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안가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이 설립된 대학원 중 심리치료 전공이 개설된 대학원을 조사하여 경기도 소재 D대학원과 충청남도 소재 G대학원의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10일에 거쳐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95부(100%)를 회수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기술통계로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에 진학한 동기는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함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의 이미지와 명성으로 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요인이 많았다. 심리치료 관련 전공인식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조사와 관련하여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과목 이수와 자격증의 연계성과 교과목의 다양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강의계획서에 따른 수업진행, 수업시간의 적절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행정서비스의 친절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등록금 제도, 장학금의 적절성, 학사일정 안내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진로의 영향력, 경쟁력 향상, 취업 전망의 긍정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구에 대한 조사로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치료영역별 자격 취득을 위한 다양한 입문 과정의 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수업내용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전공자의 전공운영 전담의 요구가 높았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심리치료사 관련 자격증 안내 등 졸업생을 위한 적극적인 진로안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적인 관리와 평가를 위한 체계가 시급히 구축되어야 하며, 수요자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 유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심은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대해 내러티브탐구 방법에 따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유아교사 중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유아특수교사가 된 유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현장 노트 그리고 연구자 저널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의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 시행되는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교육에 소홀할 수 있다. 둘째, 교육현장에서 조기선별을 위한 진단평가가 늦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사에게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를 가진 유아를 둘러싼 주변 사람에게 장애에 대한 다양하고 긍정적인 형태의 장애인식 교육이 확대 되어야한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공부하는 유아교사에게 특수교육대상유아와 함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여섯째,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영역의 공통영역을 확대 하여야한다. 일곱째, 교사양성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가진 연구 참여자의 통합교육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가 없는 환경에서 이뤄지는 통합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유아특수교사로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을 통해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사를 준비하는 유아교사에게 유아교사로 생각하지 못했던 유아특수교사의 중요성과, 유아특수교사로 통합교육을 시행하며 경험하게 될 간접경험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유아·놀이 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미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유아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통해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및 놀이 지원의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 유아특수교사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요구가 무엇인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경기도 공립유치원 특수학급에서 근무 중인 경력 5년 이상의 유아특수교사 3명이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에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를 얻어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어 녹음 또는 녹화를 진행하였으며, 전사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총 3개 상위범주와 16개의 하위범주, 44개의 주요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 참여자가 생각하는 놀이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의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해서는 장애의 특성과 사전경험에 따라 놀이가 다르게 나타나고 놀이가 정체되어 있으며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놀이를 하기도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의 의미와 연구 참여자가 생각하는 놀이에 대해 놀이의 조건과 특성 및 발달에서의 놀이의 중요성은 공통적이라고 생각하였지만, 놀이 과정에서 즐거움이 있었다면 배움이 일어나지 않아도 의미가 있으며, 특수교육대상유아는 안전에 취약한 점과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놀이에 몰입할 수 있으므로 교사의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놀이를 바라보는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으나 현재 실행초기단계의 교육과정과 놀이와 통합교육의 연계 및 장애 특성에 따른 놀이 접근으로 인해 기존의 놀이 인식이 흔들리기도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물리적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특수교육대상유아가 자발적으로 놀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 지원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부터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지원을 