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 부산·경남지역으로

        임예지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50년 역사를 통해서 많은 성장을 한 교육대학원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많은 공헌해왔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유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사실과 각 교육대학원은 생존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 교육과정 만족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지, 연장선상에 이뤄지고 있는 학습 과제가 적절한지, 성적평가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는지 등의 여러 요인과 교육 만족도는 수요자들의 교육의 질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경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대학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부산·경남 4개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진학동기 이유 중 교사가 되기 위해 진학했다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졸업 후 교사로 활동하기 원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만큼 교육대학원에서는 수요에 따른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분석에 의한 불만족 요인들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工業高等學校 實驗ㆍ實習 敎育 實態 調査 및 改善方案 硏究

        유영호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공업고등학교 교육의 중핵이 되는 실험·실습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그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보다 내실 있는 공고 실험·실습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전국 118개교 공고 실과 교사 6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자 95개교 511명(회수율 75.4%)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실험·실습 시설·설비 기준령은 실험·실습 내용과 일치하고 급속히 변화하는 산업체의 시설·설비와 관련 있는 설비를 선정하여 개정되어야 하고 실험·실습 시설·설비의 확충 및 산업체 수준에 대응하는 첨단 실험·실습 장비의 확보와 실험·실습비의 현실화를 위해 정부에서 공고에 대폭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아울러 모든 공고를 설립별 구별 없이 투자 육성하여 시설의 평준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기능사 자격 검정에 치중하는 실험·실습 운영을 과감히 탈피하여 실험·실습 교육의 정상화를 이룰 수 있도록 기능 검정 내용을 산업 현장의 표준 작업기준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개편하고 이를 공고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정상적인 공고 교육과정을 이수한 일정 수준의 공고생들에게는 무시험 검정으로 학교장이 해당 전공 과목의 자격증을 수여하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3. 다양한 기술·기능을 내포한 실험·실습 과제를 개발 보급하고 전학년을 대상으로 분반 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실과 교사 증원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4. 우수한 학생들을 공고에 확보하기 위하여는 기능 인력 우대 정책 실시 및 전문대학과 산업·공업대학에 공고 졸업자나 산업체 근로자가 입학할 수 있는 비율을 대폭 상향 조정하고 일반 공과 대학에도 전학할 수 있는 특혜 제도를 마련하여 우수한 공고생의 계속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5. 공고 실과 교사의 산업체 연수를 마련하여 3-5년마다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산업체 기술자와 실과 교사와의 1-2년 기간으로 교환 근무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최신 기술 정보와 신기술 교육 자료를 발간 보급하고 공고 실과 교원 전담 양성 및 연수 기관의 설립과 공고 실과 교사를 공업 선진국으로 파견하여 일정 기관 연수를 받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6. 전문 교과의 교육과정 및 전문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체 요구분석 및 직무 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산업체의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현장 직무 기능을 선정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태도를 고려하여 학생 수준에 적합하게 학습 지도 방법 및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7. 실험·실습 시설·설비를 관리하고 실험·실습을 보조할 수 있는 시설 관리 보수 담당 기능직을 임명하고 사용 빈도가 적고 고가인 첨단 기자재의 실험·실습을 위해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 실습소를 지역별, 계열별로 증설하여 운영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기자재를 무상으로 대여 및 기증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며, 리스(lease)제도의 도입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education system of technical high school needs reconsideration about practice classes to bring up the faculty and equipment to be adaptable in industrial fields.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atus of practice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propose a possible improved practice class program. The research is don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The results axe as follows. 1. The standard for training equipment in practice class is to be revised toward corresponding with contents of industrial compan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lower financial ability of technical high school to be equalized about equipment with industries. 2.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completed from regular technical.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given license without any examinations. 3. It ought to be arbitrated for the graduate of technical high school to be able to enter a polytechnical college and be enforced a privilege to enter a regular engineering college. It is necessary to give a chance to the excellent students from the technical high school taking a higher education without interruption. 4. It is to be institutionalized for practice course teachers to join a training program in well advanced countrie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on. 5. Special curriculum ought to be improved toward being able to correspond to industrial skill exchange and considering students and faculty. 6. It is to be increased the public experimental place in technical high school by regional groups or partial groups to use expensive equipment. A lease system is necessary to be examined.

