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인간론에 기초한 중국조선족학교품성교육개발가능성연구

        안려화 총신대학교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습자들의 온전한 인격형성을 위해 기독교적 품성교육을 실시하고자 IBLP의 품성교육 프로그램을 모델로 하여 중국 공교육 현장에서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에서는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한 존귀한 피조물로 보지 않고 학문적인 기준으로만 바라보고 학생들을 평가하여 학생들이 변질된 자아상, 불건전한 인격을 가지고 있었다하여 연구자는 기독교 인간론에 기초하여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아름답고 존귀한 피조물로 이해하고 비록 타락하여 죄 된 본성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지만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말미암아 회복이 가능하고 그들의 품성이 날마다 예수님의 품성을 닮아 향기를 풍기는 사람들이 되도록 기독교적 품성교육을 시도해보았다.

      • 마틴 로이드 존스의 교회론- 일치와 연합 사상을 중심으로

        허성영 총신대학교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고는 로이드 존스의 교회론 가운데 교회 일치와 연합 사상을 중심으로 J. I. 패커(James Innell Packer) 와 존 스토트(John Stott)의 견해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패커와 스토트는 영국 복음주의 교회에 속해 있으면서도 로이드 존스와는 다른 교회 일치와 연합 사상을 견지했기 때문이고, 또한 1960년대 일어난 영국 복음주의 내에 분열은 이들 사이에서 일어난 입장 차이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패커와 로이드 존스 사이에 있었던 쟁점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개혁교회의 일치와 연합, 그리고 더 나아가 분리를 함에 있어서 정당성은 무엇인가 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총에 관한 비교연구와 현대적 의의

        최홍기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287

        헤르만 바빙크와 아브라함 카이퍼의 일반은혜 사상을 비교분석하고 일반은혜 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제시한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deas of common grace of Hermann Bavinck and Abraham Kuyper and presenting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ideas of common grace.

      • 기독교적 의류학과 교육과정설계의 가능성 연구

        오 진 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287

        기독교대학 세속화 현상의 원인을 찾아보면 대학환경의 변화와 각 대학의 독특함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획일적인 대학교육정책 등 외적인 요인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기독교대학의 이념과 정신에 입각한 교육활동, 기독교 신앙과 통합된 학문연구에 대한 노력이 부족했음이 더 근본적이며 심각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기독교 신앙과 학문의 통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개선과 기독교적인 교양과목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교양영역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전공의 영역에서도 기독교 신앙과 일치하는 학문 연구와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근거로 기독교대학에서의 의류학과 전공수업을 위한 기독교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첫째로 의류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소재 일반종합대학유형의 기독교대학과 일반대학 여덟 곳의 설립이념과 교육목적, 의류학과 전공 교육목표를 학교 홈페이지 검색을 통하여 비교조사 하였다. 그리고 기독교적인 의류학과 교육과정 설계에 앞서 기초 조사로서 학습자인 기독청년들의 특성, 그리고 지식에 대한 인지와 처리 방법에 따른 학습자 유형을 조사하였으며, 의류학과 전공 영역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러한 기초조사 후, 기독교 세계관을 근거로 하여 의류학과의 전공과 각 교과목의 영역을 탐색하였고, 성경적인 지식관에 입각한 전공과목을 구상하였다. 이 과목의 한 단원을 정하여 학습자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학습의 단계를 계획하였고, 기독교교육적인 의류학과 전공수업을 위한 강의 계획과 단원의 계획, 학습내용과 학습자료, 평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양과목의 개선방향 연구

        이미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287

        한국 기독교대학교는 시대가 흐르면서 점점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 분명히 교육이념과 교육목표에는 기독교정신을 기초로 하여 세상에 영향력을 미치는 기독교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세속화의 바람과 신앙과 학문의 분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기독교대학이 고수해야할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으며, 교육목표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기독교대학만의 특수성이라고 할 수 있는 채플과 기독교교양과목도 채플은 주1회로, 기독교교양과목은 본질적인 것보다는 비본질적인 것에 더 많은 초점을 두면서 일반대학과 크게 차별화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여러 구성요소 중 기독교교양과목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독교대학의 기독교교양과목의 개설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알아본 후, 정체성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양과목 내용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 연구

