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자감시장치 생체신호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와 간호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 간호사를 중심으로

        윤오성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환자감시장치 생채신호 수치가 전송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을 이용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도와 만족도, 간호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안양시에 소재한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이 도입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사의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소연(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를 업무효율성에 대한 인식, 의료정보활용에 대한 인식, 환자 진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으로 총 3개 하위요인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홍경아(2008)의 연구에서사용된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도구를 기능 및 성능에 대한 만족도, 표준화 및 정보 활용에 대한 만족도, EMR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업무만족도로총 3개 하위요인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측정도구는 Kron(1981), Mayer, Norby와 Watson, 이병숙(1983)등이 제시한 과정적 간호업무평가를 근거로 박성애(1988)가 개발하고 한주영(2012)이 EMR 시스템 사용자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 간도업무성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인식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가 높았으며, 연령은 20대 보다 30대와 40대가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가 높았다. 또한 근무기간의 경우 다른 그룹보다 5년 이상 근무한 그룹이 인식도가 높았다. 따라서 남성보다 여성,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높을수록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학력에 따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만족도가 높았다. 학력의 경우 전문대 졸업 그룹과 대학교졸업 그룹이 대학원 이상 그룹보다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남성보다 여성이, 대학원 이상 그룹보다 전문대와 대학교 졸업의 그룹이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직급이 높은 간호사의 학력이 높은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일반적인 특성 중 학력, 근무기간에 따른 간호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학원 이상의 그룹이 전문대 졸업과 대학교 졸업 그룹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근무기간의 경우 5년 이상 근무한 그룹이 1년 미만과 1년~3년 그룹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따라서 학력이 높을수록, 근무 기간이 길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업무성과의 경우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그 중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인식도의 경우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의 만족도 하위 요인 중 업무만족도, 활용만족도, 성능만족도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감시장치 EMR시스템의 인식도가 높을수록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하위 요인 중 성능만족도가 가장 크게 간호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하위 요인 중 성능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 업무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간호업무성과를 위해서는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 인식도를 높이고,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의 만족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만족도는 사용의 편이성과 큰 관련이 있다. 이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그리고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환자감시장치 EMR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병원에서 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의 향후 간호업무만족과 간호업무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간호프로그램의효율적인 운영의 효율성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선미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소재하는 4개 대학의 4년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마음챙김, 관계중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Brennan 등(2000)이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하여 개발한 성인애착유형검사(ECR-R)인 친밀관계경험척도를 김성현(2004)이 번안하여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음챙김은 위빠사나 명상이론에 근거해서 Brown과 Ryan(2003)이 개발한 마음챙김 주의-자각척도를 사용하여 박성현(2006)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관계중독은 Susan(2005)이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제작한 40문항의 임상질문지를 이수현(2009)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인애착은 관계중독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은 마음챙김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과 관계중독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을 마음챙김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마음챙김이 낮아지고, 마음챙김이 관계중독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애착불안은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성인애착, 관계중독, 마음챙김 The study sought to ascertain whether the mindfulness mediates in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attachment, mindfulness and relationship addiction among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4 university located around 4 provinces; Seoul,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To measure the adult attachment, Kim(2004)’s adaption of Brennan et al.(2000)’s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 which utilizes the item response theory was used. Brown and Ryan(2003)’s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adapted and validated by Park(2006), was used as mindfulness scale, based on Vipassana Mediation theory. Susan(2005)’s 40-item questionnaire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validated by Lee(2009) was used as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xamining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negatively associated with mindfulness while i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addiction and the mindfulness was found to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ly, the analysis result of mindfulness’s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discovered that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s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uggests that adult attachment not only affects relationship addiction directly, it raises the mindfulness. Which, in turn, the relationship addiction, having an in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Especially, the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s attachment anxiety, which is sub-factor of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while the mindfulness has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Finally,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Keywords : Adult attachment, Relationship addiction, Mindfulness.

