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윤용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시간관리행동의 실태를 알아보고 이들의 시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를 밝히며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함으로써 대학생의 시간관리능력을 키우고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 인구학적 변수 및기타 생활을 측정하는 47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 438명에게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연구목적에따라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분류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통신대학생의 시간관리 수준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시간관리하위영역 중 목표세우기를 가장 잘하고 수행을 가장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송대학생의 시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종교, 월평균 개인소득, 월평균 가계소득이고 성별, 연령, 결혼형태, 직업유형은 시간관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시간관리 교육경험과 시간관리 독서경험은 시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셋째, 시간관리는 생활만족도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영역 및 생활만족도 전체와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는 지식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다양한 역할 증가로 많은 사람들이 직업과 가정생활 또는 학업생활을 가치 있게 보내기 위해 시간관리의 기술을 필요로할 것이다. 특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성인으로서 방송대학생들이 성공적인학업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관리가 중요하다. 시간관리 교육이나 독서 경험이있는 경우 시간관리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시간관리에 대한 교육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 및 본 연구의 제한점에 근거하여 후속연구와 시간관리교육 및 교재ㆍ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In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is emphasized due to the rise of the value of time resources. Especially the time management skills are more needed for student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KNOU) who have many roles. On this research I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ir behavior for time management and then verified the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 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ffering the source material devising the ways which develop the capacity of students's time management an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438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ere questio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47 questions, which measure time management, life satisfaction, the socio-economic variables of subjects etc. Data was analysed by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rson's correlation. All the analyses were done by SPSS PC+ Program 11.5 v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KNOU students' level of time management is 3.19 from 1 to 5 range scale Students were good at setting up goals(3.38) but poor at implementing plans(3.15). 2. The variables affecting time management of KNOU students are individual income, family income, the learning experiences in time management and reading time management related books. Gender, age, marriage and occupation, however, didn't affect the time management of students. 3.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had a little positive strong relation. In these society many KNOU students are suffering from time lacks for their balance among their occupational, family and study life. The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re needed. Some proposals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developing educational textbooks and program for time management were given.

      • 병설유치원 종일반 에듀케어강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옥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병설유치원 종일반 에듀케어 강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병설유치원 에듀케어 강사의 직무만족도 증진과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에듀케어 강사의 직무전반, 근무환경 및 후생복지, 보수와 승진의 기회, 정규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에듀케어 강사의 직무만족도는 개인적 변인(연령, 결혼여부, 경력, 전공여부, 학력, 보유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에듀케어 강사의 직무만족도는 환경적 변인(유아의 연령, 원아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상남도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에듀케어 강사 185명을 대상으로 하여 Paula Jorde-Bloom(1988)의 구성요인만을 송유진(1993)이 번안한 질문지를 보고 최은희(1997)가 제작한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를 본 연구의 내용과 관련된 문항을 선별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자를 구하고 하위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t-test 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케어 강사의 전체적인 직무만족도 경향을 살펴 본 결과 5개의 하위요인 중 직무전반에 관한 평균 만족도가 5점 만점에 4.04로 가장 높았으며, 학부모와의 관계 만족도는 3.77, 정규교사와의 관계 만족도는 3.43, 근무환경 및 후생복지의 만족도는 3.29, 보수와 승진에서만 2.65로 다소 만족하지 못하고 나머지 4개의 하위영역에선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듀케어 강사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직무전반에서 25~30세, 41세 이상, 보수와 승진의 기회에서는 25세~30세,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41세 이상의 강사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에듀케어 강사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직무전반에서 7년 이상과 5년~ 7년 미만, 근무환경과 복지에서 5~7년 미만의 강사, 보수와 승진의 기회에서 7년 이상의 강사, 교사와의 관계에서 5~7년 미만 강사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5년~7년 미만경력의 강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에듀케어 강사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정규교사와의 관계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대학원 학력의 강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애듀케어 강사 보유자격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직무전반, 근무환경과 후생복지, 정규교사와의 관계에서 유치원정교사 1급과 유치원정교사2급의 자격증 소지자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나,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보육교사 1급이 만족도가 높았다. 여섯째, 에듀케어 강사 결혼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직무전반과 학부모와의 관계에선 미혼자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보수와 승진의 기회, 정규교사와의 관계, 근무환경과 후생복지에선 기혼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일곱째, 담당원아 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근무환경과 후생복지, 보수와 승진의 기회, 정규교사와의 관계에서 11명~20명의 원아를 담당하고 있는 강사가 21명 이상의 원아를 담당하는 강사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담당유아의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직무전반에 3세 유아를 담당하는 강사, 근무환경과 후생복지에서는 만4세를 담당하는 강사, 보수와 승진의 기회에선 만3세를 담당하는 강사, 학부모와의 관계에선 3,4,5세 혼합반 담당강사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에듀케어 강사의 1일 4시간 근무시간 비례 보수수준이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대체로 만족한 것에 기인되며, 비교적 젊은 연령층의 미혼인 강사의 경우 자신의 보수로 생활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고, 짧은 근무시간을 이용해 자기개발을 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이며, 비교적 고령의 강사의 경우는 자신의 체력 여건으로 1일 4시간 짧은 근무시간을 선호하는 것에서 기인된다. 