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루쉰의 신흥 목판화운동에 나타난 디자인관에 관한 연구

        유이소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03

        Lu Xun (1881-1936) was a well-known writer, thinker, and educator during China's enlightenment and development period. Moreover, Lu Xun is not only mad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literature but also left a distinctive footprint in the field of design, which significantly impacted the history of Chinese art. When Lu Xun was studying in Japan, he realized that the problem of Chinese people was not physical fitness but the lack of independent personality. Therefore, he started his literary enlightenment after returning to China. After experiencing the Revolution of 1911,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May 4th Movement, which were revolutionary events in the old and new cultures alternated sharply, Lu Xun gradually found his ideological values. These thoughts and values formed the future enlightenment thought, the thought of equality, the thought of individual self-reliance, and the thought of integrating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He tried to help the Chinese people to build themselves and establish correct values. While absorbing advanced Western ideas, Lu Xun also noticed the critical revolutionary consciousness of enlightenment and resistance brought by the creation of prints in the West. Thus, he introduced western prints into China and launched a modern woodcut movement. He founded China's first woodcut workshop in Shanghai in 1931, a symbolic starting point for China's modern woodcut movement.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al Chinese woodcut and the absorption of the advantages of Western woodcut, He formed a modern woodcut movement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Under the promotion of Lu Xun, the emerging woodcut quickly formed an artistic revolutionary front in China. In developing the modern woodcut movement, Lu Xun used his ideas and ideas to beau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He differentiated the modern woodcut from traditional Chinese woodcut and Western-created woodcut. Emphasizing the reality and integrity of woodcut leads to an art form that serves the public as its core group. As China's education was hindered by war and social factors, the number of illiterates in China increased sharply, and the enlightenment of literature was no longer the only way for China's reform. Coupled with the influence of Cai Yuanpei's aesthetic education thought, Lu Xun began to find the answer to China's development in art. Later, when he came into contact with Kaysik Lewitz and Soviet prints, Lu Xun discovered that new woodblock prints could shoulder the task of enlightening the Chinese public on a large scale, thereby promoting the democratization of art. Moreover, his modeling concept advocates the sublimation of personality through art, enlightening the public to establish correct values. Modern woodcut, as the new media needed by China, also confirmed Lu Xun's design concept of emphasizing the utilitarian nature of art.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Chinese design had fallen behind.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a, the modern woodcut movement led by Lu Xun successfully integrated Eastern and Western art to form an inherent Chinese art medium. Therefore, his design concept in the modern woodcut movement has a high research value. Today, the study of Lu Xun's literary field is still very active. However, the exploration of his design concept has yet to receive a due evaluation. This research evaluates the modern woodcut through the background of Lu Xun's growth, the ideologic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eastern and western social environments during his activities, and his communication with modern woodcut artists in the modern woodcut movement. In addition, based on Lu Xun's artistic evaluation and related references to Kathe Kollwitz and Soviet prints, combined with Lu Xun's though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oodcut as a new mass media, this research summarizes two inherent design concepts. One is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other is the essence of Chinese design. Popularization of art includes art enlightenment, art democratization, and the common interests of art. The essence of Chinese design involves establishing Chinese identity, modernizing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and improving the irrationality of social structures. As an important symbol of Chinese society in the process of China's modernization, Lu Xun devoted his whole life to advancing Chinese public thought. The modern woodcut movement also reflects that he was a figure who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and culture and led the diversification of literature and art. Although China's modern design lagged in internationalization, modernization vitalized the world's modern design concepts. Lu Xun's design concept is the thought that leads the world trend. Therefore, through the multi-faceted analysis of his design concept, we can understand the spiritual origin of the modern Chinese design concept. 루쉰(1881-1936)은 중국의 계몽 발전 시기의 저명한 문학가, 사상가, 교육자이다. 루쉰은 문학 영역에서 성과를 거두었을 뿐 아니라 디자인 분야에서도 뚜렷한 발자취를 남기어 중국 예술사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루쉰은 일본 유학시절 중국인들의 문제가 결코 신체적인 부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 인격 결여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귀국 후 문학 계몽의 길에 올랐다. 신해혁명, 신문화 운동, 5·4운동과 같이 신구(新舊) 문화가 급격히 교체되는 혁명을 거친 후 루쉰은 자신의 사상과 가치관을 찾아가며 계몽사상, 평등사상, 개인의 자립 사상, 동서양 문화 융합사상을 형성해 중국 국민들이 자아를 찾고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루쉰은 서양의 선진 사상을 흡수하는 동시에 서양 창작 판화의 계몽적, 반항적인 혁명정신에 주목했다. 그리하여 서양의 창작 판화를 중국으로 도입 시켜 신흥 목판화운동을 이끌었다. 1931년 중국 상해에서 중국의 첫 번째 목각 강습회(木刻講習會)를 열었는데 이는 중국 신흥 목판화운동의 상징적인 출발점이었다. 루쉰은 중국의 전통 판화를 계승하고 서양 판화의 장점을 흡수하며 중국 특색의 신흥 목판화운동을 형성했다. 신흥 목판화는 루쉰의 지도 아래 순식간에 중국 국내의 예술 혁명을 일으켰다. 신흥 목판화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루쉰은 자신의 “만물” “자기인식(思理)” “미화” 미학적 특성을 이용하며 신흥 목판화와 중국의 전통 판화, 서양 창작 판화를 구분했고 목판화의 사실성과 총체성을 중시하며 대중 중심의 예술 형식을 이끌었다. 중국 교육이 전쟁과 사회적 문제의 영향을 받아 중국 내 문맹의 수가 급증했기에 문학 계몽은 중국 개혁의 유일한 방법이 되지 못했다. 게다가 채원배(蔡元培)의 미육사상(美育思想)의 영향으로 루쉰은 예술 영역에서 중국 발전의 해답을 찾기 시작했다. 그 뒤로 케테 콜비츠(Kathe Kollwitz)와 소련 판화를 접하며 루쉰은 신흥 목판화가 중국 국민의 대규모 계몽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예술의 민주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루쉰의 조형관은 마침 예술로 인격을 승화시켜 대중들의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자는 주의였다. 신흥 목판화는 중국에 필요한 신매체로서 루쉰이 강조한 예술의 공리적 디자인관을 증명했다.  중국 디자인은 세계화 과정에서 다소 뒤처진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근대 중국의 발전 과정 속에서 루쉰이 이끌었던 신흥 목판화운동은 동서양 문화를 융합하여 중국 고유의 예술 매체를 탄생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렇기 때문에 신흥 목판화운동 과정에서의 루쉰의 디자인관은 연구 가치가 매우 높다. 지금까지도 루쉰의 문학 영역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그러나 루쉰의 디자인관 탐구는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본문에서는 루쉰의 성장 배경을 살펴보며 그가 활동했던 시기의 동서양 사회환경이 어떤 사상적 변화를 가져왔는지, 루쉰이 신흥 목판화운동에서 목각가들과 어떤 교류가 있었는지를 통해 신흥 목판화 작품을 평가한다. 또한 케테 콜비츠와 소련 판화에 대한 루쉰의 예술적 평가와 관련 참고 문헌을 기초로 루쉰의 사상과 대중 매체로서의 신흥 목판화의 특성을 결합하여 두 가지 고유의 디자인관으로 종합했다. 첫 번째는 예술의 대중화 사상이고 두 번째는 중국 디자인의 정체성이다. 첫 번째 예술의 대중화는 예술을 통한 민중 계몽, 예술의 민주화, 예술의 공리성을 포함한다. 두 번째 중국 디자인의 정체성은 중국적 아이덴티티(identity) 확립, 중국 전통 요소의 현대화, 사회구조의 불합리성 개선이 포함돼 있다. 루쉰은 중국 근대화 과정 속 중국 사회의 중요한 상징적 인물로, 그는 한 평생 중국 국민들의 사상을 발전시키는데 힘써왔다. 신흥 목판화운동은 루쉰이 동서양 문화의 융합을 중시하고 문학과 예술의 다원화를 이끈 인물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현대 중국 디자인은 국제화 과정에서 낙후성을 보이고 있지만 근대화 시기에는 세계 현대적 개념의 디자인이 활성화시켰고 루쉰의 디자인관이 바로 세계적인 흐름을 선도하는 사상이다. 따라서 루쉰의 디자인관을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현대적 개념의 중국 디자인의 정신적 뿌리를 이해와 의의를 발견하였다.