      •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최은희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몽골 대학원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탐색해보고 그 어려움들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강원도 지역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몽골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분석은 연구자를 포함한 3명의 연구팀과 1명의 감수자의 합의를 거쳐 결론에 이르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사용하였다(Hill et al., 1997).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활의 적응문제’, ‘유학생활의 어려움 대처방법’, ‘유학생활의 보람’, ‘유학생활을 통해서 바라는 점’의 4개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에 따라 총 11개의 하위영역과 44개의 범주가 형성되었다. 몽골 유학생들은 중국 유학생을 포함한 외국 유학생들과 유사한 학업적, 경제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어려움들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거나 혹은 갈등을 피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유학생활을 통해서 전문적 지식을 획득하게 되고 졸업 후에 사회적인 지위가 보장 되는 것을 가장 큰 보람으로 생각하였고, 훌륭한 교육내용과 교육환경에 대해 가장 큰 만족을 나타냈다. 대부분 몽골로 돌아가 전문 분야에서 일하기를 희망했고 사회적으로는 유학생을 위한 제도적 개편을 가장 많이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출신 국가별 유학생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련된 첫 번째 질적 연구 로 이 연구를 통해 몽골 대학원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제언의 기초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의 제한점을 추후연구를 위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몽골 유학생, 대학생활, 적응

      • 모바일향 한의진단 손목 시계형 맥진기 설계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용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초 록 한의학의 진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맥진이다. 맥진은 손가락으로 손목 부위의 요골동맥의 촌, 관, 척을 접촉하여 맥의 강약, 속도, 빈도, 폭등의 다양한 맥의 정보를 감지하여 환자의 맥동 에 따른 병증이나 생리적인 현상을 진단한다. 한의사의 손끝으로 감지하는 주관 적인 방법을 객관화 시기키 위해 1960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하지만 개발 당시의 기술적 한계나 개발상의 문제점 등에 의해 개발되어진 맥진기들은 임상에 서 만족할만한 효용성을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국내 맥진기 동향으로는 2011년도 상지대학교 이상석 교수팀의 홀센서를 사용한 Spuls -2011가 만들어 졌고 상지대학교 부속 한방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완료한 상태이다. 특징은 집게형 맥진기로 맥파의 정보 획득이 간편하며 측정시간이 기존의 맥진기와는 달리 빠르며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다. 하지만 임상 시험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반복성과 재현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맥파의 정보 획득이 다르게 나타나며 실맥의 맥파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시술자의 오랜 숙련도를 요구한다. 그리고 반복측정으로 인해 맥진기의 센서 부분이 내구성이 떨어져 정확한 맥파의 정보 획득이 어려워진다. Spuls-2011의 반복성 과 재현성 향상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16번의 과정을 거쳐 디자인 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걸맞게 무선 통신의 기능을 제안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센서 부분을 따로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 시켰으며 센서 부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환자 감시 장치에 사용하도록 디자인 했다. 16차의 디자인에서는 진맥이 끝나면 디스플레이 상에 맥파를 표시 할뿐 아니라 호흡수, 맥박, 맥박수, 말초혈류 속도, 동맥 경화도, 허맥과 실맥 확률까지 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6차 디자인은 부피가 크고 사용이 어려운 기기들을 대신하여 착용이 쉽고 측정이 간단한 기기의 설계에도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앞으로 맥파에서 맥상과 연관성을 찾아 질병의 발전추세와 예후를 판단하는데 일정한 임상의의를 갖는 맥진기 디자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김정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Abstrac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eong-oki Kim Counseling Psychology Sa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does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self-efficacy? Second,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flow? Third, do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and offline to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in Korea, and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mong the 410 survey data finally collected, 3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39 questionnaires with missing items.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to fi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simple correlation of collected data, and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with structural equ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bootstrap procedure.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WLEIS (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and adapted and validated by Tak Jin-guk (2007) was us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and self-efficacy was developed by Ayoung Kim and Jeongeun Cha (1996) and Ayoung Kim. (1997)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Lee Jeong-wook (2012) validated the scale was used. In addition, for learning engagement, a scale developed by He (2009) and adapted by Yoo Ji-won (2011) was used based on the Student Course Engagement Questionnaire (SCEQ) of Handelsman et al. (2005).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developed by Baker and Siryk (1984), adapted by Hyun Jin-won (1992), and modified by Oh Min-ah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self-efficacy and has a positive (+)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Third,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by mediat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sequentiall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when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help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difficulties in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other words,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college life, developi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rais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which is the belief that individuals can do it themselves, and persistence and enthusiasm for efforts to achieve in various tasks or activity situations to be performed by learners.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can be higher. This study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at can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Key words: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college life adaptation 국문초록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상지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김정옥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대학생들이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410명의 설문 자료 중에서 결측 문항이 있는 39부를 제외한 371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기술 통계치와 단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모형검증을 위해 AMOS 21.0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랩(bootstrap)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탁진국(2007)이 번안 및 타당화한 WLEIS(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보완하고 이정욱(2012)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몰입은 Handelsman 등(2005)의 학습자 코스 몰입 척도(Student Course Engagement Questionnaire: SCEQ)를 기초로 He(2009)가 개발하고 유지원(201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Baker와 Siryk(1984)가 개발하고 현진원(1992)이 번안하고 오민아(202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습몰입에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학업적․사회적․개인-정서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대학생의 정서지능을 개발하고, 개인 스스로 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인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고,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다양한 과제나 활동 상황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노력의 지속성과 열정 등을 측정하는 학습몰입 수준을 높인다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대학생,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 국립공원 행위규제 정책에 대한 탐방객 인식과 지지 수준에 관한 연구 : 음주행위 규제를 중심으로