만족하지 못한 결과는 중간연령의 강사들의 경우, 자녀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이 큰 연령대로 자신의 보수에 불만족한 것으로 보이며, 교육경력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서조항과 종일반 전담 정규교사가 임용 배치 될 경우 해고될 수 있다는 단서조항으로 인해 발전할 수 있는 기회 제한과 고용불안에서 기인된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how edu-care teacher of all day class attached with kindergarten satisfies his or her work, an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hat contributes job satisfaction and ensur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the clarification of variables that affect to job satisfac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set-up. First, how is job satisfaction of edu-care teacher about job environments such as overall work, environment, welfare, income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relationship with regular teacher and parent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 in edu-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age, marriage, experience, major, academic career, and the qualification of teaching? Third, job satisfaction of edu-care teacher have difference by environmental causes such as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this study, subjects are 185 edu-care teachers who work in all-day class attached with kindergarten in Kyung-sang-nam-do subjects, With this process, measuring tool for job satisfaction by Eun hee, Choi (1997) is also used. From these materials, questions related with this study is selected and supplemen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bout collected data are calculated, and t-test and Anova with SPSS 18.0 are performing to know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n each category and differences in subordinate variables. Following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when we look at the trend of overall job satisfaction about edu-care teacher, average satisfaction about overall work from 5 subordinate causes 4.04 out of 5, which is highest score. Satisfaction about relationship with parents is 3.77, and satisfaction about relationship with regular teacher is 3.43. Satisfaction about environment and welfare is 3.29, but Edu-care teachers are not satisfied in income and promotion as they rate 2.65. They satisfy in other 4 subordinate categories. Secon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age shows that 25 to 30 years old and over 41 years old have high satisfaction in overall work, and age 25 to 30 has high satisfaction in the income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age over 41 has high satisfaction. Thir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experience shows that teacher with experience over 7 years and teacher with experience below 5 to 7 years have high satisfaction in overall work, and teacher with experience below 5 to 7 years has high satisfaction in environment and welfare. Teacher with experience over 7 years has high satisfaction in the income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and teacher with experience below 5 to 7 years have high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regular teacher. However, teacher with experience below 5 to 7 years has the lowest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Forth,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academic career shows that teacher with master's degree has high job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regular teacher and parents. Fifth,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qualification of teaching shows that the first degree and second degree of licence of regular kindergarten teaching have high satisfaction in several categories such as overall work. environment, welfare, and relationship with regular teacher. The first degree of child-care teaching has high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Sixth,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marriage shows that unmarried person has high satisfaction in overall work 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but married person has high satisfaction in the income, opportunity of promotion, relationship with regular teacher, environment, and welfare. Seventh,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the number of children shows that teacher who takes care of 11 to 20 children shows more satisfaction than that of teacher who takes care of over 21 children. Eighth,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y the age of child shows that teacher who takes care of age 3 has high satisfaction in overall work, and teacher who takes care of age 4 has high satisfaction in environment and welfare. Teacher who takes care of age 3 has high satisfaction in the income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and teacher who takes care of age 3, 4, and 5 has high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s result shows that edu-care teachers satisfy with their income level proportional to the working 4 hour in one day, and they think it is better than the condition of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 Young aged and unmarried teacher does not feel any difficulty to live with his or her income, and teachers largely satisfy because they can develop themselves with the use of short working hours. Old aged teacher satisfies with 4 hours in one day because of his or her body condition. About the dissatisfied result, Middle aged teacher does not satisfy with his or her income because of economic pressure such as education fees of child, and the restriction of opportunity and anxiety of employment by the clause in the contract that contains disapproval of experience and dismissal when regular teacher of all day class is arranged in appointment makes dissatisfaction.

