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 留學生의 大學生活 適應能力 向上方案

        고준생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3

        몇 천 년 동안 인류문명의 발전과 진보는 끊임없이 학습하고 탐색하는 과정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명사회에서 교육의 중요성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18세기중기 산업혁명 시대 고등교육 체계가 탄생되었으며, 약 백 년 동안 발전되어 온 고등교육은 교육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그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서양사회의 경제, 정치, 문화, 예술, 군사 등 전체적인 진보와 그 이후 제국주의의 해외확장에 상당히 심오한 영향을 끼치었다. 20세기, 즉 80년대 세계적으로 경제가 일체화된 이후에 고등교육은 국제화발전을 이바지하였다. 20여 년 동안 국가 간의 교류와 협력은 더욱더 긴밀해지고,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이미 지식경제 시대의 주류의식이 되었다. 중국의 고등교육은 19세기말 청나라 양무운동 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가난하고 쇠약한 청나라와 그 이후 줄곧 전쟁상태에 처했던 중화민국정부는 고등교육을 발전시켜나가기가 매우 어려웠다. 심지어 혼란 시대에는 고등교육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방치되거나 지체된 각종 일들이 모두 시행되기를 기다리며 등소평 선생님은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전략에 대하여 고등교육은 현대화, 세계화, 미래화로 향해야 한다는 지도사상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고등교육은 점차 회복되었고, 국제화 발전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경제실력에 따라 중국의 고등교육은 정화교육 단계에서 공중교육 단계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미 충족되지 않은 고등교육 자원은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는 학생규모에 비하면 너무 보잘 것 없는 것이었다. 많은 학생들은 이런 경우 때문에 해외로 유학을 떠나기 시작했다. 중국 교육부에 소속한 통계부문에서 나온 정보에 의거하여 중국 2000년 이후, 유학생의 총수는 121만 명에 달하며 아직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유학생의 총수는 약 90만 명이다. 중·한 양국은 지연이 가깝고 전통적인 유가 문화권에 속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소비수준이 유럽·미국 등과 같은 나라에 비하면 중국 노동자계급 가정에 더 맞기에 상당히 많은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왔다. 2009년도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총수는 6만3천 명 정도 이며 한국에 있는 유학생의 84%를 점유하고 있다. 그리고 그 비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러나 2005년도 이전에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총수는 만 명 안팎이었다. 규모가 급격하게 커진 중국 유학생은 중·한 양국의 경제, 문화, 학술 등 교류를 추진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현재 이 분야에서 연구하는 학자도 많지 않고 관련된 논문이나 저작도 많지 않아서 본인은 한국에 있는 중국 유학생을 연구대상로서 문헌자료를 검토하고 설문조사를 하여 중국 유학생의 주관적인 학습 및 생활 방면 그리고 객관적인 학교 및 사회 방면에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아래와 같다. 제1장은 이 논문의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은 고등교육 국제화 과제에 대한 일반 이론, 중·한 양국 고등교육의 현황비교, 선행연구 및 차이점 검토, 연구 분석의 틀 등 포함된 이론적 고찰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한국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현황분석과 설문지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설문지에 나온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대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서 이상한 논의를 요약하기로 종합하였으며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을 언급하였다. 그 다음에 참고문헌 검토, 영문요약, 감사의 글, 설문지 내용인 부록 등 따로 제시하였다. For thousands of years, the civilization process of human being is the process of continuous learning and exploration. Education holds significant meaning for civilized society. Since the high education system was born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western world in 18th century, it has been develop for a hundred years as part of education, and has been recognized of its high importance. The development of western world'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military have all been deeply influenced by the high education system. Since the 80's of 20th century, together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high education also commence its global development. During a short period of two decades,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nation shave been growing more and more frequent. Globalization of high education has become the main stream of this era of knowledge economy. The high education of China burgeoned during the Westernization Drive of late Qing Dynasty in late 19th century. Yet the week and poor government of Qing and the Republic of China have little strength to develop high education, and even let it die in the years of political turbulence. Since the reform and open up, Mr. Deng-XiaoPing has come up with the important guidance for high education, which is "education should face modernization, the world and the future." The high education of China has gradually recovered and step out on the globalization process. Along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China's economic power, high education of China has transformed from elite education to mass education. The originally undeveloped high education resources appear difficult to meet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freshmen students. Many students choose to study abroad under such background. According to related statistics, ever since the year of 2000,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ho went abroad for study reaches 1.21 million, and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around 0.9 million. South Korea is geographically near to China and also belongs to Confucius culture circle.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the cost for study in South Korea is much lower, which attracted many Chinese students from normal salary family to study here. Currently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reaches 63 thousand, which accounts for 84%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 number is still increasing. Before 2005, the total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ere not more than 10 thousand. While on one hand, the fast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rought fast development of Sino-Korea communication, local economy, culture and academics, on the other hand, many new problems occur. Yet there are few scholar or related works or paper on this subject. Thus I shall tak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South Korea and research subject and discuss their problems in study and life by means of investigating related references and interviews, any tries to search for reasonabl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he major points are listed as follows: 1. Subjective reasons a. Study a) low language level b) lack of active study habit c) lack of creative thought d) lack of team work spirit b. Life a) lack of respect to foreign culture b) lack of leisure time activities c) lack of self-protection conciousness 2. Objective reasons a. College Aspect a) lack of scholarship b) loose evaluation system c) lodge and board service unsuitable to Chinese habit b. Society Aspect a) lack of part-time job opportunities b) lack of cultural experiencing programs c) lack internship opportunities Solutions: 1. Subjective reasons a. Study a) open intensive language classes b) supervise students to form active study habit c) train and inspire the creativity of students d) train students of team work spirit b. Life a) propaganda and education of respect to foreign culture b) support students unions and societies to diversify leisure time activities c) strengthen student's self-protection consciousness 2. Objective reasons a. College Aspect a) increase scholarship b) tighten valuation system c) provide food that cater to Chinese eating habit; enhance lodging conditions for Chinese students b. Society Aspect a) loosen the limitations of part-time job and increase part-time positions b) organize cultural experiencing activities c) arrange internships for graduating students

