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3년~2018년간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학위논문의 '생명윤리법' 준수 현황

        정정헌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생명과학기술에서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질병치료 및 예방 등에 필요한 생명과학기술을 개발·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2004년「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윤리법’이라 한다)」이 제정되었다.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05.1.1.] 법제처 제정·개정이유 2004년 법이 제정되었을 때는 생명윤리와 안전의 확보가 필요한 과학의 범위를 ‘생명과학기술’로 규정하였다. 생명과학기술을 ‘인간의 배아(胚芽)·세포·유전자 등을 대상으로 생명현상을 규명·활용하는 과학과 기술’로 정의하고, 해당 기술에서 생명윤리와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05.1.1.] 제1조 및 제2조; 백수진, 김현철,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통한 자율 규제의 현황과 전망」, 『생명, 윤리와 정책』 제1권 제2호, 19-33쪽, (재)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2017년 10월, 20쪽. 그러나 과학의 발전에서 확보되어야 할 생명윤리와 안전의 가치는 ‘배아나 유전자’ 외에도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특별한 윤리적 함의와 안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모든 분야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2012년 전면개정 된 ‘생명윤리법’은 생명윤리정책의 적용 범위를 ‘인간 및 인체유래물’에 관한 연구로 확대하였다. [법률 제11250호, 2012.2.1 전부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13.2.2.] 제1조~6조; 백수진, 김현철, 앞의 논문, 20쪽. 이에 따라 2013년 ‘생명윤리법’ 부터는 인간대상연구를 하는 기관의 경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이하 ‘IRB’라 한다)]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인간대상연구를 하려는 자는 연구 시작 전에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여 IRB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인간대상연구를 하기 전에 연구대상자로부터 서면동의(전자문서 포함)를 받아야 하며, 연구대상자에게 미칠 신체적·정신적 영향을 평가하여 안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인간대상연구와 관련한 사항을 기록·보관하여야 한다. [법률 제11250호, 2012.2.1. 전부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13.2.2.] 제10조, 제15조, 제16조, 제17조 및 제19조 이상과 같은 ‘생명윤리법’에 근거하여 전북대학교는 2006년 4월「전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규정」을 제정하였고, 2008년에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2014. 6. 1부터 2019년 10월 현재까지 전북대학교 IRB 행정간사로 근무하면서 생명윤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당시에는 생소하였던 생명윤리 업무를 맡아 평가·인증에 맞게 규정 및 지침의 제·개정을 총괄했으며,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지원과 교내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명윤리 교육을 지원해 왔다. 그리고 전북대학교 IRB는 보건복지부 위탁 수행기관인 (재)국가생명윤리정책원으로부터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대상으로 선정되어 평가를 받았다. 2018년 3월부터 시작된 평가·인증은 1차 서류평가, 2차 현장평가로 진행됐으며, 2019년 5월 국내 거점 국립대 중 최초로 평가·인증에 통과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는 간호대학, 공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사범대학, 의과대학,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치과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포함한 모든 연구 중 인간대상연구의 경우 IRB 심의를 신청하고 있다. 특히 다른 분야보다 일찍이 IRB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었던 간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심리학과, 사회복지학과)의 심의 신청 건수가 가장 많다. 최근에는 사범대학(교육학과), 생활과학대학(아동학과 및 식품영양학과)에서도 IRB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꾸준히 심의 신청을 하고 있는 추세다. 의과대학의 경우 임상실험 등 IRB와 밀접한 부분이 많지만 전북대학병원에 별도 설치된 IRB에서 심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타 기관(단과 대학 등)에 비해 신청 건수가 많지 않은 편이다. 전체적인 생명윤리 심의 신청 건수도 2017년 100건에 비하여 2018년은 152건으로 더 늘었다. 전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e-irb.com) 통계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심의 신청 건수는 해마다 더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생명윤리법’에 따르면 인간대상연구의 경우 연구대상자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IRB 심의를 받아 승인을 받도록 규정되어있다. ‘생명윤리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 대책,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 및 자발적인 연구 참여 등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요즘은 각 분야의 학회에서 생명윤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IRB 승인을 논문 게재의 필수 조건으로 두는 경우도 많다. 이미 한국연구재단에서도 연구과제 선정 후 협약 시 인간대상연구는 IRB 심의와 승인을 필수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생명과학기술 및 사회과학과 관련된 일부 전공을 제외하고는 아직도 많은 분야의 연구자들이 ‘생명윤리법’이나 IRB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북대학교에 IRB가 설치된 이래 단 한 건의 심의도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타 대학도 비슷할 것 이라고 생각된다. 교육대학원의 경우 교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데, 이는 인간대상 연구로서 IRB심의 대상이다. 특히 학생은 미성년자이고 교사로부터 통제를 받는 집단이기 때문에 ‘취약한 환경의 연구대상자’ ‘취약한 환경의 연구대상자’(Vulnerable Subjects)란 임상시험 참여와 관련한 이익에 대한 기대 또는 참여를 거부하는 경우 조직 위계상 상극자로부터 받게 될 불이익에 대한 우려가 자발적인 참여 결정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과대학·한의과대학·약학대학·치과대학·간호대학의 학생, 의료기관·연구소의 근무자, 제약회사의 직원, 군인 등을 말한다), 불치병에 걸린 사람, 집단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 실업자, 빈곤자,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 소수 인종, 부랑인, 노숙자, 난민, 미성년자 및 자유의사에 따른 동의를 할 수 없는 대상자를 말한다,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시행 2019.6.12.][총리령 제1544호, 2019.6.12., 일부개정] 별표 4 제2호더목 로 분류된다. 이러한 경우 법정대리인(부모) 동의 절차, 안전 대책, 강압적이지 않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 환경 마련, 개인정보 보호 대책 등 연구대상자 보호차원에서 더욱 더 면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본 보고서에서 필자는 ‘생명윤리법’에 의거 인간대상연구에 대해서도 생명윤리 및 안전기준이 적용된 2013년부터 2018년 5월까지 최근 6년간 전국의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IRB 심의 대상 여부, IRB 심의 및 승인 여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연구자들의 생명윤리 인식의 정도와 연구 과정에서 생명윤리적 측면이 얼마나 고려되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앞으로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연구자들이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생명윤리적인 측면에서 생각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생명윤리법’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서 Ⅲ장에서는 연구방법, Ⅳ장에서는 분석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1984년-2018년 2월)