      • 원격대학원의 비동시적 상호작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들로 구성된 원격대학원의 게시판을 통한 비동시적 상호작용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원격대학원의 게시판은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 2. 원격대학원 성인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1) 성인학습자들은 게시판의 초기 참여에 어떠한 유형을 나타내는가? 2) 상호작용을 통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양상은 어떠한가? 3. 상호작용의 효과 및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1)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무엇을 얻는가? 2) 게시판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00% 사이버를 통해 강의가 진행되는 원격대학원의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04년 가을 학기 및 2005년 봄 학기동안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중의 일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원격대학원의 게시판은 크게 학사관리 게시판과 강의관련 게시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학사관리 게시판은 공지사항, 개인정보, 학사상담,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의관련 게시판은 Q&A 게시판, 과목 자료실, 토론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인학습자들의 게시판 초기 참여 유형에는 적극적 참여시도형, 주저형, 심사숙고형, 지각형의 학습자 유형이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양상에는 ‘정보 공유를 통한 학습’, ‘의견 교환을 통한 학습’, ‘공동 과제 수행을 통한 학습’이 있다. 또한 원격대학원의 성인학습자들은 게시판을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아성찰, 리더로의 변화,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의 향상 및 학습거부의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게시판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발견되었는데 학습자의 개인적 특징이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동료학습자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교수자의 영향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원격교육의 학습자들은 능동적으로 학습의 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결국 원격교육에서 게시판의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은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에 핵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전(全)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원격교육에서의 게시판을 통한 상호작용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관한 연구에 더욱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asynchronous interaction of distance graduate school. In Korea, there are 6 graduate schools operated on the web in experimenting of higher education whose students are adult learners.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as follows: 1. What is the construction of the board in cyber graduate school ? 2. What is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cyber interaction? 1) How do adult learners participate on the board at the early stage? 2) What do adult learners learn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3. What are the learning effects after the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on the board? 1) What do learners acquire through the interact? 2) What are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on the board? For this research, 104 graduated students who have studied at cyber graduate school were selected. The data of learn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fall semester in 2004 to spring semester in 2005. Thes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onstruction of the boards are divided into two parts: boards for administration and for lecturing. The administration like learning management was consisted of the boards for notice, individual information, learning counsel, community. The lecture board was consisted of a Q&A board, a lecture resource board, and a discussion board. In addition, the types of the adult learners' early participation on the board are a positive participation trial, hesitation, deliberation, and perception. The learning types of adult learners through interaction are learning by information share, learning by communication, and learning by common task performance. The adult learners acquire self-reflecti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therefore they are changed to be leaders. Moreover, the determining factors of participation on the board are revealed as individuals' character, other learners, and an instructor. In the result, the interaction on the board play an enormously important role in the adult learners' learning in the distance education and affected learners' all activities. Cyber learners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 learning process. Researches on the concrete strategies to improve interaction in the board of distance education should be followed with more interest.