      •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웨딩 공간의 플라워 디자인 연출에 대한 연구 : 인터랙티브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김민경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소비문화의 고급화와 감성화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가 다양해지고 있는 흐름 속에서 웨딩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들 또한 이에 걸 맞은 개성과 차이점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웨딩 공간의 플라워 디자 인 연출의 흐름 또한 과거의 획일화된 플라워 장식만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웨딩 공간 연출로서 개개인의 요구와 감성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것이 최근 의 경향이다. 그 중 기술 발전과 함께 문화·예술적 차원에서 지향되는 예 술로서 뉴미디어 아트가 대두되어지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는 기술의 발전과 예술의 창의성을 결합하여 현대 예술을 혁신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예술의 경계를 넘어 관객과 예술가 및 기술과 사회 간의 연결을 강화하며, 예술의 본래의 목적을 새롭 게 정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뉴미디어 아트는 현대 예술의 새로운 시 대에 발맞춰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예술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 는 혁명적인 예술 형태로 떠오르고 있다. 뉴미디어는 최근 멀티미디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로서 과거의 매 스 미디어와 영화 등에 의해 주도되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쌍 방향적인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를 예술적 표현을 위한 기술적 도구로서 활용하 는 뉴미디어 아트는 역동적인 예술의 분야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그 중 뉴미디어 아트를 대중들에게 깊게 각인되며 관심을 끌 수 있게 하는 가 장 대표적인 특성이 상호작용이다. 뉴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은 그 하위 분야 중 하나인 인터랙티브 아트와 많은 유사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 관객과의 상호작 용과 참여,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예술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현대 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표현하 는 중요한 분야로서 대두되고 있다. 웨딩 공간 연출에 있어서도 이에 따라 젊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새로운 웨딩의 유형을 만들어 내고, 웨딩 공간에 다양한 기술적 연 출 요소를 도입하며 웨딩의 유행 또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즉, 현대의 웨 딩 플라워 디자인 연출은 공간 장식으로서 자연의 식물만을 주체로 사용하 는 것을 넘어, 다양한 소재 사용의 시도와 기술과의 융합으로 더욱 조형적 이고 디자인적인 표현의 확대로 연출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있어 인생의 중요한 순간 중 하나인 ‘결혼’이 이루어지는 웨딩 공간은 상업 공간의 일시성적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화훼 연출의 공간이 더욱 인상 깊고 차별화된 기억의 장소로서 남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웨딩 공간을 상업적이고 일시성적 성격의 공간이 아닌 트렌드 변화와 흐 름에 맞는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플라워 디자인 연출의 공간으로써 공간 과 상호소통을 한다면, 기존과는 다른 차별성을 가지며 진정한 웨딩의 의미 와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춤화된 새로운 연출로서 발전할 수 있다. In the recent trend of diversifying people's lifestyles and trends due to the high-end and sensitivity of consumption culture, users who use wedding spaces are also demanding individuality and differences. Accordingly, the flow of flower design direction in wedding spaces is also a recent trend to design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and emotions as a future-oriented wedding space direction rather than a uniform flower decoration of the past. Among them, new media art is emerging as an art aimed at the cultural and artistic level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New media art plays a role in innovating and expanding contemporary art by combining technological advances and art creativity. This reinforc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dience, artists, technology, and society beyond the boundaries of art, and re-established the original purpose of art. In this way, new media art presents the direction of art in line with the new era of modern art, and is emerging as a revolutionary art form that is opening the future of art. Recently, as a new type of media such as multimedia, new media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enables interactive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a one-sided communication environment led by the mass media and movies in the past. New media art using such new media as a technical tool for artistic expression is constantly developing into a dynamic field of art. Among them, interac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that makes new media art deeply imprinted and interested in the public. The interaction of new media art has many similar relationships with interactive art, one of its sub-fields. They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with audiences, and provide new art experiences that cros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and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field for expressing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of modern art. In the direction of wedding space,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young consumers, a new type of wedding is created, various technical directing elements are introduced into the wedding space, and the trend of wedding is also changing. In other words, modern wedding flower design direction is expanding the scope of production by expanding more formative and design expressions through attempts to use various materials and convergence with technology, beyond using only natural plants as the subject of spatial decoration. The wedding space, where "marriage," one of the important moments in life for consumers, takes place, wants the space for flower production to remain a more impressive and differentiated place of memory, despite having a temporary nature of a commercial space. Accordingly, if the wedding space is communicated with the space as a space for flower design production using new media art that fits trends and trends rather than a commercial and temporary space, it can be developed as a new production tailored to the meaning of true wedding and consumers' tastes.

