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祿牌 연구

        임영현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39

        本論文では、朝鮮時代の禄牌制度と禄牌様式、そして頒禄籤紙を通じた禄俸制の 運用実態を通時的に研究した。禄牌は公文書として文武官員の禄俸受領資格を証明 する。また、禄俸を受領するときに証拠文書として活用され、禄俸を受領したとい う禄俸受領處証である頒禄籤紙が添付された複合的な性格の文書である。今日まで 禄牌研究は、禄牌様式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集中していた。しかしながら禄牌の大 きさについての検討と頒禄籤紙の研究は不十分である。また禄俸制研究者は頒禄籤 紙を参考せずに、文献史料だけで朝鮮時代の禄俸制を検討した結果、朝鮮時代の禄 俸制の運用実態を把握するには限界を見せた。したがって、本研究では、朝鮮時代 禄俸の発給対象と手順の解明と共に頒禄手順を調べた。そして禄牌様式の検討と時 代や役所にしたがって禄科表記·発給官員·印章·外面表記を調べた。あわせて、禄牌 が大きさを異にする基準について究明した。最後に、正3品堂上官以上の正3品堂下 官以下に分けて頒禄籤紙の大きさと作成方法を確認した後、頒禄籤紙の記録と禄俸 制の禄科を比較·検討した。 朝鮮時代の禄牌制度は高麗時代の制度を受け継いだ。禄牌発給先は、禄官に任命 された役人に限定される。発給役所は、三司→司評府→吏曹と変更しており、1466 年(世祖12年)に王の伝教があって以来、吏曹と兵曹が文官と武官の禄牌発給をそれ ぞれ担当した。頒禄手順は、頒禄日に持参する文書の種類に従って『大典通編』施 行前後に分けて考察した。禄官は『大典通編』施行前には敎旨·禄牌·給禄所志を持 参し、『大典通編』施行後は敎旨と禄牌だけで禄俸を受領することができた。 朝鮮初期に発給された禄牌様式は、高麗時代のことを襲用した。『経国大典』で 禄牌式が法制化される以前では、始面と禄科表記、印章で変化を確認することがで きる。そして『経国大典』で禄牌式が法制化された以降に発給された禄牌は、『経 国大典』の禄牌式に遵守した。しかし、禄科表記·印章·発給官員·外面表記で変化が あった。 官職の正3品堂上官以上と正3品堂下官以下の禄牌は大きさを変えて発給された。堂上官以上の禄牌は、縦×横の長さの平均がそれぞれ112.4×79.2cmであり、堂下 官はそれぞれ45.5×14.4cmである。二種の縦×横の平均は50cm以上の差があり、 朝鮮時代を通じて官職の正3品堂上官と堂下官を基準に大きさを変えて発給され た。 堂下官に限り、18世紀後半から木版式禄牌が発給されており、吏曹と兵曹で は版に刻まれている文字が一部異なっていた。 頒禄籤紙も禄牌と同じように官職の正3品堂上官と堂下官でことなった大きさの ものが発給されていた。前期頒禄は監察と宏興倉役人が引き受けていたので、“分 臺之印”が押された。しかしながら18世紀後半から監察が頒禄業務から退いたた め、それ以降は“廣興倉印”が押された。 堂下官禄牌が木版式に変わった後に堂下 官の頒禄記録は手記で該当月だけを表記する方式に変わった。1851年(哲宗2年)に 発給された黃銑の禄牌に始めて頒賜印が押された以降は、この様式が続いた。 頒禄籤紙の頒禄記録を通じて、朝鮮時代の禄俸制の運用実態を把握することがで きる。朝鮮時代の禄俸制は、一年に2回(1·7月)支給する六朔頒禄制、一年に四回(1· 4·7·10月)支給する四孟朔頒禄制(1439)、そして毎月支給する月俸制(1701)に変化 した。六朔頒禄制は考証することができないが、 禄科の基準がなかったというこ とが分かる。しかし、現在まで調査された禄牌の中では1414年(太宗14年)から 1463年(世祖9年)までは品階を基準に支給しており、1467年(世祖13年)からは官職 を基準に支給された。四孟朔頒禄制は、1439年(世宗21年)に初めて実施された。施 行初期には禄科に基づいて禄俸を支給したが、壬辰倭乱を経て、実際の禄科より少 ない量を支給した。四孟朔頒禄制時期には、1647年(仁祖25年)と1670年(顯宗11 年)に頒禄品目と数量を減らす方向に禄科が改正されたが、実際の頒禄量は禄科に及 ばなかった。 四孟朔頒禄制時期に一時的に月俸を支給したが、実質的に月俸制が 施行されたのは1701年(肅宗27年)であった。四孟朔頒禄制時期より頒禄品目と数量 はさらに減ったが、この時期はまた禄科に準ずる頒禄が行われなかった。そして、 1721年(景宗元年)の改正で量はさらに減り、これは『続大典』に掲載された。18世 紀初期まで『続大典』の禄科に基づいて頒禄が行われたが、19世紀後期の頒禄は 『続大典』の禄科に従わない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본 논문은 조선시대 祿牌 제도와 양식, 그리고 頒祿 籤紙를 통한 녹봉제의 운용 실태를 통시적으로 연구하였다. 녹패는 공문서로서 문무관원의 녹봉 수령 자격을 증명하며, 祿官이 녹봉을 수령할 때 證憑 문서로 활용된다. 그리고 녹봉을 수령하였다는 녹봉 수령증인 반록 첨지가 첨부된 복합적인 성격의 문서이다. 현재까지 녹패 연구는 녹패 양식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다. 그렇지만 녹패의 크기에 대한 검토와 반록 첨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며, 녹봉제 연구자들은 반록 첨지를 참고하지 않고 문헌 사료만으로 조선시대 녹봉제를 검토한 탓에 조선시대 녹봉제의 운용 실태를 파악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녹패의 발급 대상과 절차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반록 절차를 검토한 후, 녹패 양식 검토와 함께 시대 및 관청에 따라 달라지는 祿科 표기·발급 관원·인 장·외면 표기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녹패가 크기를 달리하는 기준에 대하여 규명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정3품 당상관 이상과 정3품 당하관 이하로 나누어 반록 첨지의 크기와 작성 방식을 검토한 후, 반록 첨지의 기록과 녹봉제의 녹과를 비교·검토하였다. 조선시대 녹패 발급 대상은 祿官에 임명된 관원으로 한정되며, 발급 기관은 三 司→司評府→吏曹로 변경되었는데 1466년(世祖 12) 전교 이후 吏曹와 兵曹에서 文官과 武官의 녹패 발급을 각각 담당하였다. 반록 절차는 반록 시 지참해야하는 문서에 따라 『大典通編』 시행 전후로 나누어 고찰해 볼 수 있다. 『大典通編』 시행 이전에 祿官이 녹봉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敎旨·祿牌·給祿所志를 지참했으며, 『大典通編』 시행 이후에는 교지와 녹패만으로 녹봉을 수령할 수 있었다. 조선 초기에 발급된 녹패 양식은 고려시대의 것을 따랐는데, 『經國大典』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되기 이전까지 始面·녹과 표기·인장에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經國大典』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된 이후 조선시대 녹패는 『經國大典』 녹패식을 준행하였으며, 법제화된 이후 녹과 표기·인장·발급 관원·外面 表記에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관직의 정3품 당상관 이상과 정3품 당하관 이하의 녹패는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되었다. 당상관 녹패는 세로×가로의 평균 길이가 112.4×79.2cm이며, 당하관 녹패는 45.5×14.4cm로, 세로×가로의 평균이 50cm 이상씩 차이가 났다. 그리고 종친을 제외하고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관직의 정3품 당상관과 당하관을 기준으로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된 것을 알 수 있다. 당하관 녹패에 한하여 18세기 후반부터 木版式 녹패가 등장하였으며, 이조와 병조는 版에 새기는 부분이 달랐다. 반록 첨지도 녹패와 마찬가지로 관직의 정3품 당상관과 당하관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조선 전기 반록에는 監察과 廣興倉 관원이 참여하였으며, 인장은 “分臺 之印”이 답인되었다. 그런데 18세기 후반부터 감찰이 반록 업무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廣興倉印”이 답인되었다. 당하관 녹패가 목판식으로 바뀐 이후, 당하관의 반록 기록은 해당 월만 手記로 작성하는 방식으로 변한 뒤, 조사된 녹패 가운데 1851년(哲宗 2) 黃銑 녹패부터 頒賜印으로 반록 기록을 표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녹봉제는 일 년에 두 차례(1·7월) 지급하는 六朔頒祿制, 일 년에 네차례(1·4·7·10월) 지급하는 四孟朔頒祿制(1439), 그리고 매월 지급하는 月俸制 (1701)로 변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녹패에 첨부된 반록 첨지의 반록 기록을 통해 조선시대 녹봉제의 운용 실태 고찰해 보았다. 육삭반록제 시기에는 녹과에 일정한 기준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조사된 조선 초기 녹패를 통해 1414년(太宗 14)부터 1463년(世祖 9)까지는 품계를 기준으로 반록하였고, 1467 년(世祖 13)부터는 관직을 기준으로 반록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439년(世宗 21)에 처음 시행된 사맹삭반록제는 시행 초기에는 녹과에 준하여 녹봉을 지급하였으나,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실제 녹과보다 적은 수량을 지급하였다. 국가 재정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1647년(仁祖 25)과 1670년(顯宗 11)에는 반록 품목과 수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녹과를 개정하였지만, 실제 반록 수량은 녹과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임시로 월봉을 지급하고, 반록 수량을 감하는 등의 조처를 하였다. 임시로 시행했던 월봉 지급은 1701년(肅宗 27)에 제도화되었다. 사맹삭반록제 시행 초기와 비교하면 반록 품목과 수량이 상당히 줄었고, 녹과에 준하는 반록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1721년(景宗 元年) 수량을 더 줄여 녹과를 개정하였고, 이는 『續大典』에 실렸다. 18세기 초반까지 『 續大典』 녹과가 준행된 것을 반록 첨지와 문헌 사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19세기 후반 반록은 『續大典』 녹과에 준하는 수량을 반록하지 못하였다.

