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에서 메타인지, 학습몰입 및 문제해결력

        오윤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simulation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blem solv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136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2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on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win 20.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flow,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flow w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ey accounted for 33% of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simulation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 문재인 정부 초기의 대학 구조개혁 정책 변동 분석 : Hogwood와 Peters의 정책변동유형론과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오윤정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 초기의 대학 구조개혁 정책변동의 유형과 정책변동의 요인 등 정책변동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노무현 정부 이후 정부의 대학에 대한 구조개혁 정책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책변동 유형과 변동요인에 대한 연구를 위해 Hogwood와 Peters의 정책변동유형론과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선택하고, 이를 적용하여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정책변동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책변동유형론에 따라 문재인 정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 정책을 분석한 결과, 의도적인 정책변동 성격을 띠면서 법률(기본계획), 조직, 예산 측면의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는 바 ‘정책승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세부적으로는 하나의 정책이 종결, 유지, 중첩, 대체, 혁신 등 다양한 정책승계의 요소가 혼합된 형태인 ‘비선형적 승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정책의 변동과정을 정책문제, 정치, 정책대안의 흐름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만나 정책의 창이 열리며 이 때 정책선도자의 역할을 강조했던 정책흐름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재인 정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은 저출산 가속화에 따른 대학충원율 감소라는 정책문제의 흐름 속에서 적극적인 찬동 혹은 반대의 명분을 갖지 못한 정치권의 방관적 상황을 등에 업고, 교육부가 주도한 강력한 정책대안의 흐름이 만나 정책의 창이 열렸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주도한 정책선도자는 교육부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책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으로 인해 교육당국이 올바르다고 인식하는 교육적 가치의 토대 위에서 정책이 결정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교육적 가치에 대한 꾸준한 논의와 함께 특정 교육정책에 대한 중장기적 관점의 대안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including the type and the factors of the early Moon Jae-in government's policy change i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To this end, first of all, it reviewed the progress of the government's structural reform policy for universities since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of policy change types and factors, Hogwood and Peters' policy change type theory and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policy change process of the 2018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polic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policy change type theory, it was categorized as a ‘policy succession’ type because of the intentional policy change and the changes in the law (basic plan), organization, and budget. In detail, a single policy can be classified into ‘nonlinear type succession', which is a mixture of various elements of policy succession such as termination, maintenance, overlap, substitution, and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was divided into the flow of policy problems, the flow of politics, and the flow of policy alternatives and as they met, a window of policy was opened and the policy flow model that emphasized the role of policy leader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on Jae-in government's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the univers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on-going situation of the politician who did not have positive or disagreement in the flow of policy problems such as the decrease in university recruitment rate due to the accelerated birth rate, and a strong policy alternative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pened the window of policy. The policy leader who led this trend was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olicy could not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educational values that education authorities recognize as correct due to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policy making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ally discuss the educational values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and to conduct alternative studies in the mid to long term perspective on specific educational policies.