      • 대학가 노후주택을 활용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김효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대학가 노후주택을 활용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한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저출산, 인구 고령화, 비혼 등의 영향으로 오 늘날의 1인 가구는 가장 상승률이 높은 인구 유형으로 자리 잡았지만 최근 집값 인상 가속화로 1인 가구들에게 주거에 대한 고민은 늘어갔다. 정부는 이러한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거비 부담은 줄여주되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주택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반영된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1인 가구는 학교 또는 직장 때문에 자연스럽게 살아가게 되는 이유도 있지만, 혼자만의 라이프 스타일 을 추구하며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선택한 경 우도 늘어가고 있다. 사회적으로 청년층에 해당하는 1인 가구들은 현대 주 거 트렌드가 반영된 신축 건물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지만 부담스러운 주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 증가하는 1인 가구들에게 현실적인 경제 상 황을 고려한 다양한 주거 환경을 제안하여 그들의 주거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 대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의 범위는 1인 가구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거지역인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하여 그들을 주거 문제의 대안을 제시한다. 대학가 주변에 방치되어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함으로써 1 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높이고 주변 거리 환경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또한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지키되 사회적 인격체 로 살아가기 위한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공유공간의 유형인 코하우징 특성을 도입하여 노후 주택에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노후주택의 구조적 특징을 조사하고 코하우징에서 도출된 특성을 결합하여 노후주택에 적용할 코하우징 디자인 을 적용시켜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디자인을 제시한다. 제시한 디자인은 1 인 가구에게 환경적·사회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목표한다. 환경적으로 개선 된 개인의 주거 공간은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상승하게 하고, 사회적으 로는 고립되지 않도록 공동체 생활을 통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이 연구는 대학가 주변에 방치되고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하여 1인 가구들 을 위한 코하우징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코하우징 특성이 반영된 공간 활성 화를 통해 1인 가구들의 주거 환경 개선과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을 도모하 는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대학가 노후주택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제어 : 노후주택, 공유공간, 코하우징, 1인가구, 주거공간 Along with Korea's economic growth,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come one of the fastest growing demographic groups due to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and singlehood. However, the rapid increase in housing prices in recent years has caused many single-person households to worry about housing. In response to this demographic trend,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housing policies to ease the burden of housing costs and provide a stable liv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alistic alternatives. Recent trends show that whil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 natural consequence of education or work, a growing number of people voluntarily choose to live alone to pursue their own lifestyles and protect their personal privacy. The younger gener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ek the lifestyle of new construction, which reflects modern housing trends, but cannot afford the high cost of housing. There is a need for housing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proposing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realistic economic situation.The scop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housing problem by utilizing old houses around university districts, which are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area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utilizing the neglected old houses around the university area, this research aims to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mprove the surrounding street environment. In addition,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esearcher proposes a design applied to old houses by adop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a shared house, to alleviate the loneliness of living as a social person while protecting personal privacy.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ld houses, focusing on the university area. It presents a hous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combining the features derived from cohousing and applying a cohousing design to old houses.The proposed design aims to have an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on single-person households. Environmentally, the improved personal living space will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ly, it will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community living to avoid isolation. This study proposes a cohous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abandoned old houses around a university town. By proposing a design that improves the living environ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motes active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space revitalization that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using old houses in university areas. Keywords: Old house, Shared house, Cohousing, Single household, Living space

      • 카를로 스카르파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시공 디테일 특성에 대한 연구

        강병윤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Carlo Scarpa is an Italian regionalism architect, who had worked since 1920s. While then architectural trend was mainly led by rationalism focused on functional and technical aspects, Scarpa built his own formative world with designs and materials that reflected the region of Venice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His architectures included multi-cultural factors and expressions of regionalism that reflected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Venice, and artisan technique from the experiences of glass art. Based on those, his designs had the detailed expressions to build his own area of art. He continued to complete his own design philosophy by reflecting the influences from Frank Lloyd Wright and interests in Japanese culture via exhibitions with various artists and space designs and architectures. The delicate details close to craftwork that reflects those original design characteristics were alienated from the architects and critics of the times. Later,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of the originality and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nduce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from the viewpoint of interior design focusing on his architectures' interior spaces, and analyze cases to make a comprehensive conclusions as well as seeking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modern wor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etails in stairs and stabs which are shown upward are expressed by having spaces between stairs or putting in a slim support or a pole under the lifted slab. He also used various expressions with various methods of details such as expressing the flotation of the slab or the stairs by hanging on the wall or the ceiling via integrated step boards and handrails by banding steel materials. He used the appropriat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to express the flotation via visual lightness of the materials or the spaces between them, which allowed him to express the details of the design. Secondly, he used details for separation and segmentation of boundaries mainly to stress the differences. Using different materials on the joints where different materials meet together, and expressing separations and segmentations, he adopted the design of a framed metal molding or a steel plate on the outer side or stressed the design with different levels in detail. Thirdly, as per the joint details for doors and space factors, he made the design so that the door can be recognized as a part of the space to make an object of the space factors of the wall, the open part or the door, or, so that people can feel the object when they open and close the door by using fixed joints and hinged joints on the wall or the pole that contain equipment, etc. inside. Fourthly, as for the details to express orientalism, he mostly adopted the linkage of a circular form, or a pair form to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oriental Eum-Yang(Yin-Yang) philosophy. He also used a grid pattern on a Japanese style window using a curved wooden frame to express the orientalism. In addition, he also made a design that applied geological mosaic patterns on the wall and ceiling to express the feeling that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pace. These characteristics showed how he designed and worked with details via the analyses of the pictures and sketches. The analysis results are reflected to the artistic details of the Carlo Scarpa school these days, too.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that could help design works. As such, I hope this study may help his details to assist the designs and works in the Korean interior designs and architectures. Scarpa's artistic details are used still nowadays via these study results and I expect work details with reinterpretations of Scarpa's detail characteristics may be variously applied to interior spaces.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1920년대부터 활동한 이탈리아 지역주의 건축가이다. 동시대의 건축 성향은 기능적,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한 합리주의 경향의 건축이 주류였다면, 그의 디자인은 베니스라는 지역과 역사,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재료 사용과 디자인으로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건축은 베니스의 도시적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적 요소와 지역성의 표현, 유리공예를 경험한 장인 기술을 토대로 표현한 디자인이 나타난 디테일로 그만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였다. 그는 여러 작가들의 전시와 공간디자인, 건축을 통하여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영향, 일본 문화에 관심 등을 디자인에 반영,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완성해 나갔다. 이런 독자적인 디자인 특성이 반영된 공예에 가까운 섬세한 디테일은 동시대의 건축가와 비평가들로부터 소외되었지만, 후에 독자성을 인정받아 많은 건축가와 실내 디자이너들의 주목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의 건축의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실내 디자인 관점의 시공 디테일 특성을 도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여 현대시대에서 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계단과 슬라브 등의 부유성의 디테일은 계단과 계단 사이 틈을 띄워서 표현하거나 슬라브를 들어 올리면서 하부에 얇은 지지대나 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철재를 밴딩, 디딤판과 난간을 일체화 해서 벽이나 천정에 매다는 방식을 사용, 부유성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디테일로 시공해서 표현하게 하였다. 그는 이렇게 적절한 재료의 물성을 이용하여 틈의 이격이나 재료가 가지는 시각적인 가벼움을 통해 부유성을 표현, 디테일을 시공하게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재료 경계의 분리와 분절을 위한 디테일은 차이를 강조하는데 많이 사용하였다. 매스들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에 다른 재료의 사용과 분리와 분절로 표현하면서 외곽의 프레임 금속 몰딩이나 철판으로 디자인하거나 레벨을 다르게 디자인한 디테일로 강조를 하는 시공을 하게 디자인하였다. 세 번째, 도어와 공간 요소의 재료 조인트 디테일로는 공간 요소인 벽 또는 개구부나 도어를 오브제화하기 위해 도어가 공간의 일부로 인식되거나 설비 등이 내장된 벽체나 기둥을 고정된 조인트, 힌지드 조인트를 사용하여 개폐했을 때, 오브제같이 느껴지게 디자인, 시공을 하게 하였다. 네 번째, 기하학, 동양 사상을 표현한 디테일로는 주로 동양의 음양 사상의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원형의 연결이나 쌍구조의 사용으로 동양성을 표현하였다. 곡선의 목재 프레임을 이용한 일본풍의 창에 격자 패턴을 사용, 동양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수 공간에 반사된 빛이 반영된 것 같은 느낌의 모자이크의 기하학적 패턴을 벽체와 천정에 적용시킨 디테일로 시공하게 디자인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특성들은 분석에서 사진과 스케치를 통하여 그가 어떤 방식으로 디테일을 디자인, 시공을 하게 했는지를 알게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이 반영된 카를로 스카르파의 장인적 디테일은 오늘날에도 나타나고 있으나, 시공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들이 많지 않았기에 이 연구를 통해서 향후 국내 실내디자인이나 건축에서 그의 디테일이 디자인뿐만 아니라 시공에도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스카르파의 장인적 디테일이 오늘날에도 나타나고 있고, 그의 디테일 특성을 재해석한 시공 디테일이 실내공간에 다양하게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마을재생 프로젝트를 위한 마을브랜드의 디자인가이드 제안 : 광주 “발산창조문화마을” 조성사업 중심으로