        이진범 상지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연환경의 핵심 지역이자 국민의 삶과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생태적 가치가 매우 높은 곳으로 국민에게 쾌적한 탐방서비스 및 자연환경보호를 위한 국립공원에서의 행위규제정책은 불가피하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에서의 행위 규제정책(음주행위 규제)에 대한 탐방객에 대한 인식분석을 통해 행위 규제정책(음주행위 규제)의 적용 효율성을 진단하여 제도의 정착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총 22개의 국립공원 중 산악형(지리산, 오대산)국립공원과 해상해안형(다도해해상,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이용하는 탐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6월 28일부터 7월 7일(10일간), 9월 7일부터 16일(10일간)까지 응답자들에게 전체적인 개요를 설명한 후에 직접 작성하도록 하는 탐방객 직접 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다수의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은 2018년 3월부터 국립공원에서의 음주행위 규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에 대한 지지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음주행위규제가 국립공원 전체로 확대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탐방객이 장시간 머무르는 야영장이나 주민의 생활공간인 주거시설물 등은 제외해야 한다는 대비되는 의견이 나타났으며, 국립공원의 음주행위 규제를 통해 안전사고 감소 및 산행문화가 개선될 것이라고 대다수의 탐방객은 기대하고 있다. 음주행위 규제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는 단속위주의 규제보다는 전방위적인 홍보(on /off-line)를 통해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을 고려한 국립공원에서의 음주행위 규제에 대한 인식 유무는 대졸 60대 남성이 가장 높은 인식비율을 나타냈으나 여성과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규제정책 지지수준은 60대 여성이 가장 높게 나왔다. 또한 사회적 관심도가 학업에 집중되는 시기인 10대~20대 대학 재학중인 그룹이 인식수준이나 지지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음주행위 규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연령대의 사람들이 규제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음주행위 규제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였어도 정책에 대해 지지를 보였고 음주행위 규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더 많은 지지를 보였다. 가설 Ⅰ(탐방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음주행위 규제정책에 대한지지 수준은 다를 것이다.) 검증 결과는 성별에서만 지지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과 여성 모두 평균 이상의 높은 지지 수준을 보였으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국립공원 내에서의 음주행위 규제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행위 규제정책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지지수준은 다를 것이라는 가설 Ⅱ는 정책의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의 지지 수준이 정책 미인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탐방객의 음주경험에 따라 음주행위 규제정책에 대한 지지수준은 다를 것이라는 가설 Ⅲ은 평상시 음주경험에 상관없이 정책지지를 보였으나 국립공원 내 음주경험이 없는 탐방객이 정책을 더 많이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립공원 내 음주행위 금지 규제정책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향후 국립공원 관리를 위한 규제정책을 시행할 때에는 국민의 정책지지 수준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기간과 많은 홍보매체(on,off-line)를 통해 규제정책을 많은 국민들이 사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활동을 전개하는 간접적 관리 접근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보다도 남성, 그중에서도 음주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남성 대상의 홍보 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탐방객 행위를 직접적으로 구속하는 단속을 병행하되 홍보(on,off-line), 또는 교육 등 간접적 접근을 통해 국민이 자발적으로 정책을 지지하고 순응할 수 있도록 전략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비균질 산성 촉매 (S-TiO2/SBA-15 및 S-ZrO2/SBA-15)를 이용한 아임계 조건에서 폐식용유로부터 바이오디젤의 생산