        김은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음악교육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이 현상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음악교육학 이론도 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교육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당연히 해야 할 우리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처음 발행된 1984년도부터 2018년도 2월까지 발행된 논문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언함으로써 음악교육연구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연도별, 연구대상별, 음악교육학 연구영역별, 음악과 교육과정별, 연구방법별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4년도부터 2018년도 2월까지 연구된 논문의 수(편)는 318편으로, 이는 1984년도 3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되어 온 결과이다. 둘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1.7%(69편)로 가장 높았다. 이어 특정인물(19.8%), 기타(15.1%), 초등학생(13.2%), 고등학생(8.8%), 청소년(4.1%), 유아(3.8%), 전반적인 집단(3.5%), 특수아(1.6%), 성인(1.3%), 그리고 대학생과(0.6%) 교사 및 강사(0.6%)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육학 연구영역별 분석결과 음악과 교수법영역 연구가 31.1%(99편)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음악문헌 및 악곡분석(24.8%), 음악교육심리(10.1%),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9.1%), 기타연구(6.9%), 음악교육공학(5.7%), 학교급별 음악교육(3.8%), 음악교육 사회학(0.6%)과 음악강사 및 교사(0.6%), 그리고 단 1편씩만 연구된 음악교육평가(0.3%), 음악교육역사(0.3%), 음악교육철학(0.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별 분석결과 기타영역이 40.3%(128편)로 가장 높았다. 이는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과는 관계가 없는 연구로 악곡분석 관련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어 전체영역(17.0%), 기악영역(15.7%), 가창 및 통합영역(4.1%), 창작영역(3.8%), 생활화 영역(3.1%), 이해영역(2.2%), 표현영역(1.3%) 순으로 연구되었다. 다섯째, 연구방법별 분석결과 문헌연구방법이 49.7%(158편)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양적연구(23.6%), 질적연구(22.3%), 기타 제언한 연구(4.4%)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318편의 논문 연구 분석 결과 비슷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음악교육과 관계없는 연구 등이 반복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더욱 질 높은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음악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비슷한 연구주제 선택을 지양하고 개성있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가 저조했던 영역들의 연구가 증가하여 균형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그 시대의 교육과정을 반영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분야의 연구를 토대로 향후 연구동향 분석연구가 보다 확증된 연구대상 및 면밀한 분석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학위논문의 질 높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지는데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더 나아가서는 활발하고 다양한 음악교육 연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적용되어 더욱 질 높은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 교직과정을 이수한 교육대학원생의 내러티브 탐색 : 지구과학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연유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심리적, 환경적,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이들이 가진 교직에 대한 희망 사이의 갈등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육대학원생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① 연구 참여자들의 학부 교육과정과 지구과학 임용시험의 내용 차이 ② 학부 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의 커리큘럼의 연계성 부족 ③ 부족한 지구과학 관련 내용지식을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 채워주지 못함 ④ 학과 구성원들과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소외감 ⑤ 일반대학원생과 비교해 차별적인 장학제도와 학사제도와 같은 이유로 인해 어려움과 불안을 겪고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진 희망 요소에 의해 현 상황을 감내하고 있지만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교직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희망 사이에서 심리적 갈등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수요를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및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지 못하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현 시점의 교육대학원이 현직 교사의 재양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구성원 모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더 나은 교육대학원의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xiety derived from budgetary, mental problems and surroundings that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hree graduate students majoring Earth Science examined conflict situations that the students have by using a narrative inquiry technique. The main finding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①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curriculum and materials suggested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ion test of Earth Science ② Lack of relatedness betwee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the