      •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연구

        류테쥔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3343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하여 경제 국제화 추세에 적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일련의 교육 개혁 정책을 채택함으로써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수준이 아시아 지역 범위에서 어느 정도 우세한 위치를 차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전략과 조치를 깊이 있게 연구함으로써 차후 한국이 고등교육 국제화를 전면적으로 추진하는 데 있어 새로운 사고방식과 방향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을 살펴본다. 셋째,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의 실천 사례를 살펴본다. 넷째, 현재까지 진행된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에 대한 평가 분석을 해 본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고등교육의 국제화 목표를 장기적인 계획에 융합시켜 대학이 전 세계 교육 분야에서 전망적인 반응을 보이고, 미래 협력을 위해 전략적 지도를 제공하여 국제교육 시장에서 튼튼한 기반을 다졌다. 둘째, 한국 고등교육은 특화된 발전 경로를 중시하고 현지 문화와 전공의 장점을 돋보이게 하며 국제 학생과 학자를 유치하여 국제교류와 협력에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다. 셋째, 한국 고등교육은 국제화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여 대학 평가에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이 주도적 역량을 조정하는 데 있어 기층의 연동성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중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와 동시에 우리는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이 국제 체계표준과 융합되어 다방면에서 국제화를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반 과정의 조율과 일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각 부문 간 원활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자원배치를 최적화하고 평가 핵심 요소를 구축하여 서울 지역의 대학과 지방대학이 균형발전을 실현하도록 함으로써 한국 고등교육의 국제화가 좀 더 비상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Korea is located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in order to adapt to the trend of economic internationalization,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a series of educational reform policies, allowing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level to take a somewhat dominant position in the Asian reg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and direction for Korea to comprehensively promot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the future by conducting an in-depth study of Korea's strategies and measures for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need fo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Second, we look at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Third, we look at practical examples of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Fourth, we will evaluate and analyze the Korea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date.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Korea has integrated the goal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to a long-term plan, enabling universities to respond prospectively in the global education field and providing strategic guidance for future cooperation, thereby laying a solid foundation in the international education market. Second, Korean higher education emphasizes specialized development paths, highlights the strengths of local culture and majors, and provides strong support for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by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scholars. Third, Korean higher education established an internationalized evaluation index system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university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will emphasize bringing about interconnectivity of the basic level in coordinating leading capabilities. At the same time, we hope that Korea's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policy will be integrated with international system standards to realize internationalization in various aspects.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mooth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ach sector to ensure coordination and consistency of all process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will bring about more extraordinary results by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and establishing core evaluation elements to help universities in the Seoul area and local universities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 한국과 중국의 고등교육 비교 연구 : 국제화와 재정을 중심으로

        고정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3327

        As friendly neighbors, South Korea and China both belong to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There is a long history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se two countries.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especially joining WTO in 2001, China began to make a figure in the world and aroused wide attention from other countries. In 1992,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as officially established, thereafter, these two countries have close contacts in various aspects.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comprehensive and cooperative partnership” in 2003, and established “strategic partnership” in 2008. China gradually becomes the biggest trading partner of South Korea. Therefore, with China’s growing influence on economic field of South Korea,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educational field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lso achieved much progres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higher education is especially remarkable. At present, over 140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over 150 universities in China have signed exchange and cooperation agreement.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both in South Korea and China have established research centers one after the other for Chinese studies and Korean studies, which built a cooperation system for universities in the two countries to cultivate talents and make high level scientific researches together. At the same time, over 90 graduate schools and 130 universities in South Korea has opened Chinese related courses, and there are also over 100 colleges opened Korean major, over 10,000 undergraduates studying Korean in China. South Korea and China are close in geographic location, with long historical culture and frequent communications.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 these two countries has a similar social background, especially that China can learn South Korea’s experience in realizing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nvestment in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Research on the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can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provide reference to the educational reform and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Therefor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the following: Chapter 1 mainly described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former research results, contents and methods. Chapter 2 investigated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he development history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features. Chapter 3 firstly introduced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n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the four aspects of its types and policy, outflow and inflow of international students, branch setting of overseas universities in China and overseas branch setting of Chinese universities to find out the features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the two countries. Firstly, both South Korea and China promot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ctively, and in order to improve the brand value of their countries, these two countries establish institutions worldwide to broadcast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Secondly, both the inflow and outflow of overseas students in these two countries are growing stably. Among the overseas students in South Korea, proportion of undergraduates is the largest and proportion of Ph.D. is the smallest. Among Chinese overseas students, the number of self-supporting students and students from working family are constantly increasing. Number of government-supported overseas students also expands gradually, not only includes scholars, but also undergraduates and short term exchange students. Thirdly, both South Korea and China allow to establish overseas branches of their universities. South Korea’s feature is to establish university branches in the free economic area an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local university. On the contrary, China mainly promote undergraduate education through the form of Sino-foreign cooperation while postgraduate education is relatively negative. However, establishment of their overseas university branch are both at the beginning stage and there are still many things to improve. Chapter 4 made a comparative analysis from the aspects of fiscal revenue and expenditure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ir current situation to find out the features of higher education finance. Firstly, from the aspect of higher education’s financial resources, public universities in South Korea mainly depend on financial aid from government while private universities mainly depend on tuition fees. But in recent years, with the implement of series of policies and national scholarship system, private universities have got more funds from government. On the contrary China’s private universities barely can get national financial aid and mainly depend on tuition fees. Secondly, government aid of South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but students’ burden on education is still over 70%. China has the same situation as South Korea. With the constant increase of tuition fees, burden of students has also constantly increased. Thirdly, financial source of Chinese higher education is gradually diversified. However national finance still counts for a quite big proportion and social donation is obviously inadequate. Chapter 5 summarized the whole paper to get the conclusion and pointed out the limit of the research.