      • 조선에 전래된 武英殿聚珍版書의 서지적 분석

        苗凱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4303

        武英殿建於明朝樂年間(1403-1424),曾為政治權利的中心地。清朝康熙年間 (1662-1722)設立武英殿書局。康熙四十年(1701)以後,武英殿開始大量發行書籍。1772年將《永樂大典》的佚書,各省的採集本,武英殿刊本,匯為《四庫全書》。由於工程 量浩大久費時日,便從較為稀缺的宋元版本和《永樂大典》的佚書開始撰修。1773~1803 年共刊印了138種書籍,其中木版本4種,木活字本134種。這138種書稱為《武英殿聚珍 版書》。《武英殿聚珍版書》是清內府規模最大的一次木活字印刷活動。在中國木活字印 刷史和典籍史上具有重要意義。武英殿聚珍版書刊印完成後被發往東南五省并允許地方 翻刻,翻刻本為木版本。翻刻本與殿本在樣式上非常相似,也稱為《武英殿聚珍版書》。 由於時代的動蕩與變遷,現存的《武英殿聚珍版書》多為散本。國內足本該叢書有多少 部,並沒有具體的統計。此外,韓國,日本,美國等國家也有不同數量的相關書本。 本論文的主要研究對象為韓國現存的《武英殿聚珍版書》,研究目的在於調查韓國現 存該叢書的數量及內容,分析相關目錄,了解叢書的購買時期和東傳的過程,以及明確該叢書對韓國產生的影響和意義。 韓國該叢書的收藏機構主要集中在韓國學中央研究院藏書閣,首爾大學奎章閣韓國 學研究院,韓國國立中央圖書館,東亞大學圖書館,全南大學圖書館,高麗大學圖書 館。韓國的現存本按版本分為聚珍版和翻刻木版本,其中以木版本居多,聚珍本主要藏於首爾大學奎章閣韓國學研究院。從內容來看,集部書比經史子各部的書數量上略少,並且現存本多為頁數相對較少的著作,袖珍本也較多。這主要受印刷效率,製作成本, 便攜性等方面的影響。此外,韓國還藏有兩本相關目錄,用途分別為購書清單和點檢用。 韓國現存本的購入時間上限為1774~1781之間。18世紀的朝鮮重視文化,這無疑 是該叢書購入過程中的的催化劑。1773年朝鮮使臣嚴璹與中國文人關於《四庫全書》筆 談記錄可視為《武英殿聚珍版書》話題的開始。朝鮮對《四庫全書》一直具有濃厚的興趣, 正祖曾下令購買《四庫全書》,此後林濟遠, 李鼎運, 沈能翼等人不斷向朝鮮報告《四庫全書》的消息。此外,李德懋也向中國文人潘庭筠尋求過《武英殿聚珍版書》的目錄。 《武英殿聚珍版書》流傳到朝鮮后產生了重要影響。正祖下曾令按《武英殿聚珍版程 式》中的木活字製作方法製作生生字和整理字。此外,還有私人製作的金陵聚珍字等。與此同時韓國現存的兩本目錄也具有重要的意義,並且得益于該叢書的朝鮮東傳韓國的 藏書也更加豐富。 武英殿은 明代 永樂年間(1403-1424)에 설립되어 한 때 정치권력의 중심이 되었던 기관이다. 清代 康熙年間(1662-1722)에 武英殿書局이 설립되어 문헌 간행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康熙四十年(1701)이후, 무영전에서 대량의 도서를 간인하기 시작 하였다. 乾隆三十七年(1772)에 『永樂大典』의 佚書, 각 省의 採集本, 무영전 간본을 수집하여 『四庫全書』를 편찬했다. 『사고전서』는 양이 방대해서 모두 撰修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판본이 드문 판본과 『영락대전』의 일서부터 먼저 간인하였다. 간인 작업은 乾隆三十八年(1773)에 시작하여 嘉慶八年(1803)까지 138종의 책(목판본 4종, 목활자본 134종)을 인출하게 되었다. 이 138종 책을 『무영전취진판서』라고 한다. 『무영전취진판서』는 淸內府에서 시행한 목활자 인쇄 중 규모가 제일 큰 인쇄활동의 결과물이다. 중국 목활자 인쇄사와 典籍 보존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후 중국 일부 지방의 출판사에서도 번각하였으며, 모두 목판으로 인쇄했다. 번각본 총서와 무영전본 총서의 양식이 많이 닮아서 내부의 인쇄분이 內聚珍本, 번각인쇄본은 外聚珍本이라고 한다. 하지만 淸代의 멸망과 사회의 변동 때문에 『무영전취진판서』가 많이 흩어졌다. 지금까지 완질의 총서가 얼마나 현존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무영전취진판서』는 중국 외에도 한국, 미국, 일본 등 몇 몇 나라에서 확인된다. 본 연구는 한국에 현존하는 『무영전취진판서』를 대상으로 삼았다. 現存本의 내용과 수량 및 판본을 조사하고, 『무영전취진판서』 관련 서목의 역할과 총서의 구입 시기 및 전래 경로를 규명하며, 이 총서가 한국에 끼친 영향과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 『무영전취진판서』의 주요 소장처로 확인된 곳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동아대학교 한림도서관,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이다. 현존본을 판본으로 분류하면 취진본과 목판본으로 나뉜다. 또 취진본은 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經·史·子·集部의 책은 다 있고, 集部 책의 수량은 經·史· 子 각 部의 책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또 現存本은 모두 冊數가 상대적으로 적은 책이고, 奎璧本도 많이 있다. 이유는 인쇄의 효율성, 제작비용, 편의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는 『무영전취진판서』 관련 서목이 두 종 있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두 서목의 역할은 각각 購書單子와 點檢用이다. 한국에 현존하고 있는 『무영전취진판서』의 구입 시기 상한은 1774~1781 사이이 다. 18세기, 문화를 중시하는 사회배경은 『무영전취진판서』 구입하는 데의 촉매 역할을 했다. 1773년, 조선 사신 嚴璹가 중국문인과 한 『사고전서』 관련 筆談 기록은 조선 『무영전취진판서』 얘기의 시작으로 이후에도 조선은 『사고전서』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정조는 명을 내려 『사고전서』를 사게 했고, 林濟遠, 李鼎運, 沈能翼 등이 계속 『사고전서』의 편찬 소식을 전했다. 李德懋도 중국 문인 潘庭筠에게 해당 서목을 구한 적이 있었다. 『무영전취진판서』의 조선 전래 후에 『武英殿聚珍版程式』의 활자제작방식이 生生 字와 整理字의 제작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개인이 활자를 제작할때 취진이라는 용어가 수용되기도 하였다. 또 장서각에 소장된 서목은 구서단자로써그 당시에 수입책의 가격을 파악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규장각 장본은 총서본의 판본, 완질인지 낙장본이지 확인하는 데에 가치가 있다. 그리고 『무영전취진판서』 의구입으로 인해 한국의 중국저술의 장서가 풍부하게 되었다.