        무하마드노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07

        Homogeneous catalysis is well established method for biodiesel production commercially. However, in the recent years, heterogeneous acids catalysts are now receiving more attention with replacing homogeneous catalyst. In this research study, sulfonated zirconium oxide (S-TiO2) and titanium oxide (S-TiO2) supported on Santa Barbara amorphous (SBA-15) were synthesized by impregnation method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hydrolyzed waste cooking oil (WCO). The prepared S-ZrO2/SBA-15 catalyst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Braunauer-Emmett-Teller (BET)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 SEM). The maximum biodiesel yield was 95.18% obtained under optimum reaction condition of 140˚C, 10 minutes and 1:10 oil to methanol molar ratio with 2.0 % catalyst loading. Catalyst was reused five times with 90% efficiency. S-TiO2/SBA-15 also t was evaluated by X-ray diffraction (XRD), Braunauer-Emmett-Teller (BET)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 SEM). The maximum biodiesel yield was 94.84% obtained under optimum reaction condition of 200˚C, 30 minutes and 1:15 oil to methanol molar ratio with 1.0 % catalyst loading. Synthesized S-TiO2/SBA-15 catalyst was able to be recyclable and consecutively reused up to five times with 90% efficiency. Furthermore, for both catalysts, the fuel properties of produced biodiesel were found within the limits set by the specification of biodiesel standard. Even more, both catalysts showed better catalytic activity compared to homogeneous catalyst under optimum condition. Keywords: Biodiesel; Heterogeneous acid catalyst; Esterification, Waste cooking oil, Subcritical methanol

      •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표현력의 매개효과

        지해경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자기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표현력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표현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고, 심리적 안녕감에 자기표현력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상호 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자기표현을 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높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x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examined if the self-expression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conformed that self-express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en consulting college students with less psychological well-being, they can increase the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helping them get a lot of social support in their relationships and express themselves well.

      •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의사소통 불안에 관한 일연구

        신재식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우리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매체로 자리잡은 인터넷은 효율성과 편리성 향상 등 인간의 생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이 좋은 면만을 가지고 있는것은 아니다. 인터넷 중독으로 인해 생활에 곤란을 겪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중독에 따른 이용실태를 분석하고,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이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이용 유형별 중독 실태를 분석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 의사소통 불안 정도에 따른 중독 유형분석, 의사소통 불안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학년에 관계없이 전 학년에 걸쳐 인터넷 중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하며, 대학에서도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고자 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일반적 특성의 요인에 있어서는 인터넷 중독과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중독이 주변 환경 등에 의한 영향보다는 개인의 주관적 선택에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라서 인터넷 이용에 차이를 보였다. 중독 수준에 따른 특성과 경향을 연구하여 중독 수준에 맞는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각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한다. 넷째, 인터넷 중독과 의사소통 불안 수준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소통 불안과 인터넷 중독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 불안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et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a in our lives and it is greatly contributing to the human beings with its efficiency and convenience.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negative side as well. The number of people addicted in the internet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usage status of internet by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status of internet addic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Al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anxiety and the internet addiction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addiction status by the types of internet users was analyzed and analysis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communication anxiety was analyzed befo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xiety on internet addic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internet addicts were in all typ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gardless of the grade. The studies regarding the internet addiction should be mad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versity, programs and curriculums concerning internet addiction should be prepared as the efforts to prevent and treat internet addiction of the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internet addict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indicates that internet addiction is affected more by the subjective selection by the individuals rather than the environment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nternet usage by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suitable for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addiction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ffective education.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communication anxiety. The communication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net addiction. This indicates that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anxiety lead to more sever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dd