혼자 고민해야 하며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의 철학적 배경 차이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와 관리자와의 교육관 인식 차이로 인해 원활한 놀이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한 요구사항으로 유아특수교사의 확대 배치와 학급 당 유아 인원수 감축, 교사역량 강화를 위한 실행자료 및 연수, 정보교류 기회 제공, 보편적 놀이접근을 위한 무장애 놀이터 건축과 중도중복장애유아를 위한 놀이 지원자료 제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 당시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교육과정 운영이 정상화되기 전에 실행된 연구라는 제한점이 있으나,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통해 유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과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요구를 드러냄으로써, 유아특수교사의「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최아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 논문으로 학회지에 게재된 총 83편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논문이 발간된 전체 시기와 연도별·시기별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01년부터 2021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과 관련한 논문을 NetMiner의 확장 프로그램인 Biblio Data Collector를 이용해 검색하고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논문데이터의 키워드를 정제하였고, 정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술통계 분석, 주요 키워드의 출현빈도와 시기별 출현 빈도 분석, 워드 클라우드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의 속성 및 중심성 분석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인 현황을 연도별·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연구 초반인 2001년과 2002년에는 논문이 발간되지 않았고, 2003년 3편을 시작으로 하여 2017년에는 연구 시기 중 가장 많은 논문수인 10편이 발간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편수별 발행기관 수는 총 24개의 기관이었으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가 9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간하였다. 시기별 논문 발행기관 수는 1기(2001년-2006년)에 9기관, 2기(2007년-2014년)에 15기관, 3기(2015년-2021년)에 20기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키워드별 전체 출현빈도(중복단어 포함)에서는 ‘언어’, ‘표현언어’, ‘발달지체유아’, ‘부모’, ‘상호작용’의 키워드가 나타났고, 논문 당 출현한 문서별 키워드의 출현 빈도(중복단어 미포함)에서는 ‘언어’, ‘표현언어’, ‘발달지체유아’, ‘보완대체의사소통’, ‘상호작용’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시기별 출현빈도의 키워드 네트워크도 1기(2001년 - 2006년), 2기(2007년 - 2014년), 3기(2015년 - 2021년)로 나눠 알아보았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관련 연구의 키워드 중심성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대상 논문의 상위 30위 키워드를 중심으로 전체 연구물과 시기별 연구물로 구분하여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에고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 중 크기가 큰 키워드는 ‘언어’, ‘표현언어’, ‘보완대체의사소통’, ‘발달지체유아’, ‘상호작용’으로 나타났다. 이 키워드의 시각화 자료를 통해 특정 노드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이웃 노드를 확인하였고, 주변 키워드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분야에 방법적 다양성을 적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언어 및 의사소통과 관련한 연구의 주제 현황과 주제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점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을 중심으로

        심솔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302부의 설문지 중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93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값을 활용하여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화한 후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위한 정책 중 중요도 인식은 ‘특수교육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특수학교(급) 신·증설’,‘의료지원 체계를 통해 장애 조기발견 및 교육적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관계부처 연계 강화’,‘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내실화 지원’이 다른 문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위한 정책 중 실행도 인식은‘유·초·중·고 학생에게 장애인식 개선 교육 연 2회 의무적 실시’,‘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강화’,‘일반학교 구성원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유치원 또는 학교로의 전이지원 강화’가 상위 5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셋째,「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13번 문항은 p<.01, 나머지 모든 문항의 결과는 p<.001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IPA 분석 결과 지속유지 영역에는‘특수교육 질 제고를 위한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통합교육 연수 및 장애이해교육 관련 연수 개발·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유치원 또는 학교로의 전이 지원 강화’가 분포되었다. 과잉노력 영역은‘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상담 및 정보제공’,‘순회교육 등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강화’,‘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강화’,‘유·초·중·고 학생에게 장애인식개선교육 연 2회 의무적 실시’,‘일반학교 구성원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특수교육대상자 인권 보호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사례 발굴’이 분포되었다. 낮은 우선순위에는‘전일제 통합 형태의 통합유치원 및 유치원 특수학급 확대’,‘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자 지원 강화’,‘맞춤형 장애이해교육 및 홍보 콘텐츠 제작·활용’,‘방과후 교육·돌봄 담당 인력 역량 강화 및 처우개선 방안 마련’이 분포되었다. 집중노력 필요 영역에는‘특수학교(급) 신·증설’,‘통합교육 실시 유치원에 대한 지원 강화’,‘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내실화 지원’,‘개별화교육계획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이 분포되었다.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과 운영에 관한 연구