        황한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A Study of God-Centered Preaching Han-byeol Hwang Major of Practical Theology General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is thesis a research about healing-preach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od-centered Preaching. All the sources of preaching is the Bible. The type of preaching shift itself following how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Bible. Actually the issue of preaching is the matter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 of the Bible.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of God and this revelation is for saving people who are lost. Saving revelation is about the Word concerning God’s salvation for people alienated from God that can comprehensively come home in the concept of healing. And the healing refers to the liberation from psychological and spiritual pain and troubles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The Bible talks about this healing and about the people who are listening to the preaching feel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healing. Such a need won’t be satisfied without God-Centered Preaching. Therefore this thesis is about a study of God-Centered Preaching. In chapter 1, I mentioned lack of healing undertaken by people who are talented in healing only focused on the physical healing under the name of healing ministry, or without the Word but with the application of healing only. And the necessity of the purpose in range of study, and methods are mentioned for sincere study of the Word and for resolution of troubles and pain in the believers’ lives. In chapter 2, the justification and the necessity of God-Centered Preaching is studied. Healing- Preaching is to expound the Bible based on God and a form for applying it to healing that it has to be squaring with the main principle because the Bible itself demands it. Chapter 3 is about understanding general ideas of Healing-Preaching and the concept of healing from biblical perspective - the view of the Scripture on healing and theological approach. And the issue of healing from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is mentioned for the issued of interpretation for healing. And In Reformed Theology, the purpose of healing has to be faith to the principle of glory of God. In chapter 4 I studied the principle, and the nature of God-Centered Healing Preaching; the theology flowing beneath Healing- Preaching has to be based of Triune God, and this has to be in the form of declarations of the gospel and the type of confession of faith. The narrative of God’s healing, and Jesus’ healing are shown as the revelation of God. Rather than realization of God’s healing, the affirmation of the will and revelation of God through the healing and presentation of Triune God that plays role as the practical cause is the main principles of Healing-Preaching. And the Healing-Preaching must be as faithful to the Word as other types of preaching do, approach the gospel of salvation of God through the Jesus Christ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 balance between exegesis of the gospel and application in our lives is the important principle. Especially in the situation of ignorance of the power and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I emphasis on the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I quoted John H. Stek of Calvin Seminary and Kim Chang Hoon of ChongShin Seminary as a model of approach to the Scripture and application for God-Centered Preaching. In Chapter 5, as conclusion, I summarized the thesis, then I said of the necessity the Healing- Preaching faithful to the nature and the principle without distortion of the Bible and preaching on the pulpit. I exercise caution all the preachings passing by the explanation of the Scripture, and situation and the audience. I get to a conclusion that the fundamental problem of healing is eventually resolved by soun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Origin-the Bible, and the God-Centered Healing is one of the preachings demanded in our generation. Keywords : God-centered preaching, healing, healing preaching,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application.