      •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 아카이브 운용 사례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중심으로

        하소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34303

        최근 디지털 환경을 토대로 하는 공공외교, 즉 ‘디지털 공공외교’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공공외교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이 엄밀히 구분되지 못하고 있고,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공공기관의 역할에 주목한 사례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중심으로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 요건과 공공기관의 역할을 고찰했다. 서론인 제1장에서는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 현상을 고찰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제2장은 ‘공공외교’에 대한 정의와, 공공외교 활동이 온라인에서 시스템화 되어 이뤄지는 공공외교의 ‘디지털 전환’ 개념을 검토했다. 제3장에서는 공공외교를 담당하는 여러 공공기관 중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를 살핀다.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디지털 전환은 온톨로지 설계, 데이터 아카이빙 두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온톨로지와 아카이빙 데이터를 분석하고,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이 아카이브의 확장과 공유를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 사례의 시사점을 토대로 공공기관이 디지털 아카이빙을 병행하는 업무 수행을 통해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면서 고객과 공중의 참여를 촉진하여 공공외교의 주체와 활동을 다양화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In “public diplomacy,”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s diplomacy, “digital public diplomacy," which is based on the recent digital environmen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Nonetheless, the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are not strictly distinguished, and there are hardly any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digital public diplomacy, by analyzing the Understanding Korea Project carried out by the CEFIA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Chapter 1, which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reviewed research studies examin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phenomenon of public diplomacy, and showed that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digital transformation contributes to a nation's innovation growth, as well as attempts to conceptualize such a phenomenon. Chapter 2 looked at the definition of “public diplomacy” proposed by the Edward Murrow Center for Public Diplomacy, and the concept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which activities of public diplomacy are systematized and conducted online. After dealing with the roles of many different public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public diplomacy, Chapter 3 analyzed the ontology of the Understanding Korea Project conducted by the CEFIA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ublic diplomacy on metaverse through Mozilla Hub, which emerged recently. On the basis of such analyses, Chapter 4 suggested that public institutions can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information on diplomacy,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content and diversifying the agents and aspects of public diplomacy. This study is theoret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kind of 'road map'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with public institutions assumed as its practitioner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limitations in that this study jus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detailed stud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ub-elements of public diplomacy, namely cultural public diplomacy, knowledge diplomacy, and policy public diplomacy. However, this study is evaluated to be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specific roles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public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 조선 후기 외교문서의 작성에 관한 연구 : 장서각 왕실 고문서를 중심으로

        정태란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외교문서 49건을 대상으로 외교문서의 작성 과정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이 문서가 조선시대 대청 사대문서를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 가운데 어느 지점에서 생성되었는지를 구명한 연구이다. 조선은 명과 청에 事大하는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사행을 통해 외교적 사안을 논의하고 해결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 바로 사대문서였다. 사대문서는 사행의 성격에 따라 문서의 유형과 명칭이 구분되었고, 그 작성과 과정은 매우 엄정하게 진행되었다. 사대문서는 제술관의 제진, 임금의 계하, 승문원의 선사 및 정서, 초본과의 사대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작성되었고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거듭 대조 및 검토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처럼 그 문서가 지닌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사례가 매우 드물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된 1882년에 일괄 작성된 사대문서의 초본은 당시청으로 보낸 사행의 면모와 외교문서의 실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다만, 이 문서는 초본 단계의 문서이므로, 사대문서의 작성 과정을 학술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서각 소장 외교문서에 나타난 기초적 특성을 분석하고, 사대문서의 작성 과정을 살펴보면서 장서각 소장 외교문서가 과연 어느 단계에 생성되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조명하였다. This thesis analyzes 49 documents that are envoy dispatch documents stored in the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examines the process of writing diplomatic documents in relation to them, as the study to find out which stage in the series of process of writing diplomatic documents the relevant documents are in. While establishing toadysm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Joseon discussed and resolved diplomatic issues with China through envoy dispatch. It can be said that the toadysm docume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he toadysm documents stipulated the names of the envoy dispat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names, and classifications of the documents, and accordingly, careful work was carried out in the preparation and system of the documents. The toadysm documents were written several times through the document examination of writing officer, the king’s proclamation, drafting and official re-writing of the Diplomatic Documents Office, and toadysm with drafts, and they were collated and reviewed several times before arriving in Beijing.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toadysm documents, presently few physical documents have been passed on due to their specificity. Among these, the abstract of the toadysm documents written in 1882, stor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re the materials that can show what important diplomatic issues were at the time at a glance. However, since this document is in the draft stage, there is enough room for discussion as to which part it belongs to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toadysm docum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oadysm documents in the collection of the Jangseogak Archives and tried to estimate the stage at which the actual documents were located by looking back at the process of writing the toadysm documents from the original sources and so on.