        조현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과의 구성 및 운영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정신지체 연구회에 가입되어 있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17개교 중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비율을 고려하여 10개교를 선정하고, 선정한 10개교의 고등학교 직업담당 교사 1인에게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개발한 면담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구성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모두 기본적으로 협의회를 통하여 교사들의 공통적인 의견을 반영하고, 설문지를 통한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하여 교육과정 수립 시 참조하였다. 교육과정 내용 구성은 모든 공립학교에서는 교사의 역량으로 직업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고, 사립학교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과 과정별로 제재가 정해진 범위 안에서 구성하는 학교가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 운영방법 중 학생편성 방법은 절반정도의 공립 및 사립학교에서 능력을 고르게 나눈 학년·학급별로 운영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으나 세부적인 운영방법은 조금씩 상이하였다. 직업교과를 지도하는 방법은 모든 학교가 교실이나 특별실에서 이론과 실기 연습을 병행하고 있었다. 또한 교내실습은 공립 및 사립학교 10곳 모두 실시하고 있으나 실습학년은 각기 달랐으며,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실습 종류로는 공립학교에서는 급식도우미(식당보조), 용역에 포함되는 청소, 우유 및 우편물 배달 순이고 사립은 용역, 급식도우미 순이었다. 현장실습은 5개의 사립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그 중 4개교가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시작하였다. 현장실습 장소는 재단 내 시설과 복지관을 최대한 활용하였고, MD발송, 세탁, 조립, 포장, 마트이용하기와 같은 단순조립 및 현장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었다. 직업교과 담당교사 배정은 공립학교 및 사립학교 모두 학교 관리자가 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고등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교육 구성·운영방법의 바람직한 방향 중 직업교과 구성은 졸업 후 학생이 도달해야 할 위치를 예상하여 그에 맞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즉, 능력이 좋은 학생은 취업을, 능력이 좋지 않은 학생에게는 취업이 아닌 일상생활 및 자립생활훈련을 중점으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학교가 속해있는 지역사회를 분석하고, 지속적인 협의회를 통하여 학생에게 맞는 교육과정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편성 방법은 각 학생이 지닌 직업적인 능력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편성해야하며, 직업교육은 진로·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교사가 담당하고, 특수교사들의 열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특수학급 미설치 중학교의 통합교육 실제에 대한 교사 인식 : 서울 A 중학교의 사례

        김보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특수학급 미배치 사립중학교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첫해의 상황을 살펴보며 특수학급 미설치 중학교의 통합교육 운영에 대해 고찰하고 구체적인 지원방안 마련을 마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담임교사, 교과교사, 통합교육 업무담당자와 심층면담을 실시했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상위범주, 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통합교육에 대한 정보를 공식적인 루트를 통하여 사전 교육받고 임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검색, 다른 학교 업무담당자 등 각자 개인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찾고서 통합교육에 임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념에도 혼란을 미쳤으며 이는 이후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장애에 대한 이해에도 영향을 미쳐 교사별로 장애에 대한 이해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학생 개개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특수교육과 달리 학급 전체를 이끌어가는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중등교육의 특성상 교사는 수업 중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개별적으로 봐줄 수 없음에 미안해하고 안타까워하고 있었으며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의문을 가지기도 했다. 또한, 통합학급을 운영하며 수업 및 수업 외의 상황에서도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현장이 되는 학교에서는 통합교육의 업무를 비교과교사가 담당하고 있었는데 통합교육 업무를 굉장히 부담스러워하고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특수교사를 통한 업무적 지원도 형식적인 것에만 그치고 있었으며 비교과교사가 통합교육을 담당하게 되는 과정에서 관리자와 갈등도 존재했다. 셋째, 무엇보다도 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일반교과 교사들은 특수교사와의 협력을 원하고 있었다. 특히, 개별화 교육계획과 협력교수를 희망했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현장 연수를 목말라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학교급에 특수교사가 배치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특수학급 미배치교를 위한 교육청 주도의 연수 및 협의회가 필요하다. 둘째, 특수학급 미배치교의 현실을 반영하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제4조 1항의 수정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통합학급 담임교사에게 수업 시간 경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교원 법정의무교육 목록에 통합교육을 선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급이 있어야만 특수교사가 배치되는 것이 맞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급 미배치교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만들어지고 나아가 특수학급과 특수교사의 배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열리길 기대한다.