on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③ Relatively poor contents i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not enough for the students to achieve appropriate level of Earth science-related major competency ④ The graduate students’ alienation resulted from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in their major ⑤ Unsatisfactory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specially in scholarship compared to the general graduate schools. Second, with their hope, the study participants bear the inferior situation mentioned above. However, they are in the state of mental conflict of whether they should be a secondary school teacher, or they should try looking into redirecting their career path and that resulted from inferior circumstanc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collecting and scrutinizing demands of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fulfill their needs. Second, psychological counseling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overcoming their anxieties by themselves. This study expec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ut emphasis on training incumbent teachers but suggests ways that can also satisfy the students, making better surroundings for all members.

      • 전북지역 한국무용전공 대학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양미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Jeonbuk area college Korea dance major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Yang, Mi-Na Major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rof. Kim, Dal-woo(Advisor) Known as the home of arts, Jeonbuk has rich and extensive resources for the traditional culture. Wh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dance education in Jeonbuk is figured out, it demonstrates that there are extensive traditional dance resources with Gwonbeon of large cities of Jeonbuk like Jeonju, Gunsan and Jeongeup. One of the typical examples is the dance tradition of Jeonju Gwonbeon that succeeds the legacy of traditional arts of Gyobangcheon in Joseon and Jeonju Daesaseupnori. The artistic legacy of Jeong Ja Seon, who was famous as the Gwonbeon dance instructor of Jeonju, Iri and Jeongeup at the later period of Joseon, continued through his son Jeong Hyeong In up to Choi Seon, who is the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like No. 15 Honam Salpuri and No. 17 Hanryangmu Dance in the Jeonbuk province. This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such private danc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ppearance and initiation of universities. Overall, different to the title, the common practice in year 1 and year 2 was incorporated to education process by part while taking the classes by respective major. And, practical subjects take more percentages than theoretical classes and teaching session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Wonkwang University founded the department of dance at the school of art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for the first in Jeonbuk in 1979. 10%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could achieve the teacher’s certificate. However, since the abolition of the department of dance in 2012, no new students have been recruited. The department of dance at the school of art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as established by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October 1987 as the only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department of dance. As the theory subjects, sessions and courses take majority, it focuses on theory and dance education. Department of Practical Dancing Instruction at College of Sports Science in Woosuk University was founded in October 1989 by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activation of village dance of Jeonbuk, and which provides performance and study with theory and practical courses and also sports subjects. Ch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no department of dance and danc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each dance subjects as major optional courses. Jeonju is a city of loving arts with tradition. Without root and depth of tradition, it is just like a tree without root. Therefore, it needs to make every effort to preserve and develop the spirit and legacy of local cultural arts. Globalization must start from establishing an identity. In this sense, th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oes not teach local dances but Gyeonggi regional dance shows the lack of responsibility for the preservation of local arts. Woosuk University has also become not much active compared with the past in the performance and study of local village dances. The main reason for the abolition of the department of dance at Wonkwang University was the poor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Therefore, it needs to provide in-depth and specified subject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and to produce specialized personnel by specifying the subjects.