      •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

        오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the best method of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selected scientists who steadily present or have in the near past presented scientific research outcomes, and at the same time are active general science writers. They were termed as “scientists as expert writers”. Also,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writing of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in Korea. Students who relatively had more writing experience were selected for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Finally, the two investigations were combined to find the implication of education of science writing for student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sts who participated on the research had become expert science writers through deliberate practice. They developed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by consideri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or the writing environment, and such strategies were modified referring to different situations. Moreover, they had a good understanding and handling of difficulties they faced when writing, and also believed that writing skills can be acquired by practice. Consequently, research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an educational system which supports a continuous practice in writing is needed; and hen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riting instructors, saying that the writing instructors are the core of such educational system. Second,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who participated on the research agreed upon the importance of science writing and writing skills. The importance of science writing was also visible on the conducted survey. The student participants went through various difficulties in the science writing process; however, the efforts in trying to figure out the cause of the difficulties werw relatively low. The students also had a hard time in controlling the science writing process; and not only did they have a relatively low writing experience, but lacked enough education on systematic science writing. The satisfaction of the writing course in their university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quality of writing instructor and, feedback of the writing and writing process. The instructor’s appropriate feedback helped the students to have a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n their writing skills. Third, the best method of writing education helps the students to obtain proficient communication skills, and a good quality and quantity of writing education is needed to succeed it. The instructor’s feedback on the writing is crucial for the student’s advancement, and therefore “quality guaranteed quantity” educ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writing instructor should be well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riting education. A competent instructor is needed in order to handle a high-quality clas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to students. Second, various method of assessment including feedback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Other methods such as peer-review could help students advance their writing skills. A guideline and education for peer-review will be needed. This guideline should include the significance, purpose, rubric, grading, application, and attitude of assessment. Third, students should have a broader opportunity in doing science writing. The opportunity should have good quality and the writing instructor should provide feedback on the students’ writings. In other words, science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hould increase in quantity as in raising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actual writing, and also in quality as in appropriate guidance and feedback.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여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개의 연구, 과학자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로 구성하였다. 과학자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에서는 과학적 연구 성과를 꾸준히 발표하면서 대중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하는 과학자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각각 2회, 1회당 1시간 30분~2시간 10분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는 2개의 단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구참여자도 2개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제1단계는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로, 서울과 경기, 대전에 소재한 6개 대학의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사범대학의 과학교육과 2~4학년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제2단계는 초점집단면담으로, 설문지 결과와 눈덩이 표집 방법(snowballing)을 이용하여 8명의 이공계 대학생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고 1회씩 총 2회, 각각 1시간 40분~1시간 50분의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과 초점집단면담에서는 모든 면담을 녹음 및 전사하였으며, 개인별 사례를 분석한 뒤 교차사례 분석을 통해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패턴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χ2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의도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을 통해 능숙한 과학 필자가 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계획하기와 검토하기 과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글쓰기 과정에서 자신의 지식과 이해에 대한 인식을 통해 기존의 지식을 변형하거나 새롭게 구성하였다. 이들은 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잘 파악하고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이 자신의 글쓰기 과정에 관심을 가졌기에 가능하였다. 글쓰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과 문제에 대한 통제와 해결은 이들이 풍부한 글쓰기 경험을 통해 얻은 경험적 지식이자 메타인지의 결과였다.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과학 글쓰기 능력은 훈련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글쓰기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러한 교육 시스템의 핵심이 교사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 대학생들은 과학 글쓰기와 과학 글쓰기 능력이 중요함을 인정하였다. 과학 글쓰기의 중요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 대학생들은 과학 글쓰기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실 글쓰기 과정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과학 글쓰기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체계적인 과학 글쓰기 교육 기회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에서 개설한 글쓰기 과목의 수강 만족도는 글쓰기 교수자와 글쓰기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피드백의 2개 요소에 의해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쓰기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은 학생 스스로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파악하고 신장됨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였다. 셋째, 바람직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이란 이공계 대학생들이 능숙한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글쓰기 교육이며, 이공계에서 과학 글쓰기 교육이 바람직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육의 질과 양이 모두 확보되어야 한다. 이때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은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의 핵심이며 이런 관점에서 ‘질이 보장된 양’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글쓰기 교수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 높은 글쓰기 수업이 진행되고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은 적절한 피드백 및 지도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수자의 질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드백을 포함한 다양한 글쓰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글쓰기 과목 교수자에 의한 피드백 외에 동료평가와 같은 여러 평가 방식이 이공계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동료평가 지침의 작성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침에는 동료평가의 의의, 목적, 평가기준(루브릭), 채점 및 적용 방식과 함께 평가 태도가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이공계 대학생들이 과학 글쓰기를 경험할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기회란 질이 확보된 기회를 의미한다. 즉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 교육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교육 및 직접적인 글쓰기의 기회를 늘리고, 질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지도와 피드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배려교육을 통한 혐오표현 개선 방안 연구