      • EBS수능방송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서비스 요인 연구

        황성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EBS 수능방송 중 언어영역을 학습한 고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어떤 것들이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서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EBS 수능방송 학습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시스템 특성 중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시스템에 대한 편의성 만족도, 학습자 특성 중에서는 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도, 교수자 특성 중에서는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 및 여러 가지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6개교의 현재 고등학교 3학년생 중에서 EBS 수능방송을 활용하여 학습을 하는 학생을 범위로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0년 9월 1일부터 9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하게 답변된 509부이었다. 자료 분석에 사용한 도구는 사회과학 통계패키지인 SPSS 12.0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으로는 EBS 수능방송 시스템편의성 만족도, 학습내용 만족도, 지원서비스 만족도 및 상호작용 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둘째, 분석대상 응답자는 총 509명으로, 남학생이 54.2%, 여학생이 45.8%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거주지역은 특별시․광역시 및 시․도 지역 거주자가 72.5% 및 25.7%로 응답자의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EBS 수능방송을 시청하는 이유로는 수능과의 출제 연계가 70.9%, 학습자의 실력향상이 19.4%였으며, 1주일동안 EBS 수능방송을 이용하는 평균시간은 30분 이내가 37.5%, 2시간 이상이 27.3%, 30분~1시간 사이가 20.4%, 1시간~2시간 사이가 14.7%를 보였다. 셋째,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결과 시스템에 대한 편의성 만족도, 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등 총 4개의 독립변인은 모두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의 크기는 학습내용 만족도 > 지원서비스 만족도 > 상호작용 만족도 > 시스템편의성 만족도의 순서임으로 분석되었다. I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hird-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lectures on languages provided by EBSi. After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ies, I selected 4 factors; students' satisfaction of system convenience, students' satisfaction of system operator's support, students' satisfaction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r among the us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learning content.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I analyzed 509 replies sincerely responded to my survey which had been sent between 1st and 11th September 2010 to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nd also studied with EBSi. Of the 509 respondents, male students took 54.2%. In addition, 72.5% of the response lived in cities. The 70.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took EBSi lectures because the lectures were useful for getting high scores in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other 19.4%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EBSi lectures were helpful in improving their leaning. The EBSi lectures had been taken for 0.5 h per week by 37.5% respondents, 2.0 h by 27.3%, 0.5-1.0 h by 20.4%, and 1.0-2.0 h by 14.7%.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all of the 4 factors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sequence in their significance was students' satisfaction of learning content > students' satisfaction of interaction > students' satisfaction of system operator's support > students' satisfaction of system convenienc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a ba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aking EBSi lectures for the 3rd graded high school students.

      • 지능형 빌딩 시스템을 위한 가상화 시스템 통합의 설계 및 구현

        김오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A Intelligent building system is that operates a building automatically according to operation policy by setting the manager for living a pleasant and safe life to building residents by using system information of various unit system information comprising a building. A System integration used in intelligent building system must be able to integrate various protocols supporting a unit system comprising a building flexibly and stability. However, Server and interface loads appeared when it communicates with various protocols affect the whole system and reduce stability of the intelligent building system. In this paper, I propose the virtual system integr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The proposed system is divided into a interface management system and a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ing data information. A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operates the whole system integration using a unit system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interlocking information. An Interface management system manages interface module made to communicate with unit system and passes unit system information on to a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The whole structure of system is divided into integration management module, virtual management module, composition management module, and unit system management module. It is possible to compose interface module flexibly by using this proposed system and enhance stability of the intelligent building system by isolating errors and loads from interface. 