에 대해 투혼, 의지, 정신력, 리더십, 팔로우십, 인내심, 명예, 희생정신 등의 키워드로 연관지었다. 한편 군인의 몸을 바라보는 시선은 성별, 성장 환경에 따라 다양했으나, 남성 수용자들은 동경과 경외심이 어린 시선으로 군인의 몸을 응시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 수용자의 경우 여성들이 군인의 몸을 섹슈얼리티적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라 이해하고 있었으나, 여성들은 그러한 관점에서 군인의 몸을 응시하지 않았다. 이는 <강철부대> 전반에 흐르는 전투적인 배경음악, 분위기 등 여러 환경이 여성들의 성적 응시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 수용자들이 이해하는 군인에 대한 남성성을 해석했다. 현대의 남성성은 과거의 마초적인 남성성과는 다르며, 그렇기에 군인의 모습을 미디어에서 재현할 때도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조금은 부드러운 형태의 군인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비록 군(軍)은 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모습의 군인을 미디어를 통해 홍보하고 싶어 하지만, 그러한 노력이 국민적 눈높이와 차이가 있다면 홍보 효과는 미미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향후 군인의 미디어 재현을 지원하는 군(軍)의 콘텐츠 제작 업무에 지향해야 할 시사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sculinity of our society reproduced in Channel A <Iron Squad Season 2>, this study used the concept of dominant masculinity presented by Connell and the discussion of Mulvey's perspective. Masculinity chang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internally, various forms of masculinity compete for the position of dominant masculinity. The masculinity of our society has also changed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ile traditional masculinity was strong and macho, modern masculinity shows a soft appearance. The media also reproduces men in line with this changing discourse on masculinity.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on masculinity that can be interpreted in entertainment programs set in the military, which shows the appearance of strong men. To confirm this, a focus group viewing an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Through interviews, we tried to understand the discourse on dominant and non-dominant masculinity in the current era through the appearance of soldiers reproduced in the media and also interpret the context of military spirit and masculinity. Furthermore, I wanted to examine the view of the soldier's bo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sculinity of soldiers appeared in a warmer and less macho form, similar to the masculinity of our society. In addition, the military spirit was connected to the dominant masculinity, and in our society, there was an aspect that required this military spirit from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interviewers related the military spirit with keywords such as fighting spirit, will, mental strength, leadership, follow-up, patience, honor, and sacrifice spirit. Meanwhile, the view of the soldier's body varied depending on gender and growth environment, but male inmates were staring at the soldier's body with longing and awe. In addition, male interviewees understood that women would look at the soldier's body from a sexuality point of view, but women did not stare at the soldier's body from that point of view. This served as an obstacle to women's sexual application, including the combative background music and atmosphere flowing throughout the "Iron Squa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rpreted the masculinity of male and female interviewees against soldiers and found implications for content production that supports the reproduction of soldiers' media in the future.

      • 아빠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남성성과 젠더 담론 :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수용자 해석을 중심으로

        윤빛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에서는 가부장적 관습이 이어져 온 한국 사회에서 최근 몇 년간 아빠 육아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수용자들이 아빠 육아 프로그램을 어떻게 해독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변화하는 남성성과 아빠 육아 담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남성 19명, 여성 25명 총 44명의 인터뷰 참가자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는 아빠 육아 프로그램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수용자들 사이에서 아빠 육아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즉, 아빠 육아 프로그램의 인기가 한국의 젠더 관계의 변화를 의미하는지, 그렇지 않다면 왜 그런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남녀 수용자들은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전통적인 남성성을 균열할 수 있는 새로운 남성성을 제시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었다. 그러나 출연자들이 보통의 남성들과 달리 상대적으로 유동적인 스케줄을 가진 연예인이라는 점에서 남녀 수용자들은 이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새로운 남성성을 비현실적이라고 보고 있었다. 남녀 수용자는 방송과 현실의 틀 안에서 세부적으로 <슈퍼맨이 돌아왔다>와 현실, 연예인 출연자와 직장인, 또 경제적 능력에 따라 출연자들과 일반 남성들을 구분 지으며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비판적으로 해독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판적인 시선은 남녀 수용자들이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새로운 남성성까지 거부하게 만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남녀 수용자들이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방송 구성물로 인식함으로써 프로그램에서 재현하는 새로운 남성성을 오히려 비현실적이라고 바라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남녀 수용자들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한계를 들어 보통의 아빠들이 전통적인 성 역할을 벗어나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묘사하는 것처럼 주도적으로 육아를 한다는 건 실현 불가능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남녀 수용자들은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연예인을 출연시킴으로써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논의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었다. 