      • 중국 고등교육 중외합작학교 및 해외분교에 대한 연구

        황로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11

        This study focuses on the mobility of institutions in China's cross-border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mobility development of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Chinese-Foreign Cooperatively-Run Schools and overseas branches of Chinese higher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promotion policies, and case universities of Chinese-Foreign Cooperatively-Run Schools and overseas branches are analyzed as follows. Firs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verall development strategy and change at the Chinese national level in the development status and promotion policies of Chinese-Foreign Cooperatively-Run Schools and overseas branches. Second, the case university operat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rategy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mobility, and localization responsiveness appeared at different areas. Third, the problem of Chinese institutional mobility is that each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lacks institutional-level strategy due to its too strong policy orientation. And various factors must be considered, such as the choice of the target country, the history of each institution's development, mutual benefit, and innovation in the curriculum, staffing, research, and governance as implications. The suggestions for promoting institution mobility of Chinese cross-border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clarify their goals in the early stages of deciding on institution mobility. Seco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value funding and policy support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 mobility. Third,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its supervis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 during institutional mobility at a macro level. Fourth,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a new ideology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so that institutional mobility can shift from “Government-Led”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Led.”. 본 연구는 중국 고등교육 기관의 중외합작학교와 해외분교에 대한 운영 특징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에 따라 고등교육 기관 이동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1세기에 들어 중국이 WTO에 재가입함에 따라 고등교육 서비스 무역과 시장 개방은 중국 고등교육 분야의 핵심 연구 주제가 되었다. 중국 정부는 「세계 일류 대학과 일류 학과 건설을 위한 총괄 추진 방안(임시)」, 「중국 교육 현대화 2035」 등 일련의 대학 발전 정책을 도입하여 기관의 이동을 통한 자국의 고등교육 해외 진출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양질의 외국 교육자원을 도입하여 자국의 국제화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중국 고등교육의 기관 이동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으나, 학생 수 부족과 자금 부족 등으로 기관 운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국경을 초월한 고등교육의 기관 이동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의 국경을 초월한 고등교육 기관 이동 중 중외합작학교 및 해외분교 두 유형을 분석하였다. 중국 중외합작학교와 해외분교의 현황과 추진 정책을 정리한 다음에 통합·적응 이론에 따른 분석 틀(I-R 분석 틀)을 바탕으로 선정된 사례대학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로 닝보노팅엄대학교(University of Nottingham Ningbo, 寧波諾丁漢大學)와 샤먼대학교 말레이시아분교(Xiamen University Malaysia, 廈門大學馬來西亞分校)를 선정하였다. I-R 분석 틀에 따라 교육과정, 교직원, 학술연구, 거버넌스 4가지 차원에서 운영 특징을 분석하였다. 중외합작학교와 해외분교의 현황과 추진 정책, 그리고 사례대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중외합작학교 및 해외분교의 발전 현황과 관련 추진 정책은 중국의 전반적인 발전 전략 및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특징을 보인다. 둘째, 사례대학은 기관 이동 과정에서 세운 발전 전략에 따라 서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었고 서로 다른 차원에서 현지화 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중국 기관 이동의 문제점으로는 강한 정책적 지향성으로 인하여 고등교육 기관 차원의 추진 동력과 발전 전략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는 것이었다. 시사점으로는 대상 국가의 선택, 각 기관의 발전 역사, 쌍방의 이익, 그리고 교육과정, 교직원, 학술연구 및 거버넌스 차원의 혁신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중국 국경을 초월한 고등교육의 기관 이동 촉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 기관은 기관 이동을 결정하는 초기 단계에서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고등교육 기관은 기관 이동 과정에서 자금과 정책적 지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중국 정부는 거시적 차원에서 기관 이동 중 교육의 질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중국 정부는 기관 이동을 ‘정부 주도'에서 ‘고등교육기관 주도'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새로운 고등교육 발전 이념을 수립해야 한다.