      •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Recentlytheimportanceofeducationautonomyincreasesmoreand more.Futhermoremanypeoplebelievethatthedevelopmentoflocal district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localeducation as well.Of course,economy isthemostimportantfactortopreventpopulation exodus in the district.Buteducation as wellas economy is very important factor. So many efforts to improve the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arebeingdone. Thepurposeofthisstudyistofindthewaytoactivate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 To attain this purpose,first,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presentsituation of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Second,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recognition levelofofficials abouteducation cooperation job in two institutes.Third,this study suggests the morebetterway to improveeducation cooperation on thebasisof theresultexaminedbeforehand. Present analysis of education cooperation includes general investigation ofthe way education cooperation is practically being done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 governments now.This study divides localgovernmentinto wide area (Do)and smallarea (Si; Kun),investigating into present cooperation situation,analyzing the outcome and the controversial point in education cooperation,and finally tried to suggest the desirablemodelineducationcooperation. To analyzetheofficials'recognition abouteducation cooperation,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680 officials in localgovernments andlocaleducationadministrationinstitutes. In light of research process summarize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areasfollows. First,mutualunderstanding aboutauthority and duty to improve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andlocalgovernmentsmustbeenlarged,establishingright purposeofeducationsupport. Second,reform and fractionation abouteducation cooperation must bedonetocarryouteffectivecooperationjob. Third,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department of education cooperationmustbeexpandedmorethannow. Fourth, the more effective and concrete method to activate educationadministrationcounciltopracticallydiscusslocaleducation problemsmustbedevised. Fifth,theenactmentand reform ofeducation supportordinancefor local administration institutes to aid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legallymustbemadeinadministrationinstitute. Sixth,theofficialstohelpeducationcooperationmustbedispatched each otherto do more effective education cooperation to different administrationinstitute. Seventh,the system to increase education investmentsteadily in administrationinstitutemustbeestablished. Eighth,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administration councils andlocalcivilsocietiesmustbesetup. Ninth,the concrete plan to activate education cooperation in local educationadministrationinstitutesmustbemade. Finally,the program to strengthen the relation oftwo institutes mustbe performed,forexample,regularmeeting fordealing with currenteducation problems,co-workshop to discuss a variety of education problemsand to form new partnership in two institutes, cafe to communicate good opinions abouteducation cooperation in cyberspaceetc. 이 연구는 본격적인 교육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시·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운영측면’에서의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시·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교육협력 업무에 대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구성원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시·도교육청과 시·도청 집행기관 상호간 ‘운영측면’에서의 교육협력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현황 파악은 교육협력 방식에 대한 개황조사 및 광역차원과 시·군차원으로 구분하여 상호간 협력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그동안의 성과와 문제점을 정리해 보았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장학숙 운영 등 교육사업을 직접 시행하는 사례나 교육청에 대한 법적전출금 사용협의 등 상호간 보다 진전된 논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한편, 교육협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전북지역 교육청(도 및 지역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도 및 시·군)에 근무하는 공무원 680명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내용은 ㉠지방교육 경쟁력에 대한 인식과 ㉡상호간 교육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과 ㉢교육협력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다. 조사결과, 공무원들은 ㉠거주지역 지방교육에 대한 소외감이 상당히 크며, 지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기반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래서 구성원들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이며, 아직 교육협력관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특히, 교육예산지원과 장학·행정사무분야의 정보교환 및 협력이 더욱 필요함을 지적하였고, 시·군청 교육지원부서 근무자들의 경우 시군의회의 예산승인 및 정보취득상의 어려움, 지역교육청의 협조부족 등이 교육지원사업 추진시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 사회·경제적 기반을 연계·강화하여야 하는데, 그 방안으로는 실질적 협의강화를 통해서 지방자치단체 교육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고, 지역의 기업·학계·사회단체, 지방정부(교육청, 일반자치단체)간의 상시협력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일반자치단체 공무원들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서 지역주민이 원하는 사업이라면 교육청의 참여·협조가 없어도 일반자치단체가 독자적인 교육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입장도 10% 이상을 차지했다. 