이들은 한국 사회의 육아는 엄마의 역할로 부여된다는 것에 저항하고 있었으나, 아빠가 육아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담론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이들은 프로그램과 현실을 구분하는 한국 사회의 통념이 여성을 사적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남성의 경제 부양자 역할을 강조한다고 보았다. 또 남성의 변화를 비뚤게 보는 시선들과 현실적으로 남성이 사용하기 어려운 육아 휴직 제도가 젠더 관계의 변화를 방해한다고 보았다. 또 이들은 남녀의 특성 차이를 제시하면서 가사와 육아에 대한 여성의 부담을 개인적인 차원으로 환원시키며 육아는 엄마의 역할임을 오히려 정당화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용자들은 남성성의 변화, 젠더 관계의 변화를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스스로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롭지 못한 채 미디어에 등장하는 아빠의 이미지와 현실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 경험은 양육에 대한 기존의 젠더 의식을 바꾸는 성찰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또, 전통적인 성별분업을 기반으로 하는 젠더구조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그 구조의 비대칭성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측면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대한 수용자들의 비판적 시선은 새로운 남성성을 거부하게 만든다. 따라서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인기가 한국의 젠더 관계에 균열을 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즉, <슈퍼맨이 돌아왔다>는 남성성의 변화를 보여준다기보다는 젠더 관계의 변화에 대한 현실적인 필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opularity of <The Return of Superman> on KBS2 reveals the change of masculinity or gender relationship in Korean society where the custom of patriarchy has long been continue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tudy how male and female audiences decode the text about the new masculinities in the father-parenting reality TV program, and the results suggest social implications. Audiences agreed that the program <The Return of Superman> shows the unusual representation of masculinities in Korean society. They believe this program has mainly two unrealistic points. First, it is a broadcasting program which is contrived by staffs and its casts are not ordinary people but celebrities who has relatively flexible schedules and wealth. Second, for common men, it is difficult to care their child beyond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in Korea for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Korean society. In this sense, ordinary Korean men cannot afford to parent their child as the casts of <The Return of Superman> do. In these circumstances, although they are aware that masculinities and gender relations are keep changing, especially male audiences are experiencing a lot of conflict between the representations of fathers in media and the reality with patriarchal ideology.

      •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의 재/생산

        정성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male masculinity and the ways in which homophobia is re/produced in the Korean Military.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the homosexual ‘problem’ in the military has been born. It also analyzes how masculinity and homophobia in the military are re/produced as a result of a military institution that enforces norms of gender and sexuality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sexual minority male soldiers who are seen as the cause of the ‘problem.’ This is an attempt to expand the meaning of sexuality in the formation of masculinity, and critically analyzes how military homophobia fixes homosexuality as an obscene perversion that threatens the military and nation. To do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formation of homophobia in the militar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7 people from November 2017 to September 2018.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homosexual ‘problem’ in the military was ‘bor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ichotomized gender norms, heteronormativity, and homophobia, centering on the military and family in Korean society. This process has also been co-constituted by the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an anti-sodomy law incidentally established by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which significantly punishes homosexuals. The homosexual ‘problem’ in the military has also been constituted by elements such as postwar military mobilization, the establishment of a conscription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law and the state family planning program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gendered heteronormativity, and the AIDS panic in South Korea. Alongside the growth of the LGBTQ movement, the conflict over anti-homosexual discourses, and the issue of sexual crimes and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the military has otherized homosexuality as an ‘abnormal perversion’ and a threat to the military and state. Second, the discipline of the military as seen from the experience of the sexual minority conscripts not only creates uniform soldiers, but also ‘heterosexual men.’ In other words, the military produces ‘homosexuals’ as pervert who should be punished and perform heteronormativity and homophobia. Additionally, homosocial bonds in the military are established through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 culture of prostitution, and the cultivation of homophobia. It is none other than military institutions that justifies double standards and homophobic sentiment.