      • 발해 지역 호무스의 유래와 역사적 의의

        파히리든 키,쿠트비디노바 모히라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논문은 발해 지역에서 출토된 호무스의 유래와 활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해 유적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 과정에서 호무스의 발견은 이미 언론과 학계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다. 이는 호무스가 그 자체로 서역과 중앙아시아의 사이에 많은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단서를 가진 유물로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호무스가 어떠한 악기인지 잘 알지 못하고, 이것이 왜 서역과 유라시아 지역의 교류를 추정하는 단서가 되는지도 피상적으로만 접하고 있을 뿐이다. 해당 악기 유물은 서역부터 유라시아 나아가 발해 지역까지 분포해 있을 정도로 유명하고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이름이나 기원에 대해서는 무수한 견해가 혼재한다. 또한, 문화유산을 찾아 호무스에 대해 탐구할 때에도 참조 자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기록 자료조차 적다. 유럽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호무스에 대해서 알고 있고 검색을 통해 쉽게 호무스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왜 한국에서는 호무스가 발굴된 사례가 적고 이 악기의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일까? 이에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호무스에 대한 정보를 한국학계에 제공하고, 나아가 발해 유적으로서의 호무스에 대한 의의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바는, 호무스를 탐구한 일반적인 역사자료나 고고학 자료를 가지고는 찾을 수 없다고 사료된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연구된 호무스 관련 유럽, 아시아 한국 논문들을 통해 호무스 명칭 및 분포를 파악하고 호무스 종류와 활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무스가 어느 나라에서 발견되었고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어느 시기 호무스인지 꼼꼼히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발해 지역의 호무스 현황과 특징 및 발해 지역 호무스 전파 경로와 사용 집단을 검토하고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추론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힌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자는 향후 한국학계에 호무스에 관한 연구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 한국학계의 통용되고 있는 ‘바르간’이라는 명칭을 ‘호무스’로의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많은 명칭 중에서도 호무스가 가장 일반적이며 보편적인 명칭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제목에서 바르간이 아니라 호무스라 칭한 것 또한 이런 연유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호무스는 북방 유목민들의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파 루트도 주로 북방유목민을 통해서 발해까지 도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우선 유럽에서 발견된 최초의 호무스가 북유럽 스웨덴 웁살라에서 발굴된 호무스라는 점, 호무스와 관련된 전설의 주인공과 배경이 곰, 숲과 같이 북방유목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셋째, 호무스가 악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고난 극복에 도움을 주는 종교적인 물품이었으며, 제사와도 관련된 사실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호무스 관련 전설의 주요 내용과 야쿠티아와 중앙아시아에서 활용되는 호무스의 용도임을 밝혔다. 넷째, 발해 지역에서 나온 호무스는 유목민들이 사용했던 호무스와 모양 면에서 유사하고, 호무스 발굴지역도 한결같이 발해의 도성 지역이 아니라 북부의 외각 지역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발해의 호무스가 중국(당)을 통하여 들어와 전파된 것이 아니라 담비의 길을 통해서 발해 지역에 도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담비의 길을 통해 호무스를 발해까지 전파하고 활용했던 집단이 소그드 집단이라는 추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한 정황을 추가했다. 호무스가 집터에서 발굴된 점, 그에 반해 그 수량이 매우 적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는 발해 지역에서 호무스를 사용한 소그드인은 발해와의 교역을 위해 일정 기간 발해에 거주했고, 이때 소그드인들이 발해 지역에 호무스를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 호무스는 소그드인들의 먼 여행길의 두려움과 향수를 달래 주는 역할을 하는 물건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관련 기록과 자료가 너무 부족해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논증하지 못하고, 많은 부분이 추정으로 구성된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origin and utilization of homus excavated in Balhae region. In the process of excavating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Balhae ruins, Homus's discovery has already been mentioned constantly in the media and academia. It shows Homus itself is drawing attention as a relic with major clues that show that there has been appreciably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Central Asia. However, many people in Korea still do not know what homus is, and they only have a superficial knowledge of why it is a clue to the exchange between West and Eurasia. The musical instrument relics in question are well-known enough for decades to be distributed from West Station to Eurasia and Balhae;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views on their names and origins. In addition, there is not only a lack of reference but there is also a lack of official archives when exploring homus in search of cultural heritage. In Europe, most people know about Homus and they quite easily access its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why are there few cases in Korea about the excavating of homuses and most people are not aware of its existence? In respons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omus to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and further clarify the significance of Homus as Balhae ruins. However, This study realized the situation that it is not able to find with general historical or archaeological data that explored Homus. In response, it identified the name and distribution of homus through the European and Asian Korean papers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and confirmed the type and utilization of homus. It also scrutinized in which countries, for what purposes and when it was utilized. Based on these, the status, characteristics, route and use of homus in Balhae region were reviewed, also the historical significance was inferred. The main conclusions exp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reduce the confusion of research on homus in the future, I proposed changing the name 'Bargan', which is widely used in Korean academia, to 'Homus'. It is since Homus is the most commonly used name among other academia. The title of this study, not Bargan, but Homus, also stems from this reason. Second, in this study, homus is the meaningful part of the culture of northern nomads, and the road through which it spread and reached Balhae was also mainly through Northern nomads. The rationale for this claim is that the first homus found in Europe was in Uppsala, Sweden, northern Europe, and the protagonist and background of the legend related to homus, such as bears and forests, are related to Northern nomads. Third, Homus was a religious item that helped overcome hardships by its function as an instrument, and it is also related to ancestral rites. Based on these, it revealed the main contents of Homus-related legends and the use of Homus in Yakutia and Central Asia. Fourth, homus from the Balhae area is similar in shape to homus used by nomads, and the homus excavation area is not a capital area of Balhae but an outer area of the north. It indicates that the Homus of Balhae did not enter through China (Dang) nor spread neither, but reached the Balhae area through the path of Dambi. Fifth, more detailed circumstances added to the assumption that the group that spread and utilized homus to Balhae through Dambi's path was the Sogd group. It took into account that Homus was excavated from the site of the house, while the quantity was inconsiderable. This study finally assumes that the Sogdians left homus in Balhae as, at that time, they lived there for a while for trading purposes with the local people of Balhae. Additionally, it regards homus as a soothing object for the Sogd people's fears and nostalgia of a long journey. Despite this study's academic effort, this paper reveals that the lack of related records and data is too insufficient to argue based on accurate evidence moreover its many parts are still particularly limited in that they consist of estimation.

      • 조선시대 傳令 文書 연구

        박경수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evaluated the Jeonryeong(傳令) issued as a document in Chosun Dynasty from paleographical aspect. The order was closely related to a military camp. Therefore, it had various issuers, including a king, provincial governors, and mayors. Moreover, local governors used it as an administrative document. They issued it and send it to Imjang(任掌) at local towns in the form of direction, appointment, or notification. Imjang delivered the order to local citizens. When a governor announced to citizens, the notice followed the form of order or Bang(榜). Bang resembled the one, published at Chu Hsi(朱熹)’s Namkang(南康) during Song Dynasty. A governor composed a Chasabaeja(差使牌子) to send Chasa(差使) to chase and arrest criminals. When a governor appointed officers, he issued a baeja(牌子), a chajup(差帖), and an order to appoint a government officer, local officer, and a military personnel, respectively. Common administrative orders were mainly related to tax collection, lawsuits about locating tombs to others’ land, digging corpse out, and keeping people out, and chasing and arresting criminals. Therefore, an order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documents to realize the administrative, judicial, and military rights of governors. Currently, there are about actual 800 ord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nd Academy of Korean Studies Library store most of them. In addition to actual orders, there are many others in the form of registration with containing only their contents. This study was valuable because it investigated the nature and contents of order documents, which had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earnest.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문서로 발급한 傳令을 문서학적으로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전령은 軍營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그래서 발급자가 군권을 가진 국왕, 관찰사, 수령까지 다양하였다. 그리고 외방의 수령은 행정문서로 사용하여, 面里의 任掌에게 지시, 임명, 고시라는 형태로 발급하여 백성들에게 전하게 하였다. 수령이 백성들을 曉諭하는 것은 송나라 시대 朱熹의 南康에서 발급한 榜을 본따서 전령이나 방의 형태로 하였다. 수령이 민인을 추착하기 위해 차사를 보내는 것은 差使牌子로 작성하였다. 수령이 관하의 직원을 임명하는 것에 관아의 관속은 牌子로 하고, 향촌의 임장은 差帖으로 하고, 군직과 관련해서는 전령으로 발급하였다. 일반적인 행정지시의 전령은 세금을 督捧하는 것과 산송과 관련하여 偸塚 督掘과 勿侵 지시, 民人 推捉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령은 수령의 행정, 사법, 군사권를 실현하는 문서 중에 하나로 볼 수 있겠다. 하달하는 행정문서는 關, 帖, 甘結, 전령, 牌子가 있다. 이들은 행정문서로서 그 내용이 유사하여 아직까지 서로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였다. 여러 사료들을 살펴보면, 관과 첩은 정부의 공식적인 행정절차를 밝는 문서로 보인다. 반면 감결은 중앙정부에서는 낭청이 발급하고, 외방에서는 주로 관찰사가 고을수령에게 보내는 문서이다. 간혹 수령이 전령처럼 고을 임장에게 발급하기도 한다. 이는 속사에 보내는 문서로서, 간소한 행정절차속에 빠른 집행을 할 수 있다는 특색을 가진다. 배자는 尊者가 賤者에게 보내는 문서로서, 중앙정부의 당상이 하속의 천한 사람에게 발급하거나, 수령이 관속들에게 주거나, 일반 양반이 노비에게 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관과 첩을 제외한 감결, 배자, 전령은 공식적인 행정절차가 아닌 편의적으로 발급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 하체는 임명, 지시, 標信이라는 측면에서 전령과 용도가 유사하다. 이 둘간에 분명한 구분이 아직까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단지 뚜렷한 점은 우선 수취인이 幼學의 신분이냐 아니냐로 나누어볼 수 있겠다. 그러나 수령이 신분이나, 문서의 편의적인 사용이라는 측면도 감안해서 더 살펴봐야 할 문제로 보인다. 현존하는 전령의 실물문서는 800여건 정도로,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많은 수를 관장하고 있다. 실물전령 외에 그 내용만 기록한 등록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도 많이 있다. 본 논문은 그 동안 규명하지 못하고 있던 전령의 성격과 내용에 대해, 본격적으로 시도한 연구물이라는 점에 의의를 두겠다.