두 단체간 서로의 입장과 요구사항 등을 정기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교육행정협의회 등 의사소통 채널가동에 대해서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구성원 상호간 협력마인드 향상 등을 위해 합동워크숍, 교육전문가·시민사회단체·공무원패널 합동토론회, 숙박형 합동워크숍 개최, 관련공무원 사기진작책 강구 등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교육협력 활성화계획을 수립·시행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조례 제정에 대해서는 전체의 3/4이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으나, 대통령령인 교육경비보조규정에서 인건비미해결단체에 대해 교육경비 지원을 제한하고 있는 점이 조례제정의 제약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협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 일정한 권한과 의무에 대한 공유를 확대하고 교육지원에 대한 목적을 올바로 정립해야 한다. 둘째, 교육·학예관련 사무에 대한 개편 및 세분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 교육협력 전담부서를 확대설치 해야 한다. 넷째, 법제화된 지방교육행정협의회를 실제적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교육지원조례의 제·개정 확산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관 상호간 교육협력(지원)관의 교차파견이 필요하다. 일곱째, 일반자치단체 예산의 교육투자 안정적 확대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여덟째, 기초지방의회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아홉째, 지역의 시민사회단체와 연계하는 등 사회적 기반구축이 필요하고 교육청 차원의 교육협력활성화계획 시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관계공무원간 연계 강화방안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결혼이민자를 위한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연구 : 고급 단계의 교재를 중심으로

        이경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genre-based writing approach for marriage immigrants to have writing abilities for good communication with members of society in Korea. The genre-based writing approach is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genre agreed in the community and help themselves with writing considering the situation, context, language structure and expression. The research suggests the genre-based writing approach for marriage immigrants a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ies for 2nd language learners more effectively. In the paragraph Ⅰ of Chapter Ⅱ, definition and features of genre-based writing approach are reviewed and genre classification standard is set for high-level textbooks with reference of writing genr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ext classifica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for Korean education plan. In the paragraph Ⅱ and Ⅲ, according to genre-based writing approach of ‘text type’, ‘situational context’, ‘understanding of structural features of text’, ‘acquisition of grammar and lexical element as text language features’, and ‘writing strategies’ and Principles of social mediation activities’ an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transfer’ suggest teacher-led text composition (modeling)- Collaborative text configuration(writing with)- Text configuration independently(writing alone) are suggested, which is the rationale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genre-based writing approach. In Chapter Ⅲ, the composition of writing genre high-level textbooks such as Korean language for marriage immigrants 5 and Korean language for marriage immigrants 6 is reviewed to check if they are educated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e writing for marriage immigrants and genre on writing according to classification standard of high-level textbooks are analyzed. As a result, 2 textbooks present 4 types of genre text but it shows that writing is process-based so it finds difficulty for learners to produce results. Therefore, Chapter Ⅳ suggests educational methods such as comment, essay, rhetorical writing and consultation paper to generate outputs to meet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writing for learners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genre-based writing approach.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to recognize the need of writing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n genre via textbooks and suggest the writing education method on genre specific features for marriage immigrants. It will help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n Korean writing education which had the lack of results produced for the purposes as the communities do not consider this type of language recognition. It includes writing education plan to configure the different writing strategies and question content across all process of writing to make texts with awareness of the writing purpose and shows the interaction with learners by controlling the dynamics of teacher’s role across all process according to ‘Principles of social mediation activities’ and ‘Principle of transfer of responsibility’.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d writing skills for marriage immigrants as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Key words: genre-based writing approach, marriage immigrant women, high-level based textbook, Korean education, genre classification 이 논문은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실현하기 위한 글쓰기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은 학습자가 담화 공동체에서 합의한 장르의 특성을 인식하고 사회적 상황 맥락과 언어적 구조와 표현을 고려하여 글을 산출하도록 돕는 글쓰기 교육이다. 