        채주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Entering the 2000s, urban redevelopment resulted in local polarization and a sense of alienation among some citizens. As a result, the community of residents started to collapse with some residents escaping from the community as a side effec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ment in which residents take the lead in the revitalization of their village; and thus, solve these problems. Village regeneration creates an urban space where the tradition, interest, and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and art become alive through culture-oriented development and seeks after a development strategy to ensure coexistence between man and nature and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hus, improving the civic consciousness and cultural level of residents and bringing many positive effects through the advanced activation of local economy. Witnessing these effects in village regeneration, local governments started to competitively introduce the concept of village regeneration. Riding this wave,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area has become a core means of local development strategies. Furthermore, place marketing strategies, which make use of place brands as part of local cultural resources, have settled down as a major means of local revitalization strategy. The place brand of a village, which is a medium to show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and also the lives of its residents, can play important roles to promote the identity and image of the village. Customer needs are created with visual designs and brand elements to embody the local image to differentiate the village from other areas. This trend has evolved into local brands and strategies, seeking the brand of a local ima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investigator, who participated as the head designer of village brand in "Creative Cultural village of Balsan, which was part of Creative Economy-Based Local Revitalization Project in Balsan village, Seo-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dopting a designer's perspective, the investigator identified problems with the process of designing a village brand for village regeneration and searched for their solutions. The investigator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s of concepts and previous studies to find a theoretical direction. For village regeneration, the core elements were identified which would be essential to building a village whose top priorities were the lives of residents and the restoration of their community. For a village brand that was a means of village regeneration, the components of the biggest potential valu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village resources. A design guide was created to embody an integrated and consistent design across various areas to symbolize these components. Finally, the design guide for village brands was used to assess the "Balsan-Changjo-Munhwa-Mauel" (Creative Cultural village of Balsan) by finding out the shortcomings of the design products and the problems with the design process. These evaluation results and research findings can help to devise a design guide for village brands; and thus, promote smooth communication through systematic designs. They will also help to present the purports of design planning for village brands in a consistent direction and make a contribution to successful village regeneration. 2000년대 들어서는 도시 재개발에 의한 지역 양극화와 일부 소외감을 느끼는 시민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로 주민공동체가 붕괴되고 주민이탈 현상에 이르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을 중심으로 마을을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마을재생은 문화 지향적 개발로 전통과 관심, 유무형의 문화 예술이 살아 숨 쉬는 도시 공간을 창출하고 자연과 인간, 현대와 과거가 함께 공존하는 개발전략을 추구함으로 주민의 시민의식과 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며 지역경제 활성화의 발전으로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켜왔다. 이러한 효과를 본 기초자치단체에서 마을재생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각 지역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는 지역개발전략의 핵심적 수단이 되었다. 더불어 지역의 문화자원이라는 장소 브랜드를 활용한 장소 마케팅 전략이 지역 활성화 전략의 주요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마을의 역사, 문화와 주민의 삶을 보여주는 매개체인 마을의 장소 브랜드는 마을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이 될 수 있다. 다른 지역과의 차별화하기 위해 지역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시각적 디자인과 브랜드 요소를 통해 고객의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지역 브랜드와 전략으로 발전하여 지역의 이미지를 브랜드화를 추구함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 서구 발산마을 일대에서 이루어진 창조경제형 지역 활성화 사업의 “발산창조문화마을”의 마을브랜드 총괄 디자이너로 참여한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마을재생을 위한 마을브랜드 디자인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방안은 먼저, 개념의 정의와 선행조사를 통한 이론적 방향을 파악하였다. 마을 재생은 주민의 삶과 공동체 회복을 우선으로 두는 마을을 만드는 데 필요한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마을재생을 이루기 위한 수단인 마을브랜드는 마을의 자원을 바탕으로 잠재력이 가장 큰 가치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구성요소를 상징화하는 다양한 영역의 디자인을 통합적이고 일관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는 디자인가이드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발산창조문화마을”을 마을브랜드의 디자인가이드에 대입하여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미흡함과 디자인 과정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평가하려고 한다. 평가를 통한 연구의 결과로 마을브랜드의 디자인가이드를 통해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원활한 소통구조 역할을 기대한다. 그리고 마을브랜드 디자인 기획의 수립취지를 일관성이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여 성공적인 마을재생을 할 수 있는 역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수변공간의 경관조명 디자인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 진주시 남강을 중심으로