      • 대학 성악 교육과정 비교·분석 : 재부 5개 대학을 중심으로

        김현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ocal music curriculums between the music colleges in Korea and America,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derived: First, through the analysis by the Claud V. Palisca's classification system, the vocal music curriculums of Korea and that of America are both classified into 'Practice-Oriented System'( 5 colleges In Pusan, Korea and 3 organs of music education in America are surveyed). Both opened lots of subjects in Practical Performance Area and gave much weight in this area. Practical performance area should be given much weight. Even so, it is very desirable to provide more theoretical subjects for more improved method of learning vocal music and more improved directions of vocal music curriculum in school. Second, Music colleges, which were surveyed, in Korea opened more subjects at the given semester than that of America. Third, Music colleges, which were surveyed, in Pusan Korea opened 24 - 29 subjects and they opened 17 subjects under the same subject-name. However, the other subjects are extremely differ from each other. For more harmonized vocal music curriculum system, it is recommended to eliminate the discrepancies among vocal music college curriculums in Korea. Finally, As shown in the question sheet, majority of students is not satisfied with their present curriculums ( including the times of lessons, credits for lecture). This is one of the evidences prove the vocal music curriculum in Korea has many problems awaiting solution. If this script helps teachers instill in their students an appreciation for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vocal music, if it encourages students to evaluate understand vocal music theory and practice, and successful pursuit of their careers in vocal music, then this script shall have attained its objective.

      • 폐쇄음 앞에서 영어모음의 길이차이에 대한 발화 연구

        김온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의 목적은 음향ㆍ음성 실험을 통하여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영어모음 발화의 길이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 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모음길이가 차이를 보이며 발화되는 환경 중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 길이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 소재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영어 발음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한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모음 길이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 화자들의 모음 길이를 비교ㆍ분석 하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발음 교육을 실시하고 이들의 교육 전 녹음 데이터와 교육 후 녹음 데이터를 비교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하여 단모음 단어 중 종성자음이 폐쇄음으로 끝나는 영어 단어 60개를 선정하였다. 실험 목표 단어는 종성의 유ㆍ무성의 자질이 최소대립쌍이 되는 서른 쌍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10명과 미국 동부지역 출신의 원어민 화자 3명에게 동일한 단어의 목록을 읽게 요구하였다. 녹음 된 자료는 프라트(Praat)를 통해 모음 길이를 측정(ms)하고 모음과 종성자음 간 길이의 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자료는 통계프로그램(SPS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는데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와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 그리고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교육 전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 발화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 있었다. 즉,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발음 교육 전 종성 자음의 유ㆍ무성에 따라 모음길이에 차이를 두고 영어단어를 발화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교육 전 한국인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의 발화 길이와 비율은 원어민화자의 발화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원어민 화자에 비해 무성폐쇄음 앞에서 모음을 조금 더 길게 발음 하였고 유성 폐쇄음 앞에서는 조금 더 짧게 발화하였다. 즉, 유ㆍ무성 폐쇄음 앞에서 모음 길이의 평균차이는 원어민의 발화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 후 한국인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의 발화 길이와 비율은 원어민화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모음길이는 무성폐쇄음 앞의 모음 길이는 교육 전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성폐쇄음 앞의 모음 길이에서는 오히려 더 짧아진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면 모음길이의 비율에 관해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모음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단모음 내에서 음절 어말에 나타나는 유ㆍ무성 폐쇄음 앞에서 유의한 차이를 두고 모음을 발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원어민의 발화에 비해 두 환경의 모음 길이 차이의 폭은 작았고 교육을 통한 변별적 발화능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았음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learners' vowel length differences in a rhyme with a stop coda. A 10-week course on English pronunciation was provided to 10 female learners study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Research aims are as follows. First is to compare vowel lengths in the rhyme with a voiceless or voiced stop coda of Korean learners with that of native English speakers. The second is to verify the effect possibility of pronunciation training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vowel dur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pre-recording and post-recording. In experiment, both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read selected words with a voiceless and voiced stop at coda and the pronunciations were recorded. In the recordings, the duration is measured and examined using Praat. The measurements were used to imple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samples t-test and two-way ANOVA through IBM SPSS ver.2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learners case, the vowel length in front of a voiceless and voiced stop has meaningful differences before pronunciation training. However, the gap of duration in two contrastive condition is more significant in natives' case.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pronunciation learning, pre-record and post-recor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ired t-test result, there is no improvement. This results show Korean learners originally make a distinction between two contrastive conditions. However,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range of gap is bigger than Korean learners. In addition, short-time pronunciation training cannot reduced this gap.