      • Determinants of bilateral aid to higher education : focusing on the sociopolitical, economic & educational dimensions of recipients

        김성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11

        국제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원조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고등교육기관 발전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세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등교육 국제화 노력과 더불어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원조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같은 원조는 고등교육의 특성상 국제 장학금과 국제 학생을 위한 자금 지원의 형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양자원조 프로그램의 경우 공여국과 수원국의 고등교육기관들이 직접적으로 사업에 참가하는 양상이 증가하고 있다 (Varghese, 2010). 다시 말해 고등교육 발전을 목표로 하는 원조는 수많은 학생이 혜택을 받게 되고, 다양한 대학기관들이 직접 참여를 하게 되는 반면, 아직까지 고등교육 원조의 결정 요인과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OECD DAC의 공여국들의 고등교육 원조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 원조의 담론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DAC 전체와 개별적인 공여국의 고등교육 양자 원조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고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양자 원조 약정액을 종속변수로 선택하고, Donor Interest-Recipient Needs (공여국의 이익-수원국의 필요) 모델을 바탕으로 독립변수를 선정하여 수원국의 경제적, 인도적, 교육적 요구와 수원국에 대한 공여국의 정치, 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 간 정보 흐름의 용이함을 나타내는 독립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정보의 흐름에 따른 약정액의 차이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에 따라 두 가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DAC에 속한 다양한 공여국들의 중점 협력국과 지역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각각의 수원국에 약정되는 고등교육 양자 원조 금액은 고등교육의 특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DAC 전체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원국의 요구, 공여국의 이익, 그리고 수원국의 사회적 정보 체계의 다양한 요인들이 고등교육 원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교육에 대한 원조는 수원국의 GDP와 반비례하며 인구수와 비례하는 등 전체적인 원조의 결정요인을 대체적으로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수원국의 노동력 및 3차 교육 취학률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원국의 정보 기반 시설의 수준이 높거나 수원국의 정부가 국제사회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할수록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지원을 더욱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여국들의 개별적인 분석 결과 각각의 공여국마다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양자 원조 약정액의 결정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로,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의 경우 자국으로 국제학생의 유학을 장려하기 위해 장학금과 학생 지원금 형태의 원조에 투자를 많이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1) 프랑스는 높은 정보 기반 시설을 가지고 있으나 중등교육 취학률이 낮은 구(舊) 식민지권 국가들과 프랑스어권 국가들에 대한 원조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독일은 비교적 역량이 있는 고등교육기관을 갖춘 수원국을 대상으로 고등교육 원조를 선호하며, 3) 오스트리아는 청년실업률이 높고 기초교육기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국가들에게 고등교육 원조를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경험적 분석을 통해 DAC 전체적으로는 고등교육을 위한 양자 원조가 인도적, 경제적, 교육적 필요성과 관심, 그리고 수원국 정보 체계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양한 공여국들이 각기 다른 요인을 바탕으로 고등교육 양자 원조를 집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요성은 공적개발원조(ODA)와 개도국의 고등교육 발전과 관련된 공여국과 수원국의 여러 가지 관점들이 고등교육 양자원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DI-RN 모델을 바탕으로 확인한 데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DI-RN을 바탕으로 한 분석틀로는 확인이 되지 않는 고등교육 양자 원조 결정요인들을 더욱 포괄적으로 분석하기가 어려웠고, DAC에 속한 공여국들의 특유한 사회정치적 맥락이 깊이 있게 고려되지 않은 점이 제한점이다. 추가로, 향후 수원국의 관점에서 공여국들이 시행한 고등교육 양자 원조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고등교육 ODA 및 원조효과성 담론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promoting higher education through global development efforts and foreign aid is growing. Bolstered by effort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internationalize, the volume of foreign ai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world’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increasing. Such phenomenon especially gives importance to aid modalities of international scholarships and subsistence support to international students. Even when commitments are made to aid types that are not scholarships, the frequency of institution-level involvement by both donor and recipient institutions in bilateral aid programs for higher education is increasing (Varghese, 2010).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bout the determinants and effectiveness of bilateral aid to highe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higher education aid by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bilateral higher education aid of DAC donors based on empirical bilateral ODA data provided by OECD from 2000 to 2017. For the analysis of collective and individual determinants, this study has utilized explanatory variables that have been selected based on the donor-interest and recipient-needs (DI-RN model) to examine the impact of a recipient’s economic, humanitarian and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a donor’s political and economic needs on the amount of higher education aid a country receives. In addition, explanatory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ease of cross-border information flows have also been used in order to estimate the impact of a recipient’s conditions that facilitate international information flows on higher education aid. A key finding is that even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iorities of donors considered, the amount of higher education aid that a country may receive in general is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DAC donors as a group indicated that several factors of recipient needs, donor interest, and the recipient’s social knowledge infrastructure were all considered in the allocation of higher education aid. While aid to higher education followed the basic principle of aid, wherein it is conceptualized by many that aid should be given to larger countries with low GDP, it was also revealed in the results that insufficiencies in a country’s labor force as well as gross tertiary enrolment rate were relevant to the amount of higher education aid. At the same time, it was estimated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more global ti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larger amounts of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support. Second, in addition to an assessment of the composition of aid types committed for the purpose of higher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differ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to different donors as determinants for providing higher education aid. For instance, France, Germany and Austria would both allocate more higher education aid to encourag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through scholarships and student benefits to politically global yet poorer countries. However, ceteris paribus, it was estimated that France will most likely be preferential to francophone countries with good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higher needs in secondary education whereas Germany would more likely be open to accepti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ountries with a reasonably capabl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imilar to France, it can be assumed that Austria will also provide more aid to countries with better information infrastructure. However, Austria showed a tendency to provide such aid to countries with higher youth unemployment and lower primary education capacity. Furtherm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U.S will commit more aid to countries lacking in social infrastructure and a weaker labor market, while Japan’s will most likely support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in countries with low upper-secondary education achievement. In summary, the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revealed that different needs and interests were considered by donors in allocating higher education aid. The allocation of aid to the subsector on a collective level was examined to be affected by normative determinants that include humanitarian, economic, and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political interests and the recipient’s infrastructural readines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However, individual don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specific need or interest that impacts the allocation of aid to higher education. Regardless, normative needs such as low GDP and different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to be key considerations for donors in allocating aid to higher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identification of such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existent within and across different needs and interests as well as infrastructural conditions extraneous to the DI-RN model. However, such findings further require us to conduct studies that are more contingent to individual donors in ord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and strategic drive of DAC donors within the higher education subsector. Additionally, studies about higher education aid allocation based on the recipient’s perspective, such as the evaluation of specific outcomes of the different types of aid provided by different donors, is also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higher education aid effectiveness.