        서영상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의 빛은 도시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 되고 있으며, 도시의 어둠을 밝히고 현대인들의 안전과 쾌적한 문화생활을 영위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낮에 볼 수 없었던 경관을 빛으로 새롭고 아름답게 야간경관을 형성하여 공간을 활용한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도심에서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빛은 더 나아가 도시를 구성하는 물리적 구성의 건축, 공간과 현대인들의 유기적 활동 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며,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빛으로 표출된 도시는 현대인들에게 자긍심과 어미너티를 제공하고, 방문자에게는 의미 있는 장소와 공간으로 분류되며, 도시에서의 인공적인 빛은 안전성을 고려한 기능적 역할에서 경관을 중시한 디자인 연출로 확장됨에 따라 전국을 중심으로 야간경관조명이 급속도로 발전되어 갔다. 그 주요 경관조명 대상지로는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도시기반설 교량, 녹지 중심의 공원, 건축물 등 다양하게 분포되며 나타나게 되었고 이러한 빛은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도시 야간경관의 부흥과 발전을 위한 정책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무분별한 빛의 사용으로 도시의 빛공해를 유발하고 있어 공간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도시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조명 디자인 계획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수변공간에서의 야간경관조명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경쟁력 있는 남강 수변의 정체성 기반의 장소성을 확립하고 수변공간의 장소적 측면과 야간경관에 대한 기본 본질을 바탕으로 현대인들에게 경관적 시각의 관점에서 벗어난 다양한 경험과 아름다운 자연의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경관조명 디자인을 개발하여 남강의 개선된 야간경관을 제공하고 올바른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여 수변공간의 경관조명 디자인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규정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 하였다. 2장에서는 수변공간의 정의와 기능적 특성에 대하여 규명하였고 시대적 변화와 계획 요소를 통한 수변공간의 역할을 도출하여 미래의 수변공간에 대한 가치와 비전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문헌적 측면과 연구자의 실무적 측면을 고려하여 빛과 경관조명 역할과 가치에 대하여 규명하였고 3가지 디자인 연출 특성을 도출하였다. 수변공간 국내와 해외 12개소 연출사례 대상지를 통하여 중요 요소 구분과 4가지 경관조명 연출 요소로 유형화 분류를 통한 장소성의 표현양상에 따른 변화를 수변공간 디자인 기본계획의 연구에 적용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이론과 결론을 적용한 수변공간의 경관조명 디자인 안을 제시한다. 남강 수변만의 상징적인 3가지 특화된 기본계획 연출 디자인을 정립하여 남강 수변공간 경관조명 디자인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정립된 연구 이론과 검증 결과를 재정리하고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며 연구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3가지 수변공간 경관조명 디자인 연출 특성을 계획한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이 반영된 빛의 상징적 모뉴먼트를 개발하여 수변공간에서의 새로운 장소성을 구축해야 한다. ‘장소가 가지는 본질’의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여 장소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디자인 컨셉과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공간을 빛의 모뉴먼트를 개발하여 시각적으로 제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이를 통하여 남강 수변 본질의 자연의 정체성과 역사 발자취를 통한 기품있는 장소성의 거점을 확보하여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제공하고 역사경관의 특화된 장소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사용자의 참여와 경험을 유도하는 실감형 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남강 수변을 사용하는 모든 이들에게 참여와 경험을 유도하고 장소에서 소통을 중시하는 개개인의 가치를 강화하고 혁신적인 디자인과 예술·문화, 그리고 빛과 기술이 접목된 인터렉티브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축제 개념의 공간들로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남강의 자연과 역사의 본질·의미와 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하여 야간의 네트워크 연결성 강화 및 지속 가능한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남강 수변의 연속적 선형과 공간의 입체적 윤곽을 드러내어 아름답고 통일성 있는 심미적 경관을 제공해야 한다. 남강 수변은 개방된 공간의 확장성이 우수한 자연경관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칼라의 화려하고 동적인 빛의 색보다는 정적이고 단아한 금빛의 색을 반영하여 자연과 역사건조물, 도시기반시설이 하나 되어 통일성 있는 남강 수변의 연속적 경관의 거점을 구축한 변화되는 자연의 심미성 수변 경관을 확립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남강 수변에서 빛과 경관조명이 지닌 가치와 장소적 고취는 새로운 문화로서 사회·문화적 가치와 활용성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국제도시조명연맹(Light Urban Community International, LUCI 루시) 정회원 도시로서 조명 분야의 세계적인 도시들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하여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관광마케팅 요소로서 도시와 국가의 경쟁력은 강화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진주 남강은 상징적인 도시 브랜드 가치를 확립하여 새로운 장소성의 재창출이라는 글로벌 관광명소로서의 인프라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수변공간의 경관조명 디자인 기본계획 개발에 대하여 세분화 된 분석 데이터 부족과 주관적인 사견으로 분석되어 객관성이 부족한 것을 감안 한다면 향후 에는 빛 전문가 인터뷰와 다양한 설문 조사를 통한 검증 과정을 거쳐 객관성 있는 체계적인 연구 결론에 도달하지 않을까 사료된다. 앞으로 수변공간의 경관조명 연구에 있어서 조금 이나마 연구 방향의 자료적 역할과 미래의 야간경관 모색에 방향성을 찾아 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둔다. In the world we live in, light in cities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instance, it plays a substantial role in highlighting the poetry of darkness and illuminating areas for safe and pleasant nighttime activities,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the realm of modern existence. It also creates new and beautiful sceneries that are unseen during the day which in turn offer a variety of nighttime experiences. These experiences extend further to the physical composition of the city, the space, and the behavior of modern existenc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city’s identity. Because a well-lit city is a source of beauty, pride and considered beneficial for tourism, artificial lighting in cities has evolved from its primary function of providing safety to landscape-oriented beautification around the country. Landscape lighting targets often include a variety of spaces and infrastructure such as bridges, parks, and buildings with waterfront spaces. Although policies aimed at reviving and developing the city’s night view have developed over the years, light pollution resulting from the improper usage/design of light has increased in cities; thi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light design plans that are able to reveal the city’s identity and distinctive features of a space while at the same time avoiding the adverse effects of improper lighting(i.e., light pollution) Given the importance of night view lighting in urban waterfront spaces,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outdoor lighting design for Nam River and consequently establish landscape lighting designs that can provide modern people with various experiences based on natural nightscapes The rest of this study is arranged as follows; Chapter 1 defines the scope of the study and present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presents the defini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waterside space. In addition, the role of the waterside space is investigated and the importance of waterside spaces is examined considering future planning. Chapter 3 identifies and presents the role of landscape lighting in the context of existing literature. Accordingly, three characteristics of light direction design were derived. Furthermore, based on 12 domestic and overseas production sites of waterfront spaces, four types of landscape design elements are established and used to develop the basic plan of waterfront space design. In chapter 4, a design proposal for landscape lighting design of waterfront spaces is present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the conclusions are presented. Furthermore, the chapter identifies 3 basic design plans unique to the Nam River waterfront and presents the main basic plan for the design of Nam River’s waterfront landscape lighting. Chapter 5 revisits and connects the research theories introduced in the study with the obtained results and presen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s the study’s conclusions, 3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lighting design for waterfront spaces are planned; First, a symbolic monument of light, reflecting the local identity should be developed to build a new place in the waterfront space. We establish a place's identity and develop a light-moment based on design development and visually storytelling elements. Through this process, the space near the Nam River was secured through the identity of nature and historical footprints to provide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strengthen the historical elements of the area. Secondly, design content that encourages user participation and shared experienc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or everyone who visits the Nam River, we intend to develop an interactive program that combines innovative design, art, culture, and lighting technology. Moreover, we intend to develop design contents that reflect the meaning of nature and history of Jinju to strengthen networking and connectivity at night and in turn, provide sustainable nighttime experiences. Thirdly, the three-dimensional outline of the space and its alignment with the waterside of the Nam River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a beautiful and unified visual scenery. Considering the natural landscape and large open spaces that surround the Nam River's waterside, it was decided to create a dynamic and naturally aesthetic landscape. This is achieved by employing elegant gold colours rather than colourful, dynamic lights and thus creating a unified base of uniform landscapes alongside the Nam River. In this study, the value of landscape lighting on the waterside of the Nam River was explored from a social perspective, cultural value and utilization. Furthermore, the city and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as a marketing element for tourism and establishing a close network with world-class cities in the lighting field as a distinct member of the Light Urban Community International(LUCI) was strengthened. Jinju Nam River is expected to create a new place as a global tourist attraction by establishing a symbolic city brand value. Lastly, considering the lack of detailed analytical data for the landscape design of waterfront spaces and limited objective studies on the subject. It is hoped that the conclusions of the current systematic study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lighting and waterfront space design.