지능형 빌딩 시스템은 빌딩을 구성하는 다양한 단위시스템 정보를 시스템 통합을 사용함으로써 빌딩 거주자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관리자가 설정한 운영방침에 의하여 자동으로 빌딩을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지능형 빌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통합은 빌딩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유연하고 안정되게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때 발생하는 서버 부하 및 인터페이스 통신 부하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지능형 빌딩 시스템의 안정성을 축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통합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상화를 사용한 시스템 통합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과 데이터 정보를 통합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단위시스템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연동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 통합을 운영한다.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은 단위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인터페이스 모듈을 관리하고 단위시스템 정보를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전달한다. 시스템 전체 구조는 통합 관리 모듈, 가상 관리 모듈, 구성 관리 모듈, 그리고 단위시스템 관리 모듈로 분리된다. 제안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인터페이스 모듈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부하를 격리화함으로써 지능형 빌딩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 한국의 개발협력정책 발전모델 연구 : ICT4D의 국제비교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배정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국은 2009년 OECD 개발협력위원회 가입을 전후로 ‘한국적 개발협력모델’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타 원조 공여국(供與國) 대비 질적 차원에서의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특히 1990년대 이후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ICT 기반의 국제개발협력, 즉 ICT4D에 주목하여 관련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원조 규모의 확대는 국가 규모 상 일정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은 타 공여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을 활용하여 질적 비교우위를 확보하여야 하나,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명확한 방안이 드러나 있지 않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주요 공여국들의 ICT4D 현황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상황과 비교해보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2000년대를 전후하여 진행된 ICT4D는 일반적으로 원조 공여국들의 주도로 이뤄졌다. 공여국들은 주로 인터넷에 대한 수원국(受援國) 주민들의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인터넷으로 인한 정보격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사업들을 진행했다. 그러나 Heeks(2009)는 이런 사업들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ICT4D에 대한 기본적 접근방식을 정보에 대한 접근성 향상에서 정보에 대한 활용성 향상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더불어 수원국의 상황에 보다 적합하고 효율적인 ICT4D 사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수원국 주민과 기업, 그리고 공여국 기업 및 개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대안적 ICT4D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영미를 비롯한 주요 선진 공여국들의 경우 Heeks가 주장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 점차 ICT4D 사업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과거의 핵심 사업이었던 정보접근센터 등 인프라 구축사업 규모는 축소되는 반면 개발도상국에 이미 널리 확산되어 있는 무선인프라를 활용하거나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대안적 프로젝트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원조 효율성 강화와 혁신적 아이디어 획득을 위해 원조기관들 스스로가 민간 기업과의 협력 및 웹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다른 행위자들과의 보다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말까지 한국의 ICT4D 원조기관들이 시행해 온 정책을 분석해보면 아직은 선진 공여국과 같은 변화의 움직임을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의 ICT4D 사업은 PC 및 유선 네트워크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접근센터 구축 및 개발도상국의 정부기관 인프라 구축이 여전히 주력이다. 또한 교육연수사업과 해외봉사단 사업 역시 단기 위주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내용 역시 전자정부 등 일부 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현재 한국의 ICT4D 정책은 수원국 내에서의 정보흐름 및 파급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수립되기 보다는 공여국 차원에서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역량 위주로 디자인되어 있다. 선진 공여국 및 한국의 ICT4D 정책 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의 ICT4D 모델은 신속한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 및 경제, 사회발전을 위해 휴대폰 등을 포함한 기존 개도국 인프라의 활용도를 높이고, 민간 기업과 개인 등 보다 다양한 행위자들을 ICT4D 사업에 참여시키는 형태로의 전환을 고려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첫째로는 기존의 인프라 구축 위주의 사업을 지양하고 수원국의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 사회적 발전을 시도하는 적정기술 위주의 프로젝트들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에 폭넓게 보급되어 있는 동시에 한국이 타 공여국들에 비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이동통신 산업 역량을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수원국의 빈곤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이 우선되어야 하는 만큼,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역적 전문성 향상 및 이를 통한 수원국 주민들의 주체적 참여 확대 역시 과제로 제시된다. 