        오윤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온라인만이 아니라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에까지 만연되고 있는 혐오표현 문제와 관련해 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실질적인 교육적 대처 방안이 요청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사회문제인 동시에 교육문제로서의 혐오표현의 심각성을 확인하고, 혐오표현의 개념과 실태 및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의 속성을 살펴봄으로써, 혐오표현 개선의 필요성과 대응 방안을 가치교육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에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왜 혐오표현을 가치교육의 관점에서 접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적인 검토를 통해, 기존 가치교육의 목표인 개인의 합리성 및 논리성 위주의 정의의 관점으로는 혐오표현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가치교육의 목적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제안하면서, 그 대안으로 나딩스의 배려교육에 근거한 접근을 제안하였다.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 행동적 요소까지를 종합적으로 포괄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배려교육적 접근이 혐오표현과 관련해 유의미한 개선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자아와 타자를 분리해서 사고하던 시각의 가치교육에서 벗어난 배려교육은 인간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설정하기 때문에 자아와 타자와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강조한다. 따라서 관계성에 목적을 둔 배려교육은 타자의 상황과 맥락을 진심으로 이해하려는 과정을 제공하여 인간관계의 결핍에서 비롯된 혐오표현 문제에 대한 기존의 인지적 영역 중심의 가치교육이 간과하였던 정의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의 가치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혐오표현 개선을 위해 나딩스의 배려교육에서 도출한 첫 번째 교육 원리는 ‘포함’이다. 포함은 모든 교육 활동의 기본이 되는 활동으로 교사와 학습자의 배려 관계를 구성하는 기본 전제 원리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배려교육의 경험을 위해 교사는 학습자를 교육 구성원으로 동등하게 인정하고 포함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형성하고 있는 혐오표현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수용하여 자아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하므로 포함의 원리는 혐오표현에 대한 인지적 측면의 강조와 함께 배려교육의 출발점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였다. 두 번째로 도출한 교육 원리는 ‘상황의 이해’이다. 상황의 이해는 진정한 배려를 완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타자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여 나의 것으로 수용하는 공감의 원리이다. 혐오표현은 대상을 동등하게 인정하지 않는 차별의 관점에서 비롯된 문제이므로 개선을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여 동등한 주체로 포함하려는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것은 타자를 자아와 동등한 주체로 포함하여 배려의 과정을 완성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자아와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정의적 측면의 가치 형성의 과정이다. 세 번째 교육 원리는 ‘자아와 타자의 만남’이다. 자아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타자에 대한 상황 이해를 통해, 실질적으로 배려를 열망하는 자아를 확인하고, 타자와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만남을 통해 배려의 과정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자아와 타자와의 만남은 배려의 개념을 확장시키고자하는 기본 원리로 혐오표현 개선에 대한 실천적 측면의 가치교육 활동으로 삼을 것을 요청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배려교육으로부터 도출한 세 가지의 교육 원리는 혐오표현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해 가는 데에 있어 의미 있는 통찰과 안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학생들은 실질적인 교육 경험을 통해 배려 능력을 함양하고, 배려 관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배려교육을 통한 인간의 관계성 회복은 행동하는 민주시민의 성장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교육의 목적에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도 지속적인 탐구와 추후 연구가 요청된다.