이는 제 2언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고 결혼이민자를 위한 장르별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장 1절에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텍스트 분류와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쓰기 장르 분류를 참조하여 고급 단계 교재의 장르 분류 기준을 설정하였다. 2절과 3절에서는 ‘텍스트 유형’, ‘상황 맥락’, ‘텍스트의 구조적 특징 이해’, ‘텍스트 언어 표현적 특징’, ‘작문 전략’의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내용과, ‘사회 중재 활동의 원리’와 ‘책임 이양의 원리’에 따라 제시되고 있는 ‘교사 주도의 텍스트 구성(모형화) - 협동적 텍스트 구성(같이 쓰기) - 독자적 텍스트 구성(혼자 쓰기)’의 3단계 교수-학습 체계를 이론적 바탕으로 삼아 본 연구의 장르 중심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고급 단계 교재 『결혼이민자와 함께 하는 한국어 5』와 『결혼이민자와 함께 하는 한국어 6』의 쓰기 장르 구성을 살펴 정리한 후, 본 연구에서 설정한 고급 교재의 쓰기 장르 분류 기준에 따라 쓰기 과제의 장르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교재에는 4개 장르의 다양한 텍스트 유형이 쓰기 과제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쓰기 활동이 과정 중심 쓰기 교육으로 이루어져 학습자가 결과물을 생산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Ⅳ장에서는 학습자가 쓰기 과제의 목적과 의도에 맞는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장르 중심 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토대로 하여 교재의 쓰기 과제 중 거시 장르별로 가장 많이 구성되어 있는 ‘설명문, 수필, 논설문, 상담의 글’ 텍스트 유형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의 교재를 통해 장르의 특성을 인식시키고 이에 맞게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사회 공동체가 인정하는 언어의 형식이 고려되지 않아 목적에 맞는 결과물 생산이 미흡했던 한국어 쓰기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쓰기 목적을 의식하며 텍스트를 생산하도록 작문 과정 전반에서 장르별 질문 내용과 작문 전략을 달리하여 쓰기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으며, ‘사회 중재 활동의 원리’와 ‘책임 이양의 원리’에 따라 교사가 역할의 강약을 조절하며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점은 제 2언어 학습자인 결혼이민자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주요어 : 장르 중심 쓰기, 여성 결혼이민자, 고급 단계 교재, 한국어 교육, 장르 분류

      • 토론을 활용한 논술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은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purposes to prepare a method using discussion activities and its concrete strategy for the ext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ssay-writing ability and to apply it to actual classes. For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clarify discussion activity being effective for essay-writing education by examining preceding studies, and provide a creative essay guideline, preparing theoretical ground for essay-writ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y. Essay-writing has an educational value in which it helps extend learners' logical thinking power, creative power and rational problem-solving power. However, the guidance for essay-writing in actual school setting, usually is a form in which a teacher brings up a theme and asks students to write immediately, and then he or she corrects and grades their writings. This is a product-centered guidance for writing that omits process, and in this process, students feel difficulty in generating content and further keep away from essay-writing. In addition, current essay-writing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guiding area of Korean subject, being stressed on some students in a high rank. Thus, I tried to find out a method for essay-writing education that can be actualiz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Korean curriculum for all learners. As the schemes for that, I did, first, allow students to approach essay-writing more easily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a variety of related reading materials, finding topics in Korean textbook. Second, through discussion activity, I induced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improved their thinking power so that they can write a piece of essay. ChapterⅠ, first, explained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examined precedent studies on the essay-writ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Chapter Ⅱ confirmed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discussion in the pre-stage of essay-writing, investigated various types of discussion and presented a linking model between discussion and essay-writing, by examining recent trend of research on writing and merits of discussion in the aspect of thinking power. Chapter Ⅲ hypothesized that discussion activity influences positively essay-writing ability, and did a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to inquire reality of current guidance of essay-writing and consequent students' response to essay-writing. Chapter Ⅳ established a guiding plan by extracting topics related to Korean textbook and made a plan for appropriate discussion and teaching-learning connected to essay-writing by selecting types fitting topic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fferent types of discussions in Chapter Ⅱ, and proceeded teaching-learning, producing a drilling paper. Moreover, it also described the influence discussion activity has on essay-writing ability, focusing on cases through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result. Chapter Ⅴ presented limits of this thesis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from those limit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developing an essay-writing guidance program using discussion regarding essay-writing education and suggesting concrete data to apply this to actual guidance for essay-writing. I hope this will help methodological improvement of essay-writ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ing.