      • 조선시대 儀禮 班次圖 연구

        제송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34287

        The present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n printed illustrations (banchado) produced during the performance of state rituals in the Joseon period. These prints, similar to processions paintings, are illustrations of a ritual parade, where government officials, the royal guard, the ceremonial implements and palanquins, mobilized for the event, are represented in strict accordance to their position in the procession ranks. 176 of them are presently extant in the form of royal protocols (Uigwe) and 30 ― as separate scrolls. The present form of pictorial banchado developed from an earlier version, where the elements of the procession were only denoted with Chinese characters (字圖, word-pictures) while pictures of human figures and palanquins, accompanied with small word designations, were later added. These printed illustrations, or Robudo (鹵簿圖, Illustrations of the Royal Guard of Honor), called to enhance the dignity of the state rituals, are visual materials unique to the Joseon Dynasty. They are assumed to have been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Hyungnye (凶禮, Sorrowful rit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in order to clearly grasp the general picture of the procession for better arrangement, and to have spread later to other state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every time when a state rite was performed, a temporary office called Dogam (都監) was established, with the task to plan and carry out the ritual. After the end of the ceremony, the Dogam recorded the whole process in Uigwe (儀軌, Royal protocols). Before the ritual, based on its status and scale, the Dogam produced two printed illustrations containing notes on the rite from the Yejo (禮曹, Ministry of Rites), a list with the nam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called to participate, and guidelines for the royal guard from the Byeongjo (兵曹, Ministry of War). The first print was presented to the king for approval (內入班次圖) while the second print was kept in the Dogam and used as guidelines for the procession alignment (都監班次圖). The print for the Uigwe was made after the end of the ritual, when all the materials were gathered and the royal protocol was compiled. It contained also a replica of the first print given to the king. The banchado for the royal protocol was not a pictorial representation of the actual scene of the procession, but a reproduction of the print produced before the ritual. The composition of the processions in banchado differs, depending on the rite. The illustrated protocols of state funerals show the procession to the mountain tomb with palanquins containing the spirit tablet (魂帛), the coffin (梓宮), ceremonial objects (冊寶類) and burial objects (副葬品) enshrined before in the Spirit-tablet Hall (殯殿). The illustration produced during the Bumyo ritual (祔廟, Enshrinement in Jongmyo) shows the procession bringing the memorial tablets and the ceremonial objects from the Spirit Hall (honjeon) into the Jongmyo royal shrine after the Damje (禫祭, a ceremonial offering on the 27th month after a state funeral). When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 was changed, a procession similar to the funeral cortege was also organized but instead of a spirit tablet, a drawing of the tablet on paper was placed into the palanquins. The banchado produced during Garye (嘉禮, Felicitous Rites) shows the procession of the bride from her temporary residence, the Byeolgung (別宮), to the palace, for the Dongnoe-yeon (同牢宴, the banquet for the royal couple’s formal wedding vow). After the wedding ceremony of King Yeongjo (1724-1776) and Queen Jeongsun in 1759, the rite of Chinyeong (親迎) was adopted, when the king personally inducted his bride into the palace, which found its place in the royal protocol illustrations as well (親迎擧動班次圖). The illustrated prints related to the investiture ceremony (Chaegnye, 冊禮) show the procession bringing to the palace the royal attributes ― the order for investiture by the king, the seal and the royal books, as well as the palanquin and the ceremonial implements of the crown-prince. The banchado produced during the rituals of worship and posthumous veneration represent the procession of taking the jade book and the golden seal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the deceased king into the palace, or to the place where his body or memorial tablet was enshrined (the palace or the Jongmyo shrine). The composition of these printed illustrations consists of three layers. In the central row are depicted important ceremonial implements, such as parasols and fans on long bamboo poles, palanquins with the royal regalia, such as jade books, the seal, or with the royal coffin. In the upper and lower row are situated other members of the procession ― ushers, eunuchs, holders of ceremonial implements. The figures in the central row are represented facing frontward, from the back, as if lying flat on the picture plane, while the palanquins are shown from a side view, or as three-dimensional objects. The ceremonial implements holders and the royal guard from the upper and lower rows are depicted facing the central row. Such specific way of portrayal was typical for the visual interpretation of the actual processions which centered on the middle row, with the royal guard and implement holders, arranged on both sides. The extant Uigwe banchado (illustrations included in royal protocol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procession arrangement and the formal expression. First, the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until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in the early 18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banchado of the main state rituals were designed and produced. Banchado produced during the time of King Sunjo (1567-1608) and Gwanghegun (1608-1623) were simple and centered on rituals of worship and the reception of envoys from Ming China. From the time of King Injo (1623-1649) illustrated prints were produced during all important events ― auspicious ceremonies, investiture rituals or sorrowful rites, such as state funerals, tomb processions and enshrinement of memorial tablets in the Jongmyo shrine. The prints from that time are concise, the royal guard being depicted in single file, while the rows with the officials in charge of the ceremony and the officials with temporal duties were omitted. In addition, illustrations of royal funerary processions or enshrinement in the Jongmyo shrine did not exhibit the Gomyeong (a document approving the king’s enthronement), received from Qing China. They show the modified form of the ritual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The printed illustrations take an unregulated and simplified form until the mid-17th century. With the funeral ceremony of King Hyojong (1649-1659) in 1659, the picture plane obtained clear arrangement, the expression became formalized and the three-tier composition was fixate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greatly improved by the ingakchaesaekbeop (woodcarving and painting) technique introduced at that time, where the images were carved and printed, while the headgear of the officials and the implements were painted. This technique, introduced during the enshrinement ritual of King Hyojong in the Jongmyo shrine, continued into the late 17th century and developed, so that the figures of the men, the horses, the palanquins and the palanquin