      •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조언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국제화·정보화 사회로의 급속한 변모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고조되어가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외국어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시하는 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에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상호 이해를 위해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실천적 연구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현재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현황 및 효과적인 교육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교육 현황을 살피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서는 교육 내용의 가장 근간이 되는 교과서와 평가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일본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일본어 교과서의 문화 관련 영역을 조사한 결과, 제6차 교육과정에서 편찬된 일본어 교과서들은 과거의 교과서에 비해 문화 소재에 대한 시각자료 등이 풍부하고 처음으로 문화 영역이 도입되어 이에 관련한 특징적인 요소들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보편적 기준이나 범위가 확립되지 않아 교과별로 중점 영역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전통 문화에 관련된 소재가 많이 다뤄지고 있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기준을 근거로 분석한 모의고사 평가 내용 역시 교과서의 내용이 반영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그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이렇듯 일본 문화 가운데 상징적인 부분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일본 문화를 정형화 또는 단순화하여 소개하는 것은 문화 교육 본래의 목적을 퇴색시킬 우려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런 측면에서 이후에 실시된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항들이 출제됨으로써 문화 교육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는 전통 문화 등 지식 중심의 문화에서 벗어나 현대 일본의 일상적인 생활과 소재들이 문화 영역에 도입되는 등 균형적인 소재 제공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문화 교육에 대한 교수법은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였으며 현행 교육 제도에 접목시키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나, 많은 교사들이 문화 교육에 대해서 긍정적이며 그 당위성도 알고 있었다. 게다가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화 영역이 처음 도입되었고, 일본 문화에 대한 정부 차원의 개방도 최근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문화 교육은 도입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앞으로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차후의 바람직한 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현행 교과과정을 감안하여 동아리 활동이나 특기 적성 교육 등 여타 활동을 통한 심화 학습의 시도와 정시 수업에서의 의식적인 문화 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문화 교육의 경험과 성과를 쌓아 문화 교육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여기에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속적인 자기 개발과 정보 공유, 다양한 연수 기회의 제공, 적절한 교재 개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보급과 이에 사용될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과 같은 교육 환경 조성과 행정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문화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문화 교육도 외국어 교육의 일환으로서 인식되고 다른 영역과의 조화로운 교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관심과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는 앞으로의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에 새로운 국면을 부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Recently, with the swift change to the internalization and computerization, the interest o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worldwide day by day. Among them, with the advance of era that the people think much of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foreign languages, it comes to need the education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practical research according to tha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tate of culture education and the plan for the effective education in the Japanese education at the high schools now. As for the method of approach to examine the situation of educ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and analysis fields based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most and to execute the inquiry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a Japanese who are in office at the high schools. First of all, as the investigation of fields related to the culture in the Japanese textbooks, the Japanese textbooks compiled in the course of the sixth education had the plentiful visual data about the materials of cultu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textbooks. Also it had characteristic elements related to it because the culture field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But the universal standard and range did not establish yet, so it showed differences in the priority field by textbooks. First of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were treated a lot. It shows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were also reflected on the contents of analysis about the trial examination on the basis of scholastic achievement test for the university. So, it presents similar aspect, but the trend was more conspicuous. From the emphasis of the symbolic part among the Japanese culture excessively like that, introducing the standardization and simplification about the Japanese culture are deplorable because it may be fading the purpose of culture education itself. In these sides, it was to coincide with the purport of culture education itself as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daily life were made in th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for the university in 2001 executed thereafter. It is estimated that these trends will be strengthened more in the course of the seventh educatio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relieve from the culture centered on the knowledge like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Japanese education at the high schools hereafter and it will supply the balanced materials like the introduction of the daily life and materials in the modem Japan to the our culture field. As the result of inquiry on the object of the teachers at the high schools, it showed that the pedagogic about the culture education stayed in an early stage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in grafting it onto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 But many teachers were positive in the culture education and knew what should be. Furthermore, the field about the culture has introduced in the course of the sixth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and the open to Japanese culture was achieved in the dimension of government. Also the culture education stays in the introduction stage, but it will be developed as a more positive direction. For making the culture education activate, it absolutely needs a lot of interests and efforts in order to make the teaching with the other fields harmonious and the recognition about the culture education as a part of education fields. It is considered as it will endow the new situation to the Japanese education in the future.