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논술능력 신장을 위해 토론활동을 활용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전략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토론활동이 논술교육에 효과적임을 밝히고,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교육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여 창의적인 논술 지도 방안을 구안하고자 했다. 논술은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 합리적인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논술 지도는 대개 교사가 학생들에게 논제를 제시하고 바로 글을 쓰게 하며, 교사가 학생의 글을 첨삭?평가하는 형태이다. 이는 과정을 생략한 결과 중심의 쓰기 지도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내용 생성의 어려움을 겪고 더욱 논술을 멀리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현재 논술 교육은 국어 교과의 지도 분야로 인식되어 있으며, 일부 상위권 학생들에게 치중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논술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논제를 국어 교과서 내에서 찾아 관련된 다양한 읽기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쉽게 논술에 다가설 수 있도록 하며, 둘째, 토론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고력을 향상시켜 한 편의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Ⅰ장에서는 우선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밝히고 본 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최근 쓰기 연구의 동향과 토론 활동의 장점을 사고력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논술문 쓰기 전(前)단계에 토론 도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토론의 다양한 유형을 조사하였으며, 토론과 논술의 연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토론 활동이 논술 쓰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현 논술 지도의 실태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논술 쓰기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실태 조사를 하였다. 실제로 연구자는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전주시 O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교과서에서 논제를 추출하고 관련 자료를 배부한 뒤 강의식 설명을 한 후, 바로 논술을 쓰도록 하거나 과제로 부여한 후 첨삭지도를 하여 평가하는 식으로 논술 지도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논술 쓰기를 어려워하고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어,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수업자 반성의 일환으로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논술 수업에 대한 반응을 묻게 되었으며 그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조헌(2006)은, ‘영화매체를 활용한 논술교육 방법론’(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7-p.38)에서 공교육 현장에서의 토론수업의 한계로, 학급 인원의 과다로 전체 학생에 대한 참여유도가 곤란하기 때문에 효율성을 고려하여 특정 학생 몇 명을 대표로 선발하여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대책으로 ①특정 학생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매 수업시 이전 수업에서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의 발언 유도에 관심을 갖는다. ②수업시간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토론식 수업의 쟁점을 글로 정리하는 과제를 주고 이를 피드백 한다를 들었다. 이는 다음 장의 토론 수업의 실제에서 소집단 토론의 도입과 토론 논제로부터 쟁점 정하기 활동을 도입하는데 참고가 되었다. Ⅳ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와 관련된 논제를 추출하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Ⅱ장의 다양한 토론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논제와 어울리는 토론 유형을 선별하여 적합한 토론과 논술 연계 교수-학습 계획을 세우고 학습지를 제작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중학국어 2학년 2학기 2단원 이야기의 구조 중 보충?심화에 수록된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데기야’를 통해, 신화에 등장하는 원초적인 여성영웅 형상에 주목하였으며, 토론 주제로 ‘바리공주는 과연 영웅인가?’를 설정하였다. 이 주제에 적합한 토론 방법으로 ‘반대심문식 토론’을 도입하였다. 반대심문식 토론은 토론 주제가 가치 논제라는 점과, 토론 팀원 간의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입론, 교차 조사, 반박 전략 등을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토론자가 논증 방법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고 개진함으로써 자기와 다른 의견까지도 인정할 수 있는 태도를 갖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본고에서는 토론 준비 활동-토론 중 활동-토론 후 활동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토론 준비 활동으로 토론팀 구성, 참가자 역할 부여,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의성을 고려한 교사 제시 자료, 쟁점 설정, 근거 자료 수집, 토론 계획표 작성을 예로 제시하였다. 토론 중 활동에서는 토론 흐름표, 토론 평가표를 통한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토론 후 활동으로는 입장을 정리하는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토론 주제 ‘바리공주는 과연 영웅인가?’를 바로 논술의 주제로 활용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그러나 토론한 내용을 종합 정리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기에 논술의 주제를 달리할 필요를 느꼈다. 앞서 행한 토론을 바탕으로 근거 제시가 가능한 논제를 정하고 교사 제시 자료도 소개하였다. 본 수업의 목적은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기 보다, 토론을 통한 논술 쓰기 능력 향상이므로 토론 활동을 통해 활성화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논술을 써 보고 토론 평가표를 통해 상호평가 하도록 했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한계점과 그로부터 차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밝혔다. 본 연구는 논술 교육과 관련하여 토론을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논술 지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논술 교육의 방법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논증 구성과 논술 교수요목 : 윌리암스의 논증 도식을 중심으로