bearers were carved simultaneously. All figures in procession illustrations from this period were only outlined while their movements and facial features were not depicted. The palanquins in the central row were represented in quadrangle cross section with their shafts drawn in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similar to the character 井. Т he palanquin bearers were depicted in specific flat two-dimensional composition around this 井 structure ― the front figures i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figures piled up on the top. At the same time, while the Uigwe made especially for the king (御覽用儀軌) followed the composition and the spatial structure typical for the illustrations of the time, it was produced only by minutely copying and coloring the shapes by hand, without applying the woodcarving and painting technique. Second,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rule of the kings Yeongjo and Jeongjo (1776-1880),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state ritual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 power, banchado became more actively utilized. This was the time, when newly composed illustrations of the rituals of reverence and worship, the enshrinement of the portrait of the deceased king or carrying of his memorial tablet from the Jongmyo shrine started to appear, and the processions of the ruling king were first depicted as protocol illustrations. The stay of the king at the Hwaseong fortress during his journey in 1795 (華城園幸) was also designed as independent procession painting. Illustrations of the rituals considered especially important by the king were made for the us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or were standardized as Buna banchado (分兒 班次圖, Authorized Banchado for a training manual) and actively used in the procession arrangement. Thus, the illustrations of this period functioned as a means to exert the king’s authority regarding important ceremonies, enhanced the solemnity of state rituals and contribut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king’s power. In the 18th century, banchado shows tendency towards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ion and clearly exposing the social rank of the participants. The royal guard standing abreast was modified to three cohorts’ formation while to each palanquin, an entourage with the official in charge of it, was attached. In terms of formal expression, while the multi-view three tier composition was maintained, a change is visible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entral row palanquins. In accord with the three-dimensional depiction of the palanquins, their shafts were arranged in parallel and diagonal lines and the bearers ― in diagonal disposition, which brought a more realistic sense of space in palanquin procession representation. Various advances in technique are noticeable, such as rendition of body movements, figures in three-quarter view and engraving of the sedan chairs and their bearers, the palanquins for the ancestral tablets (yoyeo) and for ritual items (chaeyeo) and their bearers, as three-dimensional solid objects. The 17th century trend of flatness of the central row palanquin images was replaced with more realistic sense of space in the 18th century, which demonstrates a change in the technique of the court painters. From the middle of the century this was applied to all royal protocol paintings. Third, in the 19th century, banchado reflected the weakening of the royal power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political heavyweights’ domination of the time. The form of banchado followed traditional patterns, while new compositions were not created. During the regency of the queen grandmother, who ruled instead of her young grandson, the outlines of banchado made for general distribution were replaced with woodblock prints and the Uigwe for the king was created by woodcarving and painting technique, showing a tendency to stereotyping. During the time of King Cheoljong (1849-1863) and King Gojong (1863-1907), with the intensification of the political heavyweights’ domination, the importance of banchado related to rituals of worship increased. A large number of soldiers were mobilized in the royal palanquin wedding procession. In order to raise the solemnity of the ceremony, the number of soldiers of the royal guard taking part in it was increased, especially in auspicious ceremonies. The representation of the royal guard in illustrations of auspicious ceremonies influenced those representing mourning processions of carrying the coffin, and brought about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banchado pages. Furthermore, the illustration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reflect the changes in auspicious state rituals at the time, such as the procession of the Palace matron (Sanggung, 尙宮) seated on a palanquin held by eight bearers, or the processions of the parents of the monarch during the wedding ceremony of King Gojong and Queen Myeongseong. In terms of expression, after the 1830s a certain formal improvement of completion degree is detectable. Figures became slightly larger, the facial features started to appear and the proportions became more accurate. Figures were shown from the back or from side view with different colors of the garment and different movements, depending on their role in the procession. Furthermore, every flag and ceremonial implement was engraved. The flags with funeral odes (manjang) and the soldiers holding them, the carts containing funeral aroma vessels (hyangjeongja), the palanquins for the memorial tablets (yoyeo) and ritual items (chaeyeo), the cart with the spirit tablet (sinyeon) and the empty royal cart (puryeon) with their bearers were engraved on one plate. The arrangement of the shafts of the palanquins and the bearers from the central row followed the diagonal- and parallel-lined composition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 proportions of the figures and the correlation of the objects became more natural. In this way, various movements were expressed and a more realistic and natural composition was achieved. Thus, compared to the 18th century, the 19th century banchado demonstrates a more refined expression mode. At the same time, banchado from the time of the kings Cheoljong and Goj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does not show attempts for introducing new models and followed the versions created in the previous century, which led to a noticeable decline in their quality. Nonetheless, amid the movement for strengthening of the king’s power in Gojong time, a series of king’s outings procession illustrations were created, such as Dongga-banchado (Royal Palanquin Procession), Gyeongjinhaenghaeng-banchado (Royal procession to Gyeongjin), Daehanjeguk-donggado (Royal procession of the Korean Empire), etc. They were produced with reference to royal journey paintings from the times of Jeongjo and expressed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royal family by recording such scenes as the processions of the royal family to the Jongmyo shrine for worship, or through emphasizing the raising military power in representations of the personal inspection of the army by the king. Fourth,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1898-1910), with the rise of the country’s status, the new ceremonial outfit of the royal guard and the new government and military system found their reflection in banchado. Great importance was attached to illustrations