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 연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실천신학전공 황한별 본 논문은 ‘하나님 중심적 설교(God-Centered Preaching)'의 원리에 따른 치유설교에 관해 연구한 논문이다. 모든 설교의 원천은 성경이다. 그 성경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설교의 형태의 달라진다. 설교의 문제는 결국 성경해석과 성경관의 문제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말씀이며, 그 특별계시는 타락한 인간의 구속을 위한 구속계시이다. 구속계시는 하나님과 단절된 상태에서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회복되는지에 대한 구원의 말씀으로 이를 포괄적으로 치유(Healing)라는 개념 속에 포함하여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성화과정을 통하여 겪게 될 육체적, 정신적, 영적 고통과 갈등으로부터 해결 받는 것을 치유라 할 수 있다. 성경은 이러한 치유를 말하고 있고 설교를 듣는 청중들은 치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결국 하나님 중심적으로 설명하지 않고는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나님 중심적으로 어떻게 치유설교를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라는 논제로 제Ⅰ장에서는 치유에 대한 특별한 은사를 가진 자들이 치유사역이라는 이름으로 단순히 육체적 질병을 치료한다거나 성경 본문을 외면하며 치유에 대한 적용일변도로 진행된 치유의 부재를 언급하였다. 그리고 성경 본문에 충실하면서도 성도들의 삶의 현장 상황에서 갈등과 아픔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을 다루었다. 제Ⅱ장은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의 정당성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치유설교는 성경 본문을 하나님 중심적으로 설명하고 치유로 적용하는 형태의 설교로서 일반적인 설교원리에 충실하여야 하며 이는 성경 자체가 이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상담설교와는 별도로 치유설교의 고유한 위치와 범위를 통하여 그 정당성을 논하였다. 치유설교의 필요성으로 신학적 관점인 교의신학과 성경신학에서, 실천신학의 목회적 차원에서 그 필요성을 언급하여 치유설교의 근거를 논하였다. 제Ⅲ장은 치유설교의 이해로서 치유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성경과 신학적 입장에서 치유에 대한 개념을 논하였다. 성경에서 치유에 대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한 성경관의 문제와 신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하여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그리고 성경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살펴보면서 치유에 대한 해석의 문제를 논하였다. 그리고 치유의 목적은 개혁신학에서 언급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원칙에 충실하여야 함을 논하였다. 제Ⅳ장은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의 원리와 실제에 관해서 논하였다. 치유설교의 밑바탕에 흐르는 신학은 하나님 중심적인 삼위일체 하나님 중심이어야 하며, 이는 복음의 선포형식 및 신앙고백의 형식임을 정리하였다.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치유 사건과 예수님의 치유 사건은 하나님의 계시적 사건이다. 그러한 치유사건을 오늘날 그대로 재현하는 것보다 그 치유 사건을 통한 하나님의 뜻과 계시의 의도를 확인하고 그러한 치유사건을 통해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을 소개하여 행위의 실천적 원동력으로 적용하는 것은 치유설교에서 중요한 원리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치유설교는 여타 다른 설교와 마찬가지로 성경본문에 충실하여야 하며, 성령의 능력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의 복음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복음에 대한 주해와 삶의 현장에 적용하는 균형 있는 설교가 치유설교에 중요한 원리로 논하였다. 특히 설교에서 성령의 능력과 그 사역이 외면되고 있는 상황에서 성령의 능력에 의존하여야함을 강조하였다. 하나님 중심적 치유설교를 위해 성경 본문 접근과 그 적용에 대한 모델을 미국 칼빈신학대학원 스택(John H. Stek)교수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김창훈 교수의 설교를 분석 연구하였다. 제Ⅴ장은 결론으로 본 논문을 요약한 후에 성경과 설교를 왜곡하지 않고 본질과 원칙에 충실한 치유설교가 강단에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본문 설명을 외면한 적용중심의 설교, 청중들의 삶의 정황에 대한 적용을 외면한 본문 주해 중심의 설교 모두를 경계한다. 치유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는 결국 그 원천인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적용으로 이루어진다는 확신을 갖고 하나님 중심적 치유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설교 중에 하나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주제어: 하나님 중심적 설교, 치유, 치유설교, 본문 해석, 적용