그리고 민간 기업 및 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기존의 ICT4D 사업에서는 한국 정부와 원조사업기관, 그리고 개발도상국 정부가 주요 행위자였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CT 분야에서의 역동성을 ICT4D에 접목하고 이를 수원국의 발전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국내 기업과 수원국 기업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기술이 자연스럽게 이전되고, ICT4D 분야에 관심을 갖는 개인들 역시 자신들의 역량을 통해 사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금보다 폭넓은 차원의 민관협력을 고민할 시점이다. South Korea is trying to secure comparative advantag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ield through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after joining OECD DAC in 2009. In accordance with those plan, Korea government is moving focus on ICT4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Development, with world-class competitiveness in ICT field. South Korea, however, still doesn't set a clear road-map to get the comparative advantages in quality of ICT4D, compared to other donor agencies to overcome short resources in relative.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d recent trend on ICT4D in other donor agencies and tried to compare it with the situation of ICT4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Heeks(2009), the new trend of ICT4D, so called ICT4D 2.0, is summarized as a donor country should consider but all flow of information and especially its application, not accessability to internet and telecenter construction for it. Private cooperations and Individuals also can be core participants in ICT4D 2.0 process, moreover, to provide a recipient countries with more effective aid. Most of donor countries, including U.S and U.K, are also getting to change their paradigm of ICT4D. They more and more prefer to launch alternative projects for enhancing capacity of corporations in recipient countries and try to mainstream ICT in other industries by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such as mobile broadband, TV and radio, rather than to build ICT infrastructures. Furthermore Aid agencies are trying to communicate with new tools such as world wide web and social network services. However, aid agencies in charge of ICT4D in South Korea, mainly KOICA or NIA, are still hesitate to catch up with the new trend. They are failed not only to use most developed mobile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 in effective, but also to cooperate with private ICT companies and social entrepreneurs that have potential resources in ICT4D development field. Consequently, South Korea needs to focus on ICT4D projects which use ICT as valuable tool to achieve goals such 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Alternative projects using appropriate technologies such as mobile phone in recipient countries should be increased. Training on mobile application programming can be a good example. It is also strongly recommended that improving institution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with ICT companies and social entrepreneurs who can contribute innovative idea.

      • 방송대 포상제활동지도자의 역량요인에 대한 분석

        박순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논 문 요 약 방송대 포상제활동지도자의 역량요인에 대한 분석 박 순 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청 소 년 교 육 학 과 (지도교수 김 영 인)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대 포상제활동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방송대 포상제활동 센터장, 팀장, 팀원의 공통역량요인과 고유역량요인이 무엇인가를 경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괄적인 연구문제는 “방송대 포상제활동지도자의 역량요인은 무엇인가?”이고 이를 구체화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대 포상제활동 센터장, 팀장, 팀원이 포상제 구성원으로서 지녀야 하는 공통역량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방송대 포상제활동 센터장, 팀장, 팀원 각각의 역할에 따른 고유역량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조사단계로 온라인 방식을 통해 개방형 행동사건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개방형 행동사건 조사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면대면의 방식을 통해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둘째, 제1차 델파이 조사도구는 응답영역에서 5점 척도를 활용하여 ‘매우 부적절’부터 ‘매우 적절’까지 설정하여 이를 평정하도록 하였으며, 문항과 역량군 및 역량요인에 대한 통합, 분리, 삭제 여부와 추가할 내용에 대한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제1차 델파이 조사는 방송대 시스템에 정통한 진흥원 포상제 담당자 4명, 방송대 포상제 감독관 2명, 3년 이상 경력의 방송대 포상제활동지도자 34명 등 전체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셋째, 제2차 델파이 조사도구는 제1차 조사결과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의 결과와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제시하고, 이에 다른 의견을 묻는 문항을 추가하였다. 제2차 델파이 조사 후 안정도 검증을 통해 조사의 충분성을 확인하고, 내용 타당도 비율(CVR)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역량은 다음과 같다. 제1⋅2차 델파이 분석결과 공통역량 영역의 핵심역량유형 안에는 ‘포상제 조직헌신’, ‘포상제 활동지도 전문성’, ‘활동지도자 도덕성’, ‘자기관리’ 등 4개의 역량군과 30개의 역량요인, 고유역량 영역의 센터장 관리역량유형 안에는 ‘센터 발전 능력’, ‘센터 관리능력’, ‘센터 구성원 육성’, ‘네트워크 능력’ 등 4개의 역량군과 16개의 역량요인, 센터장의 개인역량유형 안에는 ‘업무인지능력’, ‘영향력’, ‘센터장 역할 책임’ 등 3개의 역량군과 6개의 역량요인, 팀장의 관리역량유형 안에는 ‘팀 발전능력’, ‘팀 관리능력’, ‘탐험활동 실행 능력’ 등 3개의 역량군과 17개의 역량요인, 팀장의 개인역량유형 안에는 ‘유연성’, ‘사례지도’, ‘문제해결능력’, ‘팀장 역할 책임’ 등 4개의 역량군과 9개의 역량요인, 팀원의 개인역량유형 안에는 ‘청소년 지도능력’, ‘청소년과의 관계형성 능력’, ‘팀원 역할 책임’ 등 3개의 역량군과 11개의 역량요인에 대한 적절성 평균이 보통수준 이상인 3.0보다 높은 4.24이상으로 나타났고, 표준편차는 제1차 델파이 조사 평정 결과보다 대체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정 범위들이 좁혀져 합의점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안정도는 .5이하이면 반복되는 추가적인 설문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데 연구결과가 .192이하로 나타나 추가적인 설문이 필요 없다고 판단된다. 산출한 내용타당도 비율은 .697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내용타당도 비율이 최소 유효 값인 .33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어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된다. 주요어 : 방송대 포상제활동지도자, 공통역량, 고유역량