of the ceremony of proclamation of the empire, the state funeral of Empress Myeongseong, and the creation of portraits of the previous kings. In 1897, during the proclamation of the empire, the color of the ceremonial flags and palanquins was changed to yellow while imperial flags and a pongyeo (palanquin decorated with phoenixes) were arranged during the mourning procession with the coffin of Empress Myeongseong. After the royal banquet in 1901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Gojong, the new ceremonial implements of the empire such as triangle, round and square shaped ceremonial flags were arranged for the main members of the imperial court ― the emperor,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ss and the empress, but could not attain the level of an organized system. Although the attir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royal guard was changed into modern costumes and headgear, the engraving technique could not reach such level of plasticity and borrowed the forms coined in the previous century. After the abolishment of the Dohwaseo (The Bureau of Painting), charge of banchado took inexperienced painters, who did not have the capacity for new developments in the genre. The thirty banchado extant in the form of separate scrolls were mostly produced in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Korean empire and are thought to have been presented to the king before the ceremony, or used in the Dogam. Their procession arrangement is identical with the Uigwe illustrations. The details in banchado designed for the king were carefully rendered and colored, and demonstrate a high level of perfection.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haenghaengdo (行幸圖, illustrations of royal journeys) recording the actual processions of the king’s outings, was limited to the times of the kings Jeongjo and Gojong. 〔translation Nelly Russ〕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국가 의례 거행시에 제작된 반차도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반차도는 의식에 참여하는 관원과 시위군사, 각종 의장과 器物 및 가마류(輦轝)를 정해진 차례대로 圖示해 놓은 시각자료이다. 국가 의례에 禮貌와 威儀를 갖추기 위해 제작된 鹵簿圖로서 조선 전기 흉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제작되어 다른 의례로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글자를 字圖 형식으로 나열하다가 사람과 가마류를 그림으로 대체하여 시각성을 강화하고 옆에 글자를 작게 附記하여 현재의 모습과 같은 회화식 반차도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반차라는 유교적 질서를 중시한 조선에서 행렬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실무에 활용하기 위해 독특하게 발전시켜 간 시각자료였다. 의례 전담기구로 설립된 도감에서는 의식에 관한 예조의 儀註와 참여하는 집사관‧차비관의 명단, 시위에 관한 병조의 節目, 동원되는 의장 규모를 토대로 의식 전에 2건의 반차도를 제작하였다. 한 건은 국왕의 재가를 위해 내입하고, 다른 한 건은 도감에 두고 반차 정돈에 활용하였다. 의례가 끝난 뒤 관련 자료들을 모아 의궤로 成冊할 때 사전에 제작된 반차도를 복제하여 수록한 것이 의궤 반차도였다. 그러므로 의궤의 반차도는 실제 의례 행렬을 그린 기록화와는 성격이 다르다. 반차도의 행렬 구성은 의례마다 달랐다. 발인반차도는 殯殿에 모셔져 있던 혼백과 재궁, 冊寶類와 부장품 가마류를 산릉으로 배진해 가는 행렬을 그린 것이다. 부묘 의례의 반차도는 魂殿에 모시던 책보류와 神主를 禫祭 후 종묘로 봉안해 가는 神主詣宗廟 행렬을 그린 것이다. 遷陵時에는 발인반차도에 준하여 편성하되 신련 대신 종이에 신주를 쓴 지방련을 두었다. 가례 반차도는 별궁에서의 親迎禮 후 同牢宴을 위해 입궐하는 신부의 詣闕班次圖가 제작되다가 1759년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 때부터 친영 행렬이 더해졌다. 책례 반차도는 책례에 필요한 備物典冊인 교명‧책‧인, 왕세자의 연과 의장 등을 제작하여 대궐로 배진해 가는 행렬을 그린 것이다. 정조 연간부터 등장하는 존숭(추숭) 의례의 반차도는 존호(추상존호)의 책보를 제작하여 대궐로 내입하거나 존호를 올릴 대상자(혹은 신주)가 있는 곳으로 배진해 가는 행렬을 그린 것이다. 반차도의 표현 형식은 중앙 열에 陽繖과 靑扇 같은 중요 의장, 의례 주인공의 책보나 재궁을 봉안한 가마류, 담당 집사관을 배치하고, 上下 열에 의장기‧引路人‧내시 등 시위 관련 사항을 배치하는 삼단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앙 열의 인물은 後面觀으로 前方을 향해 엎어진 모습으로, 가마류는 側面觀의 단면 혹은 입체형으로 묘사되며 상하 열의 의장기 擔持軍과 시위군사들은 중앙 열을 향해 엎어진 측면관으로 묘사되었다. 삼단구성에 多視點으로 행렬을 묘사하는 방식은 중앙 열 좌우에 의장 및 시위 인원을 배치하는 실제 행렬을 반차도로 시각화할 때 취한 기본 형식이었다. 현전 의궤 반차도는 행렬 구성과 표현 형식에 따라 크게 네 시기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17세기부터 18세기 전반 경종 연간은 兩亂을 거치면서 기본 국가 전례와 관련한 반차도들이 제작된 시기이다. 선조와 광해군대에는 존숭 의례와 賓禮 관련 반차도가 제작되다가 인조대부터 국상‧부묘‧천릉 등 흉례, 가례‧책례 등 기본 전례를 행하면서 반차도가 제작되었다. 이 시기 반차도는 시위군사가 일렬횡대로 표현되고 집사관과 차비관 행렬이 생략되는 등 간략화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국왕의 발인반차도와 祔廟時 반차도에는 淸으로부터 받은 誥命을 배설하지 않아 明 멸망 후 對淸 관계 속에서 변화된 국가 의례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반차도는 17세기 중엽까지 간략한 필치로 자유롭게 묘사되다가 1659년 효종 발인 때부터 像을 유형화하고 삼단구성을 정연하게 갖추어 화면을 정돈하였다. 이어 印刻으로 상을 새겨 찍은 뒤 官帽나 持物을 補筆하고 채색하는, 반차도 특유의 印刻彩色法을 도입하여 제작력을 향상시켰다. 1661년 효종 부묘 때부터 도입된 인각채색법은 17세기 후반으로 가면서 인물과 말, 가마와 여사군을 일체형으로 새기는 방향으로 진전되어 나갔다. 이 시기 인물은 이목구비나 움직임이 묘사되지 않고 윤곽선 위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또한 중앙 열의 가마류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묘사하고 가마채를 ‘井’字처럼 수직 수평의 구도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여사군은 ‘井’자형 구도에 맞춰 앞쪽 인물은 앞에, 뒤쪽 인물을 그 위에 층층이 포개어 놓는 공간구성법을 취하여 이차원적 평면도와 같은 특징을 보인다. 한편 어람용 의궤 반차도는 구도와 공간구성법은 동시기 표현 경향을 따르면서 인각채색법을 쓰지 않고 세밀하게 필사하고 채색하여 완성하였다. 둘째, 18세기 영정조 연간은 禮制와 노부‧의장 제도의 정비와 함께 殿庭 및 擧動 관련 절차들이 대폭 정비되고 국가 의례에서 반차도의 활용 영역이 크게 확장된 시기이다. 기본 전례 외에 선대왕의 御眞 봉안, 종묘의 신주 移安, 존숭 의례에서 반차도가 새로이 제작되었으며, 살아 있는 국왕의 행렬이 반차도로 시각화되기 시작하여 1795년 화성 원행을 계기로 독자적인 행렬도로 발전하였다. 또한 국왕이 중시한 의례에서 실무관원용으로 分兒班次圖를 정식화하여 행렬 정돈에 활용하였다. 그리하여 이 시기 반차도는 의례에 대한 국왕의 통제권을 행사하는 수단으로 기능하여 국가 의례에 예모와 위의를 더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18세기 반차도는 행렬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반차를 분명히 드러내는 경향을 보인다. 일렬 횡대로 늘어서던 시위군사 표현에 3隊로 作隊한 군의 편제 모습이 반영되고 각 가마마다 배진하는 집사관과 차비관의 행렬을 圖示하였다. 또한 의장기의 대‧중‧소 크기에 따라 담지군의 숫자를 달리 표현하지 않고 1인으로 통일하였다. 표현 형식 면에서는 다시점의 삼단구성을 유지하면서 중앙 열의 가마를 입체형으로 묘사하고 평행사선구도의 가마채 배치, 사선식 여사군 포치를 통해 사실적인 공간감을 드러내었다. 인각은 동세가 가미된 상, 3/4분면상 등이 제작되고 輦과 여사군, 腰轝‧彩轝와 여사군의 일체형 인각을 활용하는 등 기법상의 진전도 보였다. 중앙 열 가마 묘사에서 보이는 사실적인 공간감은 17세기 의궤 반차도의 평면적인 표현 경향 과는 다른 18세기적 특징으로, 화원들의 표현 경향의 변화를 보여 주며 중엽부터 전체 의궤 반차도에 적용되었다. 셋째, 19세기는 새로운 의례에서 반차도가 제작되지 않고 기존의 반차도 형식을 답습하는 경향을 보인다. 19세기 초부터 분상용 의궤 반차도의 윤곽선이 木版 版廓으로 대체되었고 어람용 의궤도 인각채색법으로 제작되어 제작의 상투화 양상을 보인다. 철종과 고종대에는 세도 정치의 심화와 함께 존숭 의례의 반차도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국왕의 친영 행렬에 대규모 군병을 동원하여 왕실과 왕권의 위엄을 드러냄에 따라 반차도에서 시위군사의 면수가 크게 늘었다. 가례 반차도의 시위군 표현은 발인반차도에도 영향을 주어 면수 증대를 가져왔다. 또한 후반으로 가면서 팔인교를 탄 상궁 행렬, 고종 가례에 참여한 국왕의 생부 생모 행렬 등 변화된 의례의 모습이 반차도에 반영되었다. 표현 면에서는 1830년대 들어 인물이 약간씩 커지면서 이목구비가 묘사되고 비례가 적정해 지는 등 조형적 완성도가 높아지고 한층 세련된 상들이 제작되었다. 인물들의 복장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들고 있는 지물이나 동작도 보다 합리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각종 깃발과 의장물을 인각으로 제작하고 만장과 만장군, 향정자, 요여‧채여, 신련‧부련 등을 여사군과 함께 일체형으로 인각하였다. 중앙 열의 가마채와 여사군을 포치하는 방식은 18세기 중엽 이래의 평행사선식 구도를 따르면서 포치하는 인물상의 신체 비례나 사물간의 비례가 적정하고 여러 동작들을 포괄한 일체형 인각을 통해 좀더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화면이 구성되었다. 이것이 18세기 반차도에 비해 세련된 19세기적 표현 경향이다. 한편 19세기 후반 철종~고종대의 의궤 반차도에서는 새로운 조형이 시도되지 않고 前代의 조형을 답습하여 반차도의 수준이 현저히 하락하였다. 그러한 와중에도 고종대 왕권 강화 움직임과 함께 〈경진행행반차도〉 〈동가반차도〉 〈대한제국동가도〉 등 일련의 행행도들이 제작되었다. 이 행행도들은 정조대의 원행 관련 행렬도를 참조하여 閱武를 통한 兵權 강화 모습, 왕과 왕세자와 왕후가 함께 종묘에 전알하러 가는 행렬을 기록함으로써 왕권과 왕실의 盛勢를 드러내려 하였다. 넷째, 대한제국기는 황제국으로 국격이 바뀌면서 새로운 의장과 軍制 및 官制가 반차도에 반영되었다. 의례 면에서는 황제국 선포와 관련한 대례, 명성황후 국장, 선대 황제들의 어진 제작과 관련한 반차도에 큰 비중이 두어졌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 당시에는 기존의 의장과 가마의 색깔을 황색으로 바꾸어 사용하였고 명성황후 발인시에 황후의 의장과 鳳輿 등을 마련하였다. 삼각형‧원형‧방형으로 된 대한제국의 새 의장은 1901년 고종 탄생 50주년 기념 진연 이후 황제‧황태자‧황태자비‧황비 등 주요 황실 성원을 중심으로 정비되었을 뿐 전반적인 제도적 정비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하였다. 한편 관원 및 시위군의 복색은 모두 근대식 바지와 상의, 모자 차림으로 바뀌었으나 인각의 조형 수준은 그다지 높지 못하며 그 외에는 대부분 前代의 조형을 차용하였다. 도화서 해체 이후 경험 없는 화원들이 제작을 담당하면서 조형적인 발전을 꾀할 여력이 없었던 사정을 보여 준다. 한편 두루마리로 전하는 30건의 독립 반차도 중 행행도와 대한제국기 명성황후 국장 및 순종 가례시의 반차도 4건을 제외한 20여건의 반차도는 사전에 제작된 반차도들이다. 이 반차도들은 의궤 반차도와 행렬 구성이 동일하고 세로 폭을 넓게 활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어람 반차도에서는 세부 묘사와 채색을 정밀하게 하여 완성도를 높인 것이 확인된다. 도감 반차도로 추정되는 것은 행렬이 분리되어 일부만 전하거나 명칭 표기가 없는 등 불완전한 형태로 전한다.