      •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의 국제화 담론 분석 : 토픽 모델링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박지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295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keywords and topic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by period using news big data related to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Accordingly, the main agenda and implications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were to b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1,217 news reported from May 31, 1995 to December 31, 2019 by dividing it into three periods and analyzing it with a topic modeling (LDA) technique. As a result, the discourse on internationalization at the university showed passive characteristics, even though it was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ization in terms of universities and was taking the lead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was lost in that the efforts and achievements of memb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placed and evaluated by quantitative indicators. Subsequently, while pointing out the drawback that the educational paradigm being implemented to strengthen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rel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the main focus was on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and creating a new wave for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Finall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indicators was criticized. Accordingly, there was a magnetic position on the fact that the university's internationalization development process was replaced by instrumental means based on 'Neoliberalis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 education policies related to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Also, the social consensus on the definition and thinking of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was examined as a related discourse.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press the need for effort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find a direc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that meets future expectations. 본 연구는 대학 국제화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기별 대학 국제화의 주요 키워드 및 토픽을 파악하였다. 이에 대학 국제화의 주요 의제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995년 5월 3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보도된 1,217건의 뉴스를 3개 시기로 구분하여 토픽 모형화(LDA)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대학 측면에서 국제화에 관한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국가 차원에서도 대학 국제화를 지원 및 권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국제화에 관한 토픽의 주제는 수동적인 특징을 보였다. 더불어 교육기관 구성원들의 노력과 성과가 양적 지표로 치환되어 평가된다는 점에서 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상실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국제화 역량 강화를 위해 실행 중인 대학 교육의 패러다임이 외국인 유학생에 관련된 내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결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구축과 대학 국제화의 새로운 판도를 창출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마지막으로, 국제화 지표에 대한 양적 평가를 비판하였다. 이에 대학의 국제화 전개 과정을 ‘신자유주의’에 입각하여 개인을 도구적 수단으로 치환시켰다는 사실에 대한 자성적 입장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국제화에 관한 새로운 관점의 정책의 수립과 개선방향을 모색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화 되고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응하고, 대학의 국제화를 통해 미래의 기대에 부응하는 대학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피력하고자 한다.