      • 사회적 지지와 가족체계 유형에 따른 다문화 가정과 일반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

        김영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가정유아와 다문화 가정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평소의 생활행동적응과 유아들이 보일 수 있는 내재화 문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유아의 긍정적인 심리적 관점을 바탕으로 유아들이 심리적 안녕감을 많이 느끼고 행복한 유아가 되는 것을 돕고, 심리 사회적 적응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 따라 일반가정유아와 다문화가정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가? 2-1. 가족 응집성수준에 따라 일반가정유아와 다문화가정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가? 2-2. 가족 적응성수준에 따라 일반가정유아와 다문화가정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가? 3. 사회적 지지와 가족체계유형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상남도 거제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취원 중인 만 4세와 만 5세의 일반가정유아(42명)과 다문화가정유아(29명)의 학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족체계유형 및 사회적지지, 유아의 심리적 안녕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첫째, 가족체계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Olson, Porter와 Lavee(1985)가 개발한 FACES-Ⅲ을 전귀연(199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일반가정 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에 의해 개발된 27문항의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를 윤형주(2001)가 21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검사도구(MSPSS: Multidement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를 김도희(2008)가 수정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넷째,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의 내재화 문제를 측정하기위하여 한국판 아동 ․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를 오경자(1997)등이 표준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 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PAQ)’를 김현경(2009)이 수정 ․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Kruskal-Wallis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일반가정 유아의 경우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 중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사회정서적응, 일과적응 및 전체 점수에서 사회적지지 수준이 ‘중’인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수준이 ‘중’인 집단에서 유아교육기관적응 전체 점수는 가장 높았고 내재화 문제 전체 점수는 가장 낮게 나타나 심리적 안녕감 전체 점수가 가장 높았다.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는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사회정서적응 요인(P=.026), 내재화 문제의 신체증상(P=.024)과 우울/불안(P=.025)요인 및 내재화 문제 전체 점수(P=.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가정 유아의 가족응집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교육기관 적응 점수가 높았고 내재화 문제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한편 가족 응집성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은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사회정서적응 요인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48). 셋째, 가족 적응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교육기관 적응 전체 점수가 높고 내재화 문제 전체 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하위요인에서는 일관성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경우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내재화 문제에 있어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가족 적응성 수준이 ‘상’인 집단에서 내재화 문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가족체계유형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 연구가설과는 달리,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형이 도출되지는 않았으며 각 변인의 설명력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 사회적지지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다른 변인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behavioral adaptation of bab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internal problems, there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perceived their mothers and the type of families on the babies' psychological peace. Based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aspect of the bab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ways to render them to feel at peace and happiness and aid in their increased psycho-sociological adapta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e author has selected the following research inquires: 1. Do the psychological peace of babies from both the average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differ in accordance with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mothers? 2-1. Do the psychological peace of babies from both the average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2-2. Do the psychological peace of babies from both the average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family adaptation? 