      • 기독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4287

        기독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이후 절대화된 진리의 부정으로 인해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대학생들은 자신들의 가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방황하게 되었다(이준원, 2008). 기독대학생의 경우는 교회에서 배운 가치관과 세상에서 요구하는 가치관 사이의 충돌을 경험하며 스스로가 이중적으로 생활하고 있음을 인식함으로 더욱 큰 괴리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이원준, 2007).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정보, 상황 정의, 해석 혹은 새로운 가치 표현에 대한 동기가 증가하여 미디어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려는 경향이 있다(Ball-Rokeach & Defleur, 1985). 예를 들면,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한 사회 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해결하지만, 과도한 이용으로 인해 중독과 같은 문제적 행위를 일으키기도 한다(오지희, 2015: 32).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터넷을 언제든지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인터넷 중독이 더욱 강화되었다(김동일 외, 2012b). 스마트폰은 정보제공이나 상호작용 기능, 오락기능은 물론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응용프로그램까지 추가되어 기존 미디어보다 훨씬 더 스트레스 해소나 해결 및 회피를 가능하게 하였다(오지희, 2015: 36). 하지만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욕구 충족에 충실한 만큼,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 점점 의지하게 되어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나아가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잠재적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구세희, 2014). 하지만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한 스마트폰 중독 현상은 기독대학생들에게도 나타나고 있다(박명준, 신성만, 2014; 박진희, 전요섭, 2013). 그런데 이에 대한 교회의 관심과 연구는 미약하다(김남선, 이은규, 2012). 이제부터라도 기독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완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박명준, 신성만(2014)의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연구에서 중독 현상에 대한 유력한 보호 요인 중 하나로 영적 안녕감(Spiritual Well-being)이 부각되고 있다(박명준, 신성만, 2014). 또한 Miller(1998)와 Corcoran & Michols-Casebot(2004)의 연구에서도 영적 안녕감이 중독 회복에 있어서 주요한 중독 보호 요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의 매개 역할을 검증해 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종교적 안녕감, 실존적 안녕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변인들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교 5곳, 경기도 소재 대학교 3곳, 인천광역시 소재 대학교 2곳의 기독대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12명의 자료를 최종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의 매개효과가 직·간접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종교적 안녕감이 매개로써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실존적 안녕감을 통해 간접 매개하는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실존적 안녕감의 부분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해지지만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어 줄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낮춤과 동시에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을 높인다면 기독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 및 시사점을 도출해낼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관련한 기존연구들(김동일 외, 2012b, 장로, 2013, 문의용, 2013)은 일반청소년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던 데 반하여, 본 연구는 기독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의 매개역할을 밝힘으로써 일상생활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기독 대학생들을 영적으로 교육하고 양육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독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교회는 기독대학생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며, 기독대학생들이 하나님과 깊이 만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안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생명력 있는 예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회는 교회 안의 오프라인 소그룹 모임이 건강하게 활성화되고, 제자훈련과 같은 역동적인 소그룹 모임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하여 서로의 삶을 오픈하고 교제함으로써 삶의 변화를 일으키는 훈련프로그램을 세우는 노력을 해야 하겠다. 또한 교회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가족 회복 차원의 목회적 돌봄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수많은 상대적 차별에 염증을 느끼며 미래의 꿈과 희망 대신에 오늘 맛집과 여행지를 헤매고 스마트폰 중독에 얽매여 있는 대학생들을 구원하여야 한다. 먼저 교회는 세상의 가치가 아닌 성경의 가치로써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마음으로 느끼게 하는 예배와,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는 삶의 경험을 할 수 있는 소그룹 모임과, 스마트폰 중독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oddle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Hee-young Kim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jucation Department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1.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mothers in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among toddlers i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o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oddlers? 3. What influence do maternal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exercise on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odd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1 mothers and 59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hildren of the mothers were toddlers aged between 18 and 36 months, and the teachers were their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from January 21 through 31, 201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aged between 18 and 36 months was Kim(2011)'s scale.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was Lee (2009)'s scale, which adapted Gross & Rocissano(1988)'s Toddler Care Questionnaire that was a scale to assess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toddler period.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Lee, Park & Kim(2008)'s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 which was a Korean version of Abidin(1995)'s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was Lim(2012)'s inventory, which modified Kwon & Chae(1998)'s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K-MSI) that modified Snyder(1979)'s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MSI) to suit Korean married couples. This inventory was modified to suit parents with children in infancy. As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SPSS version 24.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hoc test,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among the toddlers i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credential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Second, the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Their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and their mari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emotional regulation skill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affected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the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exerted influence on the emotional management of the toddlers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d parenting stress had a larger impact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n the contrary, parenting efficacy exercis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he toddler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toddlers whe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are one of integral human environments that exercise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is relieved and when their marital satisfaction is increased.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머니와 영아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18개월에서 36개월 영아의 어머니 181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9년 1월 21일부터 1월 31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도구는 18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김주영(2011)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Gross와 Rocissano(1988)의 걸음마기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Toddler Care Questionnaire)를 번안한 이경하(200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5)의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척도를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김혜진(2008)이 부모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도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Snyder(1979)가 개발한 MSI(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를 권정혜와 채규만(1998)이 우리나라 부부실정에 맞게 제작한 한국판 결혼만족도(Korea Marital Satis faction Inventory: K-MSI)를 영아기 부모 대상에 적합하도록 수정 변환한 임희수(2012)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어머니의 가정 월 소득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의 학력과 가정 월 소득에 따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영아의 연령, 영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는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중 정서관리에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육효능감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적환경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칼빈의 자연법 사상과 칼빈 이후 개혁주의 자연법 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연구