      • 담론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 분석: BK21 사업을 중심으로

        이정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79

        이 연구의 목적은 BK21 사업에 반영된 주요 정책 행위자들(정부, 교육부, 대학사회, 국회 교육위원회, 기재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의 세계수준대학에 대한 아이디어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최근 세계적 동향과 어떠한 간극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아이디어와 담론의 수준에서 정책 행위자들 간의 권력과 담론 과정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담론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정책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BK21 사업 4단계까지 각 단계별 사업의 설계 시점에 전반적으로 어떠한 단계별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전반적인 사업의 체계, 예산구조, 평가지표의 주요 사항을 분석하였다. 둘째, 각 단계별 정책 형성 과정에서 정부 및 교육부, 대학, 국회 교육위원회, 기획재정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이 각각 어떠한 담론 양상을 보였는지를 담론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정책 행위자의 아이디어와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각 주체가 아이디어를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어떠한 담론 전략을 통해 조정을 이루어냈는지를 아이디어와 권력의 관계(Carstensen & Schmidt, 2016)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BK21 사업 정책 변형에 영향을 미친 아이디어와 담론을 담론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단계별로 정부의 틀 짓기(framing)와 주요 행위자 간 담론과정에 나타나는 주체별 아이디어, 그리고 정책 반영을 위한 각 주체의 담론 전략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과정추적법을 활용하여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내용은 1~4단계 BK21 사업의 정책 형성 및 수정이 이루어진 네 시기이며, 분석 자료는 BK21 사업과 관련된 보도자료, 연구 보고서, 공청회 자료, 국회 회의록 등이 있다. 분석에 앞서 이론적 탐구를 통해 오늘날 세계수준대학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국가의 영역을 넘어서서 글로벌 공공재로서 대학의 역할 실현에 있음을 보였다. 이에 따르면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 또한 세계화의 주체를 무엇으로 보고, 어떠한 목표로 어느 활동의 장(場)에서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주요 정책 행위자의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주요 쟁점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요 정책 행위자의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와 정책의 담론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정부와 교육부는 큰 틀에서 몇몇 개의 세계수준대학을 만들어내는 것만으로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세계적 평판이 좋아질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갖고 정책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정책에 약자 대학들은 인지적 타당화와 규범적 가치를 내세워 교육부에 수치심을 줌으로써 정책 수정을 이끌어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정부의 아이디어에 동의함에도 불구하고, 지역균형발전, 대학 간 격차 완화, 공정성 등을 주장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강조되고 있는 글로컬라이제이션, 즉 지역과 세계의 연결은 순위 경쟁을 중요하게 생각하던 우리나라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의 담론에서는 크게 힘을 얻지 못하였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예산 규모에 대한 권력을 행사하는 국회 교육위원회, 기획재정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정책처 등과 교육부의 줄다리기는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이 세계대학순위의 상위권 대학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교육부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수준이 낮다’는 국제 지표를 내세워 세계수준대학 육성을 위한 정부 예산을 확보하기도 하나, 이는 결과적으로 교육부가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는 질적 성과 지표로의 변화 필요성에 모두 동의하여도 쉽게 변화할 수 없던 이유였던 것으로 보였다. 국가연구개발평가 등은 오히려 사업 성과의 근거로서 대표성을 갖게 되며 (정성적) 정량 평가에 머무는 데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들이 견제적 관계에 있던 것만은 아니다. 교육부도 결과적으로는 세계수준대학 육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을 견지하고 싶었던 바, 이들과 긍정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소수 대학들의 대안적 아이디어를 더욱 더 강하게 배제할 수도 있었다. 둘째, 정책 행위자의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에 따라 정책이 어떠한 단계별 변화를 겪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사업 초기에 ‘세계수준대학’은 세계 시장에서 어떠한 목표를 갖고 있다기 보다는 예산 확보와 선택적 대학 지원을 통해 국내 대학 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수사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즉 정부와 교육부는 대학 제도개혁, 국가 내 대학 간 경쟁 유도의 목적을 이면에 숨겼다. 이에 따라 대학사회의 대안적 아이디어를 배제하고 일부 세계수준대학과 무관하다고 주장된 정책 내용을 강제하였다. 하지만 3단계에서부터는 교육부가 세계수준대학의 랭킹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 전체’ 차원의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 시작하였는데, 3단계 사업의 추진과정에서는 교육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의 강력한 반대로 반영되지 못하였다. 4단계에서 이르러 교육부가 그 필요성을 설득, 이들과 호의적 네트워크를 형성한 결과 대학원 혁신지원비에 대한 예산 확보에 성공할 수 있었다. 셋째, 세계수준대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살펴본바, 이에 따른 우리나라 세계수준대학의 아이디어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는 세계수준대학의 우수 연구인력 확보에 지대한 관심을 두고 있었으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여건을 형성해주는 것이 국내 학생의 두뇌유출을 방지하고 해외의 우수 교원과 유학생을 확보하는 방법이라고 여겼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이 모든 것이 국가 차원의 세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여겨졌으며, 학술적 관점에서 외국인 연구자들과의 교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세계수준대학의 다문화 수용 등의 담론은 배제되었다. 또한, BK21 사업에서 대학의 재정 확보에 대한 논의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의 맥락에서 지방대 및 국ㆍ공립대학이 산학협력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산업체를 찾기는 어려운바, ‘공정성’을 해친다는 규범적 아이디어가 작동하여 1~2단계의 대응자금 확보 조건마저 폐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를 주제로 살펴보면, BK21 사업 수혜 대학의 책무는 대체로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우월성을 대표할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었으며, 대학 차원에서는 풍부한 재원 확보를 위해 국내 타 대학과 경쟁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이 유교 문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들의 대학 정책에서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한데, 이로써 형성된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는 오늘날 강조되는 국제 사회의 공적 책무 수행과는 거리가 멀었다. 특히 평가와 평판을 성취의 기준으로 삼는 한, 우리나라의 연구중심대학이 활동 영역을 세계의 장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선결과제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세계수준대학에 지역-국가-세계를 포용할 수 있는 책무 부여, 지역우수대학과의 컨소시엄 활성화, 학술정치에 대한 전략 탐색, 질적 평가 체계의 타당성 확보, 과학기술부 등 타 부처와의 평가 체계 합의 도출 등의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ideas for World-Class Universities (WCU) by major policy actors (government,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Ministry of Financ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etc.) reflected in the BK21 Project.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ir gap with the recent global trends on WCU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d the main points of the overall project‘s programs, budget structure,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looking at the overall changes in the design of each step until the 4th stage of the BK21 project. Second, the research focused on the idea and discourse of policy actors − such as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 in terms of discourse institutionalism. Third, based on this, the resear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s and power (Carstensen & Schmidt, 2016) and how each agent had made adjustments to their reflect ideas in World-Class University Building Polic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policy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institutionalism to comprehensively view the power and discourse process among policy actors at the level of ideas and discours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raming’ of governments’ ideas, the ideas of the key actors appearing in the discourse process, and the discourse strategies they act to reflect their ideas in the final policy. This study used the process-tracking method to explore ideas that affected the BK21 Projects’ policy trans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were the four periods in which the policy formation and revision was made from stage 1 to stage 4(1999~2020).