      •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로 통합학급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적용 및 요구가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생생하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 경력 5년 이상인 일반유아교사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 중에 있는 특수교육대학원생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자 또한 연구 일지를 통해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질적 연구 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았으며, 연구 결과의 해석이 왜곡되거나 오해되는 부분은 없는지 연구 참여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진실성을 확인받았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유아교육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에 관한 전문지식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수립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통합교육 초기에 일반유치원교사는 통합학급 교사로서 동등한 위치가 아니라 유아특수교사가 하는 대로 이끌려가거나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반자적 관계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 모두가 통합학급의 담임교사로서 장애유아뿐 아니라 일반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의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아교사는 통합초기에 학부모와의 상담에 소극적이었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들과 특수교육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였으며, 장애유아 학부모와의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일반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 학부모 상담 내용을 공유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공동체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유치원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연수가 이루어진 후 통합학급 교사가 되는 방안과 교사의 교직생애주기별 연수 및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통합교육 경력교사의 강사활용 방안 그리고 지역네트워크를 활용한 협력지원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식의 융합에 기반을 둔 통합교육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2명의 교사 이야기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통합학급 교사로서 또는 유아교사로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이 어떠한 변화의 힘을 이끌어내는지 간접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이야기는 통합학급 교사로 하여금 통합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는데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하며,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아특수교사의 장애영아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표준보육과정 수정 및 적용을 중심으로

        장미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성·운영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유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교육경력이 5년 이상 된 현 유아특수교사로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표준보육과정으로 편성·운영 한 경험이 있는 교사 7명이 최종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면담용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표준보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별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은 후 녹음을 하였고, 전자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의 질적 분석방법에 따라 부호화하고 범주화 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주제와 11개의 상위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장애영아의 장애유형과 특성, 흥미도, 부모의 요구, 일반영아발달단계 등을 참고하여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연수의 기회가 없어서 잘 모르거나 장애영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장애영아의 다양성과 독특성, 교재교구 수정, 적합한 내용 선정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 소요 등으로 인해 활용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표준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영아 평가 기준이 없어서 운영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수업 외에 과도한 업무로 인해 수업에 대한 연구시간이 부족하고 기관에 장애영아반 편성이 대부분 한 학급으로 이루어져 교사 혼자 감당할 책임이 크고 운영의 어려움을 상의할 대상이 없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넷째, 실제 양육경험, 장애유아 교육경험이 장애영아를 교육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표준보육과정을 장애영아 교육과정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행에 어려움을 개선하여 표준보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성·운영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유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교육경력이 5년 이상 된 현 유아특수교사로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표준보육과정으로 편성·운영 한 경험이 있는 교사 7명이 최종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면담용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표준보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별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은 후 녹음을 하였고, 전자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의 질적 분석방법에 따라 부호화하고 범주화 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주제와 11개의 상위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장애영아의 장애유형과 특성, 흥미도, 부모의 요구, 일반영아발달단계 등을 참고하여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연수의 기회가 없어서 잘 모르거나 장애영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장애영아의 다양성과 독특성, 교재교구 수정, 적합한 내용 선정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 소요 등으로 인해 활용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표준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영아 평가 기준이 없어서 운영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수업 외에 과도한 업무로 인해 수업에 대한 연구시간이 부족하고 기관에 장애영아반 편성이 대부분 한 학급으로 이루어져 교사 혼자 감당할 책임이 크고 운영의 어려움을 상의할 대상이 없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넷째, 실제 양육경험, 장애유아 교육경험이 장애영아를 교육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표준보육과정을 장애영아 교육과정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장애영아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행에 어려움을 개선하여 표준보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 있다.