        박창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287

        이 논문은 자연법에 대한 칼빈의 신학을 다룬다. 자연법에는 체계적 진술을 요하는 주요 논점들이 있다. 먼저 자연법은 창세기 1장 26절과 27절에서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하신 인간의 본성에 새겨주신 것으로 하나님께 기원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칼빈의 견해임을 밝힌다. 다음으로 자연법의 개념에 대한 그의 자연법 사상을 밝힌다. 칼빈은 자연법의 개념에 대해 분명하게 밝혔다. 칼빈은 당대 뛰어난 법학자들에게 법학 교육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의 신학적 진술에도 규범성이 담겨 있는 자연법의 개념 정의와 주요 논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사고와 문자적, 역사적 해석방법이 들어 있다. 자연법이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며 인간의 본성에 새겨주신 것으로 이해할 때에도 자연법이 무엇인가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들이 있다. 그리고 인간이 죄로 인해 타락했고 그 타락이 인간에게 미친 영향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자연법의 역할에 대한 주장들도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일반 은혜와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령의 사역에 의해 자연법이 인간에게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는 견해인지, 아니면 인간의 이성의 우위나 자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공로를 개입시키려는 견해인가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칼빈의 자연법 사상에 대한 연구들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에 대해 밝혀주었으나, 칼빈이 법학을 공부한 신학자로서 그의 자연법 사상의 체계가 전체적으로 체계적이고 일관적이어서 자연법 사상의 주요 논점들을 모두 분명하게 말하고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내지 못했다. 따라서 칼빈의 자연법 사상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충분히 반박하지 못했다. 그리고 칼빈이 분명하게 자연법의 개념을 말하고 자연법과 일반 은혜와 일반 계시를 구별하고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령의 사역에 의해 자연법이 인간에게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을 체계적으로 진술하여, 인간의 이성의 우위나 자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공로를 개입시키려는 주장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음을 밝히는 데는 미흡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을 체계적으로 밝힌다. 더 나아가 칼빈 이후의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글에서 칼빈과 달리 자연법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거나 체계적 진술에서 혼동이 있음을 밝히고, 타락한 인간의 죄를 억제하시고 창조 질서를 보존하시는 하나님의 은혜 앞에 인간의 이성을 높이고 이성의 자율성을 주장하여 공로를 인간에게 돌리려는 주장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치도록 개혁주의 자연법 사상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과 더욱 연속성을 지키며 발전해야 할 것을 밝힐 것이다. This thesis deals with Calvin’s theology of natural law. There are key points in natural law requiring systematic statements. First, this thesis reveals Calvin’s concept is the view that natural law originates from God and was engraved in human nature in His own image by God(Genesis 1:26-27). To the next, it clarifies Calvin’s concept of natural law. Calvin defined his concept of natural law. He learned law from outstanding law professors. Therefore his remarks of the definition of natural law’s concept show it is normative. And He wrote systematic and consistent thoughts of natural law with literal and historical exegesis. Even though acknowledging man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natural law was implanted on the human heart in divine origin of natural law, different claims exists about the concept and role of natural law. They assert differently corruption by sin of a human being. Consequently, the role of natural law is attributed to the merit of human reason or the grace of God. Studies about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have revealed his views until now but they haven’t showed clearly that Calvin as a theologist who had learned law as a university student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revealed his observations of natural law about all main issues. Therefore they did not fully refute arguments that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is not consistent and they did not disclose enough that Calvin was able to defeat statements which want to accept superiority and merit of human reason through the concept of natural law with clear distinction between natural law and general revelation, common grace. Thus this thesis systematically reveals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Furthermore, this thesis discloses prudently that statements about natural law by theologists in Reformed tradition show indistinguishable concept of natural law and confusion of systematic distinction. Thereby God’s grace which suppresses the corruption by sin of human and preserves the created world is only praised to mankind’s civilization advances. Hereafter Reformed thought of natural law is to be continued with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and will be developed.