      • 위상배열 초음파를 이용한 치아결함 비파괴진단기법 연구

        오윤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치아 우식과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상태에 대한 초음파적 진단을 위한 위상배열 초음파 진단기법의 도출을 위해 수행하였다. 치아 우식과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경조직 내부의 진단을 위해 기존에는 x-ray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x-ray 진단은 소량이지만 방사선의 위험이 있고 시술 중 수시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위상배열 초음파 진단기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상배열 초음파 진단을 위한 초음파 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위상배열 초음파 탐촉자의 음장 패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재료 내부에 많은 기공을 갖고 일정 정도의 물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경석고에 대한 위상배열 초음파의 방사 음장에 대하여 계산했다. 방사음장의 계산을 위해 확장 다중 가우시안 빔 모델을 사용하였다. 초음파 빔의 조향각과 집속거리, 탐촉자의 중심주파수와 피치에 따라 제각기 다른 빔 특성을 보였는데, 초음파 탐상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그레이팅 로브는 초음파 탐촉자의 element 크기와 함께 element 끼리의 간격을 의미하는 pitch를 줄임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근거리 집속의 경우 여전히 집속점의 음압과 실제 집속점 사이에 바이어스가 존재하고, 동일한 집속 element에 대하여 집속점 이후의 빔 퍼짐양상은 다시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용 위상배열 초음파 탐상 장치를 이용하여 경석고에 가공한 인공결함에 대한 결함검출시험을 실시하였는데, 진단에 사용한 2개의 위상배열 시스템 모두에서 Linear 타입의 결함영상이 보다 나은 감도와 검출능을 보였다. 낮은 주파수와 큰 피치 사이즈의 탐촉자가 보다 나은 감도를 보였다. 돼지 악골에 시술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위상배열 탐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시술한 2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지시결함영상이 확인되었으나, 불규칙한 표면상태로 인해 영상의 구분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at focusing the phased array ultrasonic diagnostic techniques on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for a use of dental surgery and the teeth decay. The X-Ray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diagnosing the defects existing at the tooth and bone; but X-ray diagnosis might bring the risk to human body even if small amount of radiation and also can not determine the defects from time to time. So the phased array ultrasonic diagnostic techniques were performed for an alternative way in order to reinforce those above drawbacks. The sound field pattern of phased array ultrasonic transducer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haracterizing the ultrasonic beams for the phased array ultrasonic diagnostics. The sound field of ultrasonic radiation was calculated for the sample called "gypsum-improved stone" with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dental materials. Expanded multi-gaussian beam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the radiation sound field. It is found that the various beam characteristics were exhibited according to steering angle and focusing length of ultrasonic beam, and pitch and center frequency of transducers. Also, the grating lobe effect could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pitch (the interval between element and element of ultrasonic transducers). However, in case of short range focusing point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model sound pressure exists and the beam spread phenomenon was generated at the focusing point. The industrial phased-array ultrasonic device was utilized for detecting the artificial flaws machined in the gypsum improved stone. It is found that the flaw images of two-linear phased-array system has higher sensitivity and detectability, and the transducers with low frequency and greater pitch size had a better sensitivity. Also, a dental implant was made at the pig jaw bone and indicating defect images were confirmed for the two dental implants. But it is found that the distinctive ability was reduced to the irregular surface of the pig jaw bone.

      •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내용과 중학교 '환경' 교과의 연계성 조사

        오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내용과 중학교의 환경교육의 연계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환경교육에서 현장체험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환경교육장의 개념이 확대되면서 이제 환경교육은 현장과 체험을 떠나서는 논하기 어렵게 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학교 ‘환경’ 및 환경 관련 교과의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국 7개 종합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내용을 분석하였다. 7개 자연사박물관은 전문 연구 인력 현황, 박물관 운영 주체 및 지역을 안배하여 선정하였다. 자연사박물관이 중학교 환경교육의 내용을 얼마나 구현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이상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내용과 중학교 학교 환경교육의 내용과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둘째, 자연사박물관 안에서 또는 자연사박물관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는 환경교육 및 환경교육의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자연사박물관이 환경교육장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내용은 중학교 학교 환경교육의 내용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었다. 연구 대상인 7개 자연사박물관이 모두 중학교 ‘환경’ 교과 내용을 전시, 설명판(panel), 그림(graphic), 멀티미디어(mutimedia) 등의 형태로 다루고 있었다. 둘째, 자연사박물관 안에서 또는 자연사박물관을 통하여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환경교육 주제 및 내용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7개 자연사박물관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높은 주제는 생태계와 인간, 생물종 감소 및 생물다양성,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영향, 인구 증가와 환경문제 등이었다. 지역 생태계에 대한 내용도 자연사박물관 안에서 또는 자연사박물관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는 좋은 주제임이 드러났다. 자연사박물관 선진국의 경우, 자연사박물관은 운영 주체에 따라 그 목적이 다소 상이하다. 국립 자연사박물관이 생물다양성을 주(主)목적으로 한다면 지역의 자연사박물관이나 지역 정부에서 운영하는 자연사박물관의 주요 목적은 지역 생태계의 보존과 연구이다.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분업화된 체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자연사박물관이 환경교육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의 연계 및 박물관교육의 전문화가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자연사박물관 및 연구 인력과 학교 및 교사와의 구조적·유기적 연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연사박물관이 환경교육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들 주체 간의 유기적 연계가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자연사박물관 내에서 교육을 전담하는 박물관 교육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and activities in middle schools. Activities outside the classroom have been emphasized and the concept has grown. Results have shown it is difficult to discuss environmental education without field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and activities in middle school curriculums were analyzed first. The exhibition contents of 7 natural history museums were assessed based on their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and activities. The status of expert researchers, the museum operators and the region were considered in choosing the 7 natural history museums. It aimed to assess how natural history museums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what degree. To address the study’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 Do the contents of natural history museums exhibitions complemen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What kind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ould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of natural history museums? What qualifications are needed in order for history museums to be used as a sour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some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s' exhibitions co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The methods of presentation were various including displays, panels, multimedia etc. Seco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natural history museums are diverse. The most popular subjects are ; the interaction between ecosystems & humans, extinction of species, diversity of ecosystems, the effects of human behavior on nature, and population growth & environmental problems. Results show that ecosystems near natural history museums can be a valuable education resource. Third, natural history museums should be related to school education so they can be used as a sour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reover, museums need experts to take charge of education.