      • 이탈리아 윤리적 패션 및 디자인 특성

        이귀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Fashion involves more than just prima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oods. Ethical fashion is a fashion to which ethical standard is applied with the aim of realizing socio-ethical values for coexistence of man and the planet. It is also the ultimate goal of fashion in the new millennium. Unbridled consumption promoted by growth-oriented economic policies and their adverse consequences led to ethical re-evaluation of all aspects of society during the 20th century, giving rise to ethical fashion in the 21st century fashion industry.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develop ethical fashion by providing policy support that is congruent with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situation. This is necessitating researches on ethical fashion for each countr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talian ethical fashion and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Italian fashion industry was developed around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which is suitable for ethical fashion, and takes advantage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closely related to ethical fashion. Related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studied in order to derive the Italian ethical fashion and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ethical fashion is based on humanism and embraces various elements such as environment-friendliness, ecology, sustainability, LOHAS, slow fashion, etc.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fashion include humanism based on love of mankind and pursuit of mutual coexistence and sharing, socio-cultural sustainability that connects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at tries to achieve mutual coexistence of man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thical fashion derived from them include the idea of social ethics, local uniqueness, multi-functionality, simplicity and environment-friendliness. Social ethics find its expression by either directly relating itself social issues or applying ethical values to the entire fashion process via fair trading, etc. Local uniqueness is about adding each country’s unique traditional techniques to modern technologies and universal aesthetical criteria. Multi-functionality is about clothes having various functions. Simplicity is about minimizing use of raw materials and design, which translates to simple style and modularity. Environment-friendliness is about using natural and organic materials, developing and reusing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up-cycle, etc. Third,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leading countries for ethical fashion were England and Germany, where people have high consumer awareness, and the Northern European countries, where people have a tradition of pursuing mutual coexistence with the nature. The growth of ethical fashion requires high level of consumer awareness, which implies the importance of consumer education about ethical fashion. The leading ethical fashion countries were making efforts to commercialize ethical fashion by inducing continued consumer interest in ethical fashion and use of media to promote more general aesthetical valu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about ethical fashion related to Italian fashion institution, luxury brand, media and fashion ev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Italian ethical fash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irst, in Italy, ethical fashion was being supported by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lso, the cluster fashion industry structure based small and medium companies was suitable for ethical fashion and the fashion industry as a whole was flexibly responding to the power of big fashion industry and was making a fast progress in ethical fashion. Second, Italy, which has a tradition of giving respects to each regions culture, the cultural heritage inherited from Greco-Roman and Renaissance and slow-paced culture, was particularly favorable for local uniqueness of ethical fashion design as well as its socio-cultural sustainability. They were combining modern Italian system to unique local traditional techniques not only of Italy but also other countries such as Africa to create fashion products with universal aesthetic fashion values. Third, one of the most uniquely Italia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friendliness is durability. Italians pursue high quality products that are timeless and values the emotional values associated with products that are finely aged. It reflects their love of “slow culture” and enjoyment of life. This research examined ethical fashion in Italy and tri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ethical fashion in Korea where people have low awareness of ethical fashion. It is hope that this introductory research will contribute to growth of ethical fashion in Korea by promoting more researches on ethical fashion and its education. 지구와 인간의 상생을 위한 사회 윤리적 가치 실현을 위해 1차원적 생산과 소비가 아닌 패션의 전 행위에 있어 윤리적 패러다임이 부과되는 윤리적 패션은 새로운 밀레니엄의 패션 산업의 궁극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지나친 경제 성장 위주 정책에 따른 소비 장려와 그 폐해로 인해 20세기 사회 전반에 걸친 윤리적 각성은 21세기 패션 산업에서 윤리적 패션을 등장시켰다. 이에 각 나라는 자국의 환경 및 사회 문화적 상황에 맞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윤리적 패션의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각 나라별 윤리적 패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의 특성과 밀접한 유무형적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윤리적 패션에 적합한 중소 규모의 지역 중심의 발달된 패션 산업 클러스터 구조를 가진 이탈리아의 윤리적 패션 및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탈리아 윤리적 패션 및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문헌자료 및 나라별 실제 사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윤리적 패션은 친환경, 에코, 지속가능성, 로하스, 슬로우 패션을 포괄하는 총체적 개념으로서 인본주의를 근간으로 한다. 둘째, 윤리적 패션은 인류애를 바탕으로 한 공생공유의 인본주의적 특성, 사회적 이슈에 대한 문화적 연계의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 환경과 인간의 상생을 위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도출된 윤리적 패션 디자인의 특성으로는 사회윤리성, 지역고유성, 다기능성, 단순성, 친환경성이다. 사회윤리성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직접적 표현이나 공정 무역 등을 통한 윤리적 가치를 패션 프로세스의 전 과정에 부여함으로써 표현된다. 지역고유성은 각 지역 고유의 전통 기법에 현대적 기술과 보편적 미를 가미함으로써 표현된다. 다기능성은 한 가지의 옷이 여러 기능을 가지며 표현된다. 단순성은 물질 및 디자인의 최소화에 따라 제로웨이스트, 심플 스타일, 모듈러를 통해 표현된다. 친환경성은 천연 및 유기농 소재, 친환경적 신소재 개발 및 재활용, 업싸이클 등을 통해 표현된다. 셋째, 윤리적 패션의 나라별 경향에서는 상대적으로 소비자 의식이 높은 영국과 독일, 전통적으로 자연과 자연스럽게 상생해 온 북유럽 국가들이 현재 윤리적 패션을 선도하고 있었다. 따라서 윤리적 패션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의식 수준이 큰 영향을 미치며 이를 위해 윤리적 패션에 대한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또한 윤리적 패션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관심 유도를 위해 다 각도의 미디어 활용과 보편적 미 추구를 통한 상업화를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문헌 자료 및 이탈리아의 패션 기관, 럭셔리 브랜드, 미디어, 패션 행사 등의 윤리적 패션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이 이탈리아 윤리적 패션 및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 하였다. 첫째, 이탈리아 국립 협회를 중심으로 관련 정부 기관들이 윤리적 패션 산업을 지원하고, 윤리적 패션에 적합한 중소규모의 지역 기반 패션 산업 클러스터의 산업구조는 기존 패션 산업의 저항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윤리적 패션 발전에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둘째, 도시 국가적 특징의 각 지역 문화 존중의 배경, 서양 문명의 기원인 그리스 로마 및 르네상스 시대의 문화 자산과 슬로우 문화 기반을 가진 이탈리아에서는 윤리적 패션의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과 윤리적 패션 디자인의 지역고유성이 특히 부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탈리아 국내 뿐 아니라 아프리카 같은 지역 고유의 전통 기법에 이탈리아의 현대적 시스템을 결합시켜 보편적 미의 제품을 생산하며 세계적 공감을 얻고 있다. 셋째, 윤리적 패션 디자인의 친환경적 특성 중 특히 이탈리아에서 탁월하게 보여 지는 특성은 내구성이다. 이는 타임리스 개념의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고퀄리티를 추구하며 세월의 흐름과 함께 제품에 축적되는 느림의 정서적 가치를 중시하는 슬로우 문화의 영향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탈리아 윤리적 패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아직 윤리적 패션에 대한 인식이 미약한 우리나라에 윤리적 패션의 정착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탈리아 윤리적 패션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로서 보다 많은 개별 국가의 윤리적 패션에 관한 연구 및 윤리적 패션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우리나라의 윤리적 패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해 본다.