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the BK21 Project were used for analysis − press releases, research reports, public hearing materials, and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Prior to the analysis, theoretical exploration has shown that today's social expectations for world-class universities were beyond the realm of the state and were in the realization of the role of universities as global public goods. This explains that the policy to foster WCUs can also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at the main body of globalization is and in which sphere it aims at. Based on this, the study sought to interpret the ideas and discourse of major policy actors on world-class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key issues were identified: First, the analysis of major policy actors' ideas of WCU and the process of policy discourse showe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evised policies with the idea that ‘creating a few world-class universities would improve the global reput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s a whole.’ Under these policies, weaker universities have brought about policy modifications by ‘giving shame’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by citing cognitive justification and normative values. Specifically, despite agreeing with the government's ideas, they argued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lleviating gaps between universities, and fairness. Although theoretically emphasized, the emphasis on Glocalization or regional-global connectivity did not gain much strength from the discourse of the nation's policy of fostering WCUs, which considered competition in the rankings more important. In addition, the tug-of-war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and Accounts Committee, and the Ministry of Budget and Policy − which exercise power over the size of the budget − is centered on the idea that the policy of fostering world-class universities should be able to create top universities in the world. By citing international indicators that tells th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in our country is low’,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ecured an amount of government budget for WCU policies. This, in turn, leads to the burde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how tangible results in these international rankings in short terms. This seemed to be the reason why the project’s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es could not change easily even if all agreed to the need for a change to a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Also, the National R&D Evaluation has rather became representative as the basis for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project and seemed to have influenced the quantified quality assessment.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financing boards were not just in a check-up relationship. Rather, by forming a positive network with the stakeholders in finance and budgets, the Ministry of Education wanted to maintain the principle of "select and focus” to foster WCUs, so it could rule out alternative ideas from minority universities more strongl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the policy has undergon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actor's idea of a WCU,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e study has shown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world-class universities' were used as rhetorical expressions to induce competition among domestic universities through budgeting and selective university support rather than showing excellence in the global market.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id behind the scenes the purpose of reforming the university system and induced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among the nation. Thus, it ruled out alternative ideas from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forced the contents of policies that were claimed to be unrelated to fostering WCUs. However, from the third stage, the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express its opinion that ‘efforts at the ‘university-wide’ level should be made to raise the ranking of world-class universities’, but its implementation was not reflected − offended against strong opposition from the Education Committee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By the fourth stage, the Ministry of Education persuaded the offenders of the need for university-level support and formed a favorable network with them, which enabled them to succeed in securing the budget for the Postgraduate Innovation Support Funds. Third, after looking at various interpretations of WCUs, the analysis of the ideas of Korea's WCUs is as follows. First of all, Korea was very interested in securing excellent research personnel at WCUs, and it was considered that forming world-class research conditions was a way to prevent the brain drain of domestic students and secure excellent international faculties and students from abroad. In particular, all of these were considered strategies for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while as, discourse on exchanges with foreign researchers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and accepting multiculturalism from a socio-cultural point of view were excluded. In addition, the BK21 project did not actively discuss the financial security of universities, and it was difficult for local universities and public universities to find industries that would positively conside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In the end, based on the normative idea of 'unfairness' each university face in finding industries to fund, the conditions for securing response funds were abolish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stage. Finally, looking at the subject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ies,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ies benefiting from the BK21 project were generally to produce results that would represent the economic and political superiority of the country and that at the university level, it was competing with other universities in Korea to secure abundant financial resources.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 policies of countries based on Confucian culture such as Korea, and the idea of WCU was far from fulfilling the public responsibilit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is emphasized today. In particular, as long as evaluation and reputation are used as the basis for achievement, it is believed that Korea's research universities will have a number of pre-determined tasks to expand their sphere of activity to the worl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research produced policy suggestions such as granting responsibility to world-class universities to embrace regions-state-world, revitalizing consortiums with local leading universities, exploring strategies for academic politics, securing feasibility of qualitative assessment systems, and reaching agreements on evaluation systems with other ministr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경험에 대한 연구 : A대학 사례 연구