        유재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된 논술고사로 촉발된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게다가 논증적 글쓰기가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비판적 사고력과 같은 고등 사고능력을 신장시키며,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대학교육에서도 학문하는 데 필요한 소양을 갖추게 한다는 점에서 논술 교육은 그 교육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논술 교육은 대학 입학 자격을 부여하는 선발 수단으로 이해되기도 하고, 작문 교육과 동일시되어 국어 교과의 하위 영역으로 취급되기도 하였으며, 논리학적 지식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특히 무엇보다도 논술이 논증적 글쓰기라는 측면에서 볼 때, 논증 구성 능력을 배양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논술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짐작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제시 능력 부족, 반론에 대한 효율적인 반박 능력 부족, 논증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 등 전반적인 논증 구성 능력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논술 구성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논증의 구성 과정을 4단계로 설정하고 단계별 세부 작업을 제시하였고, 이를 교수요목화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oto-syllabus systematically for the exploration of formation process of argumentation and argumentative formation progressive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rgumentative formation ability deficiency. Because argumentative writing can transfe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efficiently and improve the ability to include such, and boost advance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grow intellectual production ability, it is not only useful in secondary education, but also useful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in greater aspect. However,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was understood as selection method to give University Admission qualification, and sometimes substituted with composition education of Korean subject. The thing that makes me sad the most is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was not guided to the proper direction during the time between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when essay was of great interest. The lack of ability to form the argumentation is pointed as problems in the education site by the research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improving the ability to form the argumentation.

      • 예술중심 통합적 교육과정 연구 : 전주예술중학교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오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The growing interest in culture and art, centered o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s now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and the public spends time and money on enjoying cultural arts. Now, our society is not simply accumulating knowledge, but demanding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through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in various fields. As the industry is advancing, our lives become more enriched.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 otherwise known as individualism – has been emphasized, an indifference to humans and society has become more widespread. Therefore, research on art-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needed. Korea is implementing an education policy to develop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creatively through self-leading art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for the cultivation of "creative fusion talent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 art-centered educ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ce type talents and to reveal educational effect by presenting the basis through case analysis. I would like to know about the general theory of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in this paper, the integrated education in Korean arts curriculum, the school arts education, and A-STEM case study. My goal is to help plan broader integrated education on this basis. In addition, the education program combining arts,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curriculum is expected to develop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creativity and activities, Art-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is carried out within the framework of school education, but by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ies, students can enjoy a wider experience. It also promotes interest in the subject.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have a strong sense of cooper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s requires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 in particular between arts teachers and other teachers.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choose their career through various activities of art-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should establish a multidimensional education plan considering this. In addition, the teacher should continuously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level instruction and class evaluation by collecting opinions of students. If the school recognizes the positive effect of art-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and actively promotes it to students, parents, and society, then Korea's education will be completely su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