      • 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 북한산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민웅기 상지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As a representative natural/cultural heritage of a country, national park is a protected area that promotes its sustainable use for conserva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ion of cultural landscape in the Natural Park Act and the standard of cultural landscape is not defined by laws, but by an enforcement decree, which is not systematic in the legislation. Even the Natural Park Act is not specified either Natural Park Basic Plan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Cultural resources are managed b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by national park office, however, we have insufficient manpower, date and budg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through operative definition and further provide improvement measures and direction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cultural resources by reviewing relevant laws, survey results and analysis on management of cultural resources. The contextual scope of this study also combined the literature surveys, empirical survey, and case study. For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nsider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s such as Natural Park Act,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ct, an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cultural resources in the national park. The case study examined cultural resources-related items in the Natural Park Basic Plan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and findings of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lso,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ses of overseas national par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xplicit regul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Natural Park Act and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ct is imperative. Secondly, more active discovery and utilization of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by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s needed. Thirdly, redefinition of the values of Buddhist heritage is needed and fourthly,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n cooperation wi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aws for management of landscape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urvey show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s and policies, which would imply the necessity of customized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park. Also, visitor service on cultural resources and the prevention of damages to cultural resources were raised as the most preferential area for the cultural resources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show that Natural Park Basic Plan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explicitly expressed the necessity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ut management has not been sufficiently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studies, the improvement for the cultural resources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parks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the improvement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t would be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the provisions related to management of cultural resources in the Natural Park Act. The current status and definition of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included in Natural Park Basic Plan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ul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and also the projects related to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reflected into the project contents in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ct. Secondly, as the improvement measures in the managerial aspect, it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the practical conservation/management plan for each park, to expand the budget related to cultural resources, to reinforce the professional manpower and organization of cultural resources, an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s an initial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improvement for the cultural resources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parks, it would be additionally needed to systematically review international cases, to analyze the perception by visitors and experts, and also to concretely review the plans related to national park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follow-up research in the future. 국립공원은 국가의 대표적인 자연 및 문화유산으로서 보전을 전제로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는 보호지역이다. 그러나 자연공원법상 문화경관에 대한 정의가 없고 문화경관에 대한 기준은 법률이 아닌 시행령에 규정함으로써 법제도적으로 체계적이지 못하다.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기본계획과 공원별 보전․관리계획에도 문화자원에 대한 규정이 없다. 또한, 공원별 보전․관리계획에 의거 국립공원사무소는 문화자원을 관리하고 있으나 문화자원 목록 등 기본 현황이 부실하고 전문 인력, 관련 예산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공원 문화자원의 조작적 정의를 통해 국립공원 문화자원의 개념을 규정하고 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련 법규 검토, 탐방객 인식조사, 국립공원 내 문화자원 관리현황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리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문헌조사, 실증조사, 사례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자연공원법, 국립공원공단법, 문화재보호법 등 국립공원 문화자원과 관련된 법규를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실증조사는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립공원 문화자원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였다. 사례조사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자연공원기본계획과 보전․관리계획 상의 문화자원 관련 항목과 비지정문화재 발굴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해외 국립공원의 문화자원 관리사례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조사 분석 결과, 첫째, 자연공원법과 국립공원공단법상 문화자원의 명시적인 규정이 필요하며 둘째, 매장문화재에 대한 공원관리청의 적극적인 발굴 및 활용이 요구된다. 셋째, 불교문화유산에 대한 가치를 재정립해야 하고 넷째, 경관자원관리를 위해 국가, 지방정부와의 협력 및 법률로서 유·무형의 국립공원 문화자원을 선정하여 지정·관리가 필요하다. 실증조사 분석 결과, 국립공원 문화자원의 중요성 및 문화자원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수준을 보여 문화자원 맞춤형 공원관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국립공원 문화자원관리에 있어 가장 우선적인 추진 분야로써문화자원 탐방정보제공과 문화자원 훼손예방이 제기되었다. 사례조사 분석 결과, 공원기본계획과 북한산 보전·관리계획에서 문화자원 보전관리 필요성은 명시되어 있으나 자연생태계와 대등한 차원의 관리수준 제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리체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측면 개선방안으로 자연공원법 문화자원 관련조항의 신설이 필요하다. 문화자원의 정의 및 공원기본계획과 공원별 보전·관리계획에 포함될 내용상 문화자원 현황을 포함시켜야 하며, 국립공원공단법 사업의 내용에 문화자원관련 사업 반영, 실천적 공원별 보전·관리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둘째, 관리적 측면 개선방안으로 문화자원 관련 예산 확충, 문화자원 전문 인력 및 조직 보강, 기관간 협력 방안 강구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리체계 개선방안 수립을 위한 초기연구로써 국외 사례의 체계적 검토, 보다 심층적인 탐방객 및 전문가 집단 인식 분석, 국립공원 관련 계획의 구체적인 검토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