        강미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279

        본 연구의 목적은 많은 대학이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홍보·장려하고 있는 교환학생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의 입장에서 경험하는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시기별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운영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참여 동기와 수학 국가 및 대학 선택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학생은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셋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어문학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상대적으로 다양한 언어권과 국가들로 학생들을 파견하고 있는 한 서울시내 사립대학교인 A대학의 최근 2년간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236명(회수율 11.21%)의 응답 중 203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낮은 응답률의 한계를 보완하고 참여 학생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응답자 중 8명을 대상으로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대학 학생들은 새로운 경험과 외국어능력 향상을 주목적으로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를 결정하였다. 수학 국가 선택 시에는 해당 국가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관심도, 비용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으며 수학 대학 선택 시에는 대학의 인지도 및 평판도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둘째, 사례대학 학생들은 해외 수학 준비 및 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해외 대학의 개설 과목 정보 검색, 실생활 관련 세부 정보 습득 등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며, 기존 수학 경험자의 멘토링을 필요로 하였다. 셋째, 해외 수학 기간 중 현지 학생들과 교류한 정도는 평균 2.78점(4점 만점)이었으며 현지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강화를 가장 중요한 개선 방안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귀국 후 학점 인정과 관련하여 구체적이지 않은 학과 내규, 학점 불인정 가능성으로 인한 불안감 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전공 인정 학점 범위 확대, 일관성 있는 규정 해석 및 적용, 관련 부서간의 책임 및 권한 명확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대학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은 고등교육 국제화 물결 속에 커져가는 중요성과 참여 학생 수의 양적 확대에 비하여 실제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각화된 조사는 빈약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해 향후 사례 대학의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개별 대학에서는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구체적인 경험 양상과 인식 파악을 위해 프로그램 내실화와 학생들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경험 효과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례 대학 교환학생 프로그램의 실질적 운영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환학생 프로그램 운영 및 참여 학생 세부 매뉴얼 구축, 2) 해외 수학 준비 및 현지 생활 적응을 위한 기존 해외 수학 경험자 연결 및 지식 공유 플랫폼 마련, 3)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따라 고려하여야 할 수학 국가 및 대학 선택 요인 안내와 관련 정보 제공, 4) 국외학점인정 관련 규정 세밀화. 또한 교환학생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국내 고등교육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후속 연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교환학생 참여 경험에 대한 학생 배경 변인 및 대학 유형별로 다각화된 연구, 2) 교수진을 대상으로 한 대학생 교환학생 프로그램 관련 인식 또는 문제점에 대한 연구, 3) 고등교육 국제화 및 지역화합을 위한 정부 주도의 학점이전 관련 연구

      • 한국인 학생들의 말레이시아 유학 결정요인 : 국가 간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정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79

        본 연구의 목적은 신흥 유학지로서 말레이시아 유학시장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말레이시아 대학을 선택한 한국인 유학생들의 유학결정 영향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 3인과 학부모 및 학생 10명 등 총 13명과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교육소비자들이 유학결정-국가선택-학교선택의 과정에 있어 어떠한 개인적-조직/프로그램적-사회환경적 요인이 있는지, 또한 이들 간 어떻게 서로 밀어내고 끌어당기며(푸쉬-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사례대학인 H대학의 맥락 속에서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대학서열화와 학벌 중시라는 한국의 사회문제와 말레이시아 사립대학의 ‘국가 간 연계 교육 프로그램’이 만나는 지점에서 ‘한국인 학생의 말레이시아 유학’이 일어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한국의 목표대학으로 진학하기에는 어중간한 성적과 서양권 국가로 다이렉트 유학을 가기에는 부담스러운 비용이라는 개인적 요인을 들어 말레이시아를 효율적인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더불어 말레이시아 유학에는 말레이시아의 사회환경적 특수성인 영어사용환경, 다민족 다문화, 가성비, 치안, 한국문화에 대한 우호적 의식, 지인의 추천 등도 유학결정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례대학의 조직/프로그램적 요인으로는 전 세계 100대 최상위권 해외대학으로의 편입학 프로그램이 가장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 영어를 사용하며 다인종 다국적 학생들이 모여있는 교육환경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선택하는 ‘국가 간 연계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최종 학위의 목적지에 따라서, 학생들의 유학 결정요인 및 의사결정과정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트위닝과 트랜스퍼 프로그램이 집중 조명되었다.

      • Multiculturalism in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ggia Utami Dewi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74

        Since early 2000s, South Korea has been actively do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its higher education as an effort to be an educational hub in Asia, providing highly competitive universities with world-known reputation. The proactive national-institutional internationalization so far seems focusing on political and economic motives. By taking the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thesis argues that this current internationalization is still limited in exploring the socio-cultural rationale. The university seems to see the presence of diverse international bodies as an instrumental way to acquire a better interationalization point, neglecting the implications and valuable manner of that multicultural reality. Even though the university has been responsive enough in supporting the shift composition of university body, the circumstance shows challenging consequences. This thesis identifies that the university right now is still in a transformation stage from monocultural to transitional institution. However, there is an indispensable need to address the relevant approach to that matter. The thesis suggest multiculturalism as a pertinent proposal. Learning from previous experience in other countries, institutionalizing multiculturalism in higher education could be carried out by multicultural initiatives in several dimensions. These initiatives could deliver the multiculturalism as value and attitude: recognizing, respecting and promoting equal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iversity. 2000년대 초부터, 한국은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통해 아시아의 교육 허브로써 발돋움하려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에서 인정받는 유수의 경쟁력 있는 대학들을 배출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국가기관 주도의 국제화는 특정 정치∙ 경제적 목적 달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러한 국제화 추세가 사회문화적 측면을 논의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서울대학교는 다양한 국제 주체의 존재를 더 나은 국제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는 한편, 이들이 가지는 다문화적 현실의 함의와 가치를 간과해왔다. 서울대학교는 이러한 대학내부의 변화를 지지하고 꾸준히 대응해왔지만, 현재로썬 여전히 문제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서울대학교가 단일문화공간에서 과도기적 기관으로 이행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여전히 위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문화주의 중심의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른 국가들의 경험에 비춰보면, 고등교육에서의 다문화주의 제도화는 다문화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은 다문화주의가 문화 다양성을 동등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수용해야 한다는 하나의 가치와 태도로써 정립되는 데 핵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