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and Unit Management Instruction justifies the homophobic punishment of ‘abnormal perverts’ through a separation of act and existence, which is reinforced by a performative process that forces the sexual minority to act as if they were heterosexual men. Third, in order to survive under the military’s institutional homophobia, sexual minorities strategically perform normative gender roles which contributes to the reproduction of homophobia and the invisibility of homosexuality. In order to survive in this context of compulsory heterosexuality, sexual minorities attempt to pass as straight or to be recognized for their abilities as soldiers. Some have established a homosexual identity and have critical perspectives of military masculinity. While strategic gender performance has incidentally conspired with the concealment and reproduction of homophobia, it is not the choice of sexual minorities but the military which is oppressive institution in itself. It is also a problem related to the heterosexism and androcentrism of Korean society, which recognizes only heterosexual men as ‘normal’ soldiers and citizens. In conclusion, the cause of the Korean military’s homosexual ‘problem’ is not sexual minorities themselves, but the militarized masculinity and institutionalized homophobia that dehumanizes them. The military is a discriminatory institution that generates a hierarchical form of sexual citizenship which engenders a ‘heterosexual male-soldier.’ In other words, the military is not just punishing homosexual acts through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but is also creating a sexist institution that establishes the figure of the ‘abnormal pervert’ who should be punished by heterosexual norms. Therefore the homosexual ‘problem’ in the military is a queer product of military masculinity and institutionalized homophobia. As there have been few histories of the sodomy law from the perspective of queer politics, I hope this paper has made a meaningful step towards understanding how the military, which grants ‘heterosexual men’ privileges, is not just a place of repression for sexual minorities. It is also an institution that generates a hierarchy of homophobia and sexual citizenship in post-colonial Korea. 본 논문은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가 재/생산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군대 내 동성애 ‘문제’가 탄생한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는 한편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성소수자 남성 군인의 경험을 통해 군대 남성성과 동성애혐오가 사실상 젠더와 섹슈얼리티 규범을 강제하는 군대 제도의 효과로서 재/생산 되고 있음을 분석한다. 이는 동성애(자)를 음란한 변태 성욕이자 군대와 국가를 위협하는 존재로 고정시키는 동성애혐오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자 남성성의 형성에 있어서 섹슈얼리티가 갖는 의미를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군대 남성성과 동성애혐오의 확립에 관한 역사적 검토와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2017년 1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총 17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본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대 내 동성애 ‘문제’는 한국 사회가 군대와 가족을 중심으로 한 이분법적인 젠더 규범과 이성애규범, 동성애혐오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탄생’하였다. 이는 해방 이후 미군정의 개입 속에서 우연히 삽입된 ‘계간죄’가 실질적으로 동성애자를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추행)이 되기까지의 과정이기도 하다. 전후 군사적 동원과 징병제 확립에 따른 사회 통제로서의 성 통제, 주민등록법의 도입과 가족계획 사업, 성별화된 이성애규범의 확립과 AIDS 공포 등은 군대 내 동성애 ‘문제’를 탄생시킨 요소였다. 이후 성소수자 인권운동의 성장과 반동성애 담론의 대립, 그리고 군대 내 성범죄와 인권 문제가 가시화되는 가운데 군대는 동성애(자)를 변태 성욕자이자 군대와 국가를 위협하는 존재로 고정시키고 타자화 한다. 둘째, 성소수자 군인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군대의 규율화는 단지 균질적인 군인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이성애자 남성’을 만들어낸다. 즉, 군대는 이성애규범과 동성애혐오를 학습하는 수행적 과정인 동시에 처벌받아 마땅한 혐오스러운 변태 성욕자로서의 ‘동성애자’를 제도적으로 생산한다. 군대 내 남성 유대는 한편으로는 만연한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와 성매매 문화, 다른 한편으로는 동성애혐오를 통해 구축된다. 이때 섹슈얼리티에 대한 이중적인 기준과 동성애혐오를 정당화하는 것은 다름 아닌 군대 제도이다. 「부대관리훈령」과 군형법 제92조의6(추행)은 행위와 존재의 구분을 통해 ‘변태적인’ 동성애(자)에 대한 혐오와 처벌을 정당화하고, 이는 성소수자에게 이성애자 남성으로 행동할 것을 강요하는 수행적 과정으로 반복된다. 셋째, 군대의 제도화된 동성애혐오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성소수자 남성의 전략적인 젠더 수행 또한 동성애 정체성의 비가시성으로 인해 동성애혐오의 재생산 과정의 일부가 되는 딜레마가 발생한다. 군대에서 생존하기 위해 성소수자 남성은 이성애자로 패싱되기를 시도하거나, 군인으로서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일부는 강력한 이성애규범의 억압 속에서 동성애 정체성을 확립하고 군대 남성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략적인 젠더 수행은 동시에 동성애 정체성의 비가시화와 동성애혐오의 재생산에 본의 아니게 공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성소수자의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군대라는 억압적 제도 자체에 있다. 나아가 이는 궁극적으로 이성애자 남성만을 ‘정상적인’ 군인-국민으로 인정하는 이성애중심적이고 남성중심적인 한국 사회의 문제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군대 내 동성애 ‘문제’의 원인은 성소수자 군인이 아니라 이들을 비인간화 하는 군대 남성성과 제도화된 동성애혐오에 있으며, 군대는 ‘이성애자 남성-군인’을 만들면서 위계적인 성적 시민권을 발생시키는 차별적인 제도이다. 군대는 단지 군형법 제92조의6(추행)을 통해 단지 동성애 행위를 처벌할 뿐만 아니라, 처벌받아 마땅한 ‘변태적인 동성애자’의 상을 구축하고 이성애규범을 강제하는 성차별적인 제도다. 즉, 군대 내 동성애 ‘문제’는 군대 남성성과 제도화된 동성애혐오에 따른 퀴어한 생산물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소도미 법의 역사가 없는 포스트식민 국가인 한국에서 ‘이성애자 남성’에 특권적 지위를 부여하는 군대가 단지 성소수자에게 억압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동성애혐오와 성적 시민권의 위계를 구축하는 제도로서 갖는 의미를 퀴어 정치학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