3. How do family types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psychological peace of babies from multi-cultral families? In this study, a daycare center class (Geo Je City, Gyeongsangnam-do) consisting of 42 babies from average families and 29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selected. All of them were between age 4 and 5 and thei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 were chosen as test subjects. Five tools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family type,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peace of the babies. First, to measure the family type, Jeon Gwee Yeon's adpated version (1993) of FACES-Ⅲ (developed by Olson, Porter, and Leave (1985)) was used. Second,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parents from the average family, the author utilized Yoon Hyung Joo's 21 questionaries (2001), a reconstitution of Ji Won Park's 27 Questionaries, Criterion for Indirectly Perceived Support (1985). Third, Kim Do Hee's revised version (2008) of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MSPSS) was employed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Oh Kyung Ja's standardization version of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1997) was selected to measure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babies' psychological peace. Fifth, the babies' adaptability to the daycare center in accordance with their psychological peace was measured through a revised and complemented version of Kim Hyun Kyung's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 (2009). The collected data, by using PASW 18.0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est, Independent Sample T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Wallis Test,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babies from the average family,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peace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ir mothers indicated the lowest score when a test group showed the 'average' social support in terms of the levels of socio-sentimental adaptation and daily adaptation to the daycare center. A group with the 'averag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presented the highest overall score in the babies' adaptability to the daycare center. A difference of the psychological peace affected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mong bab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statistical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socio-sentimental adaptability to the daycare center (P=.026), physical symptoms (P=.024) due to internal problems, depression and anxiety (P=.025), and finally the overall score on internal problems (P=.014). Second, the more the family cohesion of the babies from the average family, the higher the score on the daycare center adaptability and the lower internal problems. Nonetheless, the results were not similar. On the other hand, the psychological peace (affect by family cohesion) of bab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dicated statistical similarities among test groups only in socio-sentimental adaptation (p=.048). Third, the higher the family adaptability level, the higher the overall score on adaptation to the daycare center and the lower the overall score on internal problems;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in each lower rank nor were they statistically similar. Bab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als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ities. On the contrary, as for internal problems, test groups with the 'top' family adaptability indicated the highest score on internal problems in all lower ranks. Fourth, as opposed to the hypothesis in which family adaptability including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others and family cohesion would affect the psychological peace of the babies, statically similar models (significance level at .05) were not drawn out and each variable held little reason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 do not directly impact the psychological peace of the bab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rather is highly likely to affect indirectly the babies with the aid from other variables. Therefore, other variabl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may affect the psychological peace of the bab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슈퍼홍미의 재배법에 따른 Taxifolin 함량변이와 DNA마커 분석

        배정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기능성 쌀 슈퍼홍미에 함유된 taxifolin 성분의 표준 분석법을 탐색하고, 질소시비량과 등숙기간에 따른 taxifolin 성분의 변화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고기능성 쌀품종 슈퍼홍미를 공시하여 질소 비료를 5, 9, 13kg/10a으로 시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의 시험포장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당뇨억제 성분인 taxifolin은 UV(250~380nm) 검출기를 이용하여 HPLC 분석으로 정량할 수 있었고, 종실 내의 종피와 과피부위에 함유되었다. 등숙시기별 함량은 출수 후 30일에 가장 높았으며, 점차 감소하였다. 이는 등숙이 진행됨에 따라 taxifolin이 포함되지 않은 배와 배유 부분이 비대해짐으로 상대적으로 종피 부분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질소시비량에 따른 슈퍼홍미의 taxifolin 함량변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흑자색 종피를 갖는 흑진주, 수원425, 슈퍼자미2호는 Ra와 DFR유전자를 갖고 있었으며, 기존에 개발된 홍미인 건강홍미, 적진주, 홍진주는 DFR, Rc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슈퍼홍미는 Ra만 갖고 있어 흑자미인 슈퍼자미 2호에서 DFR 유전자를 소실하여 갈색으로 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슈퍼홍미는 RM333 마커 하나로 건강홍미, 적진주 및 홍진주와 구분되었으며, RM5916 + RM7511 조합 또는 RM7285 + RM481의 조합으로도 구분이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