      • 2000년대 패션쇼에 나타난 레트로 메이크업 연구

        오윤정 성신여자대학교 아트·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Fashion trend in 2000s is progressing to Retro fashion that emotion of modern to be able to feel nostalgia and recollection for past is reflected, revealing negative limit to be humanity loss by highly developed technology. Designers who should present new trends all the time are showing the 3rd style in fashion show by grafting and reinterpreting dearest wish toward past rich period and individualistic and meaningful things of the 21st century. Since the beginning of recent time, fashion world started to watch style in 1980s, and fashion, makeup, hair-style in 1980s are being highlighted as present new trend. Makeup style for 1980s has influence modern fashion by being reinterpreted newly under the change of mass media and influence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but concrete study as to how retro makeup in 1980s is being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how is petty. Thus, examining makeup in 1980s has importance that past style offers artistic motive now as infinite inspiration of diverse styles. It can be said that study of retro makeup which showed in fashion show in 2000s has goal in presenting it as data to be able to grasp detailed flow of present fashion and forecast change of makeup which will be unfolded in the future. Thus, this researcher studied concept of retro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1980s as theoretical study. In addition, I studied feature of makeup which was in vogue in 1980s. In main discourse, I analyzed retro makeup in 1980s which showed in fashion show in 2000s in accordance with main concept. As for retro style which showed in fashion show, we may classify hair and makeup style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ncepts. This researcher limited punk style, glamour style, and androgynous style which showed most conspicuously in fashion show from 2007 to2009 as study range. In addition, I arranged study contents with diagram by classifying by years and generation. This researcher made work study centering around feature of each concept of retro makeup extracted by years and generation. Through work study of retro makeup in 1980s, I made retro in 1980s be help for creative work activity of makeup as new motive for modern makeup. 2000년대의 패션트렌드는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에 인해 인간성의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한계를 드러내면서 과거에 대한 향수와 추억을 느낄 수 있는 현대인의 정서가 반영된 레트로 패션(Retro Fashion)으로 진행되고 있다. 언제나 새로운 트렌드들을 제시해야 하는 디자이너 들은 과거의 풍요로웠던 시대를 향한 염원과 21세기의 개성 넘치고 의미 있는 것들을 접목하여 재해석함으로 제 3의 스타일을 패션쇼에서 선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패션계에서는 1980년대 스타일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의 패션, 메이크업, 헤어, 스타일 등이 현재의 새로운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다. 1980년대에 대한 메이크업 스타일은 대중매체의 변화와 사회 경제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현대패션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아직까지 1980년대 레트로 메이크업이 현대 패션쇼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1980년대의 메이크업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과거의 양식이 현재에도 다양한 스타일의 무한한 영감으로서 예술적 모티브를 제공한다는 중요성을 지닌다. 2000년대의 패션쇼에 나타난 레트로 메이크업 연구는 현재 패션의 세부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 전개될 메이크업의 변천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론적 고찰로서 레트로의 개념과 1980년대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또한 1980년대 유행한 메이크업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2000년대 패션쇼에 나타난 1980년대의 레트로 메이크업(Retro Makeup)을 주요 컨셉에 따라 분석하였다. 패션쇼에 나타난 레트로 스타일은 여러 가지 컨셉에 따라 헤어, 메이크업, 스타일을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2007년에서 2009년까지의 패션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Punk Style(펑크 스타일), Glamour Style(글래머 스타일), Androgynous Style(앤드로지너스 스타일)을 연구범위로 제한하였다. 또한 연구내용은 연대별로 나누어 도표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대별로 도출된 레트로 메이크업의 각 컨셉의 특징을 중심으로 작품 연구를 하였다. 1980년대의 레트로 메이크업 작품 연구를 통해 1980년대의 레트로가 현대의 메이크업에 새로운 모티브로서 창의적인 메이크업 작품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학교급식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요인 연구