      • 노인대학 프로그램의 참여유형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선화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사회는 노령화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노인들 스스로의 활동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들의 지속적인 사회활동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 노인교육은 급속히 증가하는 노인인구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평생학습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참여유형과 만족도를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노인교육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2. 노년기의 특성 및 노인문제의 유형은 어떠한가? 3. 노인대학 프로그램의 실태는 어떠한가? 4. 노인의 배경변인에 따른 노인대학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동기, 교육내용, 전달방법, 교육기간,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 차이가 있는가? 5. 노인대학 프로그램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부산시내에 거주하는 노인종합복지회관의 노인대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자료분석방법은 빈도처리와 유의도 검증에 의존했으며 상호교차분석도 시도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들의 경제적 생활에 대한 연구 결과는 생활비와 용돈을 자녀들에게 의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대책은 조금 되어 있다가 40.4%로 나타났고, 노인기에 접어들면서 노후 부양에 대한 문제는 무조건 자녀들이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이 36.9%로 가장 많아 노인들은 자녀가 노인의 부양을 책임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견해가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노인기에 겪게 되는 생활의 변화에 미리 대응할 수 있는 시기는 40대와 50대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노후생활에 대한 대책을 살펴봄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건강한 몸을 가꾸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함으로써 노년기의 건강 문제가 가장 큰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3. 노인들이 노후 생활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서는 먼저 여가시간을 경로당, 노인복지회관 등에서 보내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노후 생활에서 심리적으로 겪는 어려움은 건강 악화에 따르는 심리적인 위축감을 첫 번째로 보고 있었고, 여가시간에 참여할 수 있는 노인대학에 대한 인식과 참여도는 노인대학을 잘 알고 있으며,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이 40.7%를 차지했다. 이는 노인대학에 대한 인지도와 참여도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4. 노인대학을 알게 되는 방법으로는 친구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노인대학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방법으로는 강사의 강의를 통한 교육이 바람직하다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노인 시설을 통한 노인교육은 어디를 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질문한 결과, 노인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노인대학 교육프로그램의 교육기간으로는 2개월 동안의 교육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노인대학 교육프로그램 과정 중 기타 경비에 대한 응답 결과는 교통비용이 가장 많이 든다고 나타났다. 5.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동기에 대한 응답 결과는 건강관리를 위하여가 가장 높았으며, 참여하고 계신 노인대학 프로그램은 교양강좌 프로그램이 우위를 차지하였다. 6. 현재 참여하고 계신 노인대학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설, 담당 강사의 지도열의, 운영자의 지도력, 학습분위기, 참가 이후 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 본 결과, 과반수 이상이 만족한 걸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살펴본대로, 현재 우리 나라는 노인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노인교육에 필요한 제반 영역이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며, 연구도 일천한 형편이다. 그렇지만 노인교육의 기능이 확대되고 이에 대한 복지시책이 진전됨에 따라 특히 평생교육제도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올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오늘날의 노인들로 하여금 늘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그러한 생활 속에서 삶의 보람을 터득할 수 있다는 인식을 일깨워 주어야 할 것이다. A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is rapidly being increased, their demands for the way to sustain their social participation are also inclined to be increased. In the context of it, the education for the senior citizens has recently come to be regarded as important,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concern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e into the participation patterns i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lifelong learning, and to examin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o study how the senior citizens have come increased in number, and the need for the education for them, reviewing the literature. Second, to study the character of the senior citizens and the patterns of the programs concerning them. Third, to analyze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Fourth, are there any differences, along with variable backgrounds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the preparation for elderly people, the contents, period of the learning, and the way to deliver the programs? Fifth, how much are they satisfied with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those who participate in a school for senior citizells in Pusan were surveyed and the materials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Win 7.0 related with the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nior citizens are economically depend on their children especially in the pocket money and living expenses. The survey reveals the amount of those who have already provided for their old age accounts for 40.4%. Meanwhile, in the question of who should take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 parents, the response that sons or daughters should do was the most, making up 36.9%. As a consequence, it's shown that most senior citizens think their children should support them. Second, the senior citizens mostly think that they should begirt to provide for their old age from 40s or 50s and their first priority in the providing is to be in a good shape. It means their prime concern is about their health. Third, the senior citizens spend their time mostly in the welfare capacities exclusively prepared for them. They are mentally contracted mainly by the weakening of their health. Meanwhile, about their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rates in the school for senior citizens, 40.7% of the citizens replied they knew well and participated in the school. Fourth, It's revealed that they, in general, get the information about the way to take part in the school for senior citizens from their friends. About the tasks involving the learning methods, the place where the learning programs are practiced, and the period of the programs, they most proper the type that teachers lecture on subjects in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a school for senior citizens for 2 month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raffic costs are the highest among the collateral expenditures in a course of the learning programs. Fifth, their prime motive to participate in such programs is to manage their health and their favorite course is the program involving liberal arts.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not only the contents, methods, capacities, and atmosphere of the learning but also the leadership and passion of the teaching staff, and the outrome from participation. Referr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even though the lifelollg learning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are though the learning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are being increased in number, the participation for the education is, as a whole, imperfect, not to mention of the short history of the learning. But in a wake of the progress in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and the welfare policies, the learning for senior citizens is expected more developed especially in the system of lifelong learning than ever.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senior citizens should firmly adhere to the attitude that they have to team and experience new things continuously, in a bid to enable themselves to lead their lives worth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