      • 일본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

        김희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With the increased quality of life, the meaning of houses is shifting from a functional space for the simple purpose of residing to a symbolic space representing life as personality. As with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houses, consumers are now directly participating in and leading brands, not just unconditionally following brands any more. Consequently, the lifestyle stores related to houses are also rapidly changing as they have been invigorated due to various causes, including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Starting with the advancement of IKEA into Korea last year, global brands are about to enter into Korea. The lifestyle stores of Europe, the US and Japan are now in the stabilized stage as they are already recognized as the brands. Especially in Japan, which has a similar distribution environment with Korea, a variety of brands from both home and abroad are in the market, playing the role of pioneers. As Korean brands are not certain about how to set their direction in the situation where global brands have rushed into the market, it was thought that a key to solve the problem could be found from the cases of the lifestyle stores of Japan, which is moving one step ahead of Korea.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differentiated its study subject to spatial construction and programs in Japan and, by limiting its cases into lifestyle stores which show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striking ways, researched and analyzed them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related literature. As there is still lack of studies on lifestyle stores in Korea, based on interior and lifestyle magazines, websites and reference literature such as columns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drew out both program's characteristics, which are inter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approachability, symbolism, continuity of scenes and complexity of functions, through characteristics and constituting factors of lifestyle stores in Japan and used them as an analyzing frame.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found out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lifestyle stores in Japan as follows. First, interactivity is to induce interactions by creating sympathy as if consumers use products in real life with reproduced spaces and scene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Second, participation is to hold various programs focusing on brand values and target customers and strengthen two-way communication by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Third, approachability is to naturally attract consumers to products and spaces with intentional space plan which consider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to elicit actions of consumers. Fourth, symbolism is to enhance the value of spaces and products by providing specific concepts for brands as intangible ideas, visualizing them and reminding consumers with brand image. Fifth, continuity of scenes is to intentionally produce and plan another scene to appear next to a lifestyle scene expressing a season and theme, creating continuity of the scene for the consumers who move over spaces. Sixth, complexity of functions is to utilize functions of spaces by overlapping of functions with other areas based on spatial construction and program. Seen from these analysis results, lifestyle stores in Japan suggest differentiated composition of spaces for their brands and lifestyle with various programs by setting clear brand concepts and target customers centering on brand values. This study hopes thes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in setting the direction of interior design in planning domestic lifestyle stores and, through this, anticipates the appearance of Koreanized lifestyle stores like the global brands of Japan, Europe and US. 삶의 질의 높아지면서 이제 집은 단순히 머물며 거주하는 기능적인 공간에서 개성인 삶을 대변하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그 의미가 변하고 있다. 집의 의미가 변하듯이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무조건 따르던 시대에서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며 브랜드를 선도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게 집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최근 활성화되면서 급변하고 있다. 지난해 이케아의 국내 진출을 시작으로 글로벌 브랜드들이 잇따라 국내에 진출할 예정이다. 유럽과 미국, 일본의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는 이미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어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다. 특히 우리와 유통 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 다양한 국내외 브랜드가 진출하여 정착하면서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들이 국내에 앞다투어 진출하는 상황에서 국내 브랜드들은 어떻게 방향성을 설정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기에 우리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한 일본 라이프스타일 스토어 사례를 통하여 문제 해결의 열쇠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을 일본에서 공간 구성과 프로그램으로 차별화하면서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를 사례로 한정하여 현지답사와 서적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에는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으로, 국내와 일본의 인테리어 및 라이프스타일 전문지, 웹 사이트, 칼럼 등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일본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특징 및 구성 요소를 통해 프로그램 특성인 상호작용성과 참여성, 공간 특성인 접근성, 상징성, 장면의 연속성, 기능의 복합성이라는 표현 특성을 도출, 분석 틀의 기준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일본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성은 의식주 라이프스타일을 공간이나 장면 등으로 연출, 소비자가 실생활에서 제품을 사용하는 것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여 상호작용을 유발한다. 둘째, 참여성은 브랜드 가치관과 목표 고객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최,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여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한다. 셋째, 접근성은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의도된 공간계획으로 소비자를 자연스럽게 제품과 공간으로 접근이 쉽게 유도하거나 행위를 유발한다. 넷째, 상징성은 무형의 개념인 브랜드에 특정한 콘셉트를 부여해 시각화, 소비자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연상시켜 공간과 제품의 가치를 더욱 높인다. 다섯째, 장면의 연속성은 시즌과 테마를 연출한 라이프스타일 장면 다음에 또 다른 장면이 나타나도록 의도적으로 연출·계획, 공간을 이동하는 소비자의 움직임에 따라 장면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여섯째, 기능의 복합성은 공간 구성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영역과 기능의 중첩 등에 의해 공간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활용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았을 때, 일본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는 브랜드 가치관을 중심으로 명확한 브랜드 콘셉트와 목표 고객을 설정하여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공간 구성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은 앞으로 국내의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를 계획함에 있어 실내디자인의 방향 설정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국내에서도 일본과 유럽, 미국의 글로벌 브랜드같이 한국형 라이프스타일 스토어의 등장을 기대해 본다.