        오윤정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급식의 목적은 합리적인 균형식사를 제공함으로써 성장기 학생의 건강증진과 심신의 발달을 도모하며, 기본 생활습관을 향상시키고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하여 협동정신과 민주시민의 자질을 신장시키는 계기를 제공하고, 결식학생수의 감소, 열등의식의 배제등 전반적인 학습환경 개선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3학년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중학교를 1교 선정하여 1, 2학년 유상급식 학생과 3학년 유상급식 학생에 대한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속성요인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학교급식 품질을 평가하여 수요자 만족 증대를 위해 지속적인 품질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며, 궁극적으로는 학교급식 개선대책의 일환으로 학교급식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속성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2013년 5월 20일부터 5월 24일까지 시행하여 총 313부 중 295부를 수집하였다. 급식의 질적 요인, 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등 3개분야의 급식품질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를 대상별(중학생 1, 2, 3학년), 유형별(무상급식, 유상급식)로 실시하였다. 급식품질속성 요인은 음식의 맛, 양, 온도, 메뉴의 다양성, 식재료 품질, 영양, 위생, 정보제공 및 지도, 급식개선 의견수렴, 식사환경의 쾌적성, 조리원의 친절도, 배식의 원활함등의 요인을 크게 질적, 인적,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실질적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 본인의 의견을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부분과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경험적 연구로 구성된다.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실제 조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만들었고 지표를 구성하여 실제조사에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만족도 설문조사 측정도구를 기초로 하여 여러 문헌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학교급식만족도에 관한 일반적 사항 4문항, 질적요인에 관하여 13문항, 인적요인 7문항, 환경적요인 6문항, 기타 학교급식의 효과와 관련하여 2문항 등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설문지 295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학교급식 서비스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값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학년에 따라 학교급식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급식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이전에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급식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급식대상자들의 급식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 조사를 통하여 급식대상자들의 급식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여 학교급식 만족도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한 학교급식의 직접적인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에 대한 품질과 만족의 인식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급식을 행정중심 운영이 아닌 대고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업무로 급식에 대한 운영자의 한 사람으로서 인식전환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또한 급식의 최대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능동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자발적인 학교급식 만족도 상승 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요인에 대해 전체적인 학교급식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의 식사 장소나 조리원의 친절도, 배식의 원활함과 같은 환경적 측면보다는 급식의 맛과 양, 온도의 적절성이나 메뉴의 다양성, 또는 식재료 품질의 우수성과 같은 질적 측면에 대한 개선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질적 요인과 인적요인보다 간과하기 쉬운 유의미하지 않은 환경적 요인에 대한 부분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며, 급식품질 요인에 대한 전체적인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속성별 수행수준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식단의 구성으로 학생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맛과 균형잡힌 영양의 조화로 고품질의 수요자 만족 증대를 위한 최상의 급식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교과와 연계하여 접근하는 현장감 넘치는 식생활교육과 배식원에 대한 친절교육등 학교급식의 품질수준 및 급식 만족의 현 수준을 파악하므로 학교급식 품질향상이 기대된다. 조사결과를 현장에서 학교급식 개선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이 정착할 수 있는 방안를 최대한 활용하고, 또한 본 연구에서 학년별로 보이고 있는 학교급식서비스 품질요인의 인식차이를 줄이고자 학생들의 급식에 대한 의견에 귀를 기울여 눈높이에 맞는 개선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