      •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영향: 영아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신미경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The Influence of the Infant Teachers’ Personality on th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Infant Teachers’ Sensitivity Mi-Kyung Sh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ir personality on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infant teachers in personality,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personality of infant teachers, their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Research problem 3. Does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produce any mediation effects when their personality affects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through 30, 2021, on 296 infant teachers who worked at daycare centers in a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from 269 teachers were gather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1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54 ones that weren't fully filled out or included outlier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areas and 111 items. Area 1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s who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a 2 consisted of items about their personality, and Area 3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ir sensitivity. Area 4 consisted of items about the levels of their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instrument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Kim & Shin(2019)'s Infant Teacher Personality Inventory, Min(2014)'s Sensitivity Inventory for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nd Kim(2009)'s Respect Inventory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2.0.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hecked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To verify the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used, and Cronbach alpha that was the coefficient of item internal consistency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hen two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s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in personality,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tilized. When three were selected, ANOVA was implemented. When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the F-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cheffe test was carried out to make a post-hoc analys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of the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sensitivity of the infant teachers produced any mediation effects when their personality affecte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Baron & Kenny(1986)'s three-steps for mediation were utilized, and Sobel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infant teachers in personality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infant teachers in personality,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career, working type, the age of the children in their charge and certifi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sonality of the infant teachers, their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 in the childcare sett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sensitivity of the infant teachers produced any mediation effects when their personality exerted influence on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it's ascertained that their sensitivity played the role of mediation while their personality influence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ersonality of infant teachers could be one of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ir sensitivity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hildcare setting. Accordingly, the need for providing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im at cultivating the personality of infant teachers should be recognized in the childcare setting to induce these teachers to respect children's rights, and there should be actual efforts to offer these programs. In addition, how to enhance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in various ways. 국문 초록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 보육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교사의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상관관계는 어 떠한가? 연구문제 3.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아교 사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B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지는 269부가 회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미응답 문항과 이상치가 발견된 54부를 제외한 총 215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4개 영역, 총 11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1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2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인성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3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4영역은 연구대상 영아교사의 아동권리존중보육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구성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김성원과 신정애(2019)가 개발한 영아교사 인성 측정도구와 민광미(2014)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 측정도구와 김진숙(2009)이 개발한 아동권리존중보육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수집한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으며, 정규분포 가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문항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ʾ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영아교사의 인성,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배경이 2개로 구분되었을 때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였고, 3개 이상으로 구분되었을 때는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ANOVA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F 값이 유의한 경우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법을 적용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하여 매개변인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인성,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영아교사의 연령, 결혼유무, 최종 학력, 경력, 근무 기관 유형, 학급 연령, 소지 자격증에 따른 영아교사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영아교사의 인성, 영아교사 민감성, 아동권리존중보육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영아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영아교사의 인성이 아동권리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교사의 인성이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아동권리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보육 현장에서는 아동권리존중보육이 제대로 실행될 수 있으려면, 영아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노력할 뿐 아니라, 영아교사의 민감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