      • 통합교육에 대한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연구

        남민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 있는 태도를 보이는가를 밝히고, 이를 통해 공립초등학교 뿐만 아니라 사립초등학교에서도 특수교육, 특히 통합 교육에 더욱 관심과 실질적인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사립초등학교 교사는 통합교육의 하위 영역별 질문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와 성별, 교육 경력, 특수아동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유무에 따라 통합교육에 어떤 태도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 보았다. 지도교수의 협의 후 수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선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특수학교를 제외한 서울특별시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만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320부를 배포하여 30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 중 손상되었거나 매우 성의 없이 답한 9부를 제외한 공립 159부, 사립 136부를 합하여 총 295부를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립학교 교사들은 통합교육 시 장애 아동들이 교과 활동에서의 학업 성취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데 다소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일반아동이 교과 학습 면에서 장애 아동에게 도움을 주는 측면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으며, 보조교사의 활용에서는 공·사립 교사 모두 그 필요성을 매우 높게 제시하였다. 둘째, 공·사립 교사 모두 통합교육을 함으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장애 아동들도 생활 태도가 더욱 바람직하게 발전할 수 있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다. 또한 특수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 젊은 교사일수록 아동들의 생활 태도 변화에 더욱 동의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환경 부분에서 공·사립교사의 관심은 특수 교육에 대한 교육 정책의 강화, 적정 학급당 인원 수, 교육 재정 확보, 교육 환경 개선에 있다. 또한 교사의 장애 아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필요성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사립학교 교사가 오히려 공립 교사보다 교사의 태도를 우선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완전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 높게 반응하였다. 또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현행처럼 특수학급을 운영하여 절충하는 특수교육보다는 완전통합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공·사립 교사는 초등특수교육에 대해 적극 찬성하고, 통합교육 실시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평소 통합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특수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공립의 교사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통합 교육에 관심 정도에서는 남자 교사가, 통합 교육 실시의 찬성에 관해서는 비교적 젊은 교사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 자신의 학급에 장애 아동을 교육시킬 수 있다는 질문에서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적극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립에 비해 공립 교사가 더욱 통합 교육 연수가 있다면 꼭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사립이 공립에 비해 교외 연수 활동에 소극적인 현상에서 기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의 결론이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사립 초등 교사들도 공립 교사에 비해 통합 교육에 대해 결코 관심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사립에서도 교육 환경과 여건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특수교사와 함께 통합교육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사립 교사들은 아직도 통합교육을 위한 국가적 관심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일회성에 그치는 단순한 관심과 지원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통합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투자만이 특수교육의 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 또한, 통합교육을 위해 보조교사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는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연수 및 장애 아동을 경험했을 때 훨씬 높아 질 수 있다. 보다 활성화되고, 계획적인 연수와 이에 참여시키기 위한 유인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특히 사립교사의 연수 및 특수 아동 경험 기회가 더욱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point out the degree interests shown by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purpose of serving as basic material that may derive greater attention by teachers towards integrated education, while stressing the necessity for substantial support not only in public schools but also in private schools as well. In oth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study focussed on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sex, teaching experiences, experiences in teaching disabled children and experience in attending programs designed for teaching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difference in attitude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in reaction to the questions given to them that deal with sub-related domain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possibility of academic improvement of disabled students when integrated with normal students. However, teachers agreed that disabled students would receive academic assistance from the normal students.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strong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utilizing help from supporting teachers. second,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believe that the attitudes of normal students toward disabled students could change in a positive way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Third,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are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reinforcement plans of educational policies relate to special education, the conditions of class size in relation to guranteeing a reasonabl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ecuring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needs for improvement i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having true awareness of the situation and needs of disabled students was also pointed out as an essencial factor in carrying out integrated education. A noticeable fact is that more private school teachers pointed out the teacher's attitude as a priority condition in integrated education. Privat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response in questions realted inclus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urth, most of the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trongly agree in the need for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system.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and have had continuous interest. Public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ining programs showed higher response in the necessity for special education. Male teachers showed more interest in integrated education compared to female teachers. Younger teachers and those who have had training experiences agreed stronger in the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n whether the teacher is willing to have a disabled student in his or her class, more teachers who have had training experiences showed positive response compared to those who lack such experience. By overlooking such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First of all, private school teachers are not less interested in integrated education when compared with public school teachers. This suggests that with 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existence of integrated education in private schools is possible along with the hel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till believe that national interest an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insufficient. Third, The attention and interest teachers have towards integrated education could be greatly enhanced through training programs and by providing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have direct contact with disable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