      • 門中古文書 디지털 아카이브 구현 연구

        김하영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looked at the historical document and knowledge information approaches and utilization plans in order to enhance the use of digitalized historical document materials and accelerate th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association of various konwledge elements. The ‘historical document,’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data investigated and collected from the families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for about thirty years by Jangseogak (藏書閣) Archiv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s the lives of kinsfolk are recorded in these documents, members of the kinsfolk are the subject in producing the documents and also has status as the object. In the first place, I analyzed th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ical Document Center(韓國學資料센터)’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is our representative digital archive of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present new approaches to historical document studies that might be used to reach the truth of the life of kinsfolk by unfold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document more clearly. Based on this, this study set individual kinsfolk as unit of service model for presenting the correlation between members of kinsfolk and historical document data. For the purpose of studey, I chose ‘Bunjaegi(Property Records or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 which is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of pedigree among various genres of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 kinsfolk as primary data of this study. An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t the historical document from the 'Ocheon family'(烏川家) of ‘Gwangsan Kim Clan'(光山金氏) which occupied the most in Bunjaegi documents. I made an intensive analysis of 27 documents from Kim Mu(金務) to Kim Gwanggye(金光繼), grandson of Kim Hyoro(金孝盧) - eight generations - and drew database design plans for linking the information of members of kinsfolk with historical documents. As a result, the ontology consisted of six classes such as person, official institutes, historical document, inheritance, slave, and land -content factors appearing in historical document. And as semantic elements that are the connecting nodes of semantic relation network, five node data - person, official institutes, historical document, inheritance, and slave, - were set and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individual nodes, for example, between persons, between documents, and between slaves was expressed with previously defined rela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 between document-person, between person-inheritance, between inheritance-document, between slave-inheritance, and between slave-person were also defined depending on the rule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appropriate database for implementing semantic web. And then,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s, relation network database was implemented using the graph database management software (Neo4j). The visualization data presented as a result of a series of the database compilation suggests that the knowledge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can be linked and expanded, revealing new meaning in the data relation network without limiting to media in which it was originally contained. 이 연구는 문중 소장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발전적인 모델을 보이기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고문서의 디지털 사본을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고문서의 외형을 보일 뿐 아니라, 그 내용을 분석하고 새로운 지식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 정보 아카이브의 실험적인 모델이다. 연구의 대상자료인 ‘고문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이 30여 년에 걸쳐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 門中으로부터 조사·수집해 온 자료들로, 고문서 안에 문중의 삶이 기록되는 과정에서 문중 구성원들은 고문서 생산의 주체이자 객체의 지위를 갖게 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고문서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문중의 삶의 실체에 도달할 수 있는 고문서 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먼저 대표적인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고문서자료관’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료로는 다양한 장르의 문중 고문서 중에서도 가장 밀도 있게 가계(家系)의 인적 정보와 결부되어 있는 문서인 ‘분재기류’를 선정였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문중 고문서 가운데 분재기류의 비중이 큰 ‘광산 김씨 오천가’의 고문서와 그 문중 가계 정보의 기록인 ‘光山金氏族譜’를 연구 대상으로 하되, 분재기류 문서 중 김무(金務)로부터 김효로의 손자 김광계(金光繼)대까지 8대에 걸친 27편의 문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문중 구성원의 가계 정보와 고문서의 연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인물, 관부, 문서, 재산, 노비, 토지로 구분된 6개의 클래스(Class)와 그 클래스에 속하는 개체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할 수 있는 관계(Relation) 서술어, 개별 개체의 성격을 보이기 위한 데이터 속성(Attribute), 관계성의 성격을 보충해서 설명하는 데 필요한 관계 속성(Relation Attribute) 등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설계된 문중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톨로지에 따라 광산 김씨 오천가 고문서와 족보의 내용을 디지털 지식 정보 데이터로 편찬하고, 이를 통해 이 데이터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문중 고문서 온톨로지는 광산 김씨 오천가 문중 고문서뿐 아니라 유사한 성격의 문중 고문서를 정보화 할 때에도 데이터 모델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계화된 데이터는 시각화 기능을 지원하는 소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로 전환될 수 있고, 그러한 방법으로 데이터 관계망 속에 담긴 의미를 더욱 용이하게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고문서를 중심으로 전통시대 문화 연구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