      • 버내큘러 디자인을 적용한 패션 브랜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슈프림을 중심으로

        정지윤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COVID-19 바이러스에 의한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위기경보 수준 하향 등 대부분의 방역 규제가 풀리면서 팬데믹 시대가 마무리되고 앤데믹 시대가 전 세계적으로 도래하고 있다. 팬데믹 시대에 온라인 활동을 선호하였던 소비자들은 앤데믹 상황을 맞이하여 기존에 경험하기 어려웠던 외부 활동을 통해 공간을 체험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무형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패션 산업의 브랜드들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오프라인 공간 경험을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을 표현하며 소비자들과 직접적인 소통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패션 브랜드들은 판매 중심으로 만들어진 고정적 형태의 기존 리테일 스토어에서 다양한 공간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기에 한계를 느꼈고 이를 해소하고자 일시적으로 운영하는 팝업스토어를 진행하여 다양한 컨셉과 컨셉에 따라 변화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전달하고 있다. 전 세계에 브랜드를 전개하며 각국의 소비자들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글로벌 브랜드는 아이덴티티를 일관성 있게 전달하여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지속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동시에 개성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 각 나라의 소비자들과 연결성을 만들어 브랜드에 대한 특별한 감정을 전달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나타난 방법이 브랜드에 대한 친밀감을 주며 소비자들과의 긴밀한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의 현지화이지만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은 현지화 방법을 마케팅 전략에서 한정적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이 현지화 전략을 공간에서 표현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버내큘러 디자인을 적용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브랜드들은 사업 규모가 커져감에 따라 각국에 진출하여 판매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다국적의 소비자들과의 접점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의 특성을 활용하는 버내큘러 디자인을 공간에 적용한다면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은 현지화 전략을 공간에서도 표현 가능할 것이며 팝업스토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성 팝업스토어의 천편일률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심미성과 차별성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andemic era is ending and the endemic era is coming around the world as most quarantine regulations are lifted, including the lifting of mandatory wearing of masks due to the COVID-19 virus and lowering the level of crisis warnings. Consumers who preferred online activities in the pandemic era want to experience space through external activitie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experience in the face of the endemic. As a result, offline store visits by consumers are rapidly increasing, and brands in the fashion industry that emphasize intangible images want to identify consumers' needs, express their brand identity through offline space experiences, and communicate directly with consumers. However, fashion brands felt limited in delivering various spatial experiences to consumers in fixed-type retail stores created around sales, and to solve this, they are conducting temporary pop-up stores to maximize and deliver brand images that change according to various concepts and concepts. Global brands that develop brands around the world and sell products to consumers in each country should consistently convey their identity to consumers, continue to convey brand awareness, while creating connectivity with consumers in each country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e method that emerged to overcome this situation is the localization of a globalization strategy that gives intimacy to the brand and forms a close connection with consumers, but global fashion brands used the localization method limitedly in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anted to study how global fashion brands express their localization strategies in spac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p-up store space design using vernacular design. Existing local brands are entering each country and conducting sales activities as the size of their business grows, and contact with multinational consumers is growing. In this situation, global fashion brands will be able to express their localization strategies in space and will be able to break away from the uniform design of established pop-up stores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pop-up stor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 헤어스타일 고객선호도와 디자인 특성분석 : 2014년 방영된 TV드라마 여배우 중심으로

        박인용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With the increase of the customers requiring the actress hairstyle at the hair salon,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ir preferenc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actress hair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actress hairstyle appearing in soap operas by design element and analyze the factor and hairstyle design characteristics considered for customers to get their hairstyle pu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76 dramas selected through the survey of contemporary pieces telecasted in MBC, KBS, KBS2, SBS, Jtbc and tvN in 2014. And it attempted to analyze a total of 460 photos of two profiles and two appearances from behind of each of 230 selected actresses appearing in dramas and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30 female customers aged their 20s and 30s visiting this researcher's shop. It attempted to dividie the form into length, volume and silhouette as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to analyze the texture by dividing it into curl and straight hairstyle and the color by dividing it into hue, brightness and chroma.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criteria for the choice of hairstyle based on customer preference include the taste experienced by customers, the psychology of imitating the entertainer and a desire to complement the defect of their external appearance. Second, the respondents in getting their hairstyle put considered long hair, abundant volume in relation to form, natural and thick 'S' curls in relation to texture and medium brightness in relation to the color. Third, the customers gets information on hairstyle through actresses and chose hairstyle preference but chose their hairstyle on the basis of their taste and the complementation of the defects of their external appearance, This implies that marketing should be conducted by making use of many-sided counseling for their tastes and the defects of their external appear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 elemen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for customers and design elements and suggests that it shows an possibility of the marketing strategy at the hair salon. 헤어살롱에서 여배우 헤어스타일 시술을 요구하는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여배우 헤어스타일 선호도와 디자인 특성을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에 출연한 여배우 헤어스타일을 디자인 요소에 따라 분류하고 고객이 헤어스타일 시술을 요구할 때 고려하는 요인과 디자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2014년도 MBC, KBS, KBS2, SBS, Jtbc,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중 현대물을 전수 조사하여 선정한 76편이다. 드라마에 출연한 여배우 230명을 선정하여 각 앞모습, 옆모습이 캡처된 사진 2장씩 총 460장을 자료 분석하였고, 분석 대상은 연구자 샵에 내방하는 20, 30대 여성 고객 30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 하였다. 분석기준은 형태를 길이, 단차, 볼륨, 실루엣으로 나누었고, 질감은 컬과 스트레이트로 구분하였으며, 컬러는 명도, 색조, 색도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 선호도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택 기준은 본인의 취향에 의한 선택, 연예인 모방심리에 의한 선택, 본인 외모 결점 보완을 위한 선택이다. 둘째, 헤어스타일을 시술하고자 할 때 형태는 길이가 긴 헤어와 풍성한 볼륨, 질감은 자연스럽고 굵은 S컬, 컬러는 중명도 계열의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였다. 셋째, 고객은 여배우를 통해 헤어스타일 정보를 얻어 스타일을 선택하지만 헤어스타일 시술을 요구할 때 본인 취향과 외모결점 보완 등에 의해 선택한다. 이는 고객 취향과 외모 결점 보완을 위한 다각적인 상담과 디자인 요소에 따른 특성을 활용한 마케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구의 제언점은 고객과 디자인 요소가 드러나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며